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725B1 - 자성체 구조물 - Google Patents

자성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725B1
KR101315725B1 KR1020110109766A KR20110109766A KR101315725B1 KR 101315725 B1 KR101315725 B1 KR 101315725B1 KR 1020110109766 A KR1020110109766 A KR 1020110109766A KR 20110109766 A KR20110109766 A KR 20110109766A KR 101315725 B1 KR101315725 B1 KR 101315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heet
layer
conductor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513A (ko
Inventor
류병훈
성원모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110109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72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15358Making agglomerates therefrom, e.g. by pressing
    • H01F1/15366Making agglomerates therefrom, e.g. by pressing using a bin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15358Making agglomerates therefrom, e.g. by pressing
    • H01F1/15366Making agglomerates therefrom, e.g. by pressing using a binder
    • H01F1/15375Making agglomerates therefrom, e.g. by pressing using a binder us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 H01F10/005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organic or organo-metallic films, e.g. monomolecular films obtained by Langmuir-Blodgett technique, graph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성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기용제, 자성체 분말, 및 바인더가 포함된 슬러리를 건조 및 소성하여 형성되는 자성 소성 시트; 및 유기용제, 자성체 분말, 및 폴리머가 포함된 슬러리를 건조하여 형성되는 자성 복합 시트로서, 상기 자성 소성 시트의 상면과 면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자성 소성 시트의 하면과 면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자성 복합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 소성 시트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서 상기 제1, 제2 레이어가 면접하는 자성체 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자성체 구조물{MAGNETIC SUBSTANCE STRUCTURE}
본 발명은 자성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성 소성 시트 및 자성 복합 시트의 결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자성체란 자성을 지닌 물질, 즉 자기장 안에서 자화하는 물질을 말한다. 자성체는 투자율(permeability) 값이 1보다 크기 때문에 투자율 특성을 활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응용분야로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자성체를 시트(sheet) 형태로 제작한 구조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도 1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의 단면이 도시된다. 종래의 자성체 구조물은 자성 소성 시트(1)의 양면에 보호 필름(2)이 부착된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충격에 의해 깨어지는 특징이 있는 자성 소성 시트(1)를 보호하며 견고한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양면에 보호 필름(2)을 부착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자성 소성 시트(1)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2) 때문에 투자율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부분의 보호 필름(2)은 투자율 값이 실질적으로 1이기 때문에, 안테나로 예를 들면 자성 소성 시트(1)와 방사체인 도체간에 공기(투자율 1)층이 있는 것과 같아 자성 소성 시트(1)의 고투자율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성 소성 시트(1)의 투자율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도체와 자성 소성 시트 사이 간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자성 소성 시트의 투자율 특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자성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자성체 구조물에 도체를 포함시켜서 전자 기기의 각종 부품으로 동작하는 자성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기용제, 자성체 분말, 및 바인더가 포함된 슬러리를 건조 및 소성하여 형성되는 자성 소성 시트; 및 유기용제, 자성체 분말, 및 폴리머가 포함된 슬러리를 건조하여 형성되는 자성 복합 시트로서, 상기 자성 소성 시트의 상면과 면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자성 소성 시트의 하면과 면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자성 복합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 소성 시트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서 상기 제1, 제2 레이어가 면접하는 자성체 구조물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폴리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나일론(Nylon)과 같은 점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레이어가 상기 자성 소성 시트보다 더 넓게 구성되고, 상기 제1, 제2 레이어의 외주가 봉합되어 상기 자성 소성 시트가 밀봉될 수도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제2 레이어가 압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 제2 레이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자성 소성 시트가 다수의 조각으로 파단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연성을 띨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레이어의 상면에 형성되는 도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성 소성 시트 및 상기 제1 레이어 사이에 개재되는 도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체는 상기 제1 레이어에 인쇄, 증착, 도금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도체는 금속박, 금속판, 프레스 가공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체가 소정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여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레이어가 상기 제2 레이어보다 더 얇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레이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도체의 일부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성 소성 시트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레이어의 내부에 상기 관통부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 및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도체의 일부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를 상기 제2 레이어가 밀봉하도록 상기 관통부보다 상기 개방부가 더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성 소성 시트에 자성 복합 시트를 결합시킨 자성체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자성 소성 시트의 투자율 특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성체 구조물이 연성을 띠기 때문에, 휘어지는 자성체 구조물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성체 구조물을 안테나로 활용할 경우 투자율 특성에 의해 대역폭이 확대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에 포함되는 자성 소성 시트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의 평면도.
이하,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하좌우의 기준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은 자성 소성 시트(10) 및 자성 복합 시트(20)를 포함한다. 이하, 자성 소성 시트(10)와 자성 복합 시트(2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자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자성 복합 시트(20)는 유기용제, 자성체 분말, 및 폴리머(polymer)가 포함된 슬러리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자성체 분말 및 폴리머를 유기용제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슬러리(slurry)를 얻는다. 이때, 자성체 분말 및 폴리머 이외에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 후, 얻어진 슬러리를 캐리어 필름에 도포하게 되는데, 이때 닥터 블레이드 또는 코터 블레이드 등과 같은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캐리어 필름(미도시)에 얇게 도포된 슬러리를 건조시키면 자성 복합 시트(20)가 형성된다. 자성 복합 시트(20)가 건조되어 완성되면 캐리어 필름을 분리할 수도 있다.
요약하자면, 자성 복합 시트(20)는 유기용제, 자성체 분말, 및 폴리머가 포함된 슬러리를 건조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유기용제로는 MEK(Methyl Ethyl Ketone), 톨루엔(Toluene)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체 분말로는 페라이트(Ferrite), 센더스트(Sendust)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나일론(Nylon)과 같은 점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유기용제, 자성체 분말, 및 폴리머의 바람직한 비율은 다음과 같다. 유기용제 대 폴리머 고형분의 중량비는 1:0.2 내지 1:0.7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기용제 및 폴리머 고형분의 혼합물 대 자성체 분말의 중량비는 1:0.8 내지 1:2.0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 소성 시트의 제조방법
자성 소성 시트(10)는 유기용제, 자성체 분말, 및 바인더(binder)가 포함된 슬러리를 도포한 후 건조 및 소성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자성체 분말 및 바인더를 유기용제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슬러리(slurry)를 얻는다. 이때, 자성체 분말 및 바인더 이외에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 후, 얻어진 슬러리를 캐리어 필름에 도포하게 되는데, 이때 닥터 블레이드 또는 코터 블레이드 등과 같은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캐리어 필름(미도시)에 얇게 도포된 슬러리를 건조시키면 그린 시트가 형성되고, 이를 소성함으로써 자성 소성 시트(10)를 얻는다. 즉, 자성 소성 시트(10)는 자성 복합 시트(20)와 혼합물의 구성 또는 비율에 차이를 두어 유사한 공정으로 제조하되, 자성 복합 시트(20)와 달리 소성 공정을 추가로 수행하여 얻게 된다.
한편 자성 소성 시트(10)를 제조함에 있어서, 유기용제로는 MEK(Methyl Ethyl Ketone), 톨루엔(Toluene)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체 분말로는 페라이트(Ferrite), 센더스트(Sendust)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는 PVB(Polyvinyl Butyral), PVA(Polyvinyl Alcohol) 등의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유기용제, 자성체 분말, 및 바인더의 바람직한 비율은 다음과 같다. 유기용제 대 바인더의 중량비는 1:0.2 내지 1:0.4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기용제 및 바인더의 혼합물 대 자성체 분말의 중량비는 1:1 내지 1:1.5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작 의도에 따라 다른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슬러리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조된 자성 소성 시트(10) 및 자성 복합 시트(20)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띤다. 자성 소성 시트(10)는 자성 복합 시트(20)에 비해 일반적으로 투자율이 더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충격에 의해 쉽게 깨어지는 문제가 있다. 반면, 자성 복합 시트(20)는 투자율이 더 낮게 나타나지만, 연성을 띠기 때문에 충격에 의해 깨어지는 일은 없다. 게다가, 자성 복합 시트(20)는 사용한 폴리머의 점착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접착제가 없어도 동종 소재 또는 이종 소재끼리 부착될 수 있는 성질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성 소성 시트(10)의 상면에는 제1 레이어(21)가 면접하도록 배치되고, 자성 소성 시트(10)의 하면에는 제2 레이어(22)가 면접하도록 배치된다. 제1 레이어(21)와 제2 레이어(22)는 자성 복합 시트(20)에 해당하므로 점착특성을 띤다. 따라서 전술한 배치 구조에 의해 자성 소성 시트(10)를 사이에 둔 상태로 제1 레이어(21) 및 제2 레이어(22)가 부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에 의하면 자성 소성 시트(10)가 갖는 높은 투자율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자성 복합 시트(20)에 의해 그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에 포함되는 자성 소성 시트(10)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자성 소성 시트(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11, 12)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11, 12)의 형상은 홀 형태(11) 또는 슬릿 형태(12)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관통부(11, 12)가 형성될 경우 자성 소성 시트(10)의 양면에 배치되는 제1, 제2 레이어(21, 22)의 일부면이 관통부(11, 12)를 통해 면접할 수 있다. 제1, 제2 레이어(21, 22)는 점착 특성을 갖는 자성 복합 시트(20)이기 때문에, 상호간에 면접하는 면적이 넓을수록 결합력이 강화된다. 즉, 관통부(11, 12)에 의해 제1, 제2 레이어(21, 22) 상호간에 면접되는 부분이 넓어져서 결합력이 강화되는 것이다.
관통부(11, 12)를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자성 소성 시트(10)를 소성하기 전에 관통부(11, 12)를 형성한 후 소성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성 이후에 관통부(11, 12)를 형성할 경우 자성 소성 시트(10)가 깨져서 조각나기 때문이다.
한편, 제1, 제2 레이어(21, 22)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자성 소성 시트(10)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제작될 수도 있겠지만, 자성 소성 시트(10)보다 더 넓게 구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제1, 제2 레이어(21, 22)의 외주가 직접 맞닿도록 봉합되면서 자성 소성 시트(10)가 밀봉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만약, 자성 소성 시트(10)가 완전히 밀봉되지 않으면, 자성 소성 시트(10)에서 발생될 수 있는 파쇄된 미세한 조각물들이 외부로 빠져나올 여지가 있어 부품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자성 소성 시트(10)를 완전히 밀봉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자성 소성 시트(10)가 완전히 밀봉되면 외관상 깔끔해지는 장점도 있고, 제1, 제2 레이어(21, 22) 상호간에 면접되는 부분이 넓어져서 결합력이 강화되는 장점도 있다.
제1, 제2 레이어(21, 22)를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공법이 있겠지만, 일 예로써 압착을 통해 결합시킬 수도 있다. 압착을 통해 제1, 제2 레이어(21, 22)를 결합하게 되면 견고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압착 공법의 예로는, 롤러를 통해 압착하는 방법도 있고, 등방 가압을 통해 압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것이다.
한편, 압착 공정을 수행할 때 제1, 제2 레이어(21, 22) 사이에 개재되는 자성 소성 시트(10)를 다수의 조각으로 파단할 경우, 자성체 구조물은 전체적으로 연성을 갖는다. 다시 말해, 자성 복합 시트(20)는 소재의 성질상 연성을 띠기 때문에 휘어지는 특성을 갖고, 자성 소성 시트(10)는 자성 복합 시트(20)의 내부에 포함되어 파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휘어지더라도 외부로 노출될 수가 없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연성을 갖게 된다.
이때, 전술한 관통부(11, 12)를 규칙적으로 배열할 경우 자성 소성 시트(10)의 파단되는 구조를 미리 설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즉, 압력에 의해 자성 소성 시트(10)가 파단되면서 관통부(11, 12)가 형성된 배열을 따라 파단되기 때문에 더욱 규칙적인 파단이 가능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4에 의하면, 제1 레이어(21)의 상면에 도체(30)가 형성되는 구조가 도시된다. 도 5에 의하면, 자성 소성 시트(10) 및 제1 레이어(21) 사이에 도체(30)가 개재되는 구조가 도시된다.
도체(30)는 전도성을 띠기 때문에, 도체(30)의 종류, 형상, 개수 등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전자 부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체(30)를 통해 회로의 도선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도체(30)의 형태를 스파이럴(spiral) 구조로 형성함으로 인덕터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도체(30)를 이격하여 배치함으로써 커패시터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체(30)의 형성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겠으나,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체(30)는 금속박, 금속판, 프레스 가공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박이란 얇은 박 또는 막 형태의 금속을 말한다. 금속판이란 금속박보다는 두껍지만 판 형태로 구성되는 금속을 말한다. 프레스 가공물이란 도체(30)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하기 위해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 금속 가공물을 말한다. 이처럼, 도체(30)는 직접적인 금속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체(30)는 인쇄, 증착, 도금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1 레이어(2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쇄란 패드 프린팅(pad printing) 방식으로 도전성 물질을 제1 레이어(21)에 찍어내거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도료를 제1 레이어(21)에 입히는 것을 말한다. 증착이란 진공 상태에서 도전성 물질을 분사하여 얇은 박막을 형성하는 기술을 말한다. 도금이란 디핑(dipping) 방식으로 제1 레이어(21)에 도전성 물질을 입히는 것을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체(30)를 소정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는 방사체로 구성함으로써 안테나로 동작하는 자성체 구조물이 제공된다. 도체(30)는 별도의 회로 기판에 형성된 급전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방사체로 활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이 안테나로 활용될 경우, 도체(30) 주변에 고투자율을 갖는 물질, 즉 자성 소성 시트(10) 및 자성 복합 시트(20)가 배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안테나의 대역폭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체(30)를 안테나로 활용할 경우 제1 레이어(21)는 제2 레이어(22)보다 더 얇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처럼, 도체(30)가 제1 레이어(21)의 상면에 배치되는 구조의 경우, 자성 소성 시트(10)의 투자율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제1 레이어(21)의 두께를 얇게하는 것이다. 만약, 도 5처럼 도체(30)가 자성 소성 시트(10) 및 제1 레이어(21) 사이에 개재될 경우에는, 전파의 방사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레이어(21)의 두께를 얇게 구성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체(30)가 외부로 노출되는 도 4의 구조에 의하면 자성 소성 시트(10)의 투자율 특성을 최대한 가까이에서 활용하기 위해 제1 레이어(21)의 두께를 얇게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자성 소성 시트(10)가 자성 복합 시트(20) 보다 높은 투자율 값을 갖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체(30)가 자성 소성 시트(10) 및 제1 레이어(21) 사이에 개재되는 구조에 있어서는, 도체(30)에서 방사되는 전파를 제1 레이어(21)가 차폐하지 않도록 제1 레이어(21)의 두께를 얇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체(30)가 자성 소성 시트(10) 및 제1 레이어(21) 사이에 개재되는 구조(도 5 참조)에 있어서 도체(3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체(30)는 완전히 밀봉될 수도 있겠지만, 그 일부를 노출함으로써 외부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체(30)를 다양한 전자 부품으로 활용할 때 전기적인 컨택트 구조가 필요하면 이러한 구조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의하면, 제1 레이어(21)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23)를 형성하고, 개방부(23)를 통해 도체(30)의 일부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가 도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부 구성요소를 상면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인데, 도 6의 (a)에 도시된 제1 레이어(21)를 도 6의 (b)에 도시된 도체(30)와 결합함으로써, 도 6의 (c)와 같이 도체(3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에 의하면 이러한 결합 구조의 단면이 도시된다.
도 8 및 도 9에 의하면, 자성 소성 시트(10)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11)가 형성되고, 제2 레이어(22)의 내부에 관통부(11)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24)가 형성됨으로써, 관통부(11) 및 개방부(24)를 통해 도체(30)의 일부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가 도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부 구성요소를 하면에서 올려다본 저면도인데, 도 8의 (a)에 도시된 제2 레이어(22)를 도 8의 (b)에 도시된 자성 소성 시트(10) 및 도 8의 (c)에 도시된 도체(30)와 결합함으로써, 도 8의 (d)와 같이 도체(3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9에 의하면 이러한 결합 구조의 단면이 도시된다.
도 8 및 도 9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레이어(22)가 관통부(11)를 밀봉하도록 개방부(24)를 관통부(11)보다 더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관통부(11)와 개방부(24)의 크기 및 형상을 동일하게 하거나 개방부(24)를 더 크게 형성할 경우, 자성 소성 시트(10)의 관통부(11) 부근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자성 소성 시트(10)는 충격에 의해 쉽게 파쇄되고, 파쇄된 조각물이 외부로 노출되면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자성 소성 시트(10)는 완전히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개방부(24)를 관통부(11)보다 더 작게 형성함으로써 밀봉 구조를 구현하는 것이다.
한편, 도면상으로는 도체(30)가 노출되는 부분을 2개로 도시하였지만, 그 개수가 반드시 2개로 한정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도체(30)를 안테나로 사용하고 도체(30)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2개로 형성할 경우, 하나를 급전부(미도시)와 접속하고, 나머지 하나를 접지부(미도시)와 접속하게 되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도체(30)를 역F형 안테나로 동작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도체가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노출되는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이렇게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30)가 상면 및 하면 양쪽으로 노출되는 구조도 구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체(30)가 제1 레이어(21)의 상면에 형성되는 구조(도 4 참조)에 있어서 도체(30)의 일부가 자성체 구조물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1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 구조물이 절곡되어 도체(30)의 일부분(31)이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구조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이러한 구조를 활용하여 도체(30)를 안테나로 사용하면 도체의 일부분(31)을 급전 또는 접지와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1에 따르면 자성 복합 시트(20)만 절곡되고 자성 소성 시트(10)는 절곡되지 않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성 소성 시트(10)가 파단되어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띠는 구조가 될 경우 자성 소성 시트(10)를 포함한 부분에서도 절곡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12에 의하면 도체(30)의 일부분(31)을 돌출시켜 하측으로 절곡시키기 위한 두 가지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2의 (a)에 의하면 도체(30)의 일부분(31)을 더 돌출시켜서 그 부분을 하측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된다. 한편, 도 12의 (b)에 의하면 도체(30)의 일부분(31)을 돌출시키기 위해 자성체 구조물의 전체 형상을 변경할 필요없이, 도체(30)의 형상만 돌출형으로 제조하고 돌출된 부분(31)의 양단을 점선을 따라 절개하여 하측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자성 소성 시트(10)와 자성 복합 시트(20)에 포함되는 물질의 종류와 배합 비율 등은 제작 의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1 레이어(21) 및 제2 레이어(22)에 포함되는 물질의 종류 및 배합 비율은 동일한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상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체(30)가 자성 소성 시트(10)의 하면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도체(30)가 자성 소성 시트(10)와 제2 레이어(22)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고, 제2 레이어(22)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도체(30)가 전술한 구조들의 조합에 따라 다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변형예들까지 모두 포함한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자성 소성 시트
11, 12: 관통부
20: 자성 복합 시트
21: 제1 레이어 22: 제2 레이어
23, 24: 개방부
30: 도체

Claims (14)

  1. 유기용제, 자성체 분말, 및 바인더가 포함된 슬러리를 건조 및 소성하여 형성되는 자성 소성 시트; 및
    유기용제, 자성체 분말, 및 폴리머가 포함된 슬러리를 건조하여 형성되는 자성 복합 시트로서, 상기 자성 소성 시트의 상면과 면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자성 소성 시트의 하면과 면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자성 복합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 소성 시트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서 상기 제1, 제2 레이어가 면접하는 자성체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나일론(Nylon)과 같은 점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되는 자성체 구조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레이어가 상기 자성 소성 시트보다 더 넓게 구성되고, 상기 제1, 제2 레이어의 외주가 봉합되어 상기 자성 소성 시트가 밀봉되는 자성체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레이어가 압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 제2 레이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자성 소성 시트가 다수의 조각으로 파단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연성을 띠는 자성체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의 상면에 형성되는 도체를 더 포함하는 자성체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소성 시트 및 상기 제1 레이어 사이에 개재되는 도체를 더 포함하는 자성체 구조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상기 제1 레이어에 인쇄, 증착, 도금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자성체 구조물.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금속박, 금속판, 프레스 가공물 중 어느 하나인 자성체 구조물.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가 소정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여 안테나로 동작하는 자성체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가 상기 제2 레이어보다 더 얇은 자성체 구조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도체의 일부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자성체 구조물.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소성 시트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레이어의 내부에 상기 관통부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 및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도체의 일부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자성체 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를 상기 제2 레이어가 밀봉하도록 상기 관통부보다 상기 개방부가 더 작게 형성되는 자성체 구조물.
KR1020110109766A 2011-10-26 2011-10-26 자성체 구조물 KR101315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766A KR101315725B1 (ko) 2011-10-26 2011-10-26 자성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766A KR101315725B1 (ko) 2011-10-26 2011-10-26 자성체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513A KR20130045513A (ko) 2013-05-06
KR101315725B1 true KR101315725B1 (ko) 2013-10-08

Family

ID=4865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766A KR101315725B1 (ko) 2011-10-26 2011-10-26 자성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7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5089A (ko) * 1996-06-28 1998-03-30 이형도 전자기적 특성이 양호한 인덕터 칩의 제조방법
KR100570091B1 (ko) 2002-07-25 2006-04-1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바리스터의 제조방법 및 바리스터
JP2009225608A (ja) 2008-03-18 2009-10-01 Nitto Denko Corp モータ用永久磁石及びモータ用永久磁石の製造方法
KR20100011988A (ko) * 2007-06-21 2010-02-03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자성 시트 및 자성 시트의 제조 방법과, 안테나, 및 휴대 통신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5089A (ko) * 1996-06-28 1998-03-30 이형도 전자기적 특성이 양호한 인덕터 칩의 제조방법
KR100570091B1 (ko) 2002-07-25 2006-04-1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바리스터의 제조방법 및 바리스터
KR20100011988A (ko) * 2007-06-21 2010-02-03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자성 시트 및 자성 시트의 제조 방법과, 안테나, 및 휴대 통신 기기
JP2009225608A (ja) 2008-03-18 2009-10-01 Nitto Denko Corp モータ用永久磁石及びモータ用永久磁石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513A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1444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antennas from textile fabrics and components
KR102158031B1 (ko)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안테나
CN102461360B (zh) 带衬纸磁性片材和利用该片材的电子元器件的制造方法
US10784574B2 (en) Antenna
KR100951197B1 (ko) 적층형 패치 안테나
KR102070401B1 (ko) 초광대역 패치 안테나
US20110159317A1 (en) Flexible sheet with high magnetic permeabilit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CN111082215B (zh) 用于mmWave频段的低损耗且柔性的集成有传输线的天线
US10622155B2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85253A (ko) 복합 페라이트 시트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JP6569826B2 (ja) アンテナモジュール
KR101315725B1 (ko) 자성체 구조물
KR20060087820A (ko) 박형 전자파 쉴드 테이프, 이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구조 및 그 제조방법
US10985452B2 (en) Antenna elements
JP2007067596A (ja) 平面アンテナ
CN105632682B (zh) 片式电感器及其制备方法
JPH06112730A (ja)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CN109642126B (zh) 压敏胶带、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电子设备
JP5257707B2 (ja) 誘電体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装置
CN202111230U (zh) 一种抗金属超高频电子标签天线、标签及防伪易拉罐
KR20130009532A (ko) 소성 페라이트 파우더, 이를 적용한 전자파 흡수체 시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159374B1 (ko) 안테나 패키지의 제조 방법
KR101174412B1 (ko) 페라이트 시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44552B1 (ko) 복합 안테나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206332903U (zh) 带磁隔离和电隔离及天线的抗emi线路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