KR101319014B1 - 테트라포드용 거푸집 및 그에 따른 테트라포드 - Google Patents

테트라포드용 거푸집 및 그에 따른 테트라포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014B1
KR101319014B1 KR1020120003635A KR20120003635A KR101319014B1 KR 101319014 B1 KR101319014 B1 KR 101319014B1 KR 1020120003635 A KR1020120003635 A KR 1020120003635A KR 20120003635 A KR20120003635 A KR 20120003635A KR 101319014 B1 KR101319014 B1 KR 101319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tetrapod
present
divided
tetrap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2416A (ko
Inventor
이상철
손진석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120003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014B1/ko
Publication of KR2013008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7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 B28B1/0873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the mould being placed on vibrating or jolting supports, e.g. mou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0Moulds with means incorporated therein, or carried thereby, for ejecting or detaching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4Unitary mould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moulding spaces, e.g. moulds divided into multiple moulding spaces by integratable partitions, mould part structures providing a number of moulding spaces in mutual co-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Abstract

본 발명은 테트라포드용 거푸집 및 그에 따른 테트라포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트라포드(T)의 중심부에서 양분되는 하부거푸집(10)과 상부거푸집(20)을 형성하되, 상기 하부거푸집(10)은 일체의 고정거푸집(11)과 각각 개폐되는 3개의 덮개거푸집(16a,16b,16c)으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상기 상부거푸집(20)에는 대항하는 양측에 통공(25)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통공(25)에 삽입되는 돌출부(35)를 형성한 한 쌍의 보조형틀(30)을 체결하여, 상기 테트라포드(T)에 홀더홈(H)이 형성되도록 한 테트라포드용 거푸집(1) 및 그에 따른 테트라포드(T)의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거푸집의 조립 및 탈형 작업을 간편할 수 있고, 콘크리트의 양생 후 테트라포드를 뒤집을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작업공간을 소요하며, 다른 한편으론 거푸집 자체에 진동기를 구비하여 노동력을 절감하는 등, 궁극적으로는 테트라포드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테트라포드용 거푸집 및 그에 따른 테트라포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트라포드용 거푸집 및 그에 따른 테트라포드{MOLD FOR TETRAPOD AND THEIR TETRAPOD}
본 발명은 테트라포드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거푸집 및 그에 따라 생산된 테트라포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트라포드용 거푸집을 종래와 달리 상부거푸집과 하부거푸집으로 양분하여 형성하되, 상부거푸집에는 보조형틀을 구비하여 완성된 테트라포드에 운반용 홀더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하부거푸집은 베이스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거푸집과 상기 고정거푸집에 힌지 체결되어 개폐되는 덮개거푸집으로 형성함으로써, 양생 후 탈형을 위하여 거푸집을 굴려 위치를 바꾸지 않고 제자리에서 탈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완성된 테트라포드의 운반 또한 용이하여, 궁극적으로는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테트라포드용 거푸집 및 그에 따른 테트라포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트라포드(Tetrapod)는 방파제 및 호안 등에 설치하여 파랑의 소파(消波) 및 그 에너지를 약화시켜 호안 또는 항만에 설치된 다른 시설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바, 상기 일반적인 테트라포드의 구성과 함께 테트라포드용 거푸집의 구성을 하기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통상 테트라포드(T)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원추형 돌출부(T1,T2,T3,T4)가 일정한 모양으로 결합된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는데, 상기 테트라포드(T)의 생성은 도 2의 도시와 같은 거푸집(100) 4개를 상호 결합하되, 테트라포드(T)의 중심부 하측에 위치하는 제1·제2·제3돌출부(T1,T2,T3)가 생성되는 부분의 종단은 도 3과 같이 별도의 커버플레이트(200)를 각각 부착하여 밀폐하고, 테트라포드(T)의 중심부 상측에 위치하는 제4돌출부(T4)가 생성되는 부분의 상단은 밀폐하지 않고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한다. 이후, 주입된 콘크리트를 양생시킨 다음 상기 각각의 거푸집(100)을 탈형시킴으로써 테트라포드(T)를 생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테트라포드용 거푸집(100)을 사용할 경우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었는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하나의 테트라포드(T)를 생산할 때마다 중심부 하측의 거푸집(100)에 다수의 커버플레이트(200)를 탈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콘크리트의 양생 후 거푸집(100)을 탈형함에 있어서는 바닥면에 위치하는 거푸집(100)을 탈형하기 위해서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동원하여 양생된 테트라포드(T)를 뒤집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테트라포드(T)를 뒤집는 문제점은 그 작업의 불편함 뿐만 아니라, 중장비의 출입 및 테트라포드(T)를 뒤집기 위한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한다. 즉, 통상적으로 테트라포드(T)는 그 운송이 어렵기 때문에 공사현장 인근의 평지를 확보하여 생산하는데, 공사현장이 경사면이거나 충분한 평지를 확보하기 곤란한 공사현장에서는 상기 종래 테트라포드용 거푸집(100)의 문제점은 더욱 컸으며, 이는 생산성의 저하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공사기간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또한, 완성된 테트라포드(T)를 운반할 때에는 작업자가 로프를 이용하여 테트라포드(T)를 결속함에 따라 그 작업이 불편함과 아울러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도 있었으며, 한편으론 종래 테트라포드용 거푸집(100)의 경우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함에 있어서 완성된 테트라포드(T)에 기포 등의 구조적인 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바이브레이터를 거푸집(100)의 내부에 집어넣어 진동을 가함에 따라 별도의 작업자가 필요하였음은 물론이고 상기 작업자의 숙련된 정도에 따라 기포 등의 결함이 발생될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4개의 거푸집과 3개의 커버플레이트가 결합된 것과 달리 테트라포드용 거푸집을 상부거부집과 하부거푸집으로 양분함으로써 거푸집의 조립 및 탈형 작업을 간편히하고, 하부거푸집을 중량의 베이스프레임에 고정설치하여 콘크리트의 양생 후 테트라포드를 뒤집을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작업공간에서 테트라포드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생산성 향상하는 데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테트라포드에 홀더홈을 형성함으로써 그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데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으며, 한편으론 하부거푸집이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진동기를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테트라포드에 기포 등의 구조적인 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이고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용 거푸집은, 테트라포드의 중심부에서 하측으로 구분되는 제1ㆍ제2ㆍ제3돌출부를 생성하는 하부거푸집을 형성하고, 상기 테트라포드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구분되는 제4돌출부를 생성하는 상부거푸집을 상기 하부거푸집의 상측에 탈착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하부거푸집은 제1ㆍ제2ㆍ제3돌출부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하측으로 구분되는 일체의 고정거푸집과 상기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으로 구분되어 각각 개폐되는 3개의 덮개거푸집으로 구분하여 형성한 테트라포드용 거푸집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상부거푸집의 대항하는 양측에 통공을 형성하는 한편 일측에 돌출부를 형성한 한 쌍의 보조형틀을 형성하여 상기 각 통공에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부거푸집의 양측에 한 쌍의 보조형틀을 체결함으로써 테트라포드에 홀더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테트라포드용 거푸집을 다른 특징으로 하며, 아울러 그 완성된 테트라포드의 구성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거푸집이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진동기를 구비한 테트라포드용 거푸집에 부가적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테트라포드용 거푸집을 상부거부집과 하부거푸집으로 양분함으로써 거푸집의 조립 및 탈형 작업을 간편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하부거푸집을 중량의 베이스프레임에 고정설치함과 아울러 홀더홈의 형성으로 테트라포드를 수직으로 견인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양생 후 테트라포드를 뒤집을 필요가 없어 그 작업이 더욱 간편할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작업공간을 소요하여 좁은 공사현장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다른 한편으론 베이스프레임에 진동기를 형성함으로써 테트라포드의 구조적인 결함을 예방함과 아울러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등, 궁극적으로는 테트라포드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는 홀더홈이 형성됨에 따라 그 운반은 물론이고 테트라포드의 설치 또한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테트라포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 테트라포드용 거푸집의 단품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종래 테트라포드용 거푸집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용 거푸집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용 거푸집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용 거푸집의 보조형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용 거푸집의 진동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용 거푸집의 분리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용 거푸집의 개방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의 운반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트라포드용 거푸집 및 그에 따른 테트라포드의 구성을 도 4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보되, 도 1과 동일한 구성은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용 거푸집(1)은 베이스프레임(5)에 고정설치된 하부거푸집(10)과 그 상측에 탈착되는 상부거푸집(20)으로 양분되는데, 상기 하부거푸집(10)은 테트라포드(T, Tetrapod)의 중심부에서 하측으로 구분되는 제1ㆍ제2ㆍ제3돌출부(T1,T2,T3)를 생성하는 부분으로서, 하부거푸집(10)의 상단면은 개방하여 상부거푸집(20)의 개방된 저면이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거푸집(1)을 일체화할 수 있는바, 상기 하부거푸집(10)과 상부거푸집(20)의 접합면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플랜지부를 형성하여 볼트 및 너트의 조합으로 양측 플랜지부를 접합한다.
한편, 도면 중 도시하지 않으나 하부거푸집(10)과 상부거푸집(20)의 접합부에는 개스킷(미도시)을 형성하여 거푸집(1) 내부의 수밀(水密)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하부거푸집(10)과 상부거푸집(20)의 접합부는 테트라포드(T)의 무게중심에서 수평방향으로 구획되는 부분을 중심부로 하여 양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거푸집(10)은 베이스프레임(5)에 직접 설치된 고정거푸집(11)과 상기 고정거푸집(11)에 체결된 덮개거푸집(16a,16b,16c)으로 나누어 형성하는데, 테트라포드(T)를 구성하는 제1ㆍ제2ㆍ제3돌출부(T1,T2,T3)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하측으로 구분되는 고정거푸집(11)은 각 부분이 접합된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으로 구분된 덮개거푸집(16a,16b,16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개폐되는 3개의 독립된 덮개거푸집(16a,16b,16c)으로 구분하여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거푸집(11)과 각 덮개거푸집(16a,16b,16c)의 일측면에는 힌지축(15)을 형성함과 아울러 타측면은 볼트 및 너트의 조합으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덮개거푸집(16a,16b,16c)이 고정거푸집(11)에 대하여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일측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그 체결을 간편히 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거푸집(10)의 상측에 탈착되는 상부거푸집(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부거푸집(20)은 테트라포드(T)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구분되는 제4돌출부(T4)를 생성하는 부분으로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상부거푸집(20)의 상단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할 수 있는 주입구(21)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부거푸집(20)의 대항하는 양측에는 통공(25)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25)이 형성된 상부거푸집(20)의 양측에는 한 쌍의 보조형틀(30)을 체결하는바, 상기 각 보조형틀(30)의 마주하는 일측에는 상기 통공(25)에 삽입되는 돌출부(35)를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테트라포드(T)에 홀더홈(H)이 형성되도록 한다(도 10 참조).
즉, 본 발명의 테트라포드용 거푸집(1)에 따라 생성된 테트라포드(T)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홀더(50)를 이용하여 그 운반이 용이하도록 제4돌출부(T4)에 홀더홈(H)이 형성되는바, 본 발명은 상기 홀더홈(H)의 형상 및 모양이나 관통 여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가적 구성으로서 도 7을 참조하여 진동기(40)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1)의 하부거푸집(10)이 고정설치된 베이스프레임(5)에 진동기(40)를 구비함으로써, 거푸집(1)의 내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함에 있어 기포 등의 발생으로 인한 구조적인 결함을 예방할 수 있음을 물론이고, 별도의 작업자를 필요치 않으므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45'는 방진패킹(45)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용 거푸집 및 그에 따른 테트라포드의 작용을 살펴본다.
최초 하부거푸집(10)의 개방된 상측에 보조형틀(30)이 부착된 상부거푸집(20)을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거푸집(20)의 상단에 형성된 주입구(21)로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한다. 이때, 상기 모르타르의 타설시 베이스프레임(5)에 형성한 진동기(40)를 구동함으로써 숙련된 작업자를 필요치 않고도 타설된 콘크리트에 일정한 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도 5 및 도 7 참조).
그리고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어느 정도 양생되면, 보조형틀(30)을 상부거푸집(20)으로부터 제거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거푸집(20)을 하부거푸집(10)에서 제거하여 탈형하고(도 8 참조),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거푸집(10)을 구성하는 각 덮개거푸집(16a,16b,16c)을 개방함으로써 테트라포드(T)의 양생을 신속히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테트라포드(T)의 양생이 완료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중기 등에 장착된 별도의 홀더(50)를 테트라포드(T)의 홀더홈(H)에 삽입시켜 수직으로 견인함으로써 완성된 테트라포드(T)를 거푸집(1)으로 완전히 탈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의 양생 후 종래처럼 테트라포드(T)를 뒤집을 필요가 없어 그 작업이 더욱 간편할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작업공간을 소요하므로 좁은 공사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테트라포드(T)를 생산할 수 있으며, 한편으론 상기 테트라포드(T)에 형성된 홀더홈(H)에 의하여 테트라포드(T)의 설치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 거푸집 5: 베이스프레임
10: 하부거푸집 11: 고정거푸집
15: 힌지축 16a, 16b, 16c: 덮개거푸집
20: 상부거푸집 21: 주입구
25: 통공 30: 보조형틀
35: 돌출부 40: 진동기
50: 홀더 T: 테트라포드
T1: 제1돌출부 T2: 제2돌출부
T3: 제3돌출부 T4: 제4돌출부
H: 홀더홈

Claims (4)

  1. 테트라포드(T)의 중심부에서 하측으로 구분되는 제1ㆍ제2ㆍ제3돌출부(T1,T2,T3)를 생성하는 하부거푸집(10)을 형성하고;
    상기 테트라포드(T)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구분되는 제4돌출부(T4)를 생성하는 상부거푸집(20)을 상기 하부거푸집(10)의 상측에 탈착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하부거푸집(10)은 제1ㆍ제2ㆍ제3돌출부(T1,T2,T3)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하측으로 구분되는 일체의 고정거푸집(11)과, 상기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으로 구분되어 각각 개폐되는 3개의 덮개거푸집(16a,16b,16c)으로 구분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포드용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거푸집(20)의 대항하는 양측에 통공(25)을 형성하고; 일측에 돌출부(35)를 형성한 한 쌍의 보조형틀(30)을 형성하며; 상기 각 통공(25)에 돌출부(35)가 삽입되도록 상부거푸집(20)의 양측에 한 쌍의 보조형틀(30)을 체결함으로써, 완성된 테트라포드(T)에 홀더홈(H)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포드용 거푸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거푸집(10)이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5)을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5)에는 진동기(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포드용 거푸집.
  4. 삭제
KR1020120003635A 2012-01-11 2012-01-11 테트라포드용 거푸집 및 그에 따른 테트라포드 KR101319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635A KR101319014B1 (ko) 2012-01-11 2012-01-11 테트라포드용 거푸집 및 그에 따른 테트라포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635A KR101319014B1 (ko) 2012-01-11 2012-01-11 테트라포드용 거푸집 및 그에 따른 테트라포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416A KR20130082416A (ko) 2013-07-19
KR101319014B1 true KR101319014B1 (ko) 2013-10-17

Family

ID=4899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635A KR101319014B1 (ko) 2012-01-11 2012-01-11 테트라포드용 거푸집 및 그에 따른 테트라포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0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3618A (zh) * 2016-02-24 2016-05-11 许正明 一种还原冶炼电炉矿渣制造石材的装置
KR102583762B1 (ko) 2022-08-19 2023-10-05 주식회사 양지 파랑유도가 가능한 소파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3434A (zh) * 2017-05-02 2017-08-18 中交第二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可快速装拆的四脚锥模具及操作方法
KR102614184B1 (ko) * 2023-03-06 2023-12-15 유정식 테트라포트 제작용 거푸집 및 이의 제작과 사용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2511U (ko) * 1978-09-13 1980-03-19
JPH07256620A (ja) * 1994-03-17 1995-10-09 Hayashi Kensetsu Kogyo Kk 4脚消波根固ブロックの製造型枠及びこれを用いた4脚消波根固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0449541B1 (ko) 2001-09-06 2004-09-30 주식회사 씨엠 테트라포드 성형장치
KR100903395B1 (ko) * 2008-07-14 2009-06-18 범아건설 주식회사 안전 테트라포드 및 이를 이용한 해안용 구조물 그리고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2511U (ko) * 1978-09-13 1980-03-19
JPH07256620A (ja) * 1994-03-17 1995-10-09 Hayashi Kensetsu Kogyo Kk 4脚消波根固ブロックの製造型枠及びこれを用いた4脚消波根固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0449541B1 (ko) 2001-09-06 2004-09-30 주식회사 씨엠 테트라포드 성형장치
KR100903395B1 (ko) * 2008-07-14 2009-06-18 범아건설 주식회사 안전 테트라포드 및 이를 이용한 해안용 구조물 그리고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3618A (zh) * 2016-02-24 2016-05-11 许正明 一种还原冶炼电炉矿渣制造石材的装置
KR102583762B1 (ko) 2022-08-19 2023-10-05 주식회사 양지 파랑유도가 가능한 소파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416A (ko) 201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014B1 (ko) 테트라포드용 거푸집 및 그에 따른 테트라포드
KR100744693B1 (ko) 콘크리트 스틸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말뚝기초 푸팅시공방법
CN208072950U (zh) 一种组合定型钢模板
CN102105644B (zh) 对模板和配件的改进
CN209533737U (zh) 一种叠合板预制模具
KR20120019358A (ko) 강도 보강형 집수정 및 집수정 설치 방법
CN106437146A (zh) 一种楼层梁浇筑用模板、楼层梁的施工方法
CN206942138U (zh) 浇注模板拼接桥板
CN105507472A (zh) 空腔体、空心楼板及空心楼板制造方法
CN205663189U (zh) 楼板吊模装置
CN205853048U (zh) 模具
CN208202549U (zh) 一种厨卫降板定型模具
CN209364936U (zh) 一种方便拆模的空心楼盖装配箱的底座模具
CN208734072U (zh) 装配式拼接轻薄保温模板
CN208792081U (zh) 一种伸缩缝装置
CN207245155U (zh) 一种铝框竹胶板的复合模板
CN207812999U (zh) 数字化合金钢框塑料模板
CN205591358U (zh) 一种建筑预制件之间的后置式连接构件
CN204691231U (zh) 一种带有支撑系统的平面建筑模板结构
CN215164834U (zh) 一种预制盖板涵浇筑定型辅助模板组件
TWI433983B (zh) 格子樑施工方法
CN211278940U (zh) 一种沉箱生产用的底模结构
CN202810872U (zh) 一种隧道沟槽浇筑模板
CN210944361U (zh) 一种电梯呼叫盒预留孔洞模盒
CN220377836U (zh) 一种市政照明工程手孔井快安快拆钢模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