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491B1 - 관권기용 텐션장치 - Google Patents

관권기용 텐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491B1
KR101318491B1 KR1020120080555A KR20120080555A KR101318491B1 KR 101318491 B1 KR101318491 B1 KR 101318491B1 KR 1020120080555 A KR1020120080555 A KR 1020120080555A KR 20120080555 A KR20120080555 A KR 20120080555A KR 101318491 B1 KR101318491 B1 KR 101318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upport
thread
bar
wi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제
Original Assignee
조철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철제 filed Critical 조철제
Priority to KR1020120080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20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 B65H59/26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and arranged to deflect material from straight path
    • B65H59/28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and arranged to deflect material from straight path the surfaces being urged towards each other
    • B65H59/30Surfaces movable automatically to compensate for variation in tens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권기용 텐션장치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내부에 탄성력을 지닌 태엽(S)을 구비하고, 상기 태엽(S)의 중앙과 외측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전달함과 함께 조절하는 회전구(11)와 다이얼(12)을 구비하는 동체(10); 상기 동체(10)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지지대(21)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21)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커버(25)를 구비하는 지지간(20); 상기 동체(10)의 일측에 회전구(11)와 삽착되고, 상기 지지간(20)과 연동하여 실(T)의 장력을 부여하도록 텐션구(31)를 구비하는 텐션바(30); 및 상기 동체(10)의 전ㆍ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간(20)과 텐션바(30)를 경유하는 실(T)의 꼬임과 끊김을 방지하는 사도구(41)(45)를 구비하는 사도간(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작 시 장력에 영향을 주는 일련의 부품들을 수지재로 형성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부식을 방지해 수명을 증가시키고, 사용 시 별도의 공구가 불필요하므로 조립시간의 단축과 함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텐션바 사이에 사도간을 위치시켜 균형 있는 장력조절로 실의 꼬임과 끊김을 방지함은 물론, 조절 시 실의 굵기와 재질에 따라 사도구를 경유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다이얼과 함께 보다 정밀하게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권기용 텐션장치{Tension device for thread winding machine}
본 발명은 관권기용 텐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작 시 장력에 영향을 주는 일련의 부품들을 수지재로 형성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부식을 방지해 수명을 증가시키고, 사용 시 별도의 공구가 불필요하므로 조립시간의 단축과 함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텐션바 사이에 사도간을 위치시켜 균형 있는 장력조절로 실의 꼬임과 끊김을 방지함은 물론, 조절 시 실의 굵기와 재질에 따라 사도구를 경유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다이얼과 함께 보다 정밀하게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관권기용 텐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관권기는 직물을 제직하기 위해 준비하는 기계로서, 위사 준비를 위한 되감기인 관권의 공정에서 사용된다. 즉, 위사준비의 관권공정에서는 관권기를 조작하여 유저직기로 직물을 만드는 경우에 경사의 사이에 위사를 효과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위사를 똑바로 감는 것인데, 감는 기계나 추(錘)의 수(기계의 능력규모를 나타내는 지표)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의 기계가 있다. 여기서 어떠한 기계라도 수많은 실이 엉킴이 없이 연속하여 흐르게 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약간의 장력(張力)의 차이로 실이 끊기는 경우가 적지 않다. 또, 실의 (인장도)팽창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하여 직물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연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주지된 바와 같이, 기존에는 관권기에 실을 보다 안정되게 권취하기 위해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장치가 연결된다. 기존에 텐션장치는 다수의 사도체를 서로 대설된 두개의 사도지지대에 지그재그식으로 착설하여 한 개의 지지대는 후측에 달린 지축을 중심으로 태엽에 의해 상호텐션 작용이 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실을 단단하게 감기 위해서 태엽을 강, 약으로 감으면 지지대가 지그재그식으로 벌어지므로 단단하게 감기는데 처음 반쯤부분은 순서에 따라 벌어지는 간격이 좁으므로 텐션기능이 미비하고 선단으로 향하는 이후 부분은 점차적으로 강하게 먹으면서 감기는데 더 단단하게 감기위해서는 태엽을 많이 감으면 실에 무리가가서 뻔질거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시급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에 이르렀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88-0003067호의 "관권기용 텐션장치"에 의하면, 공지된 텐션장치(1)의 지축(7) 후측에 두개의 지지간(5)(6)을 더착설하고 텐션장치의 다이알 원주면에 기어(8)식으로 총총히 설치하여 이사이를 스프링(10)으로 탄지된 기어(9)로 탄지하며 고정홀다를 양등분 홀다(11)(11')로 구성하고 이를 보울트(13)(13')로 분해조립 할 수 있도록 관권기용 텐션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문헌은 제작 시 장력에 영향을 주는 지축을 금속재로 형성하여 장시간 사용 시 부식이 발생해 수명을 현저히 단축시키고, 조립 시 별도의 공구를 통하여 조립함에 따라 제작시간이 연장되고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지지대와 사도체와의 상호작용이 불충분하여 장력기능에 불균형을 초래함에 따라 실의 꼬임과 끊김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아직까지도 이들을 개선할 여지가 상당한 폐단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88-0003067호 "관권기용 텐션장치"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작 시 장력에 영향을 주는 일련의 부품들을 수지재로 형성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부식을 방지해 수명을 증가시키고, 사용 시 별도의 공구가 불필요하므로 조립시간의 단축과 함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텐션바 사이에 사도간을 위치시켜 균형 있는 장력조절로 실의 꼬임과 끊김을 방지함은 물론, 조절 시 실의 굵기와 재질에 따라 사도구를 경유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다이얼과 함께 보다 정밀하게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관권기용 텐션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권기용 텐션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탄성력을 지닌 태엽을 구비하고, 상기 태엽의 중앙과 외측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전달함과 함께 조절하는 회전구와 다이얼을 구비하는 동체; 상기 동체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지지간; 상기 동체의 일측에 회전구와 삽착되고, 상기 지지간과 연동하여 실의 장력을 부여하도록 텐션구를 구비하는 텐션바; 및 상기 동체의 전ㆍ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간과 텐션바를 경유하는 실의 꼬임과 끊김을 방지하는 사도구를 구비하는 사도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지지간의 커버는 수지재로 사출성형되면서 지지대와 억지끼움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동체의 회전구와 텐션바는 수지재로 제작되고, 텐션바 상에 구비된 고정돌기와 함께 회전구 상에 구비된 고정홈을 억지끼움하여 조립성을 향상하면서 부식을 방지하여 정밀도와 수명을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사도간의 사도구는 실의 굵기와 재질에 따라 장력을 선택적으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텐션장치에 의하면, 제작 시 장력에 영향을 주는 일련의 부품들을 수지재로 형성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부식을 방지해 수명을 증가시키고, 사용 시 별도의 공구가 불필요하므로 조립시간의 단축과 함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텐션바 사이에 사도간을 위치시켜 균형 있는 장력조절로 실의 꼬임과 끊김을 방지함은 물론, 조절 시 실의 굵기와 재질에 따라 사도구를 경유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다이얼과 함께 보다 정밀하게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관권기용 텐션장치에 관련되며, 동체(10), 지지간(20), 텐션바(30), 사도간(4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관권기용 텐션장치에 관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체(10)는 내부에 탄성력을 지닌 태엽(S)을 구비하고, 상기 태엽(S)의 중앙과 외측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전달함과 함께 조절하는 회전구(11)와 다이얼(12)을 구비한다. 동체(10)는 도 1처럼 원형부의 선단으로 바형의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원형부와 연장부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지지간(20)과 텐션바(30)를 구비하며 전ㆍ후방에는 사도간(40)을 각각 구비한다.
동체(10)는 도 2처럼 원형부의 내부에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나선형의 태엽(S)이 탄지되는데, 태엽(S)의 중앙에는 회전구(11)가 결합되고 외측에는 다이얼(12)이 결합된다. 여기서 회전구(11)는 후술하는 텐션바(30)와 결합되어 다이얼(12)과 연동작용을 수행한다. 즉, 다이얼(12)의 회전량에 따라 태엽(S)의 탄성력이 변경되고, 이러한 탄성력은 회전구(11)에 전달되어 텐션바(30)의 장력을 조절할 수가 있다.
이때, 다이얼(12)의 외주면에는 미세한 톱니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톱니와 볼스프링이 상호 맞물려 있어 장력조절을 위해 다이얼(12)을 회전시켜도 태엽(S)의 탄성력은 전달되지 못하므로 조절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이러한 다이얼(12)은 원형부의 내부에 밀폐커버에 의해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결합하게 되고, 태엽(S)과 회전구(11) 및 볼스프링은 완전히 밀폐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외에 동체(10)의 하부에는 관권기 또는 관권기와 인접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클램프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간(20)은 상기 동체(10)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지지대(21)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21)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커버(25)를 구비한다. 지지간(20)은 도 1처럼 동체(10)의 연장부에 일측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텐션바(30)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실(T)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21)를 구비한다.
지지대(21)는 도 2처럼 동체(10)의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구비하는데, 이러한 지지대(21)는 실(T)이 텐션바(30)와 함께 지그재그(도 3 및 도 4참고)로 경유하도록 하나 이상 구비한다. 여기서 지지대(21)는 경유하는 실(T)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커버(25)를 구비한다. 이러한 커버(25)는 최초에 실(T)을 지지대(21)로 경유시키거나, 경우에 따라 실(T)의 종류와 굵기에 따라 경유하는 지점을 변경하기 위해서 보다 쉽고 간편하게 지지대(21) 상에 경유하도록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한다.
이때, 동체(10)와 지지대(21)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체형은 별도의 조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이 간편한 이점은 있으나, 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고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분리형은 불량 발생율이 현저히 낮아 비용을 절감할 수는 있는 이점이 있지만, 별도의 나사나 볼트를 이용하여 동체(10)상에 조립해야 되는 단점은 있다. 어느 경우에나 지지대(21)를 동체(10)상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 중에서 택일하여 구비할 수 있지만, 실(T)의 장력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탈부착(간격변경)할 수 있는 분리형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지지간(20)의 커버(25)는 수지재로 사출성형되면서 지지대(21)와 억지끼움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지지간(20)은 도 1처럼 실(T)이 텐션바(30)와 함께 지그재그로 경유하도록 하나 이상의 지지대(21)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지지대(21)로부터 경유한 실(T)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25)를 구비한다.
커버(25)는 도 2처럼 지지대(21)가 맞물리는 일측으로 상호 억지끼움이 가능하도록 끼움홈을 구비한다. 즉, 커버(25)는 지지대(21)상에 실(T)을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보다 쉽고 간편하게 경유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에 커버는 금속재로 형성되므로 나사나 볼트를 이용하여 지지대와 부착하였다. 즉, 실(T)을 지지대에 경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공구를 이용해 나사나 볼트를 해체한 뒤, 커버를 지지대로부터 탈착시키는 작업을 거쳐야 하므로 조립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커버(25)를 수지재로 사출성형하면서 지지대(21)와 억지끼움이 가능하도록 끼움홈을 형성해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이 쉽고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여기서 지지대(21)를 분리형으로 형성할 경우엔, 지지대(21)상에 나사나 볼트를 이용하여 동체(10)와 결합하게 된다. 하지만, 지지대(21)를 결합시키는 나사나 볼트는 금속재이므로 장시간동안 사용하게 되면, 산소에 의해 부식(녹)이 발생하게 된다. 즉, 커버(25)는 실(T)이 지지대(21)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지만, 나사나 볼트를 외부로부터 밀폐시켜 부식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러한 커버(25)는 경우에 따라 금속재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비교적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지재로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텐션바(30)는 상기 동체(10)의 일측에 회전구(11)와 삽착되고, 상기 지지간(20)과 연동하여 실(T)의 장력을 부여하도록 텐션구(31)를 구비한다. 텐션바(30)는 도 1처럼 동체(10)의 원형부 일측에 장착되어 지지간(20)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실(T)의 장력을 조절한다.
텐션바(30)는 지지간(20)과 맞물리는 길이의 바형으로 연장된 것으로, 도 2처럼 동체(10)의 내부에 내장된 회전구(11)에 삽착된다. 즉, 텐션바(30)는 다이얼(12)에 의한 태엽(S)의 탄성력을 회전구(11)로부터 전달받아 일방향(도 1a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회전력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텐션바(30)는 지지간(20)과 맞물리는 위치에 실(T)을 지지대(21)와 함께 지그재그(도 3 및 도 4참고)로 경유하도록 하나 이상의 텐션구(31)를 구비한다.
텐션구(31)는 텐션바(30)의 하부에 슬라이드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하는데, 이러한 텐션구(31)의 중앙에는 일측으로 개구된 원형의 관통홈을 구비한다. 즉, 텐션구(31)는 앞서 커버(25)에 의한 지지대(21)와 달리 실(T)을 개구상으로 인서트 시킬 수가 있어 보다 쉽고 간편하게 지그재그로 경유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텐션바(30)는 다이얼(12)에 의한 태엽(S)의 탄성력을 통하여 지지대(21)로부터 실(T)을 상부로 들어 올려 소정의 장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동체(10)의 회전구(11)와 텐션바(30)는 수지재로 제작되고, 텐션바(30)상에 구비된 고정돌기(35)와 함께 회전구(11)상에 구비된 고정홈(11a)을 억지끼움하여 조립성을 향상하면서 부식을 방지하여 정밀도와 수명을 증가시킨다. 동체(10)의 회전구(11)는 태엽(S)의 중앙에 결합되어 다이얼(12)과 연동작용으로 텐션바(30)에 일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하고, 텐션바(30)는 회전력에 의해 지지대(21)로부터 실(T)을 상부로 들어 올려 소정의 장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구(11)는 태엽(S)과 함께 동체(10)의 내부에 내장되고, 텐션바(30)는 실(T)의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동체(10)의 외부에 결합된다. 또, 동체(10)의 회전구(11)와 텐션바(30)는 실(T)의 장력을 발생시키는 중요한 구성이다. 이처럼 회전구(11)과 텐션바(30)는 분리된 상태이므로 상호간에 작동을 위해 필수적인 조립과 함께 보다 우수한 정밀도와 탁월한 수명이 요구된다. 즉, 회전구(11)와 텐션바(30)를 장시간 사용에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지재로 제작하고, 이들이 보다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텐션바(30)에 고정돌기(35)를 구비하며, 회전구(11)에는 고정돌기(35)가 억지끼움으로 삽착될 수 있도록 고정홈(11a)을 구비한다.
기존에는 회전구와 텐션바의 고정돌기가 금속재로 이루어져 나사나 볼트를 이용해야 되므로 태엽(S)을 동체(10)에 탄지함과 동시에 조립해야 되므로 조립에 상당한 불편성이 따랐다. 즉,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고 제작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회전구와 고정돌기가 금속재로 이루어졌으므로 장시간동안 사용하게 되면, 산소에 의해 부식(녹)이 발생하게 된다. 즉, 회전구와 고정돌기가 부식이 발생하게 되면 태엽(S)의 탄성력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결국, 실(T)의 장력을 원하는 수치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회전구(11)와 텐션바(30) 및 고정돌기(35)를 수지재로 제작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우수한 정밀도로 장력을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가 있으며 고정홈(11a)과 고정돌기(35)로 억지끼움되게 구비시켜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사도간(40)은 상기 동체(10)의 전ㆍ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간(20)과 텐션바(30)를 경유하는 실(T)의 꼬임과 끊김을 방지하는 사도구(41)(45)를 구비한다. 사도간(40)은 도 3 및 도 4처럼 지지간(20)과 텐션바(30) 사이에 텐션바(30)에 의한 실(T)의 장력이 골고루 분포되도록 동체(10)의 전ㆍ후방에 사도구(41)(45)를 구비한다.
사도구(41)(45)는 동체(10)의 전방(연장부)과 후방(원형부)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간(20)과 텐션바(30)를 경유하는 실(T)의 장력이 동일하게 작용시켜 꼬임과 끊김을 방지한다. 즉, 실(T)은 지지간(20)과 텐션바(30)를 지그재그로 경유하게 되는데, 실(T)이 경유하는 구간마다 실제 작용되는 장력이 달리 적용하게 된다. 이는 지지간(20)과 텐션바(30)와의 장력을 위한 상호 작용에 의해 부득이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실(T)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간(20)과 텐션바(30)와의 작동을 살펴보면 쉽게 알 수가 있다.
가령, 권선기에 약 10m/s의 속도로 10g의 장력으로 감기도록 실(T)의 장력이 셋팅 하면, 텐션바(30)는 고정돌기(35)를 중심으로 지지간(20)으로부터 약 15°로 회전(이격)된 상태를 지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장력은 다이얼(12)을 통하여 수행한다. 여기서 실제 권선기에 이동(권취)하는 실(T)은 매우 간헐적인 속도로 유동하게 된다. 즉, 실(T)이 유동하는 속도가 5m/s 순간적으로 떨어지게 되면 장력이 약 5g으로 급격하게 떨어지는데, 이 경우 텐션바(30)는 약 30°로 더 회전되어 실(T)의 장력을 10g이 되도록 순간적으로 보상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10m/s의 속도가 되면, 원래의 각도로 되돌아가는 작동을 무한 반복한다.
허나, 실(T)은 지지간(20)의 지지대(21)와 텐션바(30)의 텐션구(31)에 지그재그로 경유하고 있으므로 실제 경유하는 실(T)의 구간마다 장력이 달라진다. 즉, 지지대(21)와 텐션구(31)를 각각 4개를 구비할 경우, 실(T)의 장력을 10g으로 유지할려면 지지대(21)와 텐션구(31)를 경유하는 실(T)의 장력이 2.5g으로 각각 분배되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 텐션바(30)의 고정돌기(35)로부터 근거리(도입부)에 경유한 실(T)은 3g의 장력이 발생되고, 가장 원거리(배출부)에 경유한 실(T)이 5g의 장력이 발생되며, 나머지 각각 1g의 장력이 발생된다. 더구나 실(T)의 장력을 10g이 되도록 순간적으로 보상하기 위해 텐션바(30)의 각도가 더 회전할 경우, 순간적으로 원거리에 경유한 실(T)에 7g이상의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원거리와 근거리에 경유한 실(T)이 지지대(21)와 텐션구(31)에 의해 뻔질거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심지어 꼬이거나 끊기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어 왔다.
이처럼, 사도구(41)(45)를 도 3 및 도 4처럼 지지간(20)과 텐션바(30) 사이인 실(T)의 도입부와 배출부에 구비하게 되면, 텐션바(30)의 각도와 관계없이 지지대(21)와 텐션구(31)를 경유하는 실(T)의 장력을 동일하게 작용시킬 수 있어 꼬임과 끊김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사도간(40)의 사도구(45)는 실(T)의 굵기와 재질에 따라 장력을 선택적으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구비한다. 사도간(40)은 도 3 및 도 4처럼 지지간(20)과 텐션바(30)를 경유하는 실(T)의 장력이 골고루 분포시키는 것으로, 실(T)의 굵기와 재질에 따라 장력을 선택적으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사도구(45)를 하나 이상 구비한다.
사도구(45)는 실(T)이 최초에 텐션구(31)를 경유하기 위한 도입부로서, 배출부인 사도구(41)와 동일 선상에 구비함과 함께 상측과 하측으로 하나 이상 더 구비한다. 즉, 실(T)은 텐션바(30)의 회전력에 의해 장력이 달라지는데, 이러한 텐션바(30)의 회전력은 동체(10)에 구비된 다이얼(12)에 의해 조절된다. 다이얼(12)은 외주면에 미세한 톱니의 간격만큼 조절(각회전)할 수가 있으나, 조절한 것을 유지하도록 볼스프링과 연동하기 위해서는 극히 미세한 톱니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즉, 실(T)의 굵기와 재질에 따라 장력을 미세하게 조절해야 되나, 다이얼(12)의 톱니로 인해 오차가 심각하게 발생하였다.
예컨대, 다이얼(12)이 태엽(S)과 연동해 최대 1회전(0~150g)만이 가능한데, 이러한 다이얼(12)의 외주면에 톱니는 볼스프링과 연동하기 위해 최대 30개밖에 형성할 수가 없다. 즉, 다이얼(12)은 최소 5g밖에 조절할 수가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하지만, 실(T)이 최초에 텐션구(31)를 경유하기 위한 도입부인 사도구(45)를 하나 이상 구비하게 되면, 실(T)이 경유하는 사도구(45)에 따라 텐션바(30)가 작용하는 실(T)의 장력이 달라지므로 최소 1g까지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반대로, 다이얼(12)이 최대 1회전으로 0~300g까지 조절범위를 확대가 가능하다.
즉, 실(T)을 사도구(41)와 동일 선상에 위치한 사도구(45)를 경유시키면 태엽(S)과 다이얼(12)이 지닌 본래의 장력으로 조절할 수가 있고, 사도구(41)의 하측에 위치한 사도구(45)로 경유시키면 보다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며, 사도구(41)의 상측에 위치한 사도구(45)로 경유시키면 조절범위를 확대할 수가 있다. 물론, 배출부인 사도구(41) 또한 도입부(45)인 사도구(45)처럼 상측과 하측으로 하나 이상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작 시 장력에 영향을 주는 일련의 부품들을 수지재로 형성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부식을 방지해 수명을 증가시키고, 사용 시 별도의 공구가 불필요하므로 조립시간의 단축과 함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텐션바 사이에 사도간을 위치시켜 균형 있는 장력조절로 실의 꼬임과 끊김을 방지함은 물론, 조절 시 실의 굵기와 재질에 따라 사도구를 경유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다이얼과 함께 보다 정밀하게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동체 11: 회전구
11a: 고정홈 12: 다이얼
20: 지지간 21: 지지대
25: 커버 30: 텐션바
31: 텐션구 35: 고정돌기
40: 사도간 41, 45: 사도구
S: 태엽 T: 실

Claims (4)

  1. 관권기용 텐션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탄성력을 지닌 태엽(S)을 구비하고, 상기 태엽(S)의 중앙과 외측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전달함과 함께 조절하는 회전구(11)와 다이얼(12)을 구비하는 동체(10);
    상기 동체(10)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지지대(21)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21)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커버(25)를 구비하는 지지간(20);
    상기 동체(10)의 일측에 회전구(11)와 삽착되고, 상기 지지간(20)과 연동하여 실(T)의 장력을 부여하도록 텐션구(31)를 구비하는 텐션바(30); 및
    상기 동체(10)의 전ㆍ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간(20)과 텐션바(30)를 경유하는 실(T)의 꼬임과 끊김을 방지하는 사도구(41)(45)를 구비하는 사도간(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권기용 텐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간(20)의 커버(25)는 수지재로 사출성형되면서 지지대(21)와 억지끼움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권기용 텐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10)의 회전구(11)와 텐션바(30)는 수지재로 제작되고, 텐션바(30)상에 구비된 고정돌기(35)와 함께 회전구(11)상에 구비된 고정홈(11a)을 억지끼움하여 조립성을 향상하면서 부식을 방지하여 정밀도와 수명을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권기용 텐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도간(40)의 사도구(45)는 실(T)의 굵기와 재질에 따라 장력을 선택적으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권기용 텐션장치.
KR1020120080555A 2012-07-24 2012-07-24 관권기용 텐션장치 KR101318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555A KR101318491B1 (ko) 2012-07-24 2012-07-24 관권기용 텐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555A KR101318491B1 (ko) 2012-07-24 2012-07-24 관권기용 텐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491B1 true KR101318491B1 (ko) 2013-10-16

Family

ID=4963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555A KR101318491B1 (ko) 2012-07-24 2012-07-24 관권기용 텐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82620A (zh) * 2023-07-28 2023-09-01 常州华熹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铜绞线编织上线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067Y1 (ko) * 1986-01-21 1988-08-31 정정근 관권기용 텐션장치
KR900010548Y1 (ko) * 1988-04-06 1990-11-22 조재봉 관권기용 실장력조정기
KR930003782Y1 (ko) * 1988-06-09 1993-06-23 조재봉 관권기용 실장력 조정기의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067Y1 (ko) * 1986-01-21 1988-08-31 정정근 관권기용 텐션장치
KR900010548Y1 (ko) * 1988-04-06 1990-11-22 조재봉 관권기용 실장력조정기
KR930003782Y1 (ko) * 1988-06-09 1993-06-23 조재봉 관권기용 실장력 조정기의 조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82620A (zh) * 2023-07-28 2023-09-01 常州华熹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铜绞线编织上线架
CN116682620B (zh) * 2023-07-28 2023-10-03 常州华熹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铜绞线编织上线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63689B (zh) 经编可调式张力补偿装置
US9121117B2 (en) Beading loom
KR101318491B1 (ko) 관권기용 텐션장치
CN208503379U (zh) 一种基于传动带的带式传动装置
WO2007044087A3 (en) Plastic heddle
CN103981627A (zh) 一种经编机的纱线张力装置
CN114955668A (zh) 一种调节结构及纺织机械用卷筒
CN103194846A (zh) 一种喷气型纺织机的主喷嘴结构及装配方法
TWI730118B (zh) 針織帶機及與其相應之編織方法
CN103422214B (zh) 梭口成型装置及安装有该装置的织布机
CN209816415U (zh) 一种导丝张紧度可调的针织大圆机
CN106757757A (zh) 低噪声弹簧锭子
KR20060083278A (ko) 재봉틀용 북
CN107923086B (zh) 织梭
CN205205406U (zh) 一种选针器
CN201180181Y (zh) 导丝装置
KR20120002093U (ko) 원형직기용 경사 장력조절기
CN203846219U (zh) 电脑提花多功能双面无缝针织小圆机
CN206752037U (zh) 一种喷气织机计长优化装置
CN209194136U (zh) 一种造纸毛毯织机的边撑装置
CN219098205U (zh) 一种化纤织带生产用具有中心自夹持的卷收装置
CN211393372U (zh) 一种纺织机械导纱装置
KR200438813Y1 (ko) 코어사 제조기의 심사 안내장치
CN204162873U (zh) 经编机中的纱线张力机构
CN218561768U (zh) 一种具有预警装置的织布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