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975B1 -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한 각질제거 효과 조성물 - Google Patents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한 각질제거 효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975B1
KR101315975B1 KR1020110122268A KR20110122268A KR101315975B1 KR 101315975 B1 KR101315975 B1 KR 101315975B1 KR 1020110122268 A KR1020110122268 A KR 1020110122268A KR 20110122268 A KR20110122268 A KR 20110122268A KR 101315975 B1 KR101315975 B1 KR 101315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sesame
composition
supercritical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592A (ko
Inventor
허북구
박용서
임명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
Priority to KR102011012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97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6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참다래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참다래 초임계 유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각질제거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은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제품의 안정성이 뛰어나며 더더욱 피부 자극에 대한 안전성까지도 매우 좋아, 각질제거용 필링 젤 제품에 응용되는 경우 그 품질과 소비자 만족도를 한 단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한 각질제거 효과 조성물{Composition for removing callus comprising kiwi extract}
본 발명은 참다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필링젤 등의 제품이 사용하기 매우 좋은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을 이용한 피부각질제거제는 대표적으로 물리적인 방법인 스크럼과 고마쥐, 화학적인 방법인 효소와 AHA가 있으며, 피부관리사와 홈케어 제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이명자, 2010).
이 중 화학적 필링인 효소 각질제거제는 30년 넘게 미용학에서 존재해 왔으나 효소에 관한 연구로는 Takuji Masunage의 Enzymes in Cleanser에 관한 연구와 김성진(2005)의 Desquamation and Enzyme의 연구 등이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성분으로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안전하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eoffrey, 2002).
단백질 분해효소인 proetase는 단백질을 펩타이드나 아미노산으로 분해하는 효소로서 식품가공, 의약품 및 피혁 가공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 proetase는 대부분 bacteria아 fungi에 의하여 생산되며, 같은 목적에서 사용되고 있는 proetase를 참다래나 파인애플과 같은 과일에서 추출하여 이용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정명화, 2005).
특히 참다래에는 단백질 분해 효소인 액티디닌(Actinidin)이 1kg당 2-3g이 존재하며 육류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부드럽게 하는데 큰 효과가 있다. 또한 참다래를 천연재료로 사용할 경우 비타민 C, E, K는 사과의 17배, 오렌지의 2배, 자몽의 3배나 높아 피부재생 및 미백효과와 피부 진정과 탄력 효과가 있다(배영희, 2000; 정명화, 2005; 김희선, 2005).
따라서 참다래 추출물을 각질제거제에 이용하면 화학적 물질이 아닌 천연물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하여 피부에 자극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그런데 참다래의 각질제거제 측면에서 어떠한 종류가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는 물론 각질제거 측면에서 이용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효과적인 천연각질제거제 개발 측면에서 참다래의 효과적인 추출방법, 각질제거제 제조지 적정 첨가량 구명 및 참다래 추출물의 활용시 안정성과 안전성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참다래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여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참다래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제거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각질제거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참다래 추출물은 초임계 유체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초임계 유체 추출은 온도 50℃, 압력 400bar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각질제거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참다래의 품종은 성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참다래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참다래 초임계 유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각질제거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은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제품의 안정성이 뛰어나며 더더욱 피부 자극에 대한 안전성까지도 매우 좋아, 각질제거용 필링 젤 제품에 응용되는 경우 그 품질과 소비자 만족도를 한 단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참다래 초임계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필링젤 제품에 대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Ⅰ. 재료 및 방법
1. 참다래의 선발
참다래의 각질제거제 재료로 적당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2009년 10월부터 11월 사이에 난지과수시험장에서 화미, 서협, 헤이워드, 성대, 오스목, 해골, 장백산, 해남을 수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참다래 껍질을 제거한 후 믹서에서 분쇄한 참다래 과육을 준비한 다음 가로 세로 5cm, 높이 2cm로 자른 돼지 생고기 표면에 2g씩 도포한 후 연육에 의한 색상과 조직변화를 Digital Microscope(DG-3, Scalar, Tokyo, Japan)로 관찰하면서 참다래 종류간 연육효과를 비교하였다.
2. 추출 및 생리활성 효과 측정 방법
1) 용매를 이용한 추출
시료의 추출은 열수(증류수), 에탄올 및 메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방법은 열수 추출의 경우 과육을 증류수에 넣은 다음 100℃에서 30분간 열탕 추출하였다.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은 94%의 에탄올 및 메탄올을 각각 첨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60℃에서 3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을 3회 반복하여 냉각한 다음 매회 여과한 여액을 혼합하고 회전진공농축기로 농축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2) 초임계 유체 추출
동결 건조한 참다래 시료를 추출조에 넣고 초임계 추출장치(SEE, Natex, Austria)를 이용하여 온도 50℃, 압력 400bar 조건에서 추출하였다. 유체는 CO2를 사용하였으며, co-solvent로 에탄올(99.5%) 3mL/min하여 회수된 추출물을 40℃에서 회전진공증발농축기(EYELA, N-series, Jaoan)로 농축한 후 DMSO(dimethlsulfoxid)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3) 생리활성 효과
(1) 총 페놀함량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Folin-Denis 방법(Dewanto 등, 2002)에 따라 분석하였다. 시료를 1㎎·㎖-1 농도로 조제한 후, 이 시료액 1mL에 증류수 3mL를 첨가하고, folin-ciocalteau's phenol reagent 1mL를 첨가한 후 27℃ 진탕수조에서 혼합하였다.
5분 후 NaCO3 포화용액 1mL를 넣어 혼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640nm에서 흡수분광광도계(UV-1650PC, Shimadzu)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페놀화합물 함량은 표준물질 ferulic acid의 농도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다음 정량하였다.
(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각 시료 0.1g에 75% methanol을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추출한 다음 이 검액 1.0mL를 시험관에 취하고 10mL의 diethylen glycol을 가하여 잘 혼합하였다. 다시 여기에 1N NaOH 0.1mL를 잘 혼합시켜 37℃의 water bath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공시험은 시료 용액 대신 50% methanol 용액을 동일하게 처리하였으며, 표준곡선은 Naringin(Sigma Co., USA)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이로부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구하였다.
(3) 전자공여능
전자공여능 측정은 DPPH(a,a-diphenyl-β-picryl-hydrazyl)법을 이용하여 시료의 라디칼(radical) 소거효과를 측정하는 Blois(1958)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1 x 10-4M DPPH와 농도별 추출물을 각각 100씩 취하여 혼합하고, 30분간 암 상태에서 방치한 후 ELISA Reader(Bio-RAD, USA)를 이용하여 517nm에서 잔존 라디칼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환원력의 크기는 라디칼 소거활성(Scavenging activity)으로 표시하였고, RC50은 DPPH 농도가 1/2로 감소하는데 필요한 시료의 양(㎍)으로 나타내었으며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BHT(butylated hydroxytoluene)와 비교하였다.
즉, "DPPH 라디칼 소거활성(%)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흡광도 - 시료를 첨가한 반응구의 흡광도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흡광도 x 100"으로 하였다.
(4) 타이로시나제의 활성 저해
Tyrosinase의 활성 저해 분석에 의한 미백활성 효과는 멜라닌 합성의 keyenzyme인 tyrosinase의 작용결과 생성되는 DOPA(Dihydroxiphenylalanine)의 생성물의 흡광도를 흡수분광광도계(UV/VIS spectrometer, Jasc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기질로서 시험관에 0.1M potasium phosphate buffer(pH 6.8) 0.4mL, 0.03% tyrosine solution 0.4mL, 시료용액 0.1mL의 혼합액에 효소액 0.05mL(100units)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신속하게 ice에서 5분간 방치하여 반응을 중단시킨다.
이 반응액을 475nm에서 흡수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후 tyrosinase 효소활성 저해율을 구하였다. 효소활성 저해율은 시험시료가 포함되지 않은 반응액을 대조군으로 하였는데, 그 식은 "Tyrosinase 저해활성(%) = [(시험 시료가 들어있지 않은 반응액의 반응 후 흡광도 - 시험시료가 들어있는 반응액의 반응 후 흡광도) / 시험 시료가 들어있지 않은 반응액의 반응 후 흡광도] x 100"으로 하였다.
3. 조성물 및 조성별 효과
하기 시험 결과에서 가장 우수하게 평가된 품종으로서는 "성대"의 참다래 초임계 유체 추출물을 첨가한 필링젤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중에서 고급 필릴젤 제조에 이용되는 조성물을 기초로 하여 참다래 추출물 및 첨가 양을 달리하여 평가용 시제품 조성물을 표 1과 같이 만들었다.
방부제는 사용하지 않았고 자연 방부가 되도록 하였으며, 색소 등을 첨가하지 않았다. 이 때 시제품은 참다래 추출물 대부분이 수상이 되도록 하였고, 이 수상에 다른 유상성분을 더하여 고속유화하여 젤타입의 시제품을 완성하였다.
시제품으로 제작한 필링젤의 효능을 평가는 보통 피부를 가진 20대 남성 20명과 여성 10명에게 실험의 취지와 평가 방법에 대해 충분하게 숙지시킨 후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은 평가용 시제품 5g을 각각의 실험자 발뒤꿈치에 도포 후 1분간 기다리게 한 다음 5분 정도 살살 문지르게 하면서 각질을 벗겨낸 후 각질제거 효과에 대해 매우 좋으면 5점, 우수하면 4점, 보통이다는 3점, 불만족스럽다는 2점, 매우 불만족스럽다는 2점으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표 1. 참다래 초임계 유체 추출물이 함유된 필링젤의 품질 평가용 시제품 성분 조성표

조성물
함량(중량%)
A B C D
참다래 추출물 10 20 40 6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진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폴리에틸렌글리콜400 18.0 18.0 18.0 18.0
글리세린 4.2 4.2 4.2 4.2
셀룰로오즈 3.2 3.2 3.2 3.2
변성알콜 3.1 3.1 3.1 3.1
카보머 0.5 0.5 0.5 0.5
트리에탄올아민 0.5 0.5 0.5 0.5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2 0.2 0.2 0.2
향료 0.1 0.1 0.1 0.1
트리소듐이디티에이 적량 적량 적량 적량
4. 안정성 및 안전성
1) 참다래 필링젤의 온도에 따른 안정성
참다래 필링젤의 온도에 따른 안정성은 0, 25, 40℃ 조건에 보관하면서 경시적 변화에 따른 상태 변화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2) 인공광 안정성
투명 용기에 필링젤을 담아 Sun Lamp(WL-610, Labtron Co. Ltd, Busan, Korea)에 넣은 후 기내 온도는 40℃, 광원과의 거리는 20cm로 조절하여 인공 UV를 조사 후 0.5, 1, 2, 4, 6시간 동안의 변색, 발색, 변취, 산패 등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3) 자연 광에 대한 안정성
투명 용기에 필링젤을 담아 햇빛이 잘 드는 실외에 보관하여 15, 30일 동안의 변색, 발색, 변취, 산패 등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4) 안전성 평가
안전성은 피부자극에 대해 조사하였는데, 조사는 보통 피부를 가진 20대 남성 20명과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피실험자에게 실험의 취지와 평가 방법에 대해 충분하게 숙지시킨 후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은 평가용 시제품 5g을 각각의 실험자 발뒤꿈치에 도포한 후 6시간 후에 피실험자에게 관능평가를 하도록 하였는데, 1일 간격으로 3회를 실시하였다. 자극정도는 5점 척도법으로 자극이 전혀 없으면 5점, 없으면 4점, 보통이면 3점, 조금 있으면 2점, 매우 많으면 1점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Ⅱ. 결과 및 고찰
1. 각질제거용 참다래의 선발
참다래 추출물을 이용한 각질 제거제류의 상품을 제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참다래 종류별 연육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표 2로 나타냈으며, 표 2를 보면 "성대"가 가장 좋았고, "화미", "오스목", "해골", "해남"은 좋은 편이었으며, "헤이워드"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냈다.
표 2. 참다래의 종류별 연육 효과
참다래 종류
(품종)
도포 후 경과 시간
0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화미 - +++ ++++ ++++
서협 - ++ +++ +++
헤이우드 - + ++ ++
성대 - +++ ++++ +++++
오스목 - ++ +++ ++++
해골 - ++ +++ ++++
장백산 - + ++ +++
해남 - +++ ++++ ++++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2. 추출 방법 별 효과
상기 표 2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인 "성대"를 가지고 추출방법에 따른 총 페놀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표 3을 보면, 참다래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추출물이 1,000mg·ℓ-1 일 때 에탄올 추출물은 9.59mg·ℓ-1 , 메탄올 추출물은 8.7mg·ℓ-1 , 증류수 추출물은 8.2mg·ℓ-1 , 초임계유체 추출물은 12.4mg·ℓ-1 을 보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 4.1, 메탄올 추출물 3.8, 증류수 추출물 2.1, 초임계유체 추출물은 7.2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초임계유체 추출물로 추출한 것에서 총 페놀화합물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많아 효과적인 추출방법이었다.
표 3. 추출방법에 따른 참다래 성대의 총 페놀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L)
구분
추출 용매 초임계 유체 추출
에탄올 메탄올 증류수
총 페놀 화합물 9.5±2.7 8.7±1.6 8.2±0.2 12.4±2.9
총 플라보노이드 4.1±3.7 3.8±3.4 2.1±3.7 7.2±2.4
참다래 성대의 추출물 1,000mg·ℓ- 1 의 DPPH 라디컬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냈으며, 그 결과 에탄올 추출물 20.9%, 메탄올 추출물 21.3%, 증류수 추출물 41.0%, 초임계 유체 추출물 26.4%를 나타내어 증류수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했으며, 그 다음 초임계 유체 추출물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났다.
표 4. 참다래 성대의 추출 방법에 따른 DPPH 라디컬 소거능(%).
추출 방법
농도(mg·ℓ-1)
62 125 250 500 1000 2000
에탄올 추출 6.1 8.7 10.7 13.7 20.9 36.7
메탄올 추출 7.5 11.3 13.2 14.9 21.3 36.1
증류수 추출 8.2 10.0 18.0 27.2 41.0 60.2
초임계 유체 추출 11.4 12.8 15.9 18.1 26.4 43.3
참다래 성대의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및 초임계유체 추출물 2,000mg·ℓ-1 이 멜라닌 색소의 중요한 단계를 촉매하는 효소인 tyrosinase 활성의 저해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으며, 표 5를 보면 초임계 유체추출물에서 14.1%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5. 참다래 성대 추출물 2,000mg·ℓ-1의 타이로시나제 활성 저해능(%)
추출 용매 초임계 유체
추출
에탄올 메탄올 증류수
10.1±1.2 10.3±1.7 1.2±0.6 14.1±1.4
3. 필링젤 조성별 효과
(1) 효능
각질제거 효과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과 본 연구 결과에서 얻어진 시제품(표 1의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표 6을 보면 모두 4.3 이상으로 좋다 이상의 수준을 나타낸 가운데, 시제품 C 및 D 시제품이 높게 평가되었다.
이는 참다래 추출물의 함량이 C시제품은 40중량%, D시제품은 60중량%가 함유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되는데, 고농도로 함유되는 경우 피부에 접촉되면 너무 과도하게 작용하여 피부가 눈에 보이게 벗겨지고 살아 있는 세포에 손상을 주어 부종, 홍반, 따끔거림, 화끈거림 등의 심각한 피부자극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안전성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각질제거 효과 측면에서는 D 시제품이 가장 우수하지만 안전성 평가에 따라 최종적인 시제품을 선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표 6. 참다래 초임계 추출물을 첨가한 필링젤의 조성물에 따른 각질제거 효과
성별
평가 값
종래 제품 A 종래 제품 B 본 발명 A 본 발명 B 본 발명 C 본 발명 D
4.4±0.07 4.2±0.08 4.2±0.10 4.3±0.09 4.5±0.07 4.5±0.05
4.4±0.08 4.3±0.07 4.3±0.07 4.4±0.06 4.6±0.09 4.6±0.05
5:매우 좋다, 4:좋다, 3:보통, 2:좋지 않다, 1:매우 좋지 않다
(2) 안전성
성대의 참다래 초임계 추추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표 1의 필링젤에 대해 피부자극 측면에서 20대 남녀에서 발뒤꿈치에 도포 및 사용 후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표 7의 결과를 보면 남녀 모두 참다래 추출물이 60중량% 함유된 D 시제품에 대해서만 각각 4.8(남), 4.9(여)로 평가하였으며, 그 외의 시제품에 대해서는 5.0으로 전혀 피부 자극이 없다고 응답을 하였다. 따라서 안전성 측면에서는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7. 참다래 초임계 추출물을 첨가한 필링젤 조성물에 따른 피부자극 정도
성별
평가
A B C D
5.0±0 5.0±0 5.0±0 4.8±0.03
5.0±0 5.0±0 5.0±0 4.9±0.02
5:전혀 없다. 4:없다, 3:보통, 2:조금 있다, 1:매우 많이 있다
(3) 최종 시제품
참다래 초임계 유체 추출물 및 조성물 함량을 달리하여 효능과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효능 측면에서는 C, D 시제품이 우수하였으나 D 시제품의 경우 C 시제품에 비해 안정성 평가값이 다소 낮게 나타나 최종적으로 표 8과 같은 조성물의 필링젤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한 필링젤은 천연재료인 참다래 추출물을 각질제거용에 활용한 것으로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효과적이어서 제품화시 좋은 반응을 얻을 것으로 사료되며, 참다래의 소비 다양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8. 참다래 추출물을 첨가하여 최종적으로 개발한 필링젤 시제품 성분 조성
조성물 함량(중량%)
참다래 추출물 40
정제수 잔량
알진 적량
폴리에틸렌글리콜400 18.0
글리세린 4.2
셀룰로오즈 3.2
변성알콜 3.1
카보머 0.5
트리에탄올아민 0.5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2
향료 0.1
트리소듐이디티에이 적량
표 8의 조성에 따라 시제품을 제조하여 용기에 포장한 후 그 제품에 대한 사진을 도 1에 첨부하였다.
4. 필링젤의 안정성
표 8에 따라 제조된 필링젤에 대한 제품으로서의 안정성에 대한 결과이다.
1) 온도 안정성
화장품의 경시적 열화 현상과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서 온도 안정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9에 나타냈다. 표 9를 보면 0, 25, 40℃의 온도에 보관한 참다래 추출물을 첨가한 필링젤은 30일 동안 모든 온도 조건에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표 9. 참다래 추출물을 첨가한 필링젤의 온도조건에 따른 안정성
온도(℃)
경과 일수(일)
1 2 4 8 16 24 30
0
25
40
○:안정, X: 불안정
2) 광안정성
참다래 추출물을 첨가한 필링젤의 인공광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를 표 10에 나타냈다. 표 10을 보면, 0.5, 1, 2, 4, 6시간 동안의 변퇴색, 발색, 변취, 산패 등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는데 모두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0. 참다래 추출물을 첨가한 필링젤의 인공광 조건에서 안정성
조건
경과 시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안정성
○:안정, X: 불안정
3) 자연광에 대한 안정성
화장품을 출시 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태양광과 형광등의 빛에 노출되어 변색되는 등 물리, 화학적으로 품질의 특성이 변하는 것을 사전에 조사하여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광안정성 실험을 실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상점에서 화장품 진열에는 각종 광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직접 일광하에 진열되기도 하고, 쇼윈도우 내에 장기간 두는 경우도 있다. 용기 내에 내용물이 직접 광 조사 하에 있지 않은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용기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광 안정성은 반드시 조사를 하여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참다래 추출물을 첨가한 필링젤을 햇빛이 잘 드는 실외에 보관하여 15, 30일 동안의 색조변화 및 냄새 변화를 조사한 결과 표 11과 같았다. 참다래 추출물이 첨가된 필링젤은 색조변화와 냄새 변화 없이 안정함을 나타내었다.
표 11. 자연광에서 참다래 추출물 필링젤의 안정성

조건
경과 일수(일)
15 30
안정성
○:안정, X: 불안
4. 적요
본 연구는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한 우수한 각질 제거제를 제조하기 위해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한 참다래의 선발, 효과적인 추출방법의 구명,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한 각질제거제 최적 조성물 구성 구명 및 개발한 참다래 필링젤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돈육을 대상으로 연육효과가 좋은 참다래를 조사한 결과 참다래 성대 품종이 가장 우수해 각질제거제로 "성대"를 선발하였다.
참다래의 추출은 초임계 유체로 온도 50℃, 압력 400bar 조건에서 추출한 것에서 항산화 및 미백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필링젤의 조성물은 초임계 유체 추출물 40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18.0중량%, 글리세린 4.2중량%, 셀룰로오스 3.2중량%, 변성알콜 3.1중량%, 카보머 0.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중량%, 피이지40 하이드로 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2중량%, 향료 0.1중량%, 트리소듐이디티에이 적량, 알진 적량, 정제수 잔량으로 조성한 것에서 우수한 효과를 내었으며, 안정성과 안전성이 있었다.

Claims (4)

  1. 참다래 품종 중 성대를 이용하여 온도 50℃, 압력 400bar 조건에서 초임계 유체 추출한 참다래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참다래 초임계 유체 추출물 40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18.0중량%,
    글리세린 4.2중량%,
    셀룰로오스 3.2중량%,
    변성알콜 3.1중량%,
    카보머 0.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중량%,
    피이지40 하이드로 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2중량%,
    향료 0.1중량% 및
    잔부 중량% 트리소듐이디티에이, 알진 및 정제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어 각질 제거 효능을 가지는 필링젤로 사용하기 위한 화장품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122268A 2011-11-22 2011-11-22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한 각질제거 효과 조성물 KR101315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268A KR101315975B1 (ko) 2011-11-22 2011-11-22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한 각질제거 효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268A KR101315975B1 (ko) 2011-11-22 2011-11-22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한 각질제거 효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592A KR20130056592A (ko) 2013-05-30
KR101315975B1 true KR101315975B1 (ko) 2013-10-08

Family

ID=4866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268A KR101315975B1 (ko) 2011-11-22 2011-11-22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한 각질제거 효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9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02Y1 (ko) 2017-11-22 2018-07-02 이영조 각질 제거용 스펀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9054A (ja) * 1998-03-18 1999-10-05 Kao Corp 化粧料
JP2005053842A (ja) 2003-08-05 2005-03-03 Asahi Kasei Chemicals Corp 皮膚化粧料
JP2008509905A (ja) 2004-08-10 2008-04-03 ヘリクシール・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キウイフルーツの抽出物を含む脱毛および脂漏性皮膚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用組成物
KR101064934B1 (ko) * 2010-02-01 2011-09-16 (주)더페이스샵 비타민 c 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9054A (ja) * 1998-03-18 1999-10-05 Kao Corp 化粧料
JP2005053842A (ja) 2003-08-05 2005-03-03 Asahi Kasei Chemicals Corp 皮膚化粧料
JP2008509905A (ja) 2004-08-10 2008-04-03 ヘリクシール・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キウイフルーツの抽出物を含む脱毛および脂漏性皮膚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用組成物
KR101064934B1 (ko) * 2010-02-01 2011-09-16 (주)더페이스샵 비타민 c 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02Y1 (ko) 2017-11-22 2018-07-02 이영조 각질 제거용 스펀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592A (ko)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20375A (zh) 生物活性植物化妆品组合物及其生产方法
KR101936294B1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080078753A (ko) 식물에서 기능성 화장품 성분 추출 방법
KR20120024262A (ko)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Cefali et al. Vitamin C in acerola and red plum extracts: quantification via hplc,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d stability of their gel and emulsion formulations
KR101664025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Šic Žlabur et al. Application of ultrasound as clean technology for extraction of specialized metabolites from stinging nettle (Urtica dioica L.)
KR101541520B1 (ko)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갖는 황칠나무, 산수유 및 구기자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Zampini et al. Nutraceutical properties and toxicity studies of fruits from four Cactaceae species grown in Argentine Northwestern
KR101836348B1 (ko) 카카오닙스의 추출물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1035A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1732A (ko) 저온숙성추출법에 의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0093A (ko) 발아곡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5975B1 (ko)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한 각질제거 효과 조성물
KR101944082B1 (ko) 아가위 열매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또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60263B1 (ko) 자미고구마를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조성물의제조방법
JP5159074B2 (ja) 細胞賦活剤、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コラゲナーゼ活性阻害剤、メラニン産生抑制剤、抗酸化剤、抗炎症剤、脂肪蓄積抑制剤、皮膚外用剤及び食品
KR10096701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 화장료
Kaur et al. Utilisation of Diospyros kaki L.(persimmon) as a functional ingredient to produce functional foods: A review
Turcov et al. Valoriza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Residual Saffron Biomass (Crocus sativus L.) to Obtain High Value Added Dermato-Cosmetic Products.
KR101567325B1 (ko) 국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20120096628A (ko) 표고버섯을 함유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Saati et al. Non-Alcoholic Extraction of Rose Pigment as a Halal and Safe Natural Colorant and Bioactive Compound
Parveen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Phytochemical Extracts from Different Varieties of Various Plants.
KR102313083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