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570B1 -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570B1
KR101317570B1 KR1020127005990A KR20127005990A KR101317570B1 KR 101317570 B1 KR101317570 B1 KR 101317570B1 KR 1020127005990 A KR1020127005990 A KR 1020127005990A KR 20127005990 A KR20127005990 A KR 20127005990A KR 101317570 B1 KR101317570 B1 KR 101317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htsig
vht
control information
st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622A (ko
Inventor
이대원
노동욱
강병우
석용호
노유진
김봉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4058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027539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4058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030272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55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 H04B7/0465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taking power constraints at power amplifier or emission constraints, e.g. constant modulus,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7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different delays betwee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343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제1 제어정보를 순환 천이 지연 다이버시티 빔포밍에 의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정보는 상기 제2 제어정보의 복수의 목적 스테이션 각각이 상기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정보는 빔포밍되어 상기 복수의 목적 스테이션에게 전송된다.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LA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안테나를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WLAN 기술의 표준화 기구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가 1980년 2월에 설립된 이래, 많은 표준화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초기의 WLAN 기술은 IEEE 802.11을 통해 2.4GHz 주파수를 사용하여 주파수 호핑, 대역 확산, 적외선 통신 등으로 1~2Mbps의 속도를 지원한 이래, 최근에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을 적용하여 최대 54M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이외에도 IEEE 802.11에서는 QoS(Quality for Service)의 향상,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프로토콜 호환, 보안 강화(Security Enhancement), 무선 자원 측정(Radio Resource measurement), 차량 환경을 위한 무선 접속 (Wireless Access Vehicular Environment), 빠른 로밍(Fast Roaming),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 외부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Interworking with External Network), 무선 네트워크 관리(Wireless Network Management) 등 다양한 기술의 표준을 실용화 또는 개발 중에 있다.
IEEE 802.11 중에서 IEEE 802.11b는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면서 최고 11Mbs의 통신 속도를 지원한다. IEEE 802.11b 이후에 상용화된 IEEE 802.11a는 2.4GHz 대역이 아닌 5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상당히 혼잡한 2.4GHz 대역의 주파수에 비해 간섭에 대한 영향을 줄였으며, OFDM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 속도를 최대 54Mbps까지 향상시켰다. 그러나 IEEE 802.11a는 IEEE 802.11b에 비해 통신 거리가 짧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IEEE 802.11g는 IEEE 802.11b와 마찬가지로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최대 54Mbps의 통신속도를 구현하며, 후방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만족하고 있어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는데, 통신 거리에 있어서도 IEEE 802.11a보다 우위에 있다.
그리고 무선랜에서 취약점으로 지적되어온 통신 속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비교적 최근에 제정된 기술 규격으로써 IEEE 802.11n이 있다. IEEE 802.11n은 네트워크의 속도와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무선 네트워크의 운영 거리를 확장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IEEE 802.11n에서는 데이터 처리 속도가 최대 540Mbps 이상인 고처리율(High Throughput, HT)을 지원하며, 또한 전송 에러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송신부와 수신부 양단 모두에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s and Multiple Outputs)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또한, 이 규격은 데이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중복되는 사본을 여러 개 전송하는 코딩 방식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OFDM)을 사용할 수도 있다.
WLAN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또한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화됨에 따라, 최근에는 IEEE 802.11n이 지원하는 데이터 처리 속도보다 더 높은 처리율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WLAN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초고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 무선랜 시스템은 1Gbps 이상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지원하기 위하여 최근에 새롭게 제안되고 있는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VHT 무선랜 시스템이란 명칭은 임의적인 것이며, 현재는 1Gbps 이상의 쓰루풋을 제공하기 위하여 4X4 MIMO 및 80MHz 또는 그 이상의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실현 가능성 테스트(feasibility test)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VHT 무선랜 시스템은 그 사용 주파수 대역으로 6GHz 이하의 대역과 60GHz 대역을 이용하는 두 가지 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 종래의 무선랜 시스템과의 공존 가능성 등이 문제될 수 있다.
한편, IEEE 802.11 의 물리계층 아키텍처(PHY layer architecture)는 PLME(PHY Layer Management Entity), PLCP(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부계층, PMD(Physical Medium Dependent) 부계층으로 구성된다. PLME는 MLME(MAC Layer Management Entity)와 협조하여 물리계층의 관리기능을 제공한다. PLCP 부계층은 MAC 계층과 PMD 계층 사이에서 MAC 계층의 지시에 따라 MAC 계층으로부터 받은 MPDU(MAC Protocol Data Unit)를 PMD 부계층에 전달하거나, PMD 부계층으로부터 오는 프레임을 MAC 계층에 전달한다. PMD 부계층은 PLCP의 하위 계층으로서 무선 매체를 통한 두 스테이션간 물리 계층 개체(entity)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PLCP 부계층은 MPDU를 MAC 계층으로부터 받아 PMD 부계층으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물리계층 송수신기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필드를 덧붙인다. 이때 부가되는 필드는 MPDU에 PLCP 프리앰블(preamble), PLCP 헤더(header), 데이터 필드 위에 필요한 꼬리 비트(Tail Bits) 등이 될 수 있다. PLCP 프리앰블은 PSDU(PLCP Service Data Unit = MPDU)가 전송되기 전에 수신기로 하여금 동기화 기능과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준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PLCP 헤더는 프레임에 대한 정보, 이를테면 PSDU의 길이(PSDU Length Word. PLW), PSDU 부분의 데이터 속도, 헤더 에러 검사(Header Error Check) 정보를 포함한다.
PLCP 부계층에서는 MPDU에 상술한 필드를 부가하여 PPDU(PLCP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여 PMD 부계층을 거쳐 수신 스테이션으로 전송하고, 수신 스테이션은 수신한 PPDU의 PLCP 프리앰블, PLCP 헤더로부터 데이터 복원에 필요한 정보를 얻어 데이터를 복원한다.
IEEE 802.11 a/b/g/n 등 다양한 레가시 스테이션과 VHT 스테이션이 공존할 때, PLCP 포맷에 따라 레가시 스테이션은 이를 인식할 수 없거나, 잘못 인식하여 오동작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든 전송 데이터에 모든 스테이션이 인식할 수 있도록 레가시 스테이션이 인식할 수 있는 PLCP 포맷과 VHT 스테이션을 위한 포맷을 덧붙이는 경우 그 오버헤드가 커서 무선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저해한다. 또한, MU-MIMO를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이 다중사용자에 대한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되어 전송될 때 전송대상이 아닌 스테이션은 이를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더불어 MU-MIMO 지원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및 수신, 복호에 필요한 제어정보의 양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MU-MIMO를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전송방법 및 증가하는 제어정보를 수용하고 하위 호환성을 지원하여 레가시 스테이션과의 공존을 보장할 수 있는 VHT 무선랜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프레임 포맷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MU-MIMO를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MU-MIMO를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수용하고 프레임의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제1 제어정보를 순환 천이 지연 다이버시티 빔포밍에 의하여 전송하고, 및 제2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정보는 상기 제2 제어정보의 복수의 목적 스테이션 각각이 상기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정보는 빔포밍되어 상기 복수의 목적 스테이션에게 전송된다.
상기 제1 제어정보는 상기 복수의 목적 스테이션에 대하여 공간 다중화된 SDMA(spatail division multiple access)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전송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정보는 상기 복수의 목적 스테이션 각각에 대한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목적 스테이션 각각에 대한 상기 제어정보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 채널 대역폭 정보, 공간 스트림(spatial stream) 개수정보, 전송파워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정보 및 상기 제2 제어정보는 제1 프레임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제어정보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이어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프레임 전송에 소요되는 전송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정보의 전송에 할당되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 당 부반송파의 개수는 상기 제2 제어정보의 전송에 할당되는 OFDM 심벌 당 부반송파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공용 제어정보의 전송에 할당되는 OFDM 심벌의 개수는 상기 STA-특정 제어정보의 전송에 할당되는 OFDM 심벌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정보와 상기 제2 제어정보는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가 적용될 수 있다.
MU-MIMO를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PLCP 프레임 포맷을 제공하고, 하위 호환성을 지원하여 VHT 스테이션과 레가시 스테이션의 공존을 보장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기존 PLCP 프레임 포맷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LCP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VHT 시스템에 적용되는 PLCP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VHTSIG-A와 VHTSIG-B의 전송에 사용하는 자원의 할당을 나타낸다.
도 6은 VHTSIG-A를 위한 BPSK 성상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LCP 프레임 구조 및 전송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장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랜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한다.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스테이션(Station, STA)의 집합으로써, 특정 영역을 가리키는 개념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랜 시스템과 같이, MAC SAP에서 1GHz 이상의 초고속 데이터 처리를 지원하는 BSS를 VHT(Very High Throughput) BSS라고 한다.
VHT BSS도 인프라스트럭쳐 BSS(infrastructure BSS)와 독립 BSS(Independent BSS, IBSS)로 구분할 수 있는데, 도 1에는 인프라스트럭쳐 BSS가 도시되어 있다. 인프라스트럭쳐 BSS(BSS1, BSS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Non-AP STA(STA 1, STA 3, STA 4), 분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스테이션인 액세스 포인트(AP 1(STA 2), AP 2(STA 5)),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AP 1, AP 2)를 연결시키는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포함한다.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는 AP STA이 BSS의 Non-AP STA들을 관리한다.
반면, 독립 BSS는 애드-혹 모드로 동작하는 BSS이다. IBSS는 AP VHT STA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중앙에서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개체(Centralized Management Entity)가 없다. 즉, IBSS에서는 Non-AP STA들이 분산된 방식(distributed manner)으로 관리된다. IBSS에서는 모든 STA이 이동 스테이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DS에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아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STA은 IEEE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로서, 광의로는 AP와 비AP 스테이션(Non-AP Station)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중 채널 환경에서 1GHz 이상의 초고속 데이터 처리를 지원하는 STA을 VHT STA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VHT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상기 BSS에 포함되는 STA은 모두 VHT STA이거나 또는 VHT STA과 레거시 STA(예컨대, IEEE 802.11 a/b/g/n에 따른 HT STA)이 공존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을 위한 STA은 프로세서(Processor)와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서와 디스플레이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을 처리하도록 고안된 기능 유닛으로서, STA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트랜시버는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테이션을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하도록 고안된 유닛이다.
STA 중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휴대용 단말은 Non-AP STA(STA1, STA3, STA4, STA5)으로서, 단순히 STA이라고 할 때는 Non-AP STA을 가리키기도 한다. Non-AP STA은 단말(terminal),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의 다른 명칭으로도 불릴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MU-MIMO 기술을 기반으로 초고속 데이터 처리를 지원하는 Non-AP STA을 Non-AP VHT STA 또는 간단히 VHT STA이라고 한다.
그리고 AP(AP1, AP2)는 자신에게 결합된 STA(Associated Station)을 위하여 무선 매체를 경유하여 DS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는 기능 개체이다. AP를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비AP STA들 사이의 통신은 AP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이나, 다이렉트 링크(direct link)가 설정된 경우에는 비AP STA(non-AP STA)들 사이에서도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AP는 엑세스 포인트라는 명칭 외에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MU-MIMO 기술을 기반으로 초고속 데이터 처리를 지원하는 AP를 VHT AP라고 한다.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쳐 BSS는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DS를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 서비스 세트 (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ESS에 포함되는 STA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ESS 내에서 비AP STA은 끊김 없이 통신하면서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다.
DS는 하나의 AP가 다른 AP와 통신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이에 의하면 AP가 자신이 관리하는 BSS에 결합되어 있는 STA들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STA이 다른 BSS로 이동한 경우에 프레임을 전달하거나 유선 네트워크 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프레임을 전달할 수가 있다. 이러한 DS는 반드시 네트워크일 필요는 없으며, IEEE 802.11에 규정된 소정의 분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컨대, DS는 메쉬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AP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물리적인 구조물일 수도 있다.
한편, VHT 무선랜 시스템은 여러 STA들이 효율적으로 동시에 무선 채널을 사용하기 위하여 MU-MIMO를 사용한다. 다시 말해서, 동시에 여러 STA들이 AP와 송수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AP는 공간 다중화된 무선 프레임을 여러 STA에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채널 상황을 측정하여 빔포밍을 수행하고 복수의 공간 스트림(spatial stream)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데이터를 복수의 STA에 대하여 공간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것을 MU-MIMO 전송 또는 SDMA 전송이라 한다. MU-MIMO 전송에 있어서 전송 대상이 되는 STA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간 스트림(spatial stream)이 할당되고, 할당된 공간 스트림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 VHT STA를 제외한 종래의 STA(non-VHT STA)을 레가시(legacy) STA이라 칭한다. 레가시 STA는 IEEE 802.11 a/b/g 표준을 지원하는 non-HT STA, IEEE 802.11n 표준을 지원하는 HT STA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양한 PLCP 프레임 포맷에서 동일한 명칭으로 지칭되는 각 필드의 기능은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 범위 내에서 동일하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PLCP 프레임 포맷에 따른 PLCP 프레임은 STA의 PLCP 부계층에서 생성되고 PMD 부계층을 거쳐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PLCP 프레임 전송방식으로 전송 목적 STA으로 전송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PLCP 프레임 포맷 및 구성하는 필드의 전송방법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일례로서 필드의 전송순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하의 기술에서 그 전송순서를 특정하지 아니하는 한 그 순서를 달리할 수 있으며 일부 필드가 생략되거나 필요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이하의 PLCP 프레임 포맷 및 그 전송방법은 BSS를 구성하는 STA의 종류 및 수, 전송하여야 할 데이터의 양, 우선순위 등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기존 PLCP 프레임 포맷의 예들을 나타낸다. 이는 2009년 6월에 개시된 IEEE 802.11n/D11.0 "Part 11: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 Amendment 5: Enhancements for Higher Throughput"의 20.3절을 참조할 수 있다.
IEEE 802.11n 표준은 Non-HT 포맷, HT-mixed 포맷, HT-greenfield 포맷이라는 3가지 유형의 PLCP(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 프레임을 제공한다. PLCP 프레임은 PPDU(PLCP Protocol Data Unit)의 전송에 사용된다.
PLCP 프레임에 포함되는 요소(element)는 다음 표와 같다.
요소 설 명
L-STF(Non-HT Short Training field) 프레임 타이밍 획득(frame timing acquisition), AGC(automatic gain control) convergence에 사용
L-LTF(Non-HT Long Training field) 채널 추정에 사용
L-SIG(Non-HT SIGNAL field) L-STA용 데이터를 복조 및 디코딩하기 위한 정보 포함
HT-SIG(HT SIGNAL field) HT-STA이 데이터를 복조 및 디코딩하기 위한 정보 포함
HT-STF(HT Short Training field) 프레임 타이밍 획득(frame timing acquisition), AGC(automatic gain control) convergence에 사용
HT-GF-STF(HT-greenfield Short Training field) 프레임 타이밍 획득(frame timing acquisition), AGC(automatic gain control) convergence에 사용 (HT STA 만이 읽을 수 있음)
HT-LTF1(First HT Long Training field) 채널 추정에 사용
HT-LTF(HT Long Training field) HT-STA용 데이터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에 사용되는 데이터 HT-LTF와 채널 사운딩에 사용되는 확장(extension) HT-LTF가 있음.
data field PSDU(PHY Service Data Unit) 포함
Non-HT 포맷은 L-STA에 의해 사용되며, L-STF, L-LTF, L-SIG를 포함한다.
HT-mixed 포맷은 HT-STA와 L-STA이 공존할 때 사용된다. L-STA에 하위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 L-STF, L-LTF 및 L-SIG가 가장 먼저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HT-SIG는 HT-STA이 데이터의 디코딩에 사용한다.
HT-greenfield 포맷은 HT-STA만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즉, 이 포맷은 L-STA가 수신할 수 없다.
L-STF, HT-STF, HT-GF-STF와 같은 STF(Short Training field)는 프레임 타이밍 획득(frame timing acquisition), AGC(automatic gain control) 제어 등에 사용되므로 동기신호 또는 동기채널이라고도 한다. 즉, STF는 STA간 또는 STA과 AP간 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된다.
L-LTF, HT-LTF 와 같은 LTF(Long Training field)는 데이터 및/또는 제어정보의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에 사용되므로 기준신호, 훈련신호(training signal) 또는 프리앰블(preamble)이라고도 한다.
L-SIG, HT-SIG는 데이터의 디코딩에 필요한 여러가지 정보를 제공하므로 제어정보라고도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LCP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VHT PLCP 프레임(300)은 VHTSIG-A 필드(330), VHTSIG-B 필드(340), 데이터 필드(360)를 포함한다. VHTSIG-A 필드(330), VHTSIG-B 필드(340)에는 수신 STA이 데이터 필드(360)를 복조(demodulation)하고 디코딩(decoding) 하는데 필요한 제어정보가 포함된다. VHTSIG-A 필드(330), VHTSIG-B 필드(340)의 명칭은 임의적인 것으로 각각 제1 제어정보와 제2 제어정보, 또는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VHTSIG-A 필드(330)에는 이어서 전송될 필드의 MU-MIMO 전송에 대한 공통된 정보가 포함된다. VHTSIG-A 필드(330)에는 BSS내의 모든 STA들이 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전송될 수 있다. VHTSIG-A 필드(330)에는 이후 전송될 VHTSIG-B 필드(340)의 목적 STA에 관한 정보, VHTSIG-B 필드(340) 수신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목적 STA에 대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공통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되는 채널 대역폭 정보, 변조 및 코딩 정보, 사용되는 공간 스트림 개수에 관한 정보와 더불어 SDMA 전송시간(SDMA transmission time)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SDMA 전송시간은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해 공간 다중화된 데이터 프레임인 SDMA(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데이터가 전송되는 시간으로 달리 말해서 MU-MIMO 전송시간이라 할 수 있다. 전송대상 이외의 STA은 SDMA 전송시간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전송기간 동안 네트워크 할당 벡터(Network Allocation Vector, NAV)를 설정하고 채널 접근(channel access)을 연기(defer)할 수 있다.
VHT-SIG B 필드(340)에는 각각의 전송대상 STA별로 SDMA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 값이 포함된다. 일례로 사용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지시하는 MCS 인덱스 값, 채널의 대역폭, 공간 스트림(spatial stream)의 개수을 지시하는 값 등 개별 STA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는 파라미터 값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DATA 필드(360)는 전송대상 STA에게 전송될 SDMA 프리코딩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테일 비트(tail bits) 및/또는 비트 패딩(Bit Padding)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VHT PLCP 프레임(300)은 필요에 따라 프레임 타이밍 획득과 AGC(automatic gain control) 컨버전스(convergence), 다이버서티(diversity) 선택을 위한 정보,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을 위한 정보를 담고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나 또는 다수의 필드는 레가시 STA 및 HT STA이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이거나, 레가시 STA 및 HT STA이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필드가 더 부가된 것일 수 있다.
VHT PLCP 프레임(300)을 전송하는 전송 스테이션은 VHTSIG-A 필드(330)를 SDMA 프리코딩 없이 전방향 전송(omni-directional transmission)하고, VHTSIG-B 필드(340)와 이후 전송되는 데이터 필드(360) 등은 SDMA 프리코딩을 적용하고 빔포밍(beamforming)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시간 영역에서 순환 지연 다이버서티(cyclic delay diversity) 빔포밍(beam-forming)을 이용한 신호의 전송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전송 안테나로 전송되는 신호는 다른 전송 안테나의 OFDM 심볼 범위내의 시간영역 순환 천이된 신호(time domain cyclic shifted signals)이다.
BSS의 STA들은 SDMA 프리코딩 없이 전방향 전송되는 VHTSIG-A 필드(330)를 수신하고 전송대상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STA은 VHTSIG-A 필드(330)에 포함된 SDMA 전송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기간 동안 NAV를 설정하여 채널 접근(channel access)을 연기(defer)할 수 있다. 전송 대상에 해당하는 STA는 VHTSIG-B 필드(340)에서 자신에게 개별화된 정보를 얻어 자신에게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 복조(demodulation), 디코딩(decoding)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VHT 시스템에 적용되는 PLCP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다.
PLCP 프레임은 L-STF(410), L-STF(420), L-SIG(420), VHTSIG-A(440), VHT-STF(450), VHT-LTF(460), VHTSIG-B(470) 및 데이터(480)를 포함한다.
L-STF(410)는 프레임 타이밍 획득(frame timing acquisition), AGC(automatic gain control) 제어, 거친(coarse) 주파수 획득 등에 사용한다.
L-LTF(420)는 L-SIG(420) 및 VHTSIG-A(440)의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에 사용한다.
VHT-STF(450)는 MIMO 시스템에서 VHT-STA이 AGC 추정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VHT-LTF(46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VHTSIG-B(470)와 데이터(480)의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이를 데이터 VHT-LTF라고도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채널 사운딩을 위한 확장 VHT-LTF가 사용될 수 있다.
L-STF(410), L-STF(420), L-SIG(420) 및 VHTSIG-A(440)에는 빔-포밍(beam-forming)이 적용되지 않는다. 이에 비해, VHT-STF(450), VHT-LTF(460), VHTSIG-B(470) 및 데이터(480)에는 MU-MIMO를 위한 빔-포밍(beam-forming)이 적용된다. 빔-포밍은 각 필드가 모두 동일한 프리코딩 행렬(또는 프리코딩 벡터)를 통해 처리되는 것이다. 데이터(480)와 VHT-LTF(460)가 동일한 프리코딩 행렬로 처리되므로, VHT-STA은 프리코딩 행렬을 알지 못해도 VHT-LTF(460)로 추정한 채널을 통해 데이터(480)를 직접 복조 또는 디코딩할 수 있다.
PLCP 프레임내에서 빔-포밍되지 않는 영역과 빔-포밍되는 영역에는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cyclic shift)가 적용될 수 있다. 즉, L-STF(410), L-STF(420), L-SIG(420) 및 VHTSIG-A(440)에는 제1 순환 쉬프트가 적용되고, VHT-STF(450), VHT-LTF(460), VHTSIG-B(470)에는 제2 순환 쉬프트가 적용될 수 있다.
순환 쉬프트는 각 OFDM 심벌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순환 쉬프트는 각 전송 체인별로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순환 쉬프트 양(amount) Tcs를 구간 0≤t≤T의 신호 s(t)에 적용한다고 할 때, 순환 쉬프트되는 신호 scs(t)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2018292010-pct00001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480)에 포함되는 각 PSDU는 각 STA에게 전송된다.
VHT-STA를 위해서는 VHTSIG-A(440)와 VHTSIG-B(470)라는 2가지의 제어정보가 PLCP 프레임에 포함된다. VHTSIG-A(440)는 VHTSIG-B(470)를 각 STA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용 제어정보(또는 제1 제어정보라 함)를 나타낸다. VHTSIG-B(470)는 각 STA이 자신의 데이터(480)를 복조 및/또는 디코딩하기 위한 STA-특정(STA-specific) 제어정보(또는 제2 제어정보라 함)이다.
공용 제어정보에는 다음 필드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필드 명 설 명
SIG-B 길이 VHTSIG-B의 길이를 나타냄
MU-MIMO 지시자 MU-MIMO가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냄. 또는, SU-MIMO/MU-MIMO를 토클(toggle)할 수 있음.
대역폭 채널의 대역폭을 나타냄
STA 지시자 VHTSIG-B를 수신할 STA을 나타냄. STA의 주소를 가리키거나 STA의 ID, VHTSIG-B의 인덱스를 가리킬 수 있음
다중화 개수 MU-MIMO로 다중화되는 STA(또는 사용자)의 수
디코딩 지시자 VHTSIG-B를 디코딩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냄.
STA-특정 제어정보(또는 사용자-특정 제어정보라 함)에는 다음 필드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필드 명 설 명
MCS 데이터를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를 나타냄
STA ID MCS를 사용할 STA을 나타냄
상기 표 2 및 3에서 필드 명은 예시에 불과하고 다른 명칭이 사용될 수 있다. 표 2 및 3의 필드들은 예시에 불과하고, 어떤 필드는 생략될 수 있고, 다른 필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도 5는 VHTSIG-A와 VHTSIG-B의 전송에 사용하는 자원의 할당을 나타낸다.
20MHz의 대역폭을 사용한다고 할 때, 빔-형성이 사용되지 않는 L-STF, L-LTF, L-SIG, VHTSIG-A는 L-STA을 지원하기 위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 당 52개의 부반송파(이를 협대역(narrowband, NB) 부반송파라 함)를 사용한다. 52개의 NB 부반송파는 48개의 데이터 NB 부반송파와 4개의 파일럿 NB 부반송파로 나눌 수 있다.
빔-형성이 사용되는 VHT-LTF, VHTSIG-B는 OFDM 심벌 당 56개의 부반송파(이를 광대역(wideband, WB) 부반송파라 함)를 사용한다. 56개의 WB 부반송파는 52개의 데이터 WB 부반송파와 4개의 파일럿 WB 부반송파로 나눌 수 있다.
L-STA는 20MHz 대역에서 OFDM 심벌 당 52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한다. 하위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 VHTSIG-A는 L-STF 및 L-LTF와 동일한 개수의 부반송파를 사용한다.
L-STF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를 사용하고, 하나의 OFDM 심벌에 다음과 같은 주파수 영역의 시퀀스 S로 나타낼 수 있다.
S-26,26=K{0,0,1+j,0,0,0,-1-j,0,0,0,1+j,0,0,0,-1-j,0,0,0,-1-j,0,0,0,1+j,0,0,0,0,0,0,0,-1-j,0,0,0,-1-j,0,0,0,1+j,0,0,0,1+j,0,0,0,1+j,0,0,0,1+j,0,0}
여기서, K는 QPSK 정규화(normalization) 팩터로 K=1/√2 (K=sqare root(1/2))이다. DC 부반송파는 사용되지 않는다.
L-LTF는 하나의 OFDM 심벌에 다음과 같은 주파수 영역의 시퀀스 T로 나타낼 수 있다.
T-26,26={1,1,-1,-1,1,1,-1,1,-1,1,1,1,1,1,1,-1,-1,1,1,-1,1,-1,1,1,1,1,0,1,-1,-1,1,1,-1,1,-1,1,-1,-1,-1,-1,-1,1,1,-1,-1,1,-1,1,-1,1,1,1,1}
L-SIG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를 사용하고, 48개의 데이터 NB 부반송파가 할당되므로 48비트를 가질 수 있다. 1/2 코드률(code rate)을 가질 때, L-SIG의 정보 비트의 수는 24이다.
VHTSIG-A도 BPSK 변조를 사용하고, 48개의 데이터 NB 부반송파가 할당되므로 OFDM 심벌 당 48비트를 가질 수 있다. 1/2 코드률(code rate)을 가지고, 2개의 OFDM 심벌이 할당되면, VHTSIG-A의 정보 비트의 수는 48이 된다.
VHTSIG-A의 검출을 용이하기 위해 VHTSIG-A를 위한 BPSK 성상(constellation)은 L-SIG를 위한 BPSK 성상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6은 VHTSIG-A를 위한 BPSK 성상의 일 예를 나타낸다. VHTSIG-A를 위한 BPSK 성상(constellation)은 L-SIG를 위한 BPSK 성상을 기준으로 90도만큼 회전된 것이다. 이를 회전된(rotated) 성상이라 한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회전량은 45도, 180도 등으로 바뀔 수 있고, BPSK 뿐만아니라, QPSK, 8-PSK, 16-QAM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빔-형성이 사용되는 VHT-STF, VHT-LTF, VHTSIG-B는 L-STA과 호환성을 유지할 필요가 없고, 주파수 효율을 높이기 위해 OFDM 심벌 당 56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한다.
VHT-STF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를 사용하고, 하나의 OFDM 심벌에 다음과 같은 시퀀스 VHTS로 정의될 수 있다.
VHTS-28,28=K{0,0,0,0,1+j,0,0,0,-1-j,0,0,0,1+j,0,0,0,-1-j,0,0,0,-1-j,0,0,0,1+j,0,0,0,0,0,0,0,-1-j,0,0,0,-1-j,0,0,0,1+j,0,0,0,1+j,0,0,0,1+j,0,0,0,1+j,0,0,0}
여기서, K는 QPSK 정규화(normalization) 팩터로 K=1/√2 (K=sqare root(1/2))이다.
VHT-LTF는 하나의 OFDM 심벌에 다음과 같은 주파수 영역의 시퀀스 VHTT로 나타낼 수 있다.
VHTT-28,28={1,1,1,1,-1,-1,1,1,-1,1,-1,1,1,1,1,1,1,-1,-1,1,1,-1,1,-1,1,1,1,1,0,1,-1,-1,1,1,-1,1,-1,1,-1,-1,-1,-1,-1,1,1,-1,-1,1,-1,1,-1,1,1,1,1,-1,-1}
VHTSIG-B는 VHTSIG-A와 동일한 변조, 즉 회전된 BPSK 성상으로 맵핑되고 하나의 OFDM 심벌을 사용한다. OFDM 심벌 당 52개의 데이터 부반송파가 있으므로, 1/2 코드률을 가질 때, VHTSIG-B는 정보비트의 수는 26이 된다.
MU-MIMO를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의 디코딩에 필요한 제어정보는 VHTSIG-A와 VHTSIG-B로 나뉜다. VHTSIG-A는 채널 특징적(channel specific) 빔-형성이 사용되지 아니하며 순환 지연 천이된 빔포밍(cyclic delay shifted beam-forming)이 사용되어 전-방향(omni-direction)으로 전송된다. VHTSIG-B는 빔-형성이 사용되어 방향성으로 전송된다.
VHTSIG-A에 할당되는 부반송파의 개수(예, 52개)는 VHTSIG-B에 할당되는 부반송파의 개수(예, 56개)보다 작다. 이는 VHTSIG-A에 할당되는 주파수 영역 자원이 VHTSIG-B에 할당되는 주파수 영역 자원보다 작음을 의미한다. VHTSIG-A는 하위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L-LTF의 채널 추정을 이용하여 디코딩되기 때문이다.
VHTSIG-A에 할당되는 OFDM 심벌의 개수(예, 2개)는 VHTSIG-B에 할당되는 OFDM 심벌의 개수(예, 1개)보다 많다. 이는 VHTSIG-A에 할당되는 시간 영역 자원이 VHTSIG-B에 할당되는 시간 영역 자원보다 큼을 의미한다. 보다 많은 STA이 MU-MIMO로 다중화되면, 하나의 OFDM 심벌만으로는 VHTSIG-A를 전송하기에 부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MHz 대역폭에서 L-STA과 VHT-STA이 공존할 때, 하위 호환성을 제공하는 영역과 하위 호환성을 제공하지 않는 영역에 서로 다른 시간 및/또는 주파수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하위 호환성을 제공하는 영역에서 전송되는 STF, LTF 및 공용 제어정보에게는 BSS내의 모든 non-AP STA 및 AP가 지원하는 시간/주파수 영역이 할당된다. 하위 호환성을 제공하지 않는 영역에서 전송되는 STF, LTF 및 STA-특정 제어정보에게는 VHT-STA 또는 VHT-AP만이 지원하는 시간/주파수 영역이 할당된다. 하위 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고, MU-MIMO를 지원하는 VHT-STA에게도 보다 높은 주파수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서, VHTSIG-A에 대한 시간영역 파형(time domain waveform)은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2018292010-pct00002
βn은 +1 또는 +j와 같은 위상 회전 값(phase rotation value)이다. 여기서 VHTSIG-A 변조된 심볼은 VHT 프리앰블 검출을 보장할 수 있도록 위상 회전된다. 40, 80, 또는 160 MHz와 같이 넓은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해서 시간 영역에서의 20MHz 파형은 전송되는 신호의 각 20MHz 대역 주파수 단위로 복제된다.
또한, VHTSIG-B에 대한 시간영역 파형은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2018292010-pct00003
NTX : 전송 체인(transmit chain)의 개수
NSTS : 시공간 스트림(space time stream)의 개수
NiTx CS : iTX 전송 체인의 순환 쉬프트
NiSTS CS : iSTS 시공간 스트림의 순환 쉬프트
Ntone VHT-SIGA : VHT-SIGA에 사용되는 부반송파의 개수
Ntone VHT-SIGB : VHT-SIGB에 사용되는 부반송파의 개수
NSR: VHTSIG-B를 위해 사용되는 전송된 신호 대역폭의 절반에 있는 부반송파의 개수
βn: 위상 회전 값(phase rotation value)
TSYM : 심벌 길이(symbol duration)
TGI : 보호 구간 길이(guard interval duration)
PVHTLTF : VHT-LTF 맵핑 행렬
Dk,n, pn, Pk, Qk : EEE 802.11n/D11.0의 20.3절에서 주어지는 파라미터들
도 4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PLCP 프레임에는 HT-SIG가 더 포함될 수 있다. HT-SIG는 L-SIG이후나 VHTSIG-A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HT-SIG가 더 포함되면, HT-STF와 HT-LTF도 더 포함될 수 있다. PLCP 프레임이 L-STA에 하위 호환성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L-STF, L-LTF, L-SIG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PLCP 프레임 포맷은 이후에 블록도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20MHz 대역폭에 대해 기술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40MHz 대역폭 또는 그 이상의 대역폭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20 MHz 대역폭이나 40MHz 대역폭을 복수개 결합한 구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40MHz 대역폭에서 빔-형성이 사용되지 않는 L-STF, L-LTF, L-SIG, VHTSIG-A는 L-STA을 지원하기 위해 OFDM 심벌 당 104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한다. 빔-형성이 사용되는 VHT-LTF, VHTSIG-B는 OFDM 심벌 당 112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한다.
40MHz 대역폭에서 L-LTF는 하나의 OFDM 심벌에 다음과 같은 주파수 영역의 시퀀스 T로 나타낼 수 있다.
T-58,58={1,1,-1,-1,1,1,-1,1,-1,1,1,1,1,1,1,-1,-1,1,1,-1,1,-1,1,1,1,1,0,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0,0,0,1,1,-1,-1,1,1,-1,1,-1,1,1,1,1,1,1,-1,-1,1,1,-1,1,-1,1,1,1,1,0,1,-1,-1,1,1,-1,1,-1,1,-1,-1,-1,-1,-1,1,1,-1,-1,1,-1,1,-1,1,1,1,1}
40MHz 대역폭에서 VHT-LTF는 하나의 OFDM 심벌에 다음과 같은 주파수 영역의 시퀀스 VHTT로 나타낼 수 있다.
VHTT-58,58={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TA 또는 AP는 공용 제어정보를 전송한다(S710). 공용 제어정보는 빔-형성을 사용하지 않고 전-방향으로 전송된다. 공용 제어정보는 이전 OFDM 심벌에서 전송되는 L-LTF를 통해 추정되는 채널을 이용하여 디코딩된다.
공용 제어정보가 전송된 후, STA 또는 AP는 STA-특정 제어정보를 전송한다(S720). STA-특정 제어정보는 빔-형성을 이용하여 특정 STA(또는 특정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특정 STA는 공용 제어정보를 먼저 수신하여 STA-특정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한 후, 빔-형성되어 전송되는 STA-특정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STA-특정 제어정보는 공용 제어정보와 STA-특정 제어정보 사이의 OFDM 심벌에서 전송되는 VHT-LTF를 통해 추정되는 채널을 이용하여 디코딩된다.
공용 제어정보는 BSS내의 non-AP STA 및 AP가 모두 수신할 수 있어야 하므로, 공용 제어정보는 BSS내의 모든 non-AP STA 및 AP가 지원하는 시간/주파수 영역이 할당된다. 이와 비교하여, STA-특정 제어정보는 특정 STA 또는 특정 AP만이 수신하는 정보이므로, 특정 STA 또는 특정 AP가 지원하는 시간/주파수 영역이 할당된다. 따라서, 하위 호환성(backword compatibilty)을 보장할 수 있고, MU-MIMO를 지원하는 VHT-STA에게도 보다 높은 주파수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주파수 영역에서 공용 제어정보의 주파수 자원의 크기는 STA-특정 제어정보의 주파수 자원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용 제어정보에 할당되는 부반송파의 개수는 STA-특정 제어정보에 할당되는 부반송파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시간 영역에서 공용 제어정보의 시간 자원의 크기는 STA-특정(STA-specific) 제어정보의 시간 자원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용 제어정보에 할당되는 OFDM 심벌의 개수는 STA-특정 제어정보에 할당되는 OFDM 심벌의 개수보다 클 수 있다.
공용 제어정보와 STA-특정 제어정보는 서로 다른 양의 순환 쉬프트가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제어정보에 대한 주파수 자원의 할당 방법, 변조 방법, 전송방법 및 순환 쉬프트(cyclic shift) 적용 방법은 이하의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양한 PLCP 프레임 포맷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PLCP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는 도 4의 PLCP 프레임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중간 부분에 중간 VTF-LTF를 추가하는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WLAN 시스템은 인도어(indoor) 환경을 가정하고 있지만, 아웃도어(outdoor) 환경에서 사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대학 캠퍼스 혹은 실외 주차장 등에서 무선랜을 사용할 수 있다. 아웃도어 환경은 인도어 환경보다 채널 변화가 심하다.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만을 고려하더라도, 데이터의 양이 많아 데이터의 전송 구간이 길어지면, 도중에 채널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성능의 열화가 예상된다.
데이터를 분할하여 보낼 수도 있지만, 있지만 이는 PCLP 프레임의 포맷에 따라 STF, LTF의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중간 부분에 채널 추정을 위한 중간 VHT-LTF를 추가하여, 채널 환경의 변화에도 채널 추정 성능이 악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중간 VHT-LTF의 전송 여부는 VHTSIG-A 또는 VHTSIG-B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도 9는 PLCP 프레임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는 도 4의 PLCP 프레임의 마지막에 마지막 VTF-LTF를 추가하는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VHT-GF PLCP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VHT-GF PLCP 프레임은 VHT-GF-STF(VHT Green Field Short Training Field), VHT-LTF1(VHT Long Training Field 1), VHTSIG-A(1050) 순으로 전송된다. VHT-GF-STF, VHT-LTF1은 프레임의 타이밍 획득, AGC(automatic gain control) 컨버전스, 채널 추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담고 있다. VHT-GF-STF, VHT-LTF1, VHTSIG-A(1050)은 전방향(omni-directional) 전송된다. BSS(Basic Service Set)의 VHT STA들이 전방향 전송되는 VHT-GF-STF, VHT-LTF1, VHTSIG-A(1050)을 수신하여 채널이 사용중임을 알 수 있다.
VHTSIG-A(1050) 이후에 전송되는 VHTSIG-B(1060), VHT-LTF, 데이터 필드는 SDMA 프리코딩되어 빔포밍 전송된다. VHTSIG-B(1060), VHT-LTF, 데이터 필드는 MU-MIMO로 복수의 목적 STA로 전송되기 때문에 목적 STA별로 개별화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에서 VHTSIG-A(1050)까지는 순환 쉬프트 CSD1이, VHTSIG-A(1050) 이후부터는 순환 쉬프트 CSD2로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가 사용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VHT-GF-PLCP 프레임 포맷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의 VHT-GF-PLCP 프레임 포맷은 도 10의 VHT-GF-PLCP 프레임에서 VHTSIG-A과 VHTSIG-B 사이에 VHT-LTF2(1154)를 더 전송하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VHT-LTF2(1154)는 VHTSIG-B 전에 전송되어 수신 STA로 하여금 뒤이어 전송될 VHTSIG-B를 수신하기 위한 채널 추정에 사용할 제어정보를 제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VHT-GF-PLCP 프레임 포맷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의 VHT-GF-PLCP 프레임 포맷은 도 11의 VHT-GF-PLCP 프레임에서 VHTSIG-A과 VHT-LTF2 사이에 VHT-STF(1252)를 더 전송하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VHT-STF(1252)를 더 전송하는 것은 수신 STA로 하여금 전방향 전송에서 빔포밍 전송으로 전송방식이 변경됨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전송파워를 AGC에서 적절히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VHT-GF-PLCP 프레임 포맷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VHT-GF-STF, VHT-LTF1, 하나의 VHTSIG(1350)를 전방향으로 전송하여 BSS의 모든 STA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프리코딩을 수행하여 빔포밍 전송되는 VHT-STF, VHT-LTF, 데이터 필드를 전송한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VHT-GF-PLCP 프레임 포맷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의 VHT-GF-PLCP 프레임은 도 13의 VHT-GF-PLCP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VHT-GF-STF, VHT-LTF1, VHTSIG-A(1450), VHTSIG-B(1460)를 전방향으로 전송하여 BSS의 모든 STA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프리코딩을 수행하여 빔포밍 전송되는 VHT-STF, VHT-LTF, 데이터 필드를 전송한다. 이때, 복수의 목적 STA에 대해 공간 다중화된 데이터를 전송할 때, MU-MIMO 통하는 스트림의 개수가 가변적(variable)일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제어정보 역시 가변적일 수 있다. 도 14의 VHT-GF-PLCP 프레임 포맷은 도 13의 VHT-SIG(1350)를 VHTSIG-A(1450), VHTSIG-B (1460)로 나누고, 가변적인 개별 목적 STA에 대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VHTSIG-B(1460)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VHTSIG-A(1450)이 지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VHT-GF-PLCP 프레임 포맷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의 VHT-GF-PLCP 프레임 포맷은 VHT-GF-STF, VHT-LTF1, VHTSIG-A 및 VHTSIG-B를 전방향 전송하고 이후 VHT-STF, VHT-LTF 및 데이터 필드를 프리코딩 후 빔포밍 전송하는 일례이다. 도 15의 VHT-GF-PLCP 프레임은 MU-MIMO 전송을 하는 도10 내지 도14의 VHT-GF-PLCP 프레임의 경우와 달리 SU-MIMO 전송을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PLCP 프레임의 일례이다. 두 VHT-SIG(VHTSIG-A, VHTSIG-B)를 모두 전방향 전송하는 것은 MU-MIMO 전송의 경우와 달리 SDMA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서로 다른 STA으로 향하는 PLCP 프레임의 충돌, 간섭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VHTSIG-A(1550), VHTSIG-B(1560)에는 VHT-GF-PLCP 프레임이 MU-MIMO의 VHT-GF-PLCP 프레임인지 SU-MIMO의 VHT-GF-PLCP 프레임인지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시자(indicator)를 서브 필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HT-GF-PLCP 프레임의 유형을 지시하는 정보를 담은 유형 서브필드(type subfield)가 0으로 설정되어 전송되는 경우 수신 STA는 SU-MIMO VHT-GF-PLCP 프레임으로, 유형 서브필드(type subfield)가 1로 설정되어 전송되는 경우 수신 STA는 MU-MIMO VHT-GF-PLCP 프레임으로 인식할 수 있다.
VHTSIG-B(1560) 이후 전송방식의 변화에 따른 AGC에서의 보상을 위한 제어신호를 담은 VHT-STF를 전송하는데, VHT-STF부터 프리코딩을 거쳐 빔포밍 전송한다.
도 1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VHT-GF-PLCP 프레임 포맷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6은 SU-MIMO에서 사용할 수 있는 VHT-GF-PLCP 프레임 포맷으로 BSS의 다른 STA에게 VHTSIG-A조차 전송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6의 VHT-GF-PLCP 프레임은 도 15의 예에서와 달리 모든 필드가 SDMA 프리코딩되어 전송된다. 프레임 전송에서 전송방식의 변화가 없어 도 15의 PLCP 프레임 포맷과 달리 VHT-STF가 생략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VHT-mixed PLCP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VHT-mixed PLCP 프레임은 레가시 STA를 위한 훈련 필드(training field)와 시그널 필드(SIG field)를 포함한다. 레가시 STA를 위한 훈련 필드와 시그널 필드는 VHT STA을 위한 훈련필드와 시그널 필드 전송에 앞서 먼저 전송되어 레가시 STA가 이를 수신하여 채널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레가시 STA를 위한 훈련 필드인 L-STF(legacy short training field), L-LTF(legacy long training field)가 먼저 전송된다. L-STF는 프레임의 타이밍 획득(frame timing acquisition)과 AGC(automatic gain control) 컨버전스(convergence)를 위하여 사용되며, L-LTF는 시그널 필드(SIG field)와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한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에 사용된다.
훈련 필드에 이어 시그널 필드가 전송되는데, non-HT STA를 위한 L-SIG, HT STA를 위한 HT-SIG가 전송될 수 있다. HT-SIG는 도 10의 예에서와 같이 L-SIG에 이어 하나의 필드로 전송되거나, 필요에 따라 L-SIG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L-SIG, HT-SIG에는 이후에 전송되는 데이터 필드를 복조하고 디코딩(decoding)하는데 필요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가 들어있다.
레가시 STA을 위한 훈련필드와 시그널 필드가 전송되고 이후 VHT STA을 위한 필드가 전송된다. VHT STA을 위한 필드로 VHT-STF, VHT-LTF1, VHT-SIG, 개별 STA와의 채널 추정을 위한 VHT-LTF 및 확장 VHT-LTF가 전송될 수 있다. VHT STA를 위한 훈련필드와 시그널 필드가 전송된 이후 데이터 필드가 전송된다.
도 17의 예에서 레가시 STA을 위한 훈련필드와 시그널 필드는 레가시 STA이 인식할 수 있도록 프리코딩없이 CSD(cyclic shift delay)만을 수행하여 전방향으로 전송된다. CSD는 신호 전송 과정에서 역 이산 푸리에 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전 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는데 이는 의도하지 않은 빔포밍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CSD는 전송기 체인(transmitter chain)별로 수행되거나, 시공간 스트림(space time stream)별로 수행될 수 있으며, 공간 맵퍼(spatial mapper)의 일부로 적용될 수 있다. 이후 VHT STA을 위한 훈련필드, 시그널 필드 및 데이터 필드는 CSD와 프리코딩을 거쳐 빔포밍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VHT-mixed PLCP 프레임 포맷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과 도 19의 VHT-mixed PLCP 프레임은 도 8의 VHT-mixed PLCP 프레임과 동일한 필드와 동일한 전송순서를 갖는다. 다만, 도 18의 VHT-mixed PLCP 프레임은 VHTSIG-A까지 전방향 전송하고 이후 VHTSIG-B부터 SDMA 프리코딩하여 전송한다. 도 19의 VHT-mixed PLCP 프레임은 도 18의 예에서 VHT-STF부터 VHTSIG-A까지 프리코딩하여 전송한다는 점을 달리한다.
도 20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VHT-mixed PLCP 프레임 포맷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레가시 STA을 위한 훈련필드와 시그널 필드 및 VHT STA을 위한 시그널 필드 VHT-SIG를 전방향 전송된다. 이후 VHT-STF부터 데이터 필드까지 SDMA 프리코딩되어 전송된다. 여기에서 VHT-SIG 필드에는 수신 STAd이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고 디코딩하기 위한 제어정보가 포함된다.
도 21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VHT-mixed-GF PLCP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1의 VHT-mixed-GF PLCP 포맷은 IEEE 802.11n HT STA과 VHT STA만으로 구성된 무선랜 시스템 또는 non-HT STA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효과적인 PLCP 프레임 포맷이다. VHT-mixed-GF PLCP 프레임은 non-HT STA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L-STF, L-LTF, L-SIG를 전송하지 아니한다. 다만 HT STA이 PLCP 프레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HT-GF-STF, HT-LTF1, HT-SIG를 먼저 전송하고 VHT STA를 위한 VHT SIG와 VHT-LTF, 그리고 데이터 필드를 전송한다.
도 21의 VHT-mixed-GF PLCP 프레임은 모든 필드가 프리코딩 되어 프리코딩된 값이 모든 필드에 적용되기 때문에 VHT-STF 없이 HT-SIG, VHT-SIG 이후 VHT-LTF들과 데이터 필드가 바로 전송된다.
도 2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VHT-mixed-GF PLCP 프레임 포맷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1의 예에서와 달리 VHT-SIG까지 전방향 전송하여 BSS내의 모든 HT STA과 VHT STA이 HT-SIG와 VHT-SIG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이후에 전송되는 필드는 프리코딩을 하여 전송하므로 VHT-STF가 먼저 전송되고 VHT-LTF들과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된다.
도 23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VHT-mixed-GF PLCP 프레임 포맷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3의 VHT-mixed-GF PLCP 프레임은 HT-GF-STF, HT-LTF1, HT-SIG, VHTSIG-A까지 전방향(omni-directional)하게 전송되고, 다음으로 전송되는 필드들은 모두 프리코딩되어 VHT-STF, VHT-LTF, VHTSIG-B, VHT-LTF들 그리고 데이터 필드를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VHTSIG-A은 전송이 되지 않고, 데이터의 복조와 디코딩을 위한 파라미터는 VHTSIG-B에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HT-SIG에 전송된 서브필드의 정보가 재활용될 수 있다. 수신 STA은 VHTSIG-B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 필드의 복조와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3의 PLCP 프레임 포맷의 일부 필드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는데 도 24와 도 25는 그 일례를 보여준다.
도 24, 도 25는 도 23의 예에서 각각 VHT-STF 또는 VHT-LTF1이 생략된 형태로서 STA의 구현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 VHT-mixed-GF PLCP 프레임 포맷의 일례이다.
도 2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HT-Mixed-PLCP 프레임 포맷 및 프레임 전송의 일례이다.
VHT-Mixed-PLCP 프레임(2610)은 레가시 STA를 위한(레가시 STA가 인식할 수 있는) TF(training field) 및 SIG, VHT STA를 위한 TF 및 SIG, 데이터 필드를 포함한다. 레가시 STA를 위한 TF(training field) 및 SIG의 일례로 도 26의 VHT-Mixed-PLCP 프레임(2610)은 L-STF (Non-HT short Training field, 2612), L-LTF(Non-HT Long Training field, 2614), L-SIG(Non-HT SIGNAL field, 2616), HT-SIG(HT SIGNAL field, 2618)를 포함한다.
L-STF(2612)는 프레임 타이밍 획득(frame timing acquisition)과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AGC) 컨버전스(convergence)를 위하여 사용되며, L-LTF(2614)는 L-SIG(2616)와 데이터를 복조(demodulation) 하기 위한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에 사용된다. L-SIG(2616)에는 그 이후의 데이터를 복조하고 디코딩(decoding) 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HT-SIG(2618)는 HT STA를 위한 SIG 필드로서 L-SIG(2616)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L-STF(2612), L-LTF(2614), L-SIG(2616)는 다른 필드에 앞서 전송되어 레가시 STA이 이들을 인식하고 채널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VHT-Mixed-PLCP 프레임(2610)은 VHT STA를 위한 VHT-STF(2622), VHT-LTF1(2624), 두 개의 VHT-SIG(VHTSIG-A(2630), VHTSIG-B(2640)) 및 VHT-LTF(2650-1,…,2650-L)를 포함한다. VHTSIG-A(2630)은 이후 전송될 필드 및 PLCP 프레임에 대한 공통 정보를 포함하고, VHTSIG-B(2640)는 데이터를 전송할 목적 STA 별로 개별화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전송방법은 VHT-Mixed-PLCP 프레임(2610)이 먼저 전송되고, 이후 N개의 GF-PLCP 프레임(2690-1,…,2690-N)이 전송된다. VHT-Mixed-PLCP 프레임(2610)에는 VHT-Mixed-PLCP 프레임(2610)과 N개의 VHT GF-PLCP 프레임(2690-1,…,2690-N)의 전송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레가시 STA와 전송 목적 STA가 아닌 VHT STA들은 VHT-Mixed-PLCP 프레임(2610)을 통해서 채널이 사용되고 있음을 인식하고 VHT-Mixed-PLCP 프레임(2610)에 포함된 전송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이 사용될 시간 동안 NAV를 설정하고 채널 접근을 보류한다. 이를 위해 VHT-Mixed-PLCP 프레임(2610)에서 VHTSIG-A(2630) 전까지는 레가시 STA를 포함한 모든 STA가 수신할 수 있도록 SDMA 프리코딩 없이 전송되고, VHTSIG-A(2630) 이후에 전송되는 필드에 대해서만 SDMA 프리코딩하여 전송한다.
레가시 STA과 전송 목적 STA이 아닌 VHT STA는 VHT-Mixed-PLCP 프레임(2610) 이후에 전송되는 N개의 GF-PLCP 프레임(2690-1,…,2690-N)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나 VHT-Mixed-PLCP 프레임(2610)에 포함된 전송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VHT-Mixed-PLCP 프레임(2610)과 N개의 GF-PLCP 프레임(2690-1,…,2690-N) 모두가 전송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동안 NAV를 설정하여 채널 접근을 보류하므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HT-GF-PLCP 프레임 포맷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VHT-GF-PLCP 프레임(2700)은 VHT-GF-STF(2710), VHT-LTF1(2720), 2개의 VHT-SIG필드(VHTSIG-A(2730), VHTSIG-B(2740)), N개의 VHT LTF(2750-1,…,2750-N) 및 데이터 필드를 포함 한다. 도 27의 예에서 VHTSIG-A(2730), VHTSIG-B(2740)는 연속되어 전송되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VHTSIG-B(2740)는 VHTSIG-A(2730)가 전송되고 바로 또는 그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VHT-GF-PLCP 프레임(2700)은 VHT-GF-STF(2710), VHT-LTF1(2720), VHTSIG-A(2730) 필드는 모든 VHT STA이 들을 수 있도록 전방향(omni-directional)으로 전송된다. VHTSIG-B(2740) 필드와 이후 전송되는 데이터는 SDMA 프리코딩을 거쳐 빔포밍 되어 전송될 수 있다. VHTSIG-A(2730)에는 이어 전송될 SDMA 전송에 대한 공통된 정보가 포함된다. 그 일례로 SDMA 전송기간이 포함되어 전송 목적 STA이 아닌 제3의 STA들이 전송기간 동안 NAV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VHTSIG-B(2740)에는 전송 목적 STA별로 SDMA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 값이 설정/포함된다. 그 일례로 MCS 인덱스, 채널 대역폭, 공간 스트림의 수 등이 STA별로 설정/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VHTSIG-B(2740) 필드와 이후 전송되는 데이터는 SDMA 프리코딩을 거쳐 빔포밍 되어 전송되므로, 전송 목적 STA이 아닌 제3 STA은 VHTSIG-B(2740) 필드와 이후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나 VHT SIG1(2730)필드까지 수신하여 해당 프리앰블을 인식할 수 있다.
SU(Single User)-MIMO에서 GF-PLCP 프레임은 하나의 VHT SIG를 사용할 수 있다. SU-MIMO에서는 SDMA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STA으로 향하는 PLCP 프레임 간에 충돌, 간섭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SU-MIMO, MU-MIMO에서 GF-PLCP 프레임 식별을 위해, VHT SIG1(2730), VHT SIG2(2740)에는 그 전송유형을 지시하는 유형 서브필드가 포함될 수 있다. 유형 서브필드의 설정값이 SU-MIMO 방식의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하나의 VHT SIG 필드만이 사용된다. 유형 서브필드의 설정값이 MU-MIMO 방식의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두 개의 VHT SIG(VHT SIG1, VHT SIG2)가 사용된다. 두 개의 VHT SIG는 상술한 바와 같이 VHT SIG1은 전방향 전송되어 BSS내의 STA들이 전송중인 PLCP 프레임의 프리앰블을 검출/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VHT SIG2는 각각의 전송 목적 STA으로 향하는 공간 스트림들에 대한 MCS 인덱스 값, 채널 대역폭, 공간 스트림의 개수 등의 정보를 갖는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LCP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8의 PLCP 프레임은 VHT mixed 프레임 포맷으로 레가시 스테이션을 위한 L-STF, L-LTF, L-SIG및 HT-SIG 필드를 포함한다. L-STF, L-LTF, L-SIG및 HT-SIG 필드의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28의 예는 AP가 5개의 공간 스트림을 2개의 STA에 대하여 MU-MIMO로 방식으로 전송하며, 첫 번째 STA은 공간 스트림 3개를 두 번째 STA은 공간 스트림 2개를 전송 받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MU-MIMO 전송의 대상이 되는 STA의 수 및 각 STA에 대해 전송하는 공간 스트림의 개수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8의 PLCP 프레임은 MU-MIMO 전송의 대상이 되는 STA 각각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VHT SIG 필드를 포함한다. 즉, VHT SIG 필드의 개수는 MU-MIMO 전송의 대상이 되는 STA의 수와 같거나 더 많을 수 있다.
도 28의 예에서, VHTSIG1은 MU-MIMO 전송의 대상인 STA1에 대한 제어정보를 포함하고, VHTSIG2는 MU-MIMO 전송의 대상인 STA2에 대한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각 STA에 할당되는 VHT-SIG는 VHTSIG1,···,VHTSIGN의 여러 개의 VHTSIG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802.11n 표준의 HT-SIG 필드는 2개의 HT-SIG이루어져 있으며 2개의 OFDM 심볼로 전송된다. 전송해야 하는 VHTSIG의 OFDM 심볼 개수는 MU-MIMO로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된 STA의 수, 공간 다중화된 스트림의 개수의 함수로 나타날 수 있다.
도 28의 예에서는 VHTSIG 필드 2개가 존재하지만 MU-MIMO 전송의 대상 STA 수가 늘어 남에 따라 VHTSIG를 전송하는 기간(duration)이 길어진다. 8개의 스트림을 전송하는 AP가 8개의 1 Rx-STA과 MU-MIMO로 동작을 한다면 8개의 VHTSIG 필드(VHTSIG1 내지 VHTSIG8)가 연달아 전송이 되어야 한다.
이때, MU-MIMO 전송의 대상 STA에 대하여 자신에게 전송되는 스트림이 어떤 것인지 알려주는 계층 색인 지시(layer index indication)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VHTSIG 필드는 복수의 MU-MIMO 전송 대상 STA들 중에서 어느 STA에 대한 제어정보인지를 지시하는 지시 비트(indication bit)을 포함할 수 있다.
LTF는 부호 다중화(code multiplexing) 되어 다수의 공간 스트림을 통하여 동시에 전송 된다. LTF의 개수는 LTF 직교성(orthogonality)을 주기 위하여 전송하는 LTF 개수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도 28의 예에서 LTFx로 표현하였다.
복수의 MU-MIMO 전송 대상 STA 각각에 대하여 자신을 위한 제어정보가 어느 VHTSIG 필드에 담겨 있는지 지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VHTSIG에 각 STA에 대한 제어정보 별로 구분 가능한 식별 신호(identification signal)를 추가하거나, VHTSIG의 CRC 패리티 비트(parity bit)에 STA를 구분 가능한 식별 값(identification value)을 비트 패턴 마스킹(bit pattern masking) (e.g. exclusive OR to parity bits)를 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식별 값/신호는 대상 STA의 MAC 주소(address) 또는 결합(association) ID가 될 수 있다.
VHTSIG 필드까지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와 이후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를 달리 할 수 있으며, VHTSIG 필드 이후에 전송되는 필드는 프리코딩 후 빔포밍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LCP 프레임 포맷의 일례이다. 도 29의 PLCP 프레임 포맷은 VHT GF PLCP 포맷으로, 기본적으로 도 28과 같다. 다만 레가시 STA에 대한 고려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레가시 STA을 위한 필드(L-STF, L-LTF, L-SIG 및 HT-SIG)는 생략될 수 있고, 모든 필드가 빔포밍 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LCP 프레임 포맷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0은 VHT mixed PLCP 프레임 포맷을 도 31은 VHT GF PLCP 프레임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30의 PLCP 프레임은 레가시 STA을 위한 필드(L-STF, L-LTF, L-SIG 및 HT-SIG)들은 전방향 전송되고 이후 각 STA에 대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VHTSIG 필드부터는 STA별로 빔포밍되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0의 VHT mixed PLCP 프레임 포맷에서 VHTSIG는 AGC 이득(gain)을 고려한 VHT-STF 전송 후 전송된다. 즉 HT-SIG와 VHT-SIG가 연이어 전송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도 28 및 도 29의 VHTSIG 필드가 오버랩(Overlapping)된 포맷과는 달리 MU-MIMO을 지원할 때 STA의 개수에 따라 VHTSIG 필드의 전송 기간(duration)이 달라지지 않는다. 또한 MU-MIMO 전송대상인 각 STA에 대해 AP가 제대로 빔(beam)(예를 들어 Block diagonalization기법을 이용)을 형성해 주면 총 스트림의 개수와는 상관없이 자신의 스트림만 볼 수 있기 때문에 다른 STA에 간섭(interference)을 받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각각의 STA은 MU-MIMO로 동작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없으며 단순히 자신이 적은 수의 공간 스트림을 이용한 SU-MIMO로 동작한다고 여긴다.
도 30 및 도 31의 예에서는 MU-MIMO을 위해 AP가 2개의 STA 를 페어링(pairing) 한 예이다. STA1은 스트림 3개를 전송 받고 채널 측정(channel measurement)을 위해 4개의 VHT-LTF를 전송 받는다. STA2는 스트림 2개를 전송 받고 채널 측정(channel measurement)을 위해 2개의 VHT-LTF를 전송 받는다.
이때 LTF 맵핑 행렬(mapping matrix) P는 수식5 내지 수식 6과 같이 주어질 수 있다.
수식 4는 2개의 LTF를 측정할 때, 수식 5는 3개의 LTF를 측정할 때, 수식 6은 4개의 LTF를 측정할 때 사용될 수 있는 LTF 맵핑 행렬의 일례이다.
Figure 112012018292010-pct00004
Figure 112012018292010-pct00005
Figure 112012018292010-pct00006
도 31은 VHT GF PLCP 프레임 포맷으로 도 30의 예에서 오버랩 되지 아니한(non-overlapping) 부분인 레가시 스테이션을 위한 필드가 생략된다. 또한 모든 필드가 프리코딩 되어 빔 포밍 전송되므로 ACG 이득 조정을 위한 VHT STF 필드의 전송이 생략될 수 있다.
도 30및 도 31의 예에서, AP가 5개 이상의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면 각 STA에 대한 빔이 서로에 대한 간섭없이 전송이 될 수 있다. 하지만 MU-MIMO 전송의 대상 STA의 총 RX의 숫자가 받을 수 있는 스트림의 개수보다 커지게 되면 빔이 제대로 형성이 되지 않기 때문에 성능 손실(performance loss)이 생길 수 있다. 일례로 AP가 4개의 스트림을 전송하는데 STA1이 3개의 Rx 안테나를, STA2가 2개의 Rx 안테나를 가지고 있는 상황을 가정하자. AP가 각 STA에 대하여 2개의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해 빔을 형성한다고 했을 때, STA1은 성능 손실을 겪게 된다.
여기서의 성능 손실은 다양한 요인에서부터 발생할 수 있다. AP에서 사용한 간섭 무효화 빔포밍(interference zero forcing beamforming)을 수행할 당시의 한정된 워드 길이 정밀성(finite word length precision)의 한계와 채널 계수 추정 에러(channel coefficient estimation error)에 의하여 정확하게 각 STA들에게 전송 신호가 서로에게 간섭으로 작용하지 아니하도록 전송되지 않을 것이다. (여기서 한정된 워드 길이 정밀성(Finite word length precision) 문제는 현대 무선 모뎀에서 신호 정보를 디지털로 양자화하면서 잃어버리는 정보로 인하여 생기는 문제를 지칭한다.) 또한 공간 간섭 누설(spatial interference leakage)이 있는 상태에서는 같은 시퀀스(sequence)로 구성되어 있는 서로 다른 STA를 위한 LTF에 의해서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이 잘못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데이터 복조(data demodulation)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아 성능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
한편 서로 다른 STA으로 부터 간섭이 들어온다고 할지라도 다른 STA의 스트림에 대한 LTF 지시(indication)를 자신의 VHTSIG 필드에 포함하고 있다면(혹은 자신의 LTF에 대한 지시를 VHTSIG 필드에 포함하고 있다면) 적당한 수신기(예를 들어 MMSE 수신기)를 이용하여 간섭을 무효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자신을 제외한 다른 STA의 LTF 지시를 VHTSIG 필드에 포함 시키는 방법을 제안 한다.
또한 서로 다른 STA을 위한 신호에 의하여 서로에게 간섭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LTF와 그 외의 신호 (e.g. STF, VHTSIG, 등)에 STA 특정적 스크램블링(scrambling) 으로 전송하는 시퀀스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송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인 실시의 예로 STA의 결합 ID(association ID)를 활용하여 스크램블링 코드(scrambling code)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STA 특정적 스크랭블링은 반드시 모든 STA 마다 다른 특정적 스크랭블링일 필요는 없으며, MU-MIMO 로 페어링되어 동시에 공간 다중화된 서로 다른 STA들을 위한 신호를 스크랭블링하기 위해 식별 가능한 정도만 있으면 된다.
이는 오버랩핑(overlapping)으로 구성되는 모든 기법(scheme)에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후에 제안되는 모든 PLCP 프레임 포맷에서 오버랩핑 기법(overlapping scheme) 포함이 된다면 특별한 언급이 없어도 필요에 의해 VHTSIG 필드에 관련 지시(indication)가 포함 될 수 있으며, LTF, STF, 그리고 SIG의 조합에 스크램블링이 걸릴 수 있다.
오버랩핑 기법은 VHTSIG의 심볼 기간(duration)이 STA의 수에 따라 가변 되지 않아 적당한 오버해드(overhead)를 유지할 수 있고 비 오버랩핑 기법(non-overlapping scheme)은 MU-MIMO을 위해 페어링된 STA이 자신에서 할당된 스트림을 알 수 있다는 가정하에 전송된 모든 VHT-LTF를 이용해 필요한 공간 스트림을 검출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장점들을 최대한 살려 VHTSIG는 오버랩핑으로 VHT-LTF는 비-오버랩핑(non-overlapping)으로 전송하는 PLCP 프레임 포맷을 제안한다.
도 32 내지 도 35는 VHTSIG는 오버랩핑으로 VHT-LTF는 비-오버랩핑으로 전송하는 PLCP 프레임 포맷의 일례이다. 도 32 및 도 33은 VHTSIG에 곱해지는 빔포밍 행렬과 VHT-LFT에 곱해지는 빔포밍 행렬이 다를 때 AGC 이득 조정을 위한 VHT-STF가 VHT-LTF전에 필요한 경우의 예시이다. 도 34 및 도 35는 VHTSIG와 VHT-LTF가 동일한 빔포밍 행렬에 의해 빔 형성되어 전송되는 경우로 VHT-LTF전송 전에 VHT-STF가 필요 없는 경우이다. 도 32 및 도 34는 VHT mixed PLCP 프레임 포맷의 일례이며, 도 33 및 도 35는 VHT GF PLCP 프레임 포맷의 일례이다.
도 32 내지 도 35의 예에서는 수신 STA이 VHTSIG 필드를 검출하기 전까지 RX 안테나 한 개가 켜져 있다고 가정한다. 수신 STA은 VHT-LTF로 VHTSIG를 측정하고, VHT-SIG 필드를 읽어 자신이 사용하는 스트림이 어떤 것인지 혹은 총 스트림 개수가 몇 개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한편 VHT-SIG를 읽기 전까지는 하나의 안테나로 가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Rx의 개수가 많음으로써 얻을 수 있는 다이버시티 이득(diversity gain)을 얻지 못 할 수 있다.
도 36 및 도 37은 common VHTSIG 필드를 도입한 PLCP 프레임 포맷을 나타낸다.
도 36은 VHT minxed PLCP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도 37은 VHT GF PLCP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6 및 도 37의 PCLP 프레임은 공통 제어 정보를 담고 있는 VHTSIGc 필드를 포함한다. VHTSIGc는 common VHTSIG 필드로서, STA1, STA2에 대한 공통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VHTSIGc 필드는 전방향 전송되어 모든 STA들이 VHTSIGc 필드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VHTSIGc 필드에는 각 STA에게 할당된 스트림을 지시하는 정보, 총 스트림 수 등 모든 STA에게 공통적으로 알리는 정보가 포함되어 각 STA에게 통해 전달된다. VHTSIGc와 VHT-LTF를 비-오버랩핑방식으로 전송 한다. 이어 각 STA에 대한 개별화된 제어 정보를 담고 있고 VHTSIG1, VHTSIG2 필드를 오버랩핑 방식으로 전송한다.
상술한 여러 실시예에서 오버랩핑 방법으로 필드를 구성하여 각각의 STA에 동시에 전송할 때, 정상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각 STA방향으로 빔이 잘 형성이 되어 STA입장에서는 SU-MIMO로 보이도록 해야 한다. 즉 한 STA입장에서는 다른 STA에서의 LTF등이 간섭으로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STA들에 대한 존재 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어떠한 이유에서건 다른 STA들에 의해 간섭을 받게 되면 자신에 할당된 필드와 다른 STA들에 할당된 필드의 구분이 쉽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 내지 도 35의 PLCP 프레임 포맷에 의한 경우 STA1에는 VHT-LTF가 P 행렬에 의해 3개의 VHT-LTF가 오버랩핑되어 전송되고 STA2에는 VHT-LTF가 p 행렬에 의해 2개의 VHT-LTF가 오버랩핑 되어 전송된다. 이때, SU-MIMO만을 지원하는 802.11n 시스템에서 LTF OFDM symbol은 {-1, 1}로 구성된 고정된 패턴(fixed pattern)으로 주어져 있기 때문에 STA1의 VHT-LTF와 STA2의 VHT-LFT는 같은 패턴의 OFDM 심볼을 갖게 되다. 이상적인 빔이 형성되면 STA1에서는 3개의 VHT-LTF가 STA2에서는 2개의 VHT-LTF가 보여야 하지만 어떠한 원인 때문에 STA1에서 STA2의 VHT-LFT가 검출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개의 VHT-LTF가 STA1에서 다 보일 수 있는데, 이런한 경우에 STA1 입장에서는 특별한 지시 방법이 지원되지 않는 한 간섭으로 들어온 VHT-LTF를 가려낼 방법이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STA이 자신을 위한 VHT-LTF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MU-MIMO를 지원하기 위해 각각의 STA에 전송되는 LTF/VHTSIG 등 필드에 스크램블링 코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각 STA에 사용되는 시퀀스는 서로 직교(orthogonal) 하거나 적어도 좋은 상관(correlation) 특성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STA은 간섭으로 작용하는 다른 STA을 위한 LTF 또는 VHTSIG를 수신하여도 자신을 위한 LTF 또는 VHTSIG와 구분해 낼 수 있으며 간섭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초기화 할 때 STA ID 또는 STA ID와 대체 가능한 ID(e.g. association ID(AID))를 이용하거나, STA 임시 넘버링(temporary numbering) 등을 이용할 수 있다. STA 임시 넘버링을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각 STA에 넘버링을 하여 그 값으로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초기화한 후 오버랩핑 되는 필드에 적용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장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장치(3800)는 AP 또는 non-AP 스테이션일 수 있다.
무선장치(3800)은 프로세서(3810), 메모리(3820) 및 송수신기(3830)를 포함한다. 송수신기(3830)는 무선신호를 송신/수신하되, IEEE 802.11의 물리계층이 구현된다. 송수신기(630)는 다중 안테나를 통해 MIMO 전송을 지원한다. 프로세서(3810)는 송수신기(3830)와 연결되어, IEEE 802.11의 MAC 계층 및 물리계층을 구현한다. 프로세서(3810)가 전술한 방법 중 전송 스테이션의 동작을 처리할 때, 무선장치(3800)는 전송 스테이션이 된다. 프로세서(3810)가 전술한 방법 중 수신 스테이션의 동작을 처리할 때, 무선장치(3800)는 수신 스테이션이 된다.
프로세서(3810)에 구현된 전송 스테이션의 PLCP 부계층에서는 상술한 PLCP 프레임 포맷에 기반하여 MAC 계층에서 전송된 PSDU에 PLCP 프리앰블을 붙여 프로세서(3810) 또는 송수신기(3830)에 구현된 PMD 부계층으로 보낸다. PMD 부계층에서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해 PLCP 프레임을 상술한 PLCP 프레임 포맷의 필드별 전송방법에 기반하여 송수신기(3830)를 통하여 PLCP 프레임을 전송한다. 수신 스테이션의 프로세서(3810)에 구현된 수신 스테이션의 PLCP 부계층에서는 상술한 PLCP 프레임 포맷에 기반하여 PLCP 프리앰블를 제거하고 PSDU를 수신 스테이션의 프로세서(3810)에 구현된 MAC 계층으로 보낸다.
프로세서(3810) 및/또는 송수신기(383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82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382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38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3820)는 프로세서(381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38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무선랜 시스템에서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VHTSIG-A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시퀀스(sequence)를 생성하는 제1 제어 시퀀스 생성단계;
    VHTSIG-B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2 제어 시퀀스 생성단계; 및,
    상기 제1 제어 시퀀스, 상기 제2 제어 시퀀스 및 데이터 시퀀스를 포함하는 데이터 유닛을 복수의 대상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VHTSIG-A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대상 스테이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각 대상 스테이션에 대한 공간 스트림(spatial stream)의 수를 지시하는 공간 스트림 개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VHTSIG-B 제어 정보는 상기 각 대상 스테이션에 개별적으로 수신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유닛 전송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상 스테이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공간 스트림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VHTSIG-B 제어 정보의 수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유닛 전송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 시퀀스를 변조하여 제1 시간 영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 시퀀스를 변조하여 제2 시간 영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시퀀스를 변조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 영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시간 영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간 영역 신호 생성단계는 제2 제어 시퀀스를 변조하는 것에 앞서 프리코딩(precoding)된 제2 제어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제어 시퀀스에 MU-MIMO(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조정행렬(steering matrix)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유닛 전송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VHTSIG-B 제어정보는 상기 전송 단계에서 사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지시하는 MCS 인덱스(index)를 포함하는 데이터 유닛 전송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VHTSIG-A 제어정보는 채널 대역폭을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유닛 전송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VHTSIG-B 제어정보를 구성하는 비트(bit)의 수는 상기 VHTSIG-A 제어정보를 구성하는 비트의 수 보다 큰 데이터 유닛 전송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VHTSIG-A 제어정보를 구성하는 비트(bit)의 수는 24이고 상기 VHTSIG-B 제어정보를 구성하는 비트(bit)의 수는 적어도 26인 데이터 유닛 전송방법.
  8.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무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VHTSIG-A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시퀀스(sequence)를 생성하는 제1 제어 시퀀스 생성단계;
    VHTSIG-B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2 제어 시퀀스 생성단계; 및
    상기 제1 제어 시퀀스, 상기 제2 제어 시퀀스 및 데이터 시퀀스를 포함하는 데이터 유닛을 복수의 대상 스테이션들에게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수행하도록 설정되되,
    상기 제1 VHTSIG-A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대상 스테이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각 대상 스테이션에 대한 공간 스트림(spatial stream)의 수를 지시하는 공간 스트림 개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VHTSIG-B 제어 정보는 상기 각 대상 스테이션에 개별적으로 수신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상 스테이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공간 스트림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VHTSIG-B 제어 정보의 수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 시퀀스를 변조하여 제1 시간 영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 시퀀스를 변조하여 제2 시간 영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시퀀스를 변조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 영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시간 영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간 영역 신호 생성단계는 제2 제어 시퀀스를 변조하는 것에 앞서 프리코딩(precoding)된 제2 제어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제어 시퀀스에 MU-MIMO(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조정행렬(steering matrix)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VHTSIG-B 제어정보는 상기 전송 단계에서 사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지시하는 MCS 인덱스(index)를 포함하는 무선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VHTSIG-A 제어정보는 채널 대역폭을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VHTSIG-B 제어정보를 구성하는 비트(bit)의 수는 상기 VHTSIG-A 제어정보를 구성하는 비트의 수 보다 큰 무선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VHTSIG-A 제어정보를 구성하는 비트(bit)의 수는 24이고 상기 VHTSIG-B 제어정보를 구성하는 비트(bit)의 수는 적어도 26인 무선 장치.
KR1020127005990A 2009-09-09 2010-09-08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장치 KR101317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4065809P 2009-09-09 2009-09-09
US61/240,658 2009-09-09
US24316009P 2009-09-17 2009-09-17
US61/243,160 2009-09-17
US25963409P 2009-11-09 2009-11-09
US61/259,634 2009-11-09
US30368410P 2010-02-12 2010-02-12
US61/303,684 2010-02-12
US30742910P 2010-02-23 2010-02-23
US61/307,429 2010-02-23
KR1020100022225 2010-03-12
KR1020100022225A KR20110027533A (ko) 2009-09-09 2010-03-12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100040588 2010-04-30
KR1020100040589A KR20110027539A (ko) 2009-09-09 2010-04-30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제어신호 전송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0100040588A KR20110030272A (ko) 2009-09-17 2010-04-30 프레임 전송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0100040589 2010-04-30
US34922010P 2010-05-28 2010-05-28
US61/349,220 2010-05-28
PCT/KR2010/006093 WO2011031058A2 (en) 2009-09-09 2010-09-08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la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622A KR20120055622A (ko) 2012-05-31
KR101317570B1 true KR101317570B1 (ko) 2013-10-11

Family

ID=439343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225A KR20110027533A (ko) 2009-09-09 2010-03-12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127005990A KR101317570B1 (ko) 2009-09-09 2010-09-08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225A KR20110027533A (ko) 2009-09-09 2010-03-12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8675597B2 (ko)
EP (3) EP2476212B1 (ko)
JP (1) JP5529969B2 (ko)
KR (2) KR20110027533A (ko)
CN (2) CN102484522B (ko)
AU (1) AU2010293217B2 (ko)
CA (1) CA2771605C (ko)
ES (1) ES2620230T3 (ko)
HU (1) HUE032733T2 (ko)
MX (1) MX2012002204A (ko)
PL (2) PL3116142T3 (ko)
RU (1) RU2531371C2 (ko)
WO (1) WO201103105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866A (ko) * 2014-09-03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트레이닝 필드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009394A1 (en) * 2016-07-08 2018-01-11 Intel IP Corporation Single user and multi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beamform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71879B1 (en) 2007-07-18 2019-06-19 Marvell World Trade Ltd. Access point with simultaneous downlink transmission of independent data for multiple client stations
US8149811B2 (en) 2007-07-18 2012-04-03 Marvell World Trade Ltd. Wireless network with simultaneous uplink transmission of independent data from multiple client stations
US8982889B2 (en) 2008-07-18 2015-03-17 Marvell World Trade Ltd. Preamble designs for sub-1GHz frequency bands
US9077594B2 (en) 2009-07-23 2015-07-07 Marvell International Ltd. Coexistence of a normal-rate physical layer and a low-rate physical layer in a wireless network
US8837524B2 (en) 2011-08-29 2014-09-16 Marvell World Trade Ltd. Coexistence of a normal-rate physical layer and a low-rate physical layer in a wireless network
US8976674B2 (en) * 2009-09-21 2015-03-10 Mediatek Inc. Method and system to detect packets of different formats
US8891592B1 (en) * 2009-10-16 2014-11-18 Marvell International Ltd. Control physical layer (PHY) data unit
EP2491663B1 (en) * 2009-10-23 2015-07-29 Marvell World Trade Ltd. Training sequence indication for WLAN
KR101785712B1 (ko) 2009-10-23 2017-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 시스템에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21671B1 (ko) 2009-10-26 2017-03-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모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모드 자동 검출 방법, 상기 패킷 모드 자동 검출을 위한 시그널 필드 전송방법 및 상기 패킷 모드에 기반한 이득 제어 방법
JP5380606B2 (ja) 2009-10-30 2014-01-08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ド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チチュート マルチユーザ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及びトレーニングシンボル送信方法
US8325644B2 (en) * 2009-11-06 2012-12-04 Qualcomm Incorporated Mixed mode preamble design for signaling number of streams per client
KR101559295B1 (ko) * 2009-12-04 201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 분할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
BR112012015425A2 (pt) * 2009-12-21 2016-03-15 Ericsson Telefon Ab L M modulação de dados
KR20110082685A (ko) * 2010-01-12 201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사용자 다중 입출력 시스템의 프리엠블 생성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채용된 데이터 전송 장치와 단말
US20110176631A1 (en) * 2010-01-19 2011-07-21 Ralink Technology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for mimo communication system
RU2521620C2 (ru) * 2010-01-29 2014-07-1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потока применительно к mu-mimo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локальной сети
KR101638917B1 (ko) * 2010-02-09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ppdu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13522949A (ja) * 2010-03-11 2013-06-13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ド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チチュート Mimo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PL3393053T3 (pl) * 2010-03-12 2022-09-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posób i urządzenie do nadawania i odbierania danych w systemie MIMO
CN102196582B (zh) * 2010-03-17 2014-04-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输入多输出波束赋形系统的下行资源调度方法及发送端
US8718169B2 (en) 2010-06-15 2014-05-06 Qualcomm Incorporated Using a field format on a communication device
EP2600536B1 (en) * 2010-07-01 2017-05-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a mimo packet in a wireless lan system
US9094175B2 (en) 2010-07-16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by using signal field of preamble
US20120140842A1 (en) * 2010-12-06 2012-06-07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to protect advanced receiver performanc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s)
KR101760333B1 (ko) * 2011-03-02 2017-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전송에서 그룹 아이디 관리를 위한 타겟 단말 및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US9008677B2 (en) * 2011-06-08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devices for multiple group communications
WO2012173326A1 (en) * 2011-06-15 2012-1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nit based on uplink multiple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40053128A (ko) 2011-06-24 2014-05-07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055457B2 (en) * 2011-08-25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parameters for very high throughput transmission
KR101883892B1 (ko) * 2011-10-13 2018-08-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2772034B1 (en) 2011-10-27 2017-05-24 Marvell World Trade Ltd. Data unit format signalling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EP2781038B1 (en) * 2011-11-16 2018-04-25 Marvell World Trade Ltd. Frequency duplication mode for us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US8767873B2 (en) * 2011-12-02 2014-07-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over a plurality of frequencies and streams
US9071489B2 (en) * 2011-12-07 2015-06-3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ambl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9088504B2 (en) * 2012-01-06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long data units
US9246738B2 (en) 2012-01-13 2016-01-26 Marvell World Trade Ltd. Single user and multi-user data unit formats in long-range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US9882614B2 (en) * 2012-02-06 2018-01-30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wireless apparatus
US8811507B2 (en) 2012-04-09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sub gigahertz bands
EP3367586A1 (en) * 2012-05-09 2018-08-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nd wireless transmit and receive units
CN103391156B (zh) * 2012-05-11 2016-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控制信息的传输方法及通信设备
CN103684662A (zh) * 2012-09-10 2014-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与装置
US9720627B2 (en) * 2013-01-17 2017-08-01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ata management for a data storage device
US20140254389A1 (en) * 2013-03-05 2014-09-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wireless communications
CN105122754B (zh) 2013-04-19 2018-10-19 Lg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信号字段的方法及其装置
US9398123B2 (en) * 2013-05-03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ggregation of physical protocol data units on a wireless network
US9516634B2 (en) 2013-05-03 2016-12-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ownlink frequency domain multiplexing transmissions
US8867642B1 (en) 2013-09-30 2014-10-21 Communication Systems LLC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mmunication
WO2015073437A1 (en) * 2013-11-12 2015-05-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high efficiency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s
US9544914B2 (en) 2013-11-19 2017-01-10 Intel IP Corporation Master station and method for HEW communication using a transmission signaling structure for a HEW signal field
CN108494538B (zh) 2013-11-19 2021-11-16 英特尔公司 无线局域网中用于多用户调度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US9325463B2 (en) * 2013-11-19 2016-04-26 Intel IP Corporation High-efficiency WLAN (HEW) master station and methods to increase information bits for HEW communication
CN104683058B (zh) * 2013-11-28 2019-11-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帧发送方法、装置及基站
KR101721293B1 (ko) * 2013-12-31 2017-04-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을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371538B (zh) 2014-01-28 2023-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通信设备
US9641651B2 (en) 2014-03-06 2017-05-02 Apple Inc. Backward compatible L-LTF design for implementation friendly preamble
CN106031123A (zh) * 2014-03-28 2016-10-12 英特尔Ip公司 上行链路mu-mimo中的改进信令字段
KR102262183B1 (ko) * 2014-04-04 2021-06-07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수신 확인 방법 및 다중 사용자 전송 방법
JPWO2015182372A1 (ja) * 2014-05-26 2017-04-20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20150365257A1 (en) * 2014-06-12 2015-12-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OFDMA Resource Allocation
ES2951495T3 (es) 2014-06-12 2023-10-23 Huawei Tech Co Ltd Sistema y método para la asignación de tonos OFDMA en Redes Wi-Fi de próxima generación
WO2015199306A1 (ko) * 2014-06-26 2015-12-30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162156B1 (en) * 2014-06-27 2020-04-22 Techflux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unit
US10412744B2 (en) * 2014-08-21 2019-09-10 Lg Electronics Inc. Data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160065467A1 (en) * 2014-08-29 2016-03-03 Mediatek Inc. Configurable Signaling Field and its Indication
JP6827412B2 (ja) * 2014-09-12 2021-02-10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wlan)システムにおける同時送信のためのプリアンブル選択
US9838513B2 (en) 2014-09-19 2017-12-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acket acquisition in mixed-rat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N105517157A (zh) * 2014-09-24 2016-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局域网中上行多用户数据传输方法、系统及站点
JP2017532884A (ja) 2014-09-25 2017-11-02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関連装置
US10454733B2 (en) 2014-10-05 2019-10-22 Lg Electronics Inc. Preamble sequence generation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CN105024783B (zh) * 2014-10-08 2019-03-15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络通信方法、相关装置及系统
EP3934139A1 (en) * 2014-10-08 2022-0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US9974053B2 (en) 2014-10-09 2018-05-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wireless resources according to resource allocation setting in WLAN
EP3200418B1 (en) * 2014-10-20 2022-09-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signall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
CN104283642B (zh) * 2014-10-22 2018-07-2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无线局域网中发布服务集标识ssid的方法及装置
US20160119927A1 (en) * 2014-10-24 2016-04-28 Newracom, Inc. Ofdma resource assignment rules to achieve robustness
US20160128048A1 (en) * 2014-10-29 2016-05-05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channel on plcp service data unit (psdu) tones
KR102537595B1 (ko) * 2014-11-26 2023-06-01 아틀라스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무선랜에서 다중 사용자 전송 방법
WO2016089003A1 (ko) * 2014-12-05 2016-06-09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pdu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063292B2 (en) * 2015-02-02 2018-08-28 Qualcomm Incorporated Multi-user operation management
CN107210987B (zh) 2015-02-04 2020-06-30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用于多用户发送和接收的方法及其装置
US9955469B2 (en) * 2015-02-27 2018-04-24 Intel Corporation Joint encod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allocation information
CN105991179A (zh) * 2015-03-04 2016-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道状态信息的方法和装置
US9647736B1 (en) * 2015-03-05 2017-05-09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Compressed training for massive MU-MIMO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998185B2 (en) * 2015-03-27 2018-06-12 Newracom, Inc. Aggreg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user MIMO or OFDMA operation
WO2016175329A1 (ja) 2015-04-30 2016-11-03 株式会社 東芝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6175328A1 (ja) 2015-04-30 2016-11-03 株式会社 東芝 無線通信装置
JP6616429B2 (ja) 2015-05-05 2019-12-04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物理層プロトコルデータユニットの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6664124B2 (ja) * 2015-06-03 2020-03-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集約物理層プロトコルデータユニットの伝送装置および伝送方法
US10104658B2 (en) 2015-06-12 2018-10-16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control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594682B2 (ja) * 2015-07-09 2019-10-23 Kddi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DE112016003210B4 (de) 2015-07-16 2021-05-27 Communication Systems LLC Einrichtungen, verfahren und computerlesbares medium zur kommunikation in einem drahtlosen lokalen netzwerk
WO2017011569A1 (en) 2015-07-16 2017-01-19 Atefi Ali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O2017023135A1 (ko) * 2015-08-06 201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이진 시퀀스를 사용하여 st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027479A1 (en) 2015-08-07 2017-02-16 Newracom, Inc.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user transmissions in wlan systems
CN113162746A (zh) 2015-08-26 2021-07-23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he-ltf序列的方法和装置
CN106559886A (zh) * 2015-09-28 2017-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传输控制信息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9832058B2 (en) * 2015-11-03 2017-11-28 Newraco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crambling control field inform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N109462560B (zh) 2015-11-23 202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数据传输方法和装置
US10560945B2 (en) * 2016-01-15 2020-02-11 Qualcomm Incorporated Mode indication for wireless devices
US11330465B2 (en) 2016-05-11 2022-05-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frame
CN107592142B (zh) * 2016-07-08 2021-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估计序列的传输方法和装置
CN107682065B (zh) * 2016-08-02 2020-08-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EP3484056A4 (en) * 2016-08-11 2019-06-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TRANSMISSION PROCEDURE, BASIC STATION AND USER DEVICE
US10873482B2 (en) 2017-10-18 2020-12-22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ter schemes to facilitate side channel information estimation
RU2691384C1 (ru) * 2018-07-23 2019-06-1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нцерн "Созвездие"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широкополосными сигналами
US11736245B2 (en) * 2019-01-04 2023-08-22 Mediatek Inc. Enhanced spatial reus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11224046B2 (en) 2019-11-28 2022-01-11 Ali Atefi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230117111A1 (en) * 2021-10-15 2023-04-20 Mediatek Inc. Coverage Enhancement For 6GHz Long 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801A (ko) * 2001-08-13 200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공용 물리 채널 상태에따른 송신 안테나 빔 패턴 할당 방법
KR20070084289A (ko) * 2004-11-16 2007-08-24 에이저 시스템즈 인크 수신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수신기
KR20080025153A (ko) * 2005-06-16 2008-03-1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협상된 채널 정보 보고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77365A1 (en) * 2000-03-23 2003-01-22 Siemens Mobile Communications S.p.A. Access channel scheduling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754552B1 (ko) 2001-12-28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고속 공통 제어 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7082451B2 (en) * 2002-09-09 2006-07-25 Freescale Semiconductor, Inc. Reconfigurable vector-FFT/IFFT, vector-multiplier/divider
US8483105B2 (en) * 2003-10-15 2013-07-09 Qualcomm Incorporated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US8842657B2 (en) * 2003-10-15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with legacy system interoperability
US9473269B2 (en) 2003-12-01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fficient control channel struc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474608B2 (en) * 2004-01-12 2009-01-06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signaling information by modifying modulation constellations
KR100929091B1 (ko) 2004-02-14 2009-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US7570621B2 (en) * 2004-03-31 2009-08-0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rroneous frame classifications
KR100643299B1 (ko) * 2005-06-09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무선 네트워크에서 레거시 방식의 데이터를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TW200705901A (en) 2005-06-09 2007-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down compatibility in high throughput wireless network
US8428882B2 (en) 2005-06-14 2013-04-23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Method of processing and/or genome mapping of diTag sequences
US7742390B2 (en) 2005-08-23 2010-06-22 Ager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long preamble formats in a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20070097930A1 (en) * 2005-10-27 2007-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implementing the Multi-MCS-Multi-Receiver Aggregation'' scheme in IEEE 802.11n standard
BRPI0620593A2 (pt) 2006-01-10 2011-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étodo de modulação de multiportadoras e dispositivos de transmissão e de recepção que usam o método
KR101345637B1 (ko) 2006-01-18 2013-12-3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기지국, 통신단말, 송신방법 및 수신방법
KR100819285B1 (ko) * 2006-03-16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피드 백 정보 송/수신방법 및 그 시스템
US8059609B2 (en) 2006-03-20 2011-11-15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to support single-user and multi-user MIMO transmission
US20090291702A1 (en) 2006-03-24 2009-11-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US8787841B2 (en) * 2006-06-27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eamforming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80031191A1 (en) * 2006-08-01 2008-02-07 Nokia Corporation Shared control channel structure for multi-user MIMO resource allocation
KR100899744B1 (ko) 2006-09-11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80080635A1 (en) 2006-10-02 2008-04-03 Nokia Corporation Advanced feedback signaling for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s
KR101088191B1 (ko) * 2006-10-31 2011-11-3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역방향 링크 전송들을 위한 동적 simo, su-simo 및 mu-mimo 동작에 대한 통합 설계 및 중앙집중형 스케줄링
WO2008093619A1 (ja) 2007-01-29 2008-08-07 Panasonic Corporation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再送制御方法
US8223734B2 (en) * 2007-02-14 2012-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orward shared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382894B1 (ko) 2007-03-12 201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방법
US20090031185A1 (en) * 2007-07-23 2009-01-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ybrid arq systems and methods for packet-based networks
US7907677B2 (en) * 2007-08-10 2011-03-15 Intel Corporation Open loop MU-MIMO
US7940723B2 (en) * 2007-10-29 2011-05-10 Intel Corporation Dynamic/static transport channel to physical channel mapping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s
US8422465B2 (en) * 2007-12-17 2013-04-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high through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 method thereof, and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the same
CN101527591A (zh) 2008-03-07 2009-09-09 富士通株式会社 子信道模式选择方法和应用该方法的mimo通信系统
US8077802B2 (en) * 2008-03-17 2011-12-13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8417191B2 (en) * 2008-03-17 2013-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beamforming communication in high through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233939B2 (en) 2008-03-31 2012-07-31 Intel Corporation Multiuser sector micro diversity system
US20090323849A1 (en) 2008-06-30 2009-12-3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417084B1 (ko) 2008-07-02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기준신호 전송 방법
US8274903B2 (en) * 2008-08-20 2012-09-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a base channel and a 60 GHz channel
US8867565B2 (en) * 2008-08-21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MIMO and SDMA signaling for wireless very high throughput systems
US8274937B2 (en) * 2008-08-26 2012-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in OFDM wireless system
US9569528B2 (en) 2008-10-03 2017-02-14 Ab Initio Technology Llc Detection of confidential information
US9655002B2 (en) 2009-04-13 2017-05-16 Marvell World Trade Ltd. Physical layer frame format for WLAN
US9485783B2 (en) * 2009-05-07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multichannel access for very high throughput
US8437440B1 (en) 2009-05-28 2013-05-07 Marvell International Ltd. PHY frame formats in a system with more than four space-time streams
US20100329236A1 (en) * 2009-06-26 2010-12-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user uplink requiring minimal station timing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US8761033B2 (en) * 2009-06-29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tation request messaging
US8885551B2 (en) * 2009-07-06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Multiuser scheduling in WLAN systems
US8599804B2 (en) 2009-08-07 2013-12-03 Broadcom Corporation Distributed signal field for communications within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US9503931B2 (en) 2009-08-12 2016-11-22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ments to the MU-MIMO VHT preamble to enable mode det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801A (ko) * 2001-08-13 200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공용 물리 채널 상태에따른 송신 안테나 빔 패턴 할당 방법
KR20070084289A (ko) * 2004-11-16 2007-08-24 에이저 시스템즈 인크 수신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수신기
KR20080025153A (ko) * 2005-06-16 2008-03-1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협상된 채널 정보 보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866A (ko) * 2014-09-03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트레이닝 필드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81693B1 (ko) 2014-09-03 2019-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트레이닝 필드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0567046B2 (en) 2014-09-03 2020-02-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training field in wireless LAN
WO2018009394A1 (en) * 2016-07-08 2018-01-11 Intel IP Corporation Single user and multi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beamforming
US10284275B2 (en) 2016-07-08 2019-05-07 Intel IP Corporation Single user and multi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beamfor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2106892A (ru) 2013-10-20
WO2011031058A3 (en) 2011-07-14
EP3386114A1 (en) 2018-10-10
EP3116142A1 (en) 2017-01-11
EP3386114A8 (en) 2018-12-12
KR20110027533A (ko) 2011-03-16
CA2771605A1 (en) 2011-03-17
US20140140311A1 (en) 2014-05-22
EP2476212A2 (en) 2012-07-18
ES2620230T3 (es) 2017-06-28
AU2010293217A1 (en) 2012-03-15
EP2476212B1 (en) 2017-02-15
EP3386114B1 (en) 2021-05-12
US9065502B2 (en) 2015-06-23
KR20120055622A (ko) 2012-05-31
CA2771605C (en) 2016-01-19
US20120127940A1 (en) 2012-05-24
US8675597B2 (en) 2014-03-18
EP2476212A4 (en) 2014-07-02
EP3116142B1 (en) 2018-11-14
CN102484522B (zh) 2014-12-17
JP5529969B2 (ja) 2014-06-25
PL3116142T3 (pl) 2019-05-31
JP2013504248A (ja) 2013-02-04
AU2010293217B2 (en) 2014-08-07
CN104378149A (zh) 2015-02-25
WO2011031058A2 (en) 2011-03-17
RU2531371C2 (ru) 2014-10-20
CN104378149B (zh) 2018-02-02
HUE032733T2 (en) 2017-10-30
CN102484522A (zh) 2012-05-30
PL2476212T3 (pl) 2017-07-31
MX2012002204A (es) 201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570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장치
US97490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LAN system
US101233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very high throughput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CA2773681C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training signa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100275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un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02240B2 (en) Method of oper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KR101541555B1 (ko) Vht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plcp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10027539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제어신호 전송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10030272A (ko) 프레임 전송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ES2702389T3 (es) Método y aparato para transmitir información de control en un sistema WL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