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364B1 -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공법 및 장비 - Google Patents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공법 및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364B1
KR101317364B1 KR1020120110225A KR20120110225A KR101317364B1 KR 101317364 B1 KR101317364 B1 KR 101317364B1 KR 1020120110225 A KR1020120110225 A KR 1020120110225A KR 20120110225 A KR20120110225 A KR 20120110225A KR 101317364 B1 KR101317364 B1 KR 101317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olidifying agent
reinforcing
valve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균영
김일곤
구본효
최차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초석건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초석건설산업(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11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02D3/126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nd mixing by rotating bla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04B18/142Steelmaking slags, converter sla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46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in situ by forcing bonding agents into gravel fillings or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7/00Drilling rods or pipes; Flexible drill strings; Kellies; Drill collars; Sucker rods; Cables; Casings; Tub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날개가 하부에 구비된 로드를 지중에 관입하는 공정(1)과, 설계 심도까지 관입한 로드를 역회전시켜 상부방향으로 인발하는 공정(2)과, 상기 로드의 인발과 동시에 고화제(A)를 공급하여 연약지반과 혼합시켜 지중에 파일을 시공하는 공정(3)으로 이루어지는 심층혼합처리공법에 있어서, 인발하는 로드가 취약심도 및 표층에 위치할 경우 고화제(A)를 차단하고 강화 고화제(B)를 공급하여 취약심도 및 표층을 강화시키는 공정(4)을 포함하는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공법 및 육상 또는 해상 전용장비(1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리더(11)와, 상기 리더(11)를 따라서 승하강하되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지중으로 관입 또는 인발하기 위한 로드(12)와, 상기 로드(12)의 하단에 설치되는 교반날개(13)와, 상기 로드(12)의 내부로 고화제(A)를 공급하여 로드(12)의 하부 또는 교반날개(13)의 일측으로 고화제(A)를 분사시키기 위한 고화제 공급플랜트(200)로 이루어지는 심층혼합처리장비에 있어서, 상기 로드(12)의 상부 일측에는 고화제 개폐밸브(100)가 마련되고,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의 일측에는 상기 고화제 공급플랜트(200)가 연결되며,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의 타측에는 강화 고화제(B)를 공급하기 위한 강화 고화제 공급플랜트(300)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장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연경도에 따라서 고화제 또는 강화 고화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표층 및 취약심도를 강화시켜 연속적인 고강도의 파일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취약심도 및 표층에서 발생하는 슬라임의 분산을 최소화하여 부실시공 및 환경오염의 원인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취약심도 및 표층으로 확산되는 슬라임의 처리에 필요한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공정 및 구조가 간단하여 활용범위 및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공법 및 장비{Surface and Vulnerable depth reinforce deep cement mixing method and equipment}
본 발명은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공법 및 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의 연경도에 따라서 고화제 또는 강화 고화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연약지반의 취약심도 및 표층을 강화시키고 연속적인 고강도의 파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공법 및 장비(Surface and vulnerable depth reinforce Deep Cement Mixing, "S-DCM"이라 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층혼합처리공법 및 장비는 석회석, 시멘트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화제(안정제, 경화제)와 연약지반을 혼합하여 화학적으로 고체화시켜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연약지반과 고화제가 혼합하면서 발생하는 수화반응을 통해서 물리적, 화학적으로 고형화된 파일(지중구조체)을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심층혼합처리공법은 1976년부터 일본 운수성 항만 기술연구소에 의해서 개발연구가 추진되어 1970년대 이후부터 석회석, 시멘트 등의 고화제를 이용한 공법이 실용화되어 현재 국내에서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공법으로 널리 시공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심층혼합처리공법은 로드를 지중에 관입하는 공정과, 설계 심도까지 관입한 로드를 역회전시켜 상부방향으로 인발하는 공정과, 상기 로드의 인발과 동시에 지반에 고화제를 주입하면서 연약지반과 혼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4285호(2009.02.18), 제10-0940802호(2010.02.05), 제10-0870722호(2008.11.27)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지중과 표층의 연경도(무른 상태)에 관계없이 한 종류의 고화제를 공급하여 파일을 시공하고 있으나, 이는 무른 상태인 표층 및 취약심도의 경우에는 시멘트의 함량이 부족하여 로드와 교반날개가 회전하면서 슬라임이 주변으로 쉽게 확산되면서 시공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표층 및 취약심도의 주변으로 슬라임이 확산되면서 불필요하게 대량의 고화제를 공급해야 하므로 자원낭비는 물론 슬라임의 제거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등 작업시간의 지연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강성의 확보가 반드시 필요한 표층 및 취약심도에 파일을 균일하게 시공할 수 없으므로 부실시공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슬라임이 표층 및 취약심도의 주변으로 확산되면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연경도에 따라서 고화제 또는 강화 고화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표층 및 취약심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공법 및 장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층 및 취약심도의 주변으로 슬라임 확산을 최소화하여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공법 및 장비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공법은,
교반날개가 하부에 구비된 로드를 지중에 관입하는 공정(1)과, 설계 심도까지 관입한 로드를 역회전시켜 상부방향으로 인발하는 공정(2)과, 상기 로드의 인발과 동시에 고화제(A)를 공급하여 연약지반과 혼합시켜 지중에 파일을 시공하는 공정(3)으로 이루어지는 심층혼합처리공법에 있어서,
인발하는 상기 로드가 취약심도 및 표층에 위치할 경우 고화제(A)를 차단하고 강화 고화제(B)를 공급하여 취약심도 및 표층을 강화시키는 공정(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4공정은 시공 전에 측정된 연약지반의 연경도에 따라서 고화제(A) 또는 강화 고화제(B)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강화 고화제(B)는 시멘트, 코크스, 생석회, 플라이애시, 무수석고, 골재, 모래, 고로 슬래그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장비는,
육상 또는 해상 전용장비(1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리더(11)와, 상기 리더(11)를 따라서 승하강하되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지중으로 관입 또는 인발하기 위한 로드(12)와, 상기 로드(12)의 하단에 설치되는 교반날개(13)와, 상기 로드(12)의 내부로 고화제(A)를 공급하여 로드(12)의 하부 또는 교반날개(13)의 일측으로 고화제(A)를 분사시키기 위한 고화제 공급플랜트(200)로 이루어지는 심층혼합처리장비에 있어서,
상기 로드(12)의 상부 일측에는 고화제 개폐밸브(100)가 마련되고,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의 일측에는 상기 고화제 공급플랜트(200)가 연결되며,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의 타측에는 강화 고화제(B)를 공급하기 위한 강화 고화제 공급플랜트(300)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는 상기 로드(12)가 설계 심도까지 관입한 후 인발할 경우에는 고화제(A)가 로드(12)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개방한 후 강화 고화제(B)를 차단하고, 반대로 인발하는 상기 로드(12)가 일정심도에 위치할 경우 고화제(A)를 차단한 후 강화 고화제(B)가 로드(12)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화제 공급플랜트(200)는 고화제 저장탱크(210)와, 상기 고화제 저장탱크(210)와 연결되는 교반기(220)와, 상기 교반기(220)와 연결되어 고화제(A)를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23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강화 고화제 공급플랜트(300)는 강화 고화제 저장탱크(310)와, 상기 강화 고화제 저장탱크(310)와 연결되는 교반기(320)와, 상기 교반기(320)와 연결되어 강화 고화제(B)를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33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강화 고화제(B)는 시멘트, 코크스, 생석회, 플라이애시, 무수석고, 골재, 모래, 고로 슬래그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교반날개(13)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상기 로드(12)를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교반날개(13)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일측은 길고 타측은 일측보다 더 짧게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연경도에 따라서 고화제 또는 강화 고화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표층 및 취약심도를 강화시켜 연속적인 고강도의 파일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취약심도 및 표층에서 발생하는 슬라임의 분산을 최소화하여 부실시공 및 환경오염의 원인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취약심도 및 표층으로 확산되는 슬라임의 처리에 필요한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공정 및 구조가 간단하여 활용범위 및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공법을 공정별로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장비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로드와 교반날개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법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공법을 공정별로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반날개가 하부에 구비된 로드를 지중에 관입하는 공정(1)과, 설계 심도까지 관입한 로드를 역회전시켜 상부방향으로 인발하는 공정(2)과, 상기 로드의 인발과 동시에 고화제(A)를 공급하여 연약지반과 혼합시켜 지중에 파일을 시공하는 공정(3)으로 이루어지는 심층혼합처리공법에 있어서,
인발하는 로드가 취약심도 및 표층에 위치할 경우 고화제(A)를 차단하고 강화 고화제(B)를 공급하여 취약심도 및 표층을 강화시키는 공정(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4공정은 시공 전에 측정된 연약지반의 연경도에 따라서 고화제(A) 또는 강화 고화제(B)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연약지반의 연경도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형태와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약지반의 연경도에 따라서 인발하는 로드가 단단한 상태인 심도에 위치할 경우에는 고화제(A)를 공급하여 지중에 파일을 시공하고, 반대로 무른 상태인 취약심도 및 표층에 위치할 경우에는 강화 고화제(B)를 공급하여 취약심도 및 표층을 강화시키고 슬라임이 쉽게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연속적인 고강도의 파일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지반상태가 단단한 상태에는 지금까지 사용해온 고화제(A)를 공급할 경우 시공상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이와 달리 지반상태가 무른 경우에는 슬라임이 주변으로 쉽게 확산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화제(A)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고화시간도 짧고 강도를 증진 및 강화하기 위한 강화 고화제(B)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강화 고화제(B)는 시멘트, 코크스, 생석회, 플라이애시, 무수석고, 골재, 모래, 고로 슬래그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강화 고화제(B)는 가공 및 운반의 용이성은 물론 강도의 증진을 위해서 일정입도를 갖도록 가공한 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비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장비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로드와 교반날개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육상 또는 해상 전용장비(1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리더(11)와, 상기 리더(11)를 따라서 승하강하되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지중으로 관입 또는 인발하기 위한 로드(12)와, 상기 로드(12)의 하단에 설치되는 교반날개(13)와, 상기 로드(12)의 내부로 고화제(A)를 공급하여 로드(12)의 하부 또는 교반날개(13)의 일측으로 고화제(A)를 분사시키기 위한 고화제 공급플랜트(200)로 이루어지는 심층혼합처리장비에 있어서,
상기 로드(12)의 상부 일측에는 고화제 개폐밸브(100)가 마련되고,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의 일측에는 상기 고화제 공급플랜트(200)가 연결되며,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의 타측에는 강화 고화제(B)를 공급하기 위한 강화 고화제 공급플랜트(300)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육상 또는 해상 전용장비(10)는 당업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장비이므로 작동원리 및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는 연약지반의 연경도를 기준으로 상기 로드(12)의 인발위치에 따라서 고화제(A) 또는 강화 고화제(B)의 공급시기를 결정하여 지중에 연속적인 파일을 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개폐하거나 또는 상기 로드(12)의 인발위치에 따라서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는 고화제(A) 또는 강화 고화제(B)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과 형태를 갖는 밸브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고화제 공급플랜트(200)는 고화제 저장탱크(210)와, 상기 고화제 저장탱크(210)와 연결되는 교반기(220)와, 상기 교반기(220)와 연결되어 고화제(A)를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230)로 구성되고,
상기 강화 고화제 공급플랜트(300)는 강화 고화제 저장탱크(310)와, 상기 강화 고화제 저장탱크(310)와 연결되는 교반기(320)와, 상기 교반기(320)와 연결되어 강화 고화제(B)를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3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화제 저장탱크(210)의 내부에는 고화제(A)가 저장된 상태로 상기 교반기(220)의 내부로 공급되어 물과 함께 혼합된 상태로 상기 펌프(230)의 작동으로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의 일측으로 고화제(A)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화 고화제 저장탱크(310)의 내부에는 강화 고화제(B)가 저장된 상태로 상기 교반기(320)의 내부로 공급되어 물과 함께 혼합된 상태로 상기 펌프(330)의 작동으로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의 타측으로 강화 고화제(B)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펌프(330)는 모래 등이 포함된 강화 고화제(B)를 강한 압력으로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의 타측에 연결되어 공급할 수 있는 진공펌프 등을 적용하였다.
특히 상기 펌프(330)에서 고화제 개폐밸브(100)의 타측에 연결되는 공급관은 강화 고화제(B)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마모재가 내경에 코팅되거나 또는 내마모성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강화 고화제(B)는 시멘트, 코크스, 생석회, 플라이애시, 무수석고, 골재, 모래, 고로 슬래그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교반날개(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상기 로드(12)를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교반날개(13)의 개수에 따라서 연약지반과 고화제(A) 또는 강화 고화제(B)의 혼합효율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교반날개(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약지반과 고화제(A) 또는 강화 고화제(B)의 혼합효율을 증대를 위해서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일측은 길고 타측은 일측보다 더 짧게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장비는 연약지반의 연경도에 따라서 고화제 또는 강화 고화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취약심도 및 표층을 강화시키고 연속적인 고강도의 파일을 시공하여 시공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부실시공의 원인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육상 또는 해상 심층혼합처리장비
11: 리더 12: 로드
13: 교반날개
100: 고화제 개폐밸브
200: 고화제 공급플랜트
210: 고화제 저장탱크 220: 교반기
230: 펌프
300: 강화 고화제 공급플랜트
310: 강화 고화제 저장탱크 320: 교반기
330: 펌프
A: 고화제 B: 강화 고화제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육상 또는 해상 전용장비(1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리더(11)와, 상기 리더(11)를 따라서 승하강하되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지중으로 관입 또는 인발하기 위한 로드(12)와, 상기 로드(12)의 하단에 설치되는 교반날개(13)와, 상기 로드(12)의 내부로 고화제(A)를 공급하여 로드(12)의 하부 또는 교반날개(13)의 일측으로 고화제(A)를 분사시키기 위한 고화제 공급플랜트(200)로 이루어지는 심층혼합처리장비에 있어서,
    상기 로드(12)의 상부 일측에는 고화제 개폐밸브(100)가 마련되고,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의 일측에는 상기 고화제 공급플랜트(200)가 연결되며,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의 타측에는 강화 고화제(B)를 공급하기 위한 강화 고화제 공급플랜트(300)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는 상기 로드(12)가 설계 심도까지 관입한 후 인발할 경우에는 고화제(A)가 로드(12)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개방한 후 강화 고화제(B)를 차단하고, 반대로 인발하는 상기 로드(12)가 일정심도에 위치할 경우 고화제(A)를 차단한 후 강화 고화제(B)가 로드(12)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개방하며,
    상기 고화제 공급플랜트(200)는 고화제 저장탱크(210)와, 상기 고화제 저장탱크(210)와 연결되는 교반기(220)와, 상기 교반기(220)와 연결되어 고화제(A)를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230)로 구성하고,
    상기 강화 고화제 공급플랜트(300)는 강화 고화제 저장탱크(310)와, 상기 강화 고화제 저장탱크(310)와 연결되는 교반기(320)와, 상기 교반기(320)와 연결되어 강화 고화제(B)를 상기 고화제 개폐밸브(10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330)로 구성하며,
    상기 강화 고화제(B)는 시멘트, 코크스, 생석회, 플라이애시, 무수석고, 골재, 모래, 고로 슬래그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날개(13)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상기 로드(12)를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방사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교반날개(13)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일측은 길고 타측은 일측보다 더 짧게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장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110225A 2012-10-04 2012-10-04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공법 및 장비 KR101317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225A KR101317364B1 (ko) 2012-10-04 2012-10-04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공법 및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225A KR101317364B1 (ko) 2012-10-04 2012-10-04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공법 및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7364B1 true KR101317364B1 (ko) 2013-10-11

Family

ID=4963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225A KR101317364B1 (ko) 2012-10-04 2012-10-04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공법 및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3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5446A (ja) * 2014-09-18 2016-04-28 株式会社ワイビーエム 柱状改良杭造成システム
CN106320975A (zh) * 2016-11-01 2017-01-11 周兆弟 打桩机的钻杆分布结构
KR20180136051A (ko) 2017-06-14 2018-12-24 성 훈 김 심층혼합처리공법의 굴착 제어방법
KR20240016515A (ko) 2022-07-29 2024-02-06 이종경 대상지반의 간극률을 기초로 한 선 터파기 단계를 포함하는 심층혼합처리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9963A (ja) * 1998-01-22 1999-08-03 Tone Geo Tech Co Ltd 深層混合処理工法施工における安定材注入管理方法
KR100491876B1 (ko) * 2003-02-21 2005-05-30 주식회사 선진건설 지반굴착장치를 이용한 지반개량 및 연직차수벽 구축을위한 유씨엠공법과 유씨엠공법에 적용되는 지반굴착장치의굴착로드
KR100776304B1 (ko) * 2006-05-25 2007-11-16 정진교 그라우팅 구멍이 다수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관의내부에 다수개의 패커를 설치한 직천공 동시 주입장치 및이를 이용한 직천공그라우팅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9963A (ja) * 1998-01-22 1999-08-03 Tone Geo Tech Co Ltd 深層混合処理工法施工における安定材注入管理方法
KR100491876B1 (ko) * 2003-02-21 2005-05-30 주식회사 선진건설 지반굴착장치를 이용한 지반개량 및 연직차수벽 구축을위한 유씨엠공법과 유씨엠공법에 적용되는 지반굴착장치의굴착로드
KR100776304B1 (ko) * 2006-05-25 2007-11-16 정진교 그라우팅 구멍이 다수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관의내부에 다수개의 패커를 설치한 직천공 동시 주입장치 및이를 이용한 직천공그라우팅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5446A (ja) * 2014-09-18 2016-04-28 株式会社ワイビーエム 柱状改良杭造成システム
CN106320975A (zh) * 2016-11-01 2017-01-11 周兆弟 打桩机的钻杆分布结构
KR20180136051A (ko) 2017-06-14 2018-12-24 성 훈 김 심층혼합처리공법의 굴착 제어방법
KR20240016515A (ko) 2022-07-29 2024-02-06 이종경 대상지반의 간극률을 기초로 한 선 터파기 단계를 포함하는 심층혼합처리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63113B (zh) 对原位土进行原地固化处理的方法及搅拌设备
KR101317364B1 (ko) 표층 및 취약심도 강화 심층혼합처리공법 및 장비
CN106368214B (zh) 一种护筒式水泥土搅拌桩的成桩操作方法
JP5421206B2 (ja) 地盤改良工法とその装置
CN105696640B (zh) 用于建筑工程填方疏浚泥添料搅拌机械
CN205171496U (zh) 一种地基加固高压旋喷注浆装置
CN103233693A (zh) 钻孔桩桩基二次清孔装置及清孔方法
CN104929135A (zh) 深基坑地下连续墙围护结构及其旋喷桩止水施工方法
JP2022013447A (ja) 水底地盤改良方法
JP6370614B2 (ja) 地中連続壁の構築システム
CN104030546B (zh) 一种工地移动式疏浚泥固化搅拌装置
CN110685272B (zh) 一种利用斜孔布袋桩治理软基沉降超限的方法
KR101278127B1 (ko) 부상토 재활용을 통한 표층고화 심층혼합처리공법
KR101161410B1 (ko) 콘크리트 펌프카의 잔류콘크리트 배출장치 및 방법
CN104790401B (zh) 一种建筑疏浚泥基坑填方喷料搅拌施工装置
KR101299656B1 (ko) 해저면 연약지반 개량시 발생되는 부상토를 재활용하는 해상심층혼합 시공방법
JP5829720B2 (ja) セメント系ソイル杭の施工方法
CN207846398U (zh) 一种水下碎石桩施工桩管及施工系统
CN205975593U (zh) 一种淤泥区域旋挖灌注桩用护筒装置
JP4580777B2 (ja) 固化処理装置及び固化処理工法
JP7002735B1 (ja) 水底地盤改良装置
CN105672245B (zh) 流塑性软土中形成高强度水泥土体的方法
CN113909291A (zh) 一种淤泥质重金属砷污染土壤原位修复装置及修复方法
CN207228097U (zh) 一种用于高含水率深厚碱渣加固装置
KR101130314B1 (ko) 그라우팅 공사용 슬라임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6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9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6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