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095B1 -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095B1
KR101315095B1 KR1020110078974A KR20110078974A KR101315095B1 KR 101315095 B1 KR101315095 B1 KR 101315095B1 KR 1020110078974 A KR1020110078974 A KR 1020110078974A KR 20110078974 A KR20110078974 A KR 20110078974A KR 101315095 B1 KR101315095 B1 KR 101315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fingerprint
input
pronunciation
lea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829A (ko
Inventor
설융석
동하 다비드 김
Original Assignee
동하 다비드 김
설융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하 다비드 김, 설융석 filed Critical 동하 다비드 김
Priority to KR1020110078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0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은, 음성 및 텍스트를 포함한 상태에서 외국어로 이루어진 지문을 수록한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문장 분석 인터페이스; 텍스트 디스플레이 없이 상기 지문의 음성을 학습자에게 출력하는 제 1 음원 재생모듈과, 학습창의 입력창에 상기 지문을 이루는 단어 중 특정 단어의 발음을 텍스트 형태로 학습자에게 입력하도록 하여 입력된 단어발음을 저장하는 제 1 단어발음 입력모듈 및, 상기 학습창에 텍스트의 출력과 함께 상기 지문의 음성을 학습자에게 출력하는 제 1 음원 재생모듈과,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지문의 문제를 풀어 정답 여부를 확인하는 문제 풀이 모듈을 포함한 리스닝 학습 제공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대화형 내지 설명형으로 이루어진 긴 지문(음원)에서 해당 지문의 해결 키워드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단어를 학습자가 신속하게 입력 창에 입력하도록 하는 훈련방식을 제공하여 외국어 리스닝 실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FOREIGN LANGUAGE LISTENING STUDYING SYSTEM THROUGH INPUTTING WORDS BY USER}
본 발명은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문단을 포함한 지문을 듣고 문제를 풀도록 하는 외국어 리스닝 학습에서, 학습자로 하여금 지문 내 단어를 입력하여 주어진 지문의 주제 또는 핵심, 문제 해결에 대한 핵심을 최대한 빨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리스닝 방법을 제공하는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외국어(주로 한국에서는 영어) 학습 방법은 과거 책과 강사의 강의에 의존하다가 현재 인터넷 및 모바일/컴퓨터 프로그램 기술의 발달에 의해 모니터 내지 이동통신단말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매개로 인터넷 사이트, 모바일 페이지 등에서 네이티브 스피커의 음원을 재생하고 문제를 학습자가 풀도록 하는 방식으로 외국어 리스닝 학습을 제공하는 경우가 일반화되었다 할 것이다.
이러한 공지의 사이버 외국어 리스닝 방법은 외국어 지문을 네이티브 스피커의 음원으로서 제공하고 이러한 음원을 제공할 때 지문을 자막 형태로 선택적으로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는 자막 선택적 제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했으며 이러한 음원을 듣고 학습자가 문제를 풀도록 한 다음 학습자가 선택한 답의 정답 여부를 채점하여 점수를 매기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러한 사이버 외국어 리스닝 방법은 물론 오프라인 등에서의 외국어 리스닝 시험(토익, 토플 등)을 살펴보면, 주어진 시간에 비해 음원으로 제공되는 지문의 길이가 길어 제대로 리스닝을 하지 못하거나 해당 음원의 핵심 단어를 듣지 못해 문제 해결 방식을 놓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
특히 외국어 리스닝 문제 중, 해당 지문의 문제 해결 방안(2명의 대화형 지문) 내지 주제/목적(1명의 설명문 형식 지문)을 묻는 문제가 대개의 지문 별로 주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문제를 파악할 때 특정 요령이 없이 단지 모든 단어와 내용을 들으려다가 정작 놓치지 말아야 하는 특정 단어를 못 듣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자의 오랜 연구 결과, 외국어 리스닝 문제에서 특히 지문의 주제, 목적, 해결 방안을 묻는 문제를 푸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은데, 이는 외국어 지문의 구조에서 지문을 이해하기 위해서 특정 단어를 듣고 이를 신속히 받아 적은 다음 이들을 연결하여 파악하면 지문의 주제, 특징에 대한 문제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외국어 리스닝 학습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지문에서 주제,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손쉽게 학습자가 파악하도록 하여 외국어 지문/음원에 대한 리스닝 능력 내지 정답율을 높이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문장 및 문단으로 구성된 대화체형, 설명형 외국어 음원의 주제와 특징을 보다 빠른 시간 내에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단어를 받아 적도록 하여 문제 리스닝 능력을 향상하도록 하는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시되는 리스닝 음원의 형식에 따라 학습자아 입력하는 단어의 개수 내지 구조를 차별화하도록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습자에게 주어진 지문에서 학습자가 모르는 단어가 있을 경우 이를 클릭하도록 하여 별도 이동 및 저장하여 지속적인 단어 학습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은, 음성 및 텍스트를 포함한 상태에서 외국어로 이루어진 지문을 수록한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문장 분석 인터페이스; 텍스트 디스플레이 없이 상기 지문의 음성을 학습자에게 출력하는 제 1 음원 재생모듈과, 학습창의 입력창에 상기 지문을 이루는 단어 중 특정 단어의 발음을 텍스트 형태로 학습자에게 입력하도록 하여 입력된 단어발음을 저장하는 제 1 단어발음 입력모듈 및, 상기 학습창에 텍스트의 출력과 함께 상기 지문의 음성을 학습자에게 출력하는 제 1 음원 재생모듈과,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지문의 문제를 풀어 정답 여부를 확인하는 문제 풀이 모듈을 포함한 리스닝 학습 제공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 1 음원 재생 모듈에서 상기 음성이 출력된 이후, 상기 제 1 단어발음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단어발음을 포맷한 다음 학습창의 입력창에 상기 지문을 이루는 단어 중 특정 단어의 발음을 텍스트 형태로 학습자에게 입력하도록 하여 입력된 단어발음을 저장하는 제 2 단어발음 입력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지문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2인의 대화로 이루어지는 대화형 지문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창은, 각 대화자 별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기 대화형 지문의 음성 출력의 순서에 따라 복수 개의 입력란으로 구성된 대화자 문제해결 입력부를 구비한 제 1 입력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지문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주제를 설명하는 설명형 지문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창은, 상기 설명형 지문의 주제에 해당하는 단어의 발음을 입력하도록 하는 타이틀 입력부, 상기 설명형 지문의 정의에 해당하는 단어의 발음을 입력하도록 하는 정의 입력부, 상기 설명형 지문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된 단어의 발음을 입력하도록 하는 사례 입력부를 포함한 제 2 입력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1) 대화형 내지 설명형으로 이루어진 긴 지문(음원)에서 해당 지문의 해결 키워드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단어를 학습자가 신속하게 입력 창에 입력하도록 하는 훈련방식을 제공하여 외국어 음원의 특징 및 주제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하고,
2) 지문 내 학습자가 모르는 단어를 스스로 클릭하도록 하여 이를 별도로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단어 암기 학습을 병행하도록 하면서,
3) 외국어 지문의 형식에 따라 학습자가 입력창에 입력하는 단어의 입력 형식에 대한 차등화를 이루어 다양한 형식의 지문의 리스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대화형 지문에 대한 학습창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설명형 지문에 대한 학습창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은 외국어 리스닝 능력을 학습자로 하여금 향상할 수 있도록 외국어 지문을 및 지문에 관련된 문제를 듣기를 기본으로 하되 읽기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제공하고 학습자가 이를 들은 다음 더불어 제시된 문제를 풀어 정답 여부를 판별하되 지문을 듣고 학습자가 들은 지문에서 단어 발음을 입력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크게 두 개의 인터페이스로 구성이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외국어 지문을 구성하는 단어의 발음을 기록 및 파악한 지문 분석 인터페이스(100)와, 분석된 지문을 학습자에게 듣기를 기본으로 하고 읽기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제공된 외국어 지문을 듣고 학습자가 지문의 단어를 특정 형식에 의해 입력하도록 하여 지문에 함께 제시된 문제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리스닝 학습 제공 인터페이스(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지문분석 인터페이스(100)는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외국어 지문을 우선적으로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저장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지문 데이터베이스(110)를 기본으로 하되, 추가적으로 사전 데이터베이스(120), 발음 파악모듈(130), 특징 단어 지정모듈(140)로 구성되어 있다.
지문 데이터베이스(110)는 학습자에게 리스닝 향상 능력을 위해 제공되는 외국어 지문을 수록한 데이터베이스로서, 여기서 상기 외국어 지문(본 발명에서는, 이를'지문'으로 약칭하기도 한다)은 적어도 하나의 문장 및 문단을 포함하고 있고, 더 나아가 리스닝 형태로 제공되는 지문에 대한 음원과 읽기 형태로 제공되는 텍스트로 구성이 되어 있다.
즉, 지문은 학습자의 리스닝 능력을 위한 음원과 읽기 능력을 위한 텍스트 형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은 대개 장문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에 보다 부합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문장은 물론 복수 개의 문장이 하나의 문단을 이루면서 그 문장이 역시 복수 개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반드시 본 발명의 지문이 복수 개의 문장 및 문단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문장(sentence)으로 이루어진 문단(paragraph)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즉, 문장 및 문단이 많이 포함될수록 외국어 지문을 리스닝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그 지문의 취지, 주제 또는 핵심, 해결 방안을 파악하는데 난해해지기 때문에, 장문으로 이루어진 이러한 지문이 본 발명의 특성을 살리기에 보다 적합하기 때문이다.
사전 데이터베이스(120)는 지문 분석 인터페이스(100)에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지문을 구성하는 개별 단어의 의미와 사용례를 포함한 데이터를 수록한 것으로서, 이미 공지된 외국어 사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가령 외국어 지문의 2째 문단의 2째 문장에서 'adhere'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전 데이터베이스(120)는 이 단어의 의미와 범용례(관용구), 숙어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록하고 있는바 다시 말해 각각의 단어의 의미와 범용례, 더 나아가 단어의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준이라 할 수 있는 초중고 권장 등급에 따른 난이도 등급까지 포함되어 있는 기본 사전 관련 컨텐츠를 수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전 데이터베이스(120)는 외국어 지문에 포함된 단어의 의미를 학습자가 파악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이며 더 나아가 후술할 발음 파악모듈(130)에서 각 단어의 외국어 발음을 텍스트 형식으로 파악하는데 보조 역할을 제공하기도 한다.
발음 파악모듈(130)은 지문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어의 발음을 텍스트 형태로 이루어진 일명 발음 데이터베이스(131)로 저장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리스닝 학습을 주요 목적으로 하기에 지문에 포함된 단어의 의미보다는 해당 단어의 외국어 발음을 우선적으로 파악하도록 하되, 해당 단어의 발음을 한국어, 발음기호, 약자 형식의 발음으로 기록한 별도의 데이터로서 보유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단어의 스펠링을 보유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는 지문 데이터베이스의 텍스트에 이미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단어의 스펠링에 대해서는 중복 저장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발음 파악모듈(130)은 'adhere'라는 단어의 외국어 발음을 '어드히어'내지 '어드혀'와 같이 한국어 텍스트(text) 형식 내지 발음기호로 기록하여 이를 각 지문 별로 발음 데이터베이스(131)로서 저장 처리한다.
이러한 발음 파악모듈(130)은 후술하겠지만 지문을 듣고 학습자가 기록한 외국어 발음과 비교 처리를 하는 기준 데이터로서 사용하여 학습자가 얼마나 지문을 제대로 파악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즉 이러한 발음 파악모듈(130)은 각 지문 별로 복수 개의 단어를 지문 진행 방식에 따라 기록을 하여, 학습자가 리스닝 학습을 하면서 단어 발음을 입력하였을 때 학습자의 입력 단어 발음과 비교가 될 수 있는 기준인 발음 데이터베이스(131)를 생성 및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특징 단어 지정모듈(140)은 지문의 특징을 파악하는데 키워드가 될 수 있는 단어를 미리 지정하여 이를 세부 항목(주제, 정의, 사례) 별로 구분 저장한 특징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특징 단어 데이터베이스(141)는 지문을 제공한 지문 제공자(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특징 단어를 주제(타이틀), 정의, 사례 별로 저장한 것이며, 이러한 특징 단어 지정모듈(140)은 후술할 입력창에 학습자가 입력한 단어와 비교 처리되어 학습자가 기록한 단어가 특징 단어가 맞는지 여부, 특징 단어를 얼마나 학습자가 많이 캐치(catch)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지문분석 인터페이스(100)는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지문에 대한 기본적인 형식과 발음을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과정에서 필요한 부가적 비교 판단 절차를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스닝 학습 제공 인터페이스(200)는 상기 지문분석 인터페이스(100)에서 분석이 된 지문을 학습자에게 음원 재생(리스닝)을 기본으로 하면서 텍스트 디스플레이(리딩) 방식으로 제공하여 문제 제시 및 정답 입력과 평가와 같은 기존의 평가 방식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리스닝 또는 리딩 제공이 이루어질 때 학습자에게 단어 발음을 입력하도록 하는 학습창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보다 쉽고 빠르게 주어진 지문의 주제, 목적, 해결방안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리스닝 학습 제공 인터페이스(200)는 학습창 제공모듈(210), 제 1 음원 재생모듈(220), 제 1 단어발음 입력모듈(230), 제 2 음원 재생모듈(240), 제 2 단어발음 입력모듈(250), 비교 모듈(260), 문제 풀이모듈(270)로 구성된다.
학습창 제공모듈(210)은 학습자에게 이미 잘 알려진 디스플레이부(모니터, 터치식 모바일 디스플레이 패널)를 통해 문제를 기본으로 하고 추가적으로 텍스트를 포함된 학습창(211)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문제 및 텍스트가 제공되는 것은 공지의 리스닝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학습창과 유사하다 할 것이나, 본 발명의 학습창의 차별적인 특징은 이와 별개로 학습자가 단어발음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213)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입력창(213)은 학습자가 지문을 음원 또는 텍스트 형식으로 제공받은 다음 해당 지문에서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단어의 발음을 입력하는 사이버 공간으로서, 다시 말해 지문의 특징에 해당하는 단어를 학습자가 직접 캐치(catch)를 하여 캐치된 단어의 발음을 입력창(213)에 기록하도록 한 다음 기록된 단어 발음의 흐름을 보면서 지문의 문제에 대한 정답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입력창(213)에 학습자가 단어발음을 입력하는 방식은 잘 알려진 입력 수단인 키보드(컴퓨터 키보드,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에 의해서 학습자의 타이핑에 의해 단어발음을 입력하는 방식을 추구한다.
본 발명에서는 학습자가 주로 접하는 리스닝 시험, 예를 들어 토익, 토플은 물론 이에 상응하는 공인 시험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패턴에 의한 리스닝 지문이 제시된다고 간주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입력창(213)은 제 1,2 입력창(214,215)으로 구분하여 구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대화형 지문에 대한 학습창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우선 제 1 입력창(214)은 두 사람의 대화형 지문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대화자와 제 2 대화자가 말하는 지문의 단어(학습자가 중요하다고 스스로 생각하는 단어)의 발음을 문제 및 해결 구분 기준에 따라 입력하도록 하는 질문해결 입력부(214a)를 구비한다.
즉, 일반적으로 대화형 지문에서는 제 1 대화자는 특정 주제에 대한 질문, 의문을 제시하고 제 2 대화자는 이에 대한 해결 또는 반론을 펼치는 방식으로 흘러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흐름을 제 1 대화자(물론 제 2 대화자일 수도 있다)의 대화 중심인 문제 제기에 대한 발음 또는 단어 자체를 기록하는 입력창과 제 2 대화자의 대화 중심인 해결에 대한 발음 또는 단어 자체를 기록하는 입력창을 구비하는 것이 주안점이라 할 수 있다.
문제해결 입력부(214a)는 지문이 진행되는 순서에 따라 복수 개의 란(또는 칸)으로 복수 개의 문제와 복수 개의 해결에 대한 란으로 구분 구성이 되어 각 대화자가 말하는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문제와 해결에 대한 단어 내지 발음을 각각의 공란에 순차적으로 학습자가 각각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각 대화자의 모든 문장 별로 문제와 해결을 각각 입력창에 학습자가 입력하는 것이 번거롭거나 힘들 수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제 1 입력창(214)에 제공된 모든 칸에 학습자가 단어를 입력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대화자 별로 말한 단어 중 학습자 스스로 중요하다고 생각한 문제 및 해결에 대한 단어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 1 대화자의 1번째 문장에서 weather(문제제기-웨더), 제 2대화자의 2번째 문장에서는 don't know(해결-돈노우)를 입력하는 것과 같이 문제해결 입력부(214a)에서 대화자 및 대화 순서에 따라 각각 배정된 칸에 학습자로 하여금 대화가 진행되면서 제시되는 문제와 해결에 대한 단어 또는 이의 발음을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문제해결 입력부(214a)는 후술하겠지만 제 2 음원 재생모듈(240)에서 지문의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할 때 디스플레이 창(212)의 각 문장별 텍스트와 서로 대화순서가 대응되도록 편집 구성되는 것이 보다 깔끔하면서 용이한 학습자 기준의 식별을 위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1 입력창(214)이 구성되는 이유는 대화자가 서로 대화를 주고받을 때 흘러가는 단어를 특정 기준에 입각하여 직접 기록하도록 하면서 그 흐름의 패턴을 학습자가 파악하는 훈련방식을 제공하여 보다 지문 듣기에 집중하도록 함과 동시에 대화의 흐름의 핵심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설명형 지문에 대한 학습창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설명형 지문의 경우는 대화형 지문과 달리 특정 주제에 대한 정의 내지 특징을 학습자가 파악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설문형 지문은 주로 제목(타이틀), 정의, 예로 구성된 문장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입력창(215)은 타이틀 입력부(215a), 정의 입력부(215b), 사례 입력부(215c)로 구성이 되어 학습자가 지문을 들으면서 자신이 파악한 타이틀, 정의, 사례에 해당하는 단어를 각각의 입력부(215a,215b,215c)에 알맞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학습창(211)은 입력창(213) 이외에 지문의 텍스트와 문제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창(212)이 별도로 구비되는데, 반드시 2개의 단으로 구성된 형식에 제한이 되는 것은 아니고, 3 내지 4단 또는 기타 다양한 형식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제 1 음원 재생모듈(220)은 학습자에게 음원 출력 수단(스피커)을 통해 지문의 음성을 출력하되, 지문의 텍스트는 디스플레이 되는 것 없이 음성만을 출력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음원의 재생이 기본 2회에 걸쳐 이루어지는데, 1회차의 경우는 상기 제 1 음원 재생모듈(220)에서 무자막(텍스트 없는 형태)으로 음원만을 재생하고, 2회차의 경우에서는 후술할 제 2 음원 재생모듈(240)에서 텍스트를 학습창(211)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음원을 재생하는 절차를 따른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1번 듣고 곧바로 리스닝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하는 즉각적인 훈련 방식을 제공하기보다, 2회에 걸친 짜임새 있는 리스닝 훈련 방식을 통해 곧바로 리스닝 이후 문제를 풀도록 하는 것보다 점진적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자의 귀를 열어줄 수 있는 노하우를 제공하는 것이 보다 중요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제 1 단어발음 입력모듈(230)은 상기 제 1 음원 재생모듈(220)의 음원을 들은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입력창(213)에 특정 단어의 발음을 텍스트 형식으로 입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단어 발음은 스펠링, 한국어 발음, 발음기호와 같은 다양한 형식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며,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학습자가 문장 속에서의 특정 단어의 발음을 기록하면서 리스닝 집중은 물론 지문의 흐름을 연쇄적이고 합리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 방식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학습자에 의해 입력창(213)에 입력된 단어는 제 1 단어발음 입력모듈(230)의 저장 기능에 의해 별도의 저장수단에 저장 처리가 되고, 학습창(211)을 포맷(format) 또는 리셋(reset)(즉, 학습자가 입력한 단어를 모두 삭제하여 초기 상태로 환원)하도록 한다.
제 2 음원 재생모듈(240)은 지문의 음원은 재생하면서 이와 동시에 학습창(211)의 디스플레이 창(212)에 지문의 텍스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1회차에는 텍스트 없이 음원을 듣도록 한 다음 2회차에서는 지문의 텍스트와 음원을 동시에 출력하여 동일한 음원을 다시 듣도록 하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은 물론, 학습자가 자신이 듣고 입력한 단어발음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제 2 단어 발음 입력모듈(250)은 학습창(211)의 디스플레이창(212)에 지문의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학습자로 하여금 입력창(213)에 특정 단어의 발음을 입력하도록 하는 기능 및 입력된 단어를 저장 수단에 별도 저장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어 입력 역시 2회로서 이루어져 처음에는 텍스트 없이 단어를 기록하게 한 다음, 텍스트가 공개된 상태에서 제 2 단어발음 입력모듈(250)에 의해 다시 한 번 단어를 입력하게 하여 반복 학습은 물론 학습자 스스로 자신이 제 1 단어발음 입력모듈(230)에서 입력한 단어의 오류 여부를 주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비교 모듈(260)은 학습자가 디스플레이창(212)에서 지문과 더불어 주어진 문제를 푼 다음 또는 문제 풀이 이전에 수행되는 구성으로서, 학습자가 상기 제 1,2 단어발음 입력모듈(230,250)에서 입력한 단어와 시스템에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즉 발음 데이터베이스(131)와 특징 단어 데이터베이스(140)와의 비교 처리를 통해 학습자가 얼마나 정확하게 해당 지문의 단어를 제대로 기록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학습자의 단어 입력 수준을 파악하는 기준은 단어의 발음의 일치 여부(예를 들어 know라는 단어를 노/노우로 입력했는지 여부)을 기본으로 하고, 앞서 말한 특징 단어를 얼마나 많이 입력했는지 여부에 관한 기준을 추가하는 방식을 따른다.
이를 위해, 비교 모듈(260)은 발음 비교 처리부(261) 및 비교 결과 제공부(263)를 기본으로 하고 추가적으로 특징 단어 비교 처리부(262)를 구비한다.
발음 비교 처리부(261)는 학습자가 제 1,2 단어발음 입력모듈(230,250)에서 입력한 단어와 상기 발음 데이터베이스(131)와 비교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비교 처리 방식은 발음 데이터베이스(131)에 수록된 단어 발음의 텍스트 철자와 학습자가 입력한 발음 철자와의 비교(스펠링/철자 비교)를 통한 철자 일치 여부, 철자가 일치된 단어의 개수 파악 기능을 통해 구현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특징 단어 비교 처리부(262)는 상기 발음 비교 처리부(261)에서 올바른 발음으로 기록된 것으로 파악된 학습자의 입력 단어가 상기 특징 단어 데이터베이스(141)에 수록된 단어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여부, 즉 핵심 단어의 개수를 비교 파악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비교 모듈(260)은 정답과 별개로 학습자가 본 발명에서 정해진 기준에 입각하여 얼마나 정확하게 발음 입력 및 특징 단어를 캐치하였는지 여부를 비교 파악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리스닝 능력의 실수와 오류를 캐치하여 점진적으로 리스닝 실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함과 아울러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해 학습자의 수준에 알맞은 지문을 학습자의 수준 별로 차등 제공할 수 있는 전제를 제공하도록 한다.
비교 결과 제공부(263)는 발음 비교 처리부(262)와 특징 단어 비교 처리부(262)를 통해 발음 데이터베이스 내지 특징 단어 데이터베이스와 학습자의 입력 단어와의 비교 결과를 시각적으로 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시스템에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31,141)와 차이가 나는 학습자의 임력 단어를 추출하여 이를 예를 들어 다른 색상 내지 밑줄로서 표현하여 학습자의 입력 단어의 오류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물론 본 발명에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31,141)가 반드시 리스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왕도 또는 정답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결과가 정답이나 학습자의 실력을 구분하는 잣대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지문의 리스닝 파악 방법을 효율성을 집약하여 두 개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였다는 유용성은 십분 인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가 자신의 실수를 보면서 리스닝 실력의 자가 학습 평가는 물론 본 발명에서 가이드하는 리스닝 훈련 방식에 순응하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문제 풀이모듈(270)은 공지의 문제 풀이 시스템에서의 기술적 환경과 같이 제시된 설문에서 학습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지문에 대한 문제의 보기(객관식)를 눌렀을 때 해당 보기가 정답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미리 저장된 정답과 비교 판단하는 방식으로 판별 및 채점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문제의 보기가 5개인 경우 학습자가 보기 중 어느 하나를 터치스크린 방식 또는 마우스를 통해 클릭하도록 하고 클릭된 보기가 정답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채점을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존의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지문 및 문제 기능, 정답 체크 기능을 제공하나 이에 그치지 않고 학습자가 지문의 특징 단어 내지 주관적이라도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단어를 직접 기록(입력)하도록 한 다음 문제를 풀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게 지문의 주제와 특징 내지 해결방안을 숙지하여 오답 없이 문제를 정확하게 풀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절차를 밟아 학습자에게 외국어 리스닝 학습을 제공하는바, 물론 이에 대해서 상기 구성의 설명을 통해 언급을 하였으나 정리하여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문 데이터베이스(110)에 수록되어 외국어 지문으로 제공되는 각각의 지문에 대해서 상기 지문 분석 인터페이스(100)에 의하여 지문 분석 과정을 거쳐 상술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및 저장 처리한다.
그 다음, 학습자에게 모니터 내지 터치스크린을 통해 외국어 지문과 이에 대한 문제가 수록된 학습창(211)을 디스플레이하여 학습자가 문제를 풀도록 하되, 그 첫 번째 단계는 텍스트 없이 음원을 학습자에게 재생하는 단계, 음원을 들은 학습자가 입력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발음을 입력하고 이를 저장하는 단계, 텍스트와 함께 음원을 학습자에게 재생하는 단계, 다시 학습자가 입력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발음을 입력하는 단계, 학습자에 의한 문제 풀이 제공 단계, 학습자의 입력 단어와 발음 데이터베이스는 물론 추가적으로 특징 단어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를 통해 학습자의 오류를 체크 내지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외국어 리스닝 훈련 및 학습에서 단순히 지문을 음원으로 듣는 수동적인 학습 태도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특정적인 단어를 입력하면서 지문의 흐름과 특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지문 분석 데이터베이스 110: 지문 데이터베이스
120: 사전 데이터베이스 130: 발음 파악모듈
131: 발음 데이터베이스 140: 특징 단어 지정모듈
141: 특징 단어 데이터베이스 200: 리스닝 학습 제공 인터페이스
210: 학습창 제공모듈 211: 학습창
212: 디스플레이 창 213: 입력창
214: 제 1 입력창 214a: 문제해결 입력부
215: 제 2 입력창 215a: 타이틀 입력부
215b: 정의 입력부 215c: 사례 입력부
220: 제 1 음원 재생모듈 230: 제 1 단어발음 입력모듈
240: 제 2 음원 재생모듈 250: 제 2 단어발음 입력모듈
260: 비교 모듈 261: 발음 비교 처리부
262: 특징 단어 비교 처리부 263: 비교 결과 제공부
270: 문제 풀이모듈

Claims (6)

  1.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으로서,
    음성 및 텍스트를 포함한 상태에서 외국어로 이루어진 지문을 수록한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문장 분석 인터페이스;
    텍스트 디스플레이 없이 상기 지문의 음성을 학습자에게 출력하는 제 1 음원 재생모듈과,
    학습창의 입력창에 상기 지문을 이루는 단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어의 발음을 키보드를 통하여 학습자에게 입력하도록 하여, 입력된 단어발음을 저장하는 제 1 단어발음 입력모듈 및,
    상기 학습창에 상기 문장 분석 데이터베이스에서 텍스트의 지문 출력과 함께 상기 지문의 음성을 학습자에게 출력하는 제 1 음원 재생모듈과,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지문의 문제를 풀어 정답 여부를 확인하는 문제 풀이 모듈을 포함한 리스닝 학습 제공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 1 음원 재생 모듈에서 상기 음성이 출력된 이후, 상기 제 1 단어발음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단어발음을 포맷한 다음 학습창의 입력창에 상기 지문을 이루는 단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어의 발음을 키보드를 통하여 학습자에게 입력하도록 하여, 입력된 단어발음을 저장하는 제 2 단어발음 입력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2인의 대화로 이루어지는 대화형 지문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창은,
    각 대화자 별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기 대화형 지문의 음성 출력의 순서에 따라 각 대화자 별로 제시되는 문제와 해결에 관련된 단어를 입력하는 복수 개의 입력란으로 구성된 문제해결 입력부를 구비한 제 1 입력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주제를 설명하는 설명형 지문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창은,
    상기 설명형 지문의 주제에 해당하는 단어의 발음을 입력하도록 하는 타이틀 입력부, 상기 설명형 지문의 정의에 해당하는 단어의 발음을 입력하도록 하는 정의 입력부, 상기 설명형 지문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된 단어의 발음을 입력하도록 하는 사례 입력부를 포함한 제 2 입력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분석 인터페이스는,
    지문을 이루는 단어의 발음을 텍스트 형태로 축적한 발음 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 1,2 단어발음 입력모듈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된 학습자의 각각의 단어발음과 상기 발음 데이터베이스의 일치 여부를 비교 처리하는 발음 비교 처리부와, 상기 발음 비교 처리부에서 비교 판단 이후 차이가 나는 단어발음을 상기 학습창에 표시하는 비교 결과 제공부로 이루어진 비교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분석 인터페이스는,
    지문을 이루는 단어 중 특정 단어를 특징 단어로 지정하여 저장된 특징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모듈은,
    상기 제 1,2 단어발음 입력모듈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된 학습자의 각각의 단어발음과 상기 발음 데이터베이스의 일치 여부를 비교 처리하는 특징 단어 비교 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비교 결과 제공부는,
    상기 특징 단어 비교 처리부에서 비교 판단 이후 차이가 나는 단어발음을 상기 학습창에 표시하는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
KR1020110078974A 2011-08-09 2011-08-09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 KR101315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974A KR101315095B1 (ko) 2011-08-09 2011-08-09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974A KR101315095B1 (ko) 2011-08-09 2011-08-09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829A KR20130016829A (ko) 2013-02-19
KR101315095B1 true KR101315095B1 (ko) 2013-10-07

Family

ID=47896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974A KR101315095B1 (ko) 2011-08-09 2011-08-09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759A (ko) 2017-01-05 2018-07-13 (주)한국몬테소리 확산적 사고력 발달을 위한 국어학습 교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237B1 (ko) * 2016-04-22 2017-01-17 (재) 원암문화재단 중국어 단어에 대한 한글 발음 학습 보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150B1 (ko) 2007-08-20 2008-10-24 안윤기 언어학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12851A (ko) * 2008-04-25 2009-10-29 설융석 영상 재생에 의한 외국어 뉘앙스 학습 시스템
KR100981426B1 (ko) 2010-02-26 2010-09-10 김한일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듣기 능력 향상 장치
KR20100136202A (ko) * 2009-06-18 2010-12-28 (주)데스코엘앤에스 대화형 다기능 어학 학습 방법 및 그 학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150B1 (ko) 2007-08-20 2008-10-24 안윤기 언어학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12851A (ko) * 2008-04-25 2009-10-29 설융석 영상 재생에 의한 외국어 뉘앙스 학습 시스템
KR20100136202A (ko) * 2009-06-18 2010-12-28 (주)데스코엘앤에스 대화형 다기능 어학 학습 방법 및 그 학습기
KR100981426B1 (ko) 2010-02-26 2010-09-10 김한일 강제 반복 청취를 통한 영어 듣기 능력 향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759A (ko) 2017-01-05 2018-07-13 (주)한국몬테소리 확산적 사고력 발달을 위한 국어학습 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829A (ko) 201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anger et al. The Cambridge handbook of learner corpus research
Seferoğlu Improving students’ pronunciation through accent reduction software
Parent et al. Speaking to the Crowd: Looking at Past Achievements in Using Crowdsourcing for Speech and Predicting Future Challenges.
JP5756555B1 (ja) 発話評価装置、発話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Danzak The integration of lexical, syntactic, and discourse features in bilingual adolescents' writing: An exploratory approach
US20120329013A1 (en) Computer Language Translation and Learning Software
US20090239201A1 (en) Phonetic pronunciation training device, phonetic pronunciation training method and phonetic pronunciation training program
WO2005099414A2 (en) Comprehensive spoken language learning system
Culbertson et al. Have your cake and eat it too: Foreign language learning with a crowdsourced video captioning system
WO2011106357A1 (en) Interactive language training system
Matthews et al. The impact of word recognition from speech (WRS) proficiency level on interaction, task success and word learning: Design implications for CALL to develop L2 WRS
CN109741641A (zh) 基于生词检测的语言学习系统
CN109191349A (zh) 一种英文学习内容的展示方法及系统
Gürbüz Understanding fluency and disfluency in non-native speakers' conversational English
Che et al. Automatic online lecture highlighting based on multimedia analysis
KR100981427B1 (ko) 강제 반복 학습을 통한 외국어의 완성 문장 학습 방법
Geranpayeh et al. Examining listening: Developments and issues in assessing second language listening
Kaiser Mobile-assisted pronunciation training: The iPhone pronunciation app project
KR101315095B1 (ko) 학습자의 단어 입력을 통한 외국어 리스닝 학습 제공 시스템
Schnur Phraseological signaling of discourse organization in academic lectures: A comparison of lexical bundles in authentic lectures and EAP listening materials
JP6656529B2 (ja) 外国語の会話訓練システム
KR100687441B1 (ko) 외국어 음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
RU135830U1 (ru) Учеб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работки навыков при изучении языков
Pavelko et al. A sweet tutorial to the SUGAR method of language sampling
KR20140028527A (ko) 단어의 음절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