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599B1 -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599B1
KR101316599B1 KR1020100011391A KR20100011391A KR101316599B1 KR 101316599 B1 KR101316599 B1 KR 101316599B1 KR 1020100011391 A KR1020100011391 A KR 1020100011391A KR 20100011391 A KR20100011391 A KR 20100011391A KR 101316599 B1 KR101316599 B1 KR 101316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pillars
fixed
wing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992A (ko
Inventor
원인호
Original Assignee
원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인호 filed Critical 원인호
Priority to KR1020100011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5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2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007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the wind motor being combined with means for converting solar radiation into useful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기둥 사이에 솔라셀 판넬을 여러층으로 설치 하고, 양기둥 상단에는 각각 작업대와 발전실을 설치하고, 여기에 수평 회전축으로 한 대칭익형으로 된 날개판 회전체를 형성시켜주어서 된 것과 단독으로 된 기둥의 일정부위에 솔라셀 판넬을 설치하고 기둥의 상단에는 양기둥부로 된 원구형 회전체를 형성시켜주어 태양광과 풍력으로 병합발전을 제공할 수 있게 한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양기둥 사이에 솔라셀 판넬을 여러층으로 설치 하고, 양기둥 상단에는 각각 작업대와 발전실을 설치하고, 여기에 수평 회전축으로 한 대칭익형으로 된 날개판 회전체를 형성시켜주어서 된 것과 단독으로 된 기둥의 일정부위에 솔라셀 판넬을 설치하고 기둥의 상단에는 양기둥부로 된 원구형 회전체를 형성시켜주어 태양광과 풍력으로 병합발전을 제공할 수 있게 한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치는 주로 독자적인 푸로펠러형과 미국의 다익형과 다리우스형과 사보뉴스형으로 된 독자적인 풍력발전 시스템과 솔라판넬 시스템으로 되어 있는 실정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점을 감안하여 개발해낸 본 발명은 대로변이나 특정지역에서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하여 병합발전을 발생시켜지게 할 수 있게 함을 과제로 설정하였다.
상기 설정된 과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기둥을 일정간격을 설정하여 세워 고정을 시켜주고 세워진 양기둥 상단에는 회전체 받침판과 풍속의 강약에 따라 선택발전을 유도할 수 있게 대소형 낫셀을 설치 고정을 시켜주고 수평회전축을 형성시켜주어 대칭익형으로 된
Figure 112013501344050-pat00007
형 날개판을 2엽,3엽,4엽,5엽식 등으로 하여 설치고정을 시켜주고, 양기둥 사이에는 다층으로 된 솔라판넬을 설치고정을 시켜 병합발전을 유도하게 하는 것과 한기둥 위에 양기둥부를 설치 고정을 시켜주고 양기둥부의 양 상단에는 회전체 받침판과 낫셀을 설치 고정을 시켜주고 수평회전축을 형성시켜 주어 대칭익형으로 된 반구형 날개판
Figure 112013501344050-pat00008
을 2엽,3엽,4엽,5엽식 등으로 하여 설치 고정을 시켜주고 한기둥에는 솔라전지판넬을 설치 고정을 시켜주어 바람과 태양광에 의한 병합발전을 할 수 있게 하고 라이트도 점등되어 지게 하였다.
대칭익형으로 된
Figure 112013501344050-pat00009
형 날개판의 바람에 의한 강력한 회전력과 솔라전지판넬의 태양광에 의한 발전으로 전천후 발전시스템을 갖출 수 있게 하는 효과와 대칭익형으로 된
Figure 112013501344050-pat00010
형 날개판의 바람에 의한 강력한 회전력과 솔라전지판넬의 태양광에 의한 발전으로 가로등 기능과 전천후 발전시스템을 갖출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하였다.
도 1은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병합발전 시스템의 사시도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A)을 제작 구성을 하여줌에 있어 두개의 양기둥(1)(1')을 일정간격을 설정하여 세워 고정을 시켜주고 상기와 같이 세워진 양기둥(1)(1')의 상층부에는 일정 길이로 된 지지대(2)를 설치 고정을 시켜준다.
상기 지지대(2)의 중앙부에 쏠라셀판 지지용기둥(3)을 세워 지지고정을 시켜준다. 이와같이 하여주어서 된 상기 양기둥(1)(1')과 상기 지지대(2)사이에는 쏠라셀 판넬(4)(4')(4")을 일정간격을 정하여 동일한 일사각으로 하여 고정착을 시켜주고, 상기 양기둥(1)(1')의 상단에는 별개로 된 작업대(5)(5')를 설치 고정을 시켜주고 상기 작업대(5)(5')위에는 강약풍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대소 발전실(6)(6')을 따로따로 설치 고정을 시켜준다.
이와같이 하여주어서 된 대소 발전실(6)(6')중 소발전실(6')은 초속 8m 의 풍속까지 발전을 제공 받을 수 있게 하여주고, 초속 8m 이상의 강풍시에는 상기 소발전실(6')과 함께 대발전실(6)의 발전을 제공 받을 수 있게 하여주어서 된 상기 대,소 발전실(6)(6')가에는 수평회전축(7)을 설치 하여주고 상기 수평회전축(7)의 양측에 날개판 삽착체결부가 형성된 날개판 지지관(8)(8')을 끼워 체결고정을 시켜주고 외부 수풍면의 폭을 넓게 형성하여 주어서 된 대칭익형 날개판(
Figure 112013501344050-pat00011
)(9)(9')(9")(9'")의 양허브를 날개판 삽착체결부에 끼워 체결고정을 시켜주어 직4각형의 일체형으로 된 회전체를 형성시켜 주어서 된 것과, 병합발전 시스템(B)을 제작 구성을 하여줌에 있어 기둥(10)을 세워 고정을 시켜주고, 상기와 같이 세워준 기둥(10)의 중앙부에 가로등(11)을 설치하고 가로등 위측에는 일정크기로 된 쏠라셀 판넬(12)을 설치하여 태양광에 의하여 발전기능을 갖게 하고, 기둥(10)의 상단에는 고정된 지지관몸체(13)를 설치 시켜주고 그 위에 양기둥부(15)(15')로 되어진 양기둥 중앙부(14)를 붙혀 완전 고정체결을 시켜준다.
상기 양기둥부(15)(15')의 양측 상단에는 별개로 된 작업대(17)(17')를 설치 고정을 시켜주고 여기에 두개의 발전실(18)(18')을 설치 고정을 시켜준다.
상기 두개의 발전실(18)(18')간에는 수평회전축(21)을 설치 하여주고 상기 수평회전축(21)의 양측에 날개판 삽착 체결부가 형성된 날개판 지지관(19)(19')을 끼워 체결고정을 시켜주고 날개판 중앙부의 폭을 넓게 하여주어서 된 대칭익형 반원형 날개판(20)(20')(20")(20'")의 양허브를 날개판 삽착체결부에 같은 방향으로 끼워 체결 고정을 시켜주어 회오리 바람을 비롯하여 동서남북풍과 위에서 아래쪽의 방향으로 또는 아래에서 윗쪽방향으로 불어오는 난기류의 풍향도 대칭익형(
Figure 112013501344050-pat00012
)으로된 반구형(
Figure 112013501344050-pat00013
)의 날개판으로 형성시켜주어 불어오는 바람에 의하여 양력이 발생되어지게 하여 수평회전축(21)이 한쪽방향으로만 회전을 하면서 불어오는 풍속의 강약에 따라 동력발생을 축전 제공할 수 있게 한 일체형으로 된 회전체를 형성시켜 주어서 된 것이다.
[실시예]
대로변이나 주택주변에 설치하여 실험해본 결과 궂은 날씨 등의 상태에서는 바람에 의한 대칭익형 날개판의 단독 회전에 의한 발전기능을 갖게 하였고 햇볕이 난 상태에서는 쏠라셀 판넬의 발전에 따라 병합 발전을 제공 받았다.
[결론]
통상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독자적인 풍력발전과 쏠라셀 판넬의 독자적인 발전 기능보다 하나의 몸체에 두개의 기능을 조합시켜 줌으로써 바람과 일광을 합리적으로 받아 발전을 제공 받게 됨으로써 일반 가로등을 비롯하여 중,대용량의 집합적 병합 발전 기능도 제공받게 되었다.
A :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 B : 병합발전 시스템
1,1' : 기둥 2 ; 지지대 3 : 쏠라셀판 지지용 기둥
4,4',4" : 쏠라셀 판넬 5,5' : 작업대 6,6' : 대소발전실
7 : 수평회전축 8,8' : 날개판 지지관
9,9',9",9'" : 대칭익형 날개판 10 : 기둥
11 : 가로등 12 : 쏠라셀 판넬 13 : 지지관 몸체
14 : 양기둥 중앙부 15,15' : 양기둥부 16 : 체결부
17,17' : 작업대 18,18' : 발전실 19,19' : 날개판 지지관
20,20',20",20'" : 대칭익형 반원형 날개판 21 : 수평회전축

Claims (2)

  1.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A)을 제작 구성을 하여줌에 있어 두개의 양기둥(1)(1')을 일정간격을 설정하여 세워 고정을 시켜주고 상기 양기둥(1)(1')의 상층부에는 일정 길이로 된 지지대(2)를 설치 고정을 시켜주고, 상기 지지대(2)의 중앙부에 쏠라셀판 지지용기둥(3)을 세워 지지고정을 시켜주어 이와같이 하여주어서 된 상기 양기둥(1)(1')과 상기 지지대(2)사이에는 쏠라셀 판넬(4)(4')(4")을 일정간격을 정하여 동일한 일사각으로 하여 고정착을 시켜주고, 상기 양기둥(1)(1')의 상단에는 별개로 된 작업대(5)(5')를 설치 고정을 시켜주고 상기 작업대(5)(5')위에는 강,약풍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대소발전실(6)(6')을 따로따로 설치 고정을 시켜주고, 이와같이 하여주어서 된 대소발전실(6)(6')중 소발전실(6')은 초속 8m의 풍속까지 발전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하여주고, 초속 8m 이상의 강풍시에는 상기 소발전실(6')과 함께 대발전실(6)의 발전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하여주어서 된, 상기 대,소발전실(6)(6')간에는 수평회전축(7)을 설치 하여주고 상기 수평회전축(7)의 양측에 날개판 삽착체결부가 형성된 날개판 지지관(8)(8')을 끼워 체결고정을 시켜주고 외경부 수풍면의 폭을 넓게 형성하여 주어서 된 대칭익형 날개판(
    Figure 112013501344050-pat00014
    )(9)(9')(9")(9'")의 양허브를 날개판 삽착체결부에 끼워 체결 고정을 시켜주어 직4각형의 일체형으로 된 회전체를 형성시켜 주어서 된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
  2. 병합발전 시스템(B)을 제작 구성을 하여줌에 있어 기둥(10)을 세워 고정을 시켜주고, 상기와 같이 세워준 기둥(10)의 중앙부에 가로등(11)을 설치하고 가로등 위측에는 일정크기로 된 쏠라셀 판넬(12)을 설치하여 태양광에 의하여 발전기능을 갖게 하고, 기둥(10)의 상단에는 고정된 지지관몸체(13)를 설치 시켜주고 그 위에 양기둥부(15)(15')로 되어진 양기둥 중앙부(14)를 붙혀 완전 고정체결을 시켜주고, 상기 양기둥부(15)(15')의 양측 상단에는 별개로 된 작업대(17)(17')를 설치 고정을 시켜주고 상기 별개로 된 작업대(17)(17')에 두개의 발전실(18)(18')을 설치 고정을 시켜주고, 상기 두개의 발전실(18)(18')간에는 수평회전축(21)을 설치 하여주고 상기 수평회전축(21)의 양측에 날개판 삽착 체결부가 형성된 날개판 지지관(19)(19')을 끼워 체결고정을 시켜주고 날개판 중앙부의 폭을 넓게 하여주어서 된 대칭익형 반원형 날개판(20)(20')(20")(20'")의 양허브를 날개판 삽착체결부에 같은 방향으로 끼워 체결고정을 시켜주어 회오리 바람을 비롯하여 동서남북풍과 위에서 아래쪽의 방향으로 또는 아래에서 윗쪽방향으로 불어오는 난기류의 풍향도 대칭익형(
    Figure 112013501344050-pat00015
    )으로 된 반구형(
    Figure 112013501344050-pat00016
    )의 날개판으로 형성시켜 주어 불어오는 바람에 의하여 양력이 발생되어지게 하여 수평회전축(21)이 한쪽방향으로만 회전을 하면서 불어오는 풍속의 강약에 따라 동력발생을 축전 제공할 수 있게 한 일체형으로 된 회전체를 형성시켜 주어서 된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
KR1020100011391A 2010-02-08 2010-02-08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 KR101316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391A KR101316599B1 (ko) 2010-02-08 2010-02-08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391A KR101316599B1 (ko) 2010-02-08 2010-02-08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992A KR20110091992A (ko) 2011-08-17
KR101316599B1 true KR101316599B1 (ko) 2013-10-15

Family

ID=4492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391A KR101316599B1 (ko) 2010-02-08 2010-02-08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272B1 (ko) * 2016-04-05 2017-01-05 홍쿠이 진 풍력 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발전장치
KR102463356B1 (ko) * 2020-04-01 2022-11-08 케이피씨이 주식회사 풍력 내저항성 밴드 기반의 자연환경용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장치
KR102388772B1 (ko) * 2020-04-01 2022-04-26 케이피씨이 주식회사 풍력 내저항성 지지대 기반의 도시시설용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2779A (ja) * 1984-12-01 1986-06-20 Heisuke Furukawa 多数の翼を立体的に組合せた風車
JP2002025314A (ja) * 2000-07-13 2002-01-25 Yoshimoto Pole Co Ltd 発電機能を備えた照明柱
KR20040074458A (ko) * 2003-02-18 2004-08-25 원인호 쌍회전 풍차
KR20060122432A (ko) * 2005-05-27 2006-11-30 최홍규 풍력 발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2779A (ja) * 1984-12-01 1986-06-20 Heisuke Furukawa 多数の翼を立体的に組合せた風車
JP2002025314A (ja) * 2000-07-13 2002-01-25 Yoshimoto Pole Co Ltd 発電機能を備えた照明柱
KR20040074458A (ko) * 2003-02-18 2004-08-25 원인호 쌍회전 풍차
KR20060122432A (ko) * 2005-05-27 2006-11-30 최홍규 풍력 발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992A (ko)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13716A1 (en) Fluid flow energy concentrator
CN101970861A (zh) 线性发电站
US20100221101A1 (en) Support of flow deflection devices in wind turbines
KR101316599B1 (ko)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
CN105375868A (zh) 一种连接件以及具有该连接件的太阳能板安装支架
KR100764086B1 (ko) 넓은 폭으로 된 환과 날개의 풍차
TWI658204B (zh) 流力葉片裝置
KR101197322B1 (ko) 차량의 주행풍을 이용한 풍력발전기
CN102146887A (zh) 高效大功率垂直轴风力发电机
JP2013519022A (ja) 高効率・ハイパワー垂直軸風力発電機
TWM462792U (zh) 垂直軸式風力發電機
JP4989137B2 (ja) 照明表示塔
KR102142243B1 (ko) 돛 장치
KR101328188B1 (ko) 풍력유도되는 풍력 및 태양광 발전장치
JP4927469B2 (ja) 照明表示塔
KR20110013654A (ko) 양기둥 풍력발전장치
CN204164053U (zh) 一种隧道竖井顶部负压抽风装置
KR101387351B1 (ko) 수직축형 풍력 발전 장치
KR101193202B1 (ko) 다리우스형 수직 풍력에너지 발생장치
JP3116432U (ja) 「かざぐるま」式風力発電装置
RU2300012C1 (ru) Ветроэлектрогенератор
RU2282051C1 (ru) Ветроэлектроагрегат
KR20180050965A (ko) 확산관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결합구조
KR20040074361A (ko) 더불파워 발생용 쌍회전풍차
KR20010089044A (ko) 인호식 에너지 생산장치 및 이의제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