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654A - 양기둥 풍력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양기둥 풍력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654A
KR20110013654A KR1020090071211A KR20090071211A KR20110013654A KR 20110013654 A KR20110013654 A KR 20110013654A KR 1020090071211 A KR1020090071211 A KR 1020090071211A KR 20090071211 A KR20090071211 A KR 20090071211A KR 20110013654 A KR20110013654 A KR 20110013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wing support
support tube
binding por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인호
Original Assignee
원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인호 filed Critical 원인호
Priority to KR102009007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3654A/ko
Publication of KR20110013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2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50Maintenance or rep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나 섬이나 산야 등에서 불어 오는 바람을 발전으로 만들어내기 위하여 기둥을 일정간격으로 양쪽에 세워주고 이와 같이 하여준 양기둥 위에는 발전시설을 갖춘 회전체받침판을 설치하고 양기둥 사이에는 수평축으로 된 회전체를 형성하여 불어오는 바람에 의하여 수평으로 된 " S " 자형 날개의 회전체가 회전하면서 발전에너지를 생산되어 질 수 있게 한 양기둥 풍력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기둥, 회전체받침판, 발전실, 회전축브라켓, 수평회전축, 날개지지관, 대칭익형으로 된 S 형 날개판, 날개판지지관, 날개지지용 결착부, 날개판지지용관, 날개판지지주

Description

양기둥 풍력발전장치{omitted}
본 발명은 바다나 섬이나 산야 등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발전으로 만들어내기 위하여 기둥을 일정간격으로 양쪽에 세워주고 이와 같이 하여준 양기둥 위에는 발전시설을 갖춘 회전체받침판을 설치하고 양기둥 사이에는 수평축으로 된 회전체를 형성하여 불어오는 바람에 의하여 나사형으로 된 "S" 자형 날개의 회전체가 회전하면서 발전에너지를 생산되어 질수 있게 한 양기둥 풍력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풍력발전기는 주로 푸로펠러식과 다리우스식과 미국의 다익형식과 사보뉴스식과 헤리칼형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점을 참고하여 개발해낸 본 발명은 산의 계곡이나 난기류 지역에서 수평회전축으로 회전을 원활히 갖일 수 있게 하기 위한 날개판의 개발을 과제로 선정하였다.
상기 설정된 과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둥은 양기둥을 일정간격을 설 정하여 세워주고 이렇게 세워진 양기둥의 상단에는 회전체 받침판을 형성시켜준다.
이와 같이 하여준 양측의 회전체 받침판에는 발전실을 브라켓과 함께 설치 고정을 하여주고 수평 회전축을 설치하고 이 수평회전축이 회전되어질수 있게 나사형이면서 "S" 자형으로 되어진 대칭익형날개판이나 양력형날개판을 2개식 또는 3개식 또는 4개식 또는 5개식 또는 6개식으로 하여주는 것을 해결수단으로 채택하였다.
나사형이면서 "S" 형으로 된 날개판이 바람을 맞아 회전하면서 바다나 육지는 물론 난기류지역과 계곡풍 등에 더욱 강력한 회전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하였다.
양기둥 풍력발전장치(A)를 제작구성을 하여줌에 있어 두개의 원기둥(1)(1')을 고정으로 세워주고 그 위에 각각으로 된 회전체 받침판(2)(2')을 설치 고정을 시켜주고 상기 회전체 받침판(2)(2') 위에 발전실(3)(3')과 체결 고정을 하여 주어서 된 회전축브라켓(4)(4')을 고정 설치하여 준다.
이와 같이 되어진 상태에서 수평회전축(5)을 상기 회전축브라켓(4)(4')에 끼워 회전이 되어지게 설치시켜 주고 이와 같이 하여주어서 된 수평회전축(5)의 양측에 날개지지관(6)(6')을 끼워 체결고정을 시켜주고 이와 같이 하여주어서 된 날개지지관(6)(6')의 개체마다 형성되어 있는 날개지지용 결착부(11)(11')(11")(11"')에는 대칭익형으로 된 나선형이면서 "S"자형 날개판(7)(7')(7")(7"')을 끼워 체결 고정을 하여줌에 있어 상기 대칭익형으로 된 나선형이면서 "S"자형 날개판지지관(8)(8')을 일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와 반대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와 일체형이 되게 끼워 체결 고정을 시켜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일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와 반대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와 일체형이 되게 끼워 고정을 시켜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일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와 반대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와 일체형이 되게 끼워 고정을 시켜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일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와 반대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와 일체형이 되게 끼워 고정을 시켜준다.
이와 같이 4개의 상기 대칭익형으로 된 나선형이면서 "S"자형 날개판(7)(7')(7")(7"')을 상기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11')(11")(11"')와 반대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11")(11"')(11)와 모두가 일체형이 되게 끼워 고정을 시켜주고 수평회전축(5)의 중앙부에 날개판지지용관(12)을 끼워 체결고정을 시켜주고 날개판 지지주(13)(13')(13")(13"')로 지주체결 고정을 시켜 줌으로써 양기둥 풍력장치를 완성되게 한 것이다.
양력형으로 된 나선형이면서 "S"자형 날개판(9)의 제작구성은 양면이 대칭익형이 아닌 평형을 이루면서 양력기능을 갖일수 있게 한 양력형 날개판으로 형성시 켜 준 것이다.
난기류지역에서나 계곡이나 일정방향으로 불어오는 지역에서 설치하여 실험해존 결과 안전도 있으면서 발전의 힘을 제공 받을수 있는 장점을 발견하였다.
[결론]
통상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일반 푸로펠러식이나 헤리칼식 보다 안전도와 유지보수 등 사후관리 시스템 운영이 합리적일뿐 아니라 해양발전이나 육지발전에 있어 특히 난기류 지역 등에서는 상당한 기대가 있음을 발견했다.
도 1 은 양기둥 풍력발전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날개판의 사시도
도 3 은 날개판의 사시도
도 4 는 날개지지관의 사시도
도 5 는 날개지지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양기둥 풍력발전장치
1, 1' : 원기둥 2, 2' : 회전체받침판
3, 3" : 발전실 4, 4' : 회전축브라켓
5 : 수평회전축 6, 6' : 날개지지관
7, 7', 7", 7"' : 대칭익형으로 된 "S"자형 날개판
8, 8' : 날개판 지지관 9 : 양력형으로 된 "S"형 날개판
10, 10' : 날개판 지지관
11, 11', 11", 11"' : 날개지지용 결착부
12 : 날개판 지지용 관
13, 13', 13", 13"' : 날개판 지지주

Claims (2)

  1. 양기둥 풍력발전장치(A)를 제작구성을 하여줌에 있어 두개의 원기둥(1)(1')을 고정으로 세워주고 그 위에 각각으로 된 회전체받침판(2)(2')을 설치 고정을 시켜주고 상기 회전체받침판(2)(2') 위에 발전실(3)(3')과 체결고정을 하여 주어서 된 회전축브라켓(4)(4')을 고정 설치하여 준다.
    이와 같이 되어진 상태에서 수평 회전축(5)을 상기 회전축부라켓(4)(4')에 끼워 회전이 되어지게 설치시켜 주고 이와 같이 하여주어서된 수평회전축(5)의 양측에 날개지지관(6)(6')을 끼워 체결고정을 시켜주고 이와 같이 하여주어서 된 날개지지관(6)(6')의 개체마다 형성되어 있는 날개지지용 결착부(11)(11')(11')(11"')에는 대칭익형으로 된 나선형이면서 "S"자형 날개판(7)(7')(7")(7"')을 끼워 체결 고정을 하여 줌에 있어 상기 대칭익형으로 된 나선형이면서 "S"자형날개판(7)(7') (7")(7'")의 개체 마다 형성되어 있는 날개판지지관(8)(8')을 일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와 반대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와 일체형이 되게 끼워 체결 고정을 시켜 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일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와 반대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와 일체형이 되게 끼워 고정을 시켜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일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와 반대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와 일체형이 되게 끼워 고정을 시 켜 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일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와 반대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와 일체형이 되게 끼워 고정을 시켜 준다.
    이와 같이 4개의 상기 대칭익형으로 된 나선형이면서 "S"자형 날개판(7)(7')(7")(7"')을 상기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11')(11")(11"')와 반대측의 날개지지관(6)의 날개지지용 결착부(11')(11")(11"')(11)와 모두 일체형이 되게 끼워 고정을 시켜 주고 수평회전축(5)의 중앙부에 날개판 지지용관(12)을 끼워 체결 고정을 시켜 주고 날개판 지지주(13)(13')(13")(13"')로 상기 날개판(7)(7')(7")(7"')의 내측중앙부와 지주 체결 고정을 시켜 줌으로써 양기둥 풍력 장치를 완성되게 한 양기둥 풍력발전장치.
  2. 나선형이면서 양력형으로 된 "S"자형 날개판(9)의 제작구성은 양면이 대칭익형이 아닌 평형을 이루면서 양력 기능을 갖일수 있게 한 양력형 날개판으로 형성시켜 준 양기둥 풍력발전장치.
KR1020090071211A 2009-08-03 2009-08-03 양기둥 풍력발전장치 KR20110013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211A KR20110013654A (ko) 2009-08-03 2009-08-03 양기둥 풍력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211A KR20110013654A (ko) 2009-08-03 2009-08-03 양기둥 풍력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54A true KR20110013654A (ko) 2011-02-10

Family

ID=4377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211A KR20110013654A (ko) 2009-08-03 2009-08-03 양기둥 풍력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365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4400A (zh) * 2011-12-08 2012-05-02 浙江大学 风速匹配风力发电机
CN103541872A (zh) * 2013-09-25 2014-01-29 昆山桑莱特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s型风轮卡箍式组装装置
CN103742365A (zh) * 2013-09-24 2014-04-23 昆山桑莱特新能源科技有限公司 S 型风轮
CN103883474A (zh) * 2014-03-20 2014-06-25 浙江大学 可变容量小型风力发电装置及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4400A (zh) * 2011-12-08 2012-05-02 浙江大学 风速匹配风力发电机
CN103742365A (zh) * 2013-09-24 2014-04-23 昆山桑莱特新能源科技有限公司 S 型风轮
CN103541872A (zh) * 2013-09-25 2014-01-29 昆山桑莱特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s型风轮卡箍式组装装置
CN103883474A (zh) * 2014-03-20 2014-06-25 浙江大学 可变容量小型风力发电装置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13716A1 (en) Fluid flow energy concentrator
WO2016062139A1 (zh) 一种风力发电机单框架式叶轮
US11022095B2 (en) Wind turbine system
KR20110013654A (ko) 양기둥 풍력발전장치
BR112013024920B1 (pt) Dispositivo de geração de energia de fluxo dágua
JP3194910U (ja) 風力発電装置
WO2009132583A1 (zh) 框架型多叶片风车
WO2011162498A2 (ko) 양기둥 난기류용 풍력발전장치
KR100811096B1 (ko) 양썬라이트형 풍차
RU2573441C2 (ru) Ветродвигатель
CN104047805B (zh) 一种水平轴和垂直轴通用的风力发电机装置
KR20110032114A (ko) 양기둥 풍력발전 시스템
KR101180362B1 (ko) 양기둥 수상 병합 발전 시스템
KR20110032115A (ko) 양기둥 안전 풍력발전 시스템
KR20110032113A (ko) 일체형 날개로된 양기둥 풍력발전 시스템
KR20100046656A (ko) 수륙양용 풍력발전 장치
CN205478107U (zh) 发电装置
RU143619U1 (ru)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трансформерного типа
WO2014089630A1 (en) Wind energy conversion apparatus
KR20090028882A (ko) 풍력발전기의 회전몸체
KR20110095454A (ko) 발전기 터빈 효율 증강 장치
KR200473807Y1 (ko) 발전용 날개
WO2011094915A1 (zh) 垂直轴风力发电机中风轮的支撑杆结构
RU184844U1 (ru) Вет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KR20040074361A (ko) 더불파워 발생용 쌍회전풍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