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201B1 - 자립식 지하연속벽 및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자립식 지하연속벽 및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201B1
KR101318201B1 KR1020110104958A KR20110104958A KR101318201B1 KR 101318201 B1 KR101318201 B1 KR 101318201B1 KR 1020110104958 A KR1020110104958 A KR 1020110104958A KR 20110104958 A KR20110104958 A KR 20110104958A KR 101318201 B1 KR101318201 B1 KR 101318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elf
walls
underground continuous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0301A (ko
Inventor
박호성
박정환
주재규
Original Assignee
삼보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4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2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4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66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68Mould-pipes or other moulds for making bulkheads or el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37Clays
    • E02D2300/004Bentonite or bentonite-lik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지하연속벽은 굴착된 지반에 구비되며,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로 구성된 복수 개의 벽체 철근망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복수 개의 벽체; 및 상기 복수 개의 벽체 철근망 일측에 연결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한 전단키를 포함하고, 지보재 설치가 어려운 부분의 가시설 벽체에 대응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자립식 지하연속벽의 시공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켜 지반이 붕괴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자연 재해 등에 의해 자립식 지하연속벽 자체의 붕괴도 방지할 수 있는 자립식 지하연속벽 및 설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립식 지하연속벽 및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SELF-SUPPORTED DIAPHRAGM WALL AND SELF-SUPPROTED DIAPHRAGM WALL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자립식 지하연속벽 및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구조물 시공 시 지반을 지지하기 위한 자립식 지하연속벽 및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연속벽 공법은 굴착면의 붕괴와 지하수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폭의 트렌치(trench)에 벤토나이트(bentonite)와 같은 안정액을 공급하면서 원하는 깊이까지 트렌치를 굴착한 후 철근망을 건입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 철근 콘크리트 벽체, 즉 지하연속벽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일반적인 지하연속벽은 다수의 선행패널을 지중에 형성하고, 이후에 선행패널 사이에 후행패널을 형성하여 연속적인 벽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구축된다.
이와 같은 지하연속벽 공법은 토지이용율을 높일 수 있고 강성이 큰 안전한 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개발초기에는 단순 차수벽이나 가설토류벽 시공에만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기술의 진보, 시공방법 및 장비의 발달로 도심지 지하구조물의 영구벽체 시공 등에도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지하연속벽 구축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지하연속벽을 시공하고자 하는 형상대로 가이드 월을 설치하고, 이후에 트렌치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지반은 일정 깊이로 굴착하여 트렌치(trench)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여 설계한 대로의 심도까지 굴착함과 동시에 철근망을 제작하고 이 철근망을 트렌치 내로 건입한 후 트레미 관(tremie pipe)를 설치한다.
이후에 트레미 관을 통하여 트렌치의 하부로부터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트렌치 내의 지반안정액을 흡입하여 제거하되 지반안정액이 완전 제거되도록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트레미 관을 뽑아 제거하고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선행패널을 구축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선행패널들을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축한 후 선행패널 사이사이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후행패널을 구축함으로써 지하연속벽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지하연속벽은 지보재 설치가 어려운 부분의 가시설 벽체에 대해서는 적용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지보재 설치가 어려운 부분의 가시설 벽체에 대응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자립식 지하연속벽의 시공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립식 지하연속벽 및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굴착된 지반에 구비되며,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로 구성된 복수 개의 벽체 철근망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복수 개의 벽체; 및 상기 복수 개의 벽체 철근망 일측에 연결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한 전단키를 포함하는 자립식 지하연속벽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 개의 벽체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단키는 상기 복수 개의 벽체의 상기 돌기부가 형성된 측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단키는 “ㄱ” 또는 “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벽체로부터 임의의 간격만큼 이격된 일측이 상기 굴착된 지반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a) 복수 개의 벽체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측량하는 단계; b) 측량된 상기 위치의 지반을 굴착하는 단계; c) 측량된 상기 위치에 복수 개의 벽체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복수 개의 벽체를 일체화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복수 개의 벽체와 연결하여 전단키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지반을 굴착하기 위해 가이드 콘크리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콘크리트는 중앙 영역에 상기 벽체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위치에 벽체 철근망을 삽입하는 단계; c-2) 상기 벽체 철근망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c-3) 상기 c-1) 단계 및 상기 c-2) 단계를 다수 회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벽체를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벽체 상측에 구비되는 캡빔(Cap beam)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복수 개의 벽체 상측에 캡빔 철근망이 배근되는 단계; d-2) 상기 캡빔 철근망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벽체 철근망에 연결하여 전단키 철근망을 배근하는 단계; e-2) 상기 전단키 철근망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2) 단계가 이루어지기 전, 상기 전단키 철근망 외측으로 거푸집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벽체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단키는 “ㄱ” 또는 “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보재 설치가 어려운 부분의 가시설 벽체에 대응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자립식 지하연속벽의 시공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켜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자연 재해 등에 의해 자립식 지하연속벽 자체의 붕괴도 방지할 수 있는 자립식 지하연속벽 및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지하연속벽의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g는 도 1에 따른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에 따른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지하연속벽의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g는 도 1에 따른 자립식 지하연속벽의 시공순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및 도 2a 내지 도 2g를 참조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지하연속벽은, 굴착된 지반(1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벽체(110)와, 복수 개의 벽체(110) 일측에 복수 개의 벽체(110)와 연결되는 전단키(13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벽체 중 하나의 벽체(110)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벽체(110)는 몸체부(111)와, 몸체부(111)의 어느 일측에서 몸체부(11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113)로 구성된 벽체 철근망(110a)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벽체(110)는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단면의 형상이 “T”자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형성된다.
벽체 철근망(110a)은 복수 개의 철근봉을 전술한 바와 같이 “T”자 형상으로 배근함으로써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도 2a를 참조하면, 이 같은 “T”자 형상의 배근은 복수의 수평철근 및 수직철근의 조합에 의한 철근조립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c를 참조하면, 이러한 벽체 철근망(110a)은 후술할 캡빔 철근망(151)과의 연결을 고려하여 수직철근이 벽체(110)의 상단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수직으로 더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도 2f를 참조하면, 벽체 철근망(110a)은 후술할 전단키 철근망(130a)과의 연결을 고려하여 수평철근이 벽체(110)의 몸체부(111)의 배면 및 돌기부(113)의 둘레면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길이는 철근의 이음에 요구되는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벽체(110)를 "T"자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T"자 형의 벽체(110)가 자립할 수 있기 때문에 벽체(11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벽체(110)의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보재를 추가로 더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지보재 삭제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성의 향상과 공기(시공기간)를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근된 벽체 철근망(110a)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하나의 벽체(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벽체(110)의 일부는 굴착된 지반(10) 내부로 삽입되고, 일부는 지반(1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자립식 지하연속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와 같은 벽체(110)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다. 참고로, 지반(10) 내부로 삽입되는 벽체(110)의 일부의 근입 깊이는 지반 조건, 작용 토압, 상재 하중, 구조물 자중, 기타 하중(풍하중, 지진하중 등) 등과 같은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벽체(110)가 구비되기 위해서는 벽체(110)가 구비될 지반(10)을 굴착해야 하고, 지반(10)을 굴착하기 위해서는 지반(10)을 벽체(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굴착하기 위한 가이드 콘크리트(30)가 구비된다.
가이드 콘크리트(30)는 지반(10)을 원하는 형상으로 굴착해내기 위한 틀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이드 콘크리트(30)의 중앙 영역에는 벽체(110)와 대응하는 형상의 홀(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반(10)을 굴착할 때 굴착된 지반(10)의 좌우 벽면의 토사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반안정액을 굴착된 지반(10) 내부로 채워 넣고 순환시키면서 디샌딩 장비(Slurry de-sander)를 이용하여 토사를 분리 배출시킨다.
가이드 콘크리트(30)는 지반(10)을 굴착하기 위한 중장비가 거치되기 때문에 그 하중으로 인해 가이드 콘크리트(30)가 파손되지 않도록 가이드 콘크리트(30) 내부에 강도보강용 철근이 구비되며, 고강도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다.
벽체(110)가 복수 개 구비되면, 복수 개의 벽체(110)를 일체화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벽체(110) 상측에 캡빔(150, Cap beam)이 구비된다.
캡빔(150)은 복수 개의 벽체(110) 상측에 캡빔 철근망(151)이 구비되면, 캡빔 철근망(15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다(도 2c 참조).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벽체 철근망(110a)은 이러한 캡빔 철근망(151)과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캡빔 철근망(151)은 복수 개의 벽체(110) 각각의 벽체 철근망(110a)이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캡빔(15)은“T”자 형상의 벽체(110)가 나란히 복수 개 배열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캡빔 철근망(151)은 복수 개의 벽체(11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캡빔 철근망(151)이 복수 개의 벽체(110) 상측에 배근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굳혔을 때 복수 개의 벽체(110)의 단면적과 동일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캡빔 철근망(151)이 벽체 철근망(110a)의 수직철근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면, 캡빔(150)도 벽체(110)와 유사한 피복두께를 가지게 될 것이므로, 이에 따라 캡빔 철근망(151)은 복수 개의 벽체(11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캡빔(150)은 복수 개의 벽체(110)가 지반(10)의 외측에 돌출된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므로 캡빔 철근망(15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이 구비된다.
복수 개의 벽체(110)가 캡빔(150)에 의해 일체화 된 후 복수 개의 벽체(110)와 연결되는 전단키(130)는, 복수 개의 벽체(110)를 이루는 벽체 철근망(110a)에 전단키 철근망(130a)이 연결 배근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다.
도 2f 및 2g를 참조하면, 전단키(130)는 특히 복수 개의 벽체(110) 배면에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벽체(110) 배면은, 벽체(110)에 있어서 벽체 철근망(110a)의 몸체부(111)에 돌기부(113)가 구비된 부분에 대응되는 면을 말하고 이 배면에 전단키(130)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단키(130)는 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복수 개의 벽체(110)의 돌기부(113)를 하나의 전단키(130)로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전단키 철근망(130a)은 벽체(110)의 벽체 철근망(110a)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철근봉을 배근하여 형성되되, 전단키 철근망(130a)은 벽체 철근망(110a)에 직접 연결하여 배근하여 형성된다. 참고로, 이러한 전단키 철근망(130a)과 벽체 철근망(110a)의 직접적인 연결을 위해서는, 벽체(110)를 콘크리트 타설할 때 이러한 양 철근망(130a, 110a)의 직접적인 연결을 위한 선행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벽체(110)의 콘크리트 타설에 있어서 벽체 철근망(110a)의 수평철근 중 전단키 철근망(130a)과 연결될 부분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면보다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벽체 철근망(110a)을 조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벽체 철근망(110a) 중 몸체부(111)의 배면 쪽과 돌기부(113)의 측면 둘레 쪽으로 수평철근이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도록 벽체 철근망(110a)을 조립 구성해둘 수 있다. 다만, 전단키 철근망(130a)과 벽체 철근망(110a)의 직접적인 연결은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단키 철근망(130a)을 배근할 때에 전단키 철근망(130a)이 벽체(110)의 배면으로부터 임의의 간격만큼 이격이 되면 전단키 철근망(130a)의 일측을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단키(13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ㄱ"자 또는 "ㄴ"자 형태로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도 2e를 참조하면, 이러한 전단키(130)를 형성시키기 전에, 이에 대응되는 지반(10)의 면을 정리한 후 그 위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전단키(130)가 형성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f를 참조하면, 전단키(130)가 이렇게 지반(10)에 타설된 콘크리트(c)와 일체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전단키 철근망(130a)은 그 일측이 지면을 향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전단키 철근망(130a)은 지반(10)에 타설되어 있는 콘크리트(c)은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부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단키(130)는 도 2g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반(10)에 타설되어 있는 콘크리트(c)와 일체로 구비되어 보다 안정적인 구조적 거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전단키(130) 또한 캡빔(150)과 마찬가지로 전단키 철근망(130a)이 배근된 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구비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전단키(130) 형성을 완성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벽체(110), 캡빔(150) 및 전단키(130)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은 자립식 지하연속벽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지하연속벽은 지반(130)을 직접 지지하고 있는 전단키(130)가 구비되기 때문에 자연 재해 등으로 인하여 복수 개의 벽체(110)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벽체(110)는 "T"자 형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돌기부(113) 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전단키(130)가 조합됨으로써 토압 등의 각종 작용력에 대한 강성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나타난 지반(10)의 상측에서 벽체(110)의 전면에 대해 작용하는 수평력(이를 테면 수평토압 등)에 의해 발생되는 휨 모멘트와 전단력에 대한 구조적 거동이 이러한 돌기부(113)와 전단키(130)의 조합을 통해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113)를 감싸듯이 벽체에 결합되어 지반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전단키(130)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전단키(130)가 벽체(110)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배하여 전달받아 벽체(110)의 붕괴를 방지하는 지보재의 기능을 할 수 있어, 본 자립식 지하연속벽이 스트럿, 앵커 등과 같은 지보재의 설치가 어려운 부분의 가시설 벽체로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캡빔(150)을 통해 복수 개의 벽체(110)가 일체화되고, 전단키(130)도 복수의 벽체(110)에 대해 일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작용하는 각종 하중들에 대해 복수 개의 벽체(110)가 일체로 대응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구조적으로 안전한 거동을 하는 자립식 지하연속벽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지하연속벽에 의하면, 지보재 설치가 어려운 부분의 가시설 벽체에도 적용할 수 있고, 아울러 자립식 지하연속벽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면서도 구조가 단순하여 시공의 용이성까지 확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향상한 구조적 안전성을 통해 지반이 붕괴되는 것과 자연 재해 등에 의해 자립식 지하연속벽 자체가 붕괴되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지하연속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살핀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지하연속벽을 살피면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g 및 도 3 내지 도 6은 전술한 바와 같은 자립식 지하연속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자립식 지하연속벽을 이루는 벽체(110)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측량한다.(S305 단계)
위치를 측량한 후에는 측량된 위치에서 지반(10)을 굴착한다.(S310 단계) 이때, 지반(10)은 벽체(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반(10)을 굴착하기 위해서 가이드 콘크리트(30)를 구비한다.
가이드 콘크리트(30)에는 중앙 영역에 벽체(1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홀(3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반(10)을 벽체(1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굴착할 수 있다.
지반(10)을 굴착할 때에는 굴착된 지반(10)의 내부 좌우벽면의 토사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반안정액을 굴착된 지반(10) 내로 채워 넣고 순환시키면서 디샌딩 장비를 이용하여 토사를 분리 배출시킨다.
지반(10)을 굴착한 후에는 벽체(110) 설치가 이루어지는데(S315 단계), 벽체(110) 설치는 먼저 벽체 철근망(110a)을 제작하는 것부터 이루어진다.(S405 단계)
복수 개의 철근봉을 이용하여 벽체 철근망(110a)을 벽체(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T"자 형상으로 배근하여 제작한다.
그리고 제작된 벽체 철근망(110a)을 굴착된 지반(10) 내부로 삽입한다.(S410 단계) 이때, 벽체 철근망(110a)의 일부만 굴착된 지반(10)의 내부로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지반(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굴착된 지반(10)으로의 벽체 철근망(110a)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벽체 철근망(110a)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S415 단계) 타설된 콘크리트가 굳으면 하나의 벽체(110)가 완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벽체(110)를 설치하는 과정을 다수 회 반복하여 복수 개의 벽체(110)를 설치한다.(S320 단계)
복수 개의 벽체(110) 설치가 이루어지면 복수 개의 벽체(110)를 일체화시킨다.(S325 단계)
복수 개의 벽체(110)는 캡빔(150)에 의해서 일체화되는데, 복수 개의 벽체(110)를 일체화하기 위해 먼저, 복수 개의 벽체 상측에 캡빔 철근망(151)을 배근시킨다.(S505 단계)
이때, 캡빔 철근망(151)은 복수 개의 벽체(110)의 단면적 보다 작게 배근하도록 한다. 그리고 캡빔 철근망(151)이 배근된 후에는 캡빔 철근망(151) 외측으로 거푸집을 구비한다.(S510단계)
벽체 거푸집은 지반(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벽체(110) 상측에 배근된 캡빔 철근망(151)에 콘크리트를 타설 시 콘크리트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거푸집이 구비된 캡빔 철근망(151)에 콘크리트를 타설(S515 단계)한 후, 콘크리트를 굳히면 복수 개의 벽체(110)를 일체화시키는 캡빔이 완성된다.
캡빔(150)에 의해 복수 개의 벽체(110)가 일체화되면 복수 개의 벽체(110)에 연결되는 전단키(130)를 설치한다.(S330 단계)
전단키(13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일체로 형성된 벽체(110)의 배면, 즉 벽체(110)의 돌기부(113)가 형성된 측의 지반(10)을 정리한다.(S605 단계)
지반(10)이 정리된 후에는 정리된 지반(10)에 콘크리트(도 2e에서 보았을 때 도면부호c)를 타설한다.(S610단계)
그리고 복수 개의 벽체(110)의 벽체 철근망(110a)에 연결하여 전단키 철근망(130a)을 배근한다.(S615단계)
전단키 철근망(130a)은 전단키(130)가 "ㄱ"자 또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배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복수 개의 벽체(110)로부터 임의의 간격만큼 이격되면 이격된 일측을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배근한다.
그리고 전단키 철근망(130a)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벽체(110)의 돌기부(113)를 감싸는 형태로 배근된다.
전단키 철근망(130a)이 배근된 후에는 전단키 철근망(130a) 외측으로 거푸집을 구비한다.(S620 단계) 이때 거푸집도 캡빔 형성 시 거푸집과 마찬가지로 전단키 철근망(130a)에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전단키(13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거푸집이 구비되면 전단키 철근망(130a)에 콘크리트를 타설(S625 단계)하고, 타설된 콘크리트를 굳히면 전단키(13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벽체(110)와 전단키(130)까지 시공이 완성됨으로써 자립식 지하연속벽의 시공이 마무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은 자립식 지하연속벽을 시공하게 되면, 지보재 설치가 어려운 부분의 가시설 벽체에 대응할 수 있으며, 건설 시공 시 지반의 무너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단순하게 벽체만을 시공하는 것이 아니라 벽체에 전단키를 추가로 설치 시공함으로써 전단키가 지반에 밀착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자연재해 등으로 벽체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지반 30: 가이드 콘크리트
31: 홀
110: 벽체 111: 몸체부
113: 돌기부 110a: 벽체 철근망
130: 전단키 130a: 전단키 철근망

Claims (14)

  1. 지반을 지지하는 자립식 지하연속벽에 있어서,
    상기 지반 상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지반의 굴착된 내부로 삽입되며,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로 구성된 복수 개의 벽체 철근망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복수 개의 벽체;
    상기 복수 개의 벽체의 돌기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반 상에 구비되도록, 상기 돌기부가 형성된 배면 측으로 상기 복수 개의 벽체 철근망과 연결되게 구비되는 전단키 철근망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전단키; 및
    상기 복수 개의 벽체를 일체화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벽체 상측에 상기 복수 개의 벽체 철근망과 연결되게 구비되는 캡빔 철근망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캡빔을 포함하되,
    상기 전단키는, 상기 복수 개의 벽체로부터 임의의 간격만큼 이격된 일측이 상기 지반 상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반을 향하여 절곡되는 것인 자립식 지하연속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벽체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립식 지하연속벽.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키는 "ㄱ"자 또는 "ㄴ"자 형태로 형성되는 자립식 지하연속벽.
  5. 제 1 항에 따른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를 위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 개의 벽체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측량하는 단계;
    b) 측량된 상기 위치의 상기 지반을 굴착하는 단계;
    c) 측량된 상기 위치에 상기 복수 개의 벽체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캡빔을 설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벽체를 일체화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복수 개의 벽체와 연결하여 상기 전단키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전단키에 대응하는 지반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e-2) 상기 전단키 철근망을 상기 벽체 철근망에 연결하여 배근하되, 상기 지반 상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근하는 단계; 및
    e-3) 상기 전단키 철근망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지반을 굴착하기 위해 가이드 콘크리트가 구비되는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콘크리트는 중앙 영역에 상기 벽체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이 형성되는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위치에 벽체 철근망을 삽입하는 단계;
    c-2) 상기 벽체 철근망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c-3) 상기 c-1) 단계 및 상기 c-2) 단계를 다수 회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
  9. 삭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복수 개의 벽체 상측에 캡빔 철근망이 배근되는 단계;
    d-2) 상기 캡빔 철근망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벽체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키는 "ㄱ"자 또는 "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
KR1020110104958A 2011-10-14 2011-10-14 자립식 지하연속벽 및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 KR101318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958A KR101318201B1 (ko) 2011-10-14 2011-10-14 자립식 지하연속벽 및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958A KR101318201B1 (ko) 2011-10-14 2011-10-14 자립식 지하연속벽 및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301A KR20130040301A (ko) 2013-04-24
KR101318201B1 true KR101318201B1 (ko) 2013-10-15

Family

ID=4844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958A KR101318201B1 (ko) 2011-10-14 2011-10-14 자립식 지하연속벽 및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928B1 (ko) * 2019-01-10 2019-09-30 이형훈 전면판철근을 일체로 구비한 배면부벽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된 부벽식옹벽
CN110067254A (zh) * 2019-06-06 2019-07-30 上海智平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超薄带肋止水帷幕的旋喷钻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3413B2 (ja) * 1990-11-06 1997-01-22 株式会社大林組 土留壁工法
JPH09177360A (ja) * 1995-12-27 1997-07-08 Shimizu Corp 地下タンクおよびその構築方法
US20020164213A1 (en) * 1999-12-29 2002-11-07 Lewis Cyrrus G. Pre-stressed modular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3413B2 (ja) * 1990-11-06 1997-01-22 株式会社大林組 土留壁工法
JPH09177360A (ja) * 1995-12-27 1997-07-08 Shimizu Corp 地下タンクおよびその構築方法
US20020164213A1 (en) * 1999-12-29 2002-11-07 Lewis Cyrrus G. Pre-stressed modular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301A (ko)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474B1 (ko) 건축물 기초공사용 흙막이 구조
KR101194594B1 (ko) Cft 기둥(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의 시공방법
KR101676814B1 (ko) Cft말뚝을 이용한 cip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KR101777176B1 (ko)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 스틸관들을 이용한 cip 공법
JP2007051541A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901392B1 (ko) 소구경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1176592B1 (ko) 긴장재를 이용한 엄지말뚝 흙막이 시공 방법
KR20090007826A (ko) 무지보형의 차수벽 흙막이공법
JP2007205161A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078080B1 (ko) 지지말뚝과 지반보강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318201B1 (ko) 자립식 지하연속벽 및 자립식 지하연속벽 설치 시공방법
JP2014122491A (ja) 既製コンクリート杭基礎の水平抵抗力増大方法
KR101210368B1 (ko) 커플러와 볼트를 활용하여 가설 흙막이벽과 지하실 외벽을 일체화하는 공법
KR100673475B1 (ko) 지하층 골조부의 골조용 피씨거더부재, 이를 이용한 지하층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82495B1 (ko) 선단부 현장타설 복합 말뚝 공법
JP5184393B2 (ja) 防護壁及び防護壁形成方法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JP7275844B2 (ja) 壁状構造物及び壁状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744378B1 (ko) 굴착면 그라우팅에 의한 수동저항력 증대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JP2014101699A (ja) 防護体とその施工方法
KR101306626B1 (ko) 블럭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축조방법
JP2011157719A (ja) 山留め工法
KR200296444Y1 (ko) 배노트 공법에 의해 설치된 현장타설 대구경 파일을이용한 지중연속벽체
KR100322623B1 (ko) 콘크리트 블록 부착용 보조장치
JP5427463B2 (ja) 防護用堤体および防護用堤体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