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057B1 - 줄자 - Google Patents

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057B1
KR101315057B1 KR1020120112693A KR20120112693A KR101315057B1 KR 101315057 B1 KR101315057 B1 KR 101315057B1 KR 1020120112693 A KR1020120112693 A KR 1020120112693A KR 20120112693 A KR20120112693 A KR 20120112693A KR 101315057 B1 KR101315057 B1 KR 101315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teel tape
housing
tape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우
홍승택
Original Assignee
홍승택
장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택, 장성우 filed Critical 홍승택
Priority to KR1020120112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56Tape end arrangements, e.g. end-hoo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2003/1023Winding mechanisms
    • G01B2003/103Winding mechanisms operated by sp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71Separate means for supporting or affixing measuring tapes
    • G01B2003/1076Separate means for supporting or affixing measuring tapes associated with the end-hoo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로 인입시 소음감소는 물론 칼날과 같이 작용하는 스틸테이프로부터 사용자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아울러 컴팩트화를 통해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줄자에 관한 것으로서, 스틸테이프(120)가 출몰되도록 인출공(130)이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틸테이프(120)의 감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이 형성된 보빈(200), 하우징(100)의 인출공(130)에 인접하여 하우징(100) 양측벽에 상하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격벽(610), 상기 가이드 격벽(610) 내에서 가이드 격벽(610)에 안내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스틸테이프(12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후단에는 상기 인출공(130)에 걸림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걸림 돌기부(620)가 형성되며, 전단부는 상기 스틸테이프(120)의 하면만 덮도록 구성되는 커버부재(630), 상기 스틸테이프(120)의 전단부 하면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부(640) 및 커버부재(630) 전단부 상면에 형성되며 스틸테이프(120) 비인출시 상기 결합 돌기부(640)와 결합되는 결합 홈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줄자{A TAPE MEASURE}
본 발명은 줄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속부재를 스틸테이프가 감긴 보빈의 일측벽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감속기능을 부여함과 아울러 감기는 스틸테이프에 손 부상을 방지하는 수단을 부가하여 사용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줄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자는 하우징의 내부에 스틸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릴(Reel)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릴의 중앙에 스틸테이프의 감김 방향으로 릴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Elastic restoring force)을 갖는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이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의 입구를 통하여 빠져나와 있는 스틸테이프의 선단에 갈고리(Hook)가 장착되어 있으며, 갈고리는 피측정체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측정체에 갈고리를 고정한 상태에서 손으로 하우징을 잡고 피측정체로부터 일직선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면, 스틸테이프가 릴로부터 풀려나면서 하우징의 입구를 통하여 인출된다. 스틸테이프의 인출에 따라 스파이럴 스프링이 감겨 탄성복원력은 증가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측정을 완료한 후 피측정체로부터 갈고리의 고정을 해제하면, 스파이럴 스프링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풀리면서 릴을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릴의 외면에 스틸테이프가 감겨진다. 갈고리가 하우징의 입구에 걸려 릴의 회전이 정지되면, 스틸테이프는 하우징 내부로 말려 들어간다.
그런데, 스틸테이프가 하우징 내부로 말려 들어갈 때, 스틸테이프를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시켜 감는 릴의 탄력이 지속적으로 스틸테이프에 제공됨으로써 스틸테이프는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가속되며, 인출된 스틸테이프의 길이가 어느 정도 길이가 있는 경우에 스틸테이프는 매우 빠른 속도로 가속된다.
또한, 줄자는 통상 휴대하기 간편하게 부피가 작은 것이 유리하며, 줄자의 하우징의 부피는 릴에 감겨지는 스틸테이프의 감긴 횟수에 주로 영향을 받으므로, 스틸테이프는 매우 얇은 두께로 제작된다.
따라서, 하우징에서 길게 인출된 스틸테이프가 매우 빠른 속도로 가속되면서 감겨짐은 스틸테이프가 마치 예리한 칼날과 같이 작용하여 사용자를 위협하는 요소가 된다.
게다가, 매우 길게 인출된 스틸테이프의 중간부가 어떠한 사정으로 인하여 굽어져 있게 되는 경우, 스틸테이프는 마치 채찍과 같이 요동하면서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므로 더욱더 줄자의 사용을 위험스럽게 하는 요인이 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12726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특허문헌은 일 측면 하단부에 스틸테이프(블레이드) 인출공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며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릴 및 릴에 코일형태로 감겨 일단이 스틸테이프 인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스틸테이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특허문헌은 스틸테이프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1롤러를 포함하며, 하우징에 지지되는 제1롤러부를 포함하고, 스틸테이프의 타면에 접촉되는 제2롤러 및 제2롤러에 결합되는 제2롤러축을 포함하는 제2롤러부 및 하우징에 마련되어 스틸테이프를 향하여 제2롤러축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며, 제2롤러축은 하우징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제2롤러는 제2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은 제1롤러 및 제2롤러가 스틸테이프에 직접 접촉하여 구름마찰에 의해 스틸테이프의 감김속도가 조절됨으로써 스틸테이프에 표시된 눈금이 제1 롤러에 의해 닳게 되어 불분명하게 표시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은 스틸테이프에 직접 마찰을 가하는 제1롤러 및 제2롤러의 롤러축을 원판형 조작판에 편심되게 결합된 공전봉에 연결된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당기게 하는 방식이 기구적으로 복잡하고, 다수의 구성요소들로 인해 하우징의 크기가 커져 줄자의 컴팩트 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은 스틸테이프에 손을 베이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틸테이프가 빠른 속도로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하우징 내부로 인입시 소음감소는 물론 칼날과 같이 작용하는 스틸테이프로부터 사용자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아울러 컴팩트화를 통해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줄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시 소정의 길이만큼 스틸테이프를 인출한 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멈춤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자동 감김되는 줄자로부터 안전성과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줄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줄자는 스틸테이프(120)가 출몰되도록 인출공(130)이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틸테이프(120)의 감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이 형성된 보빈(200),
하우징(100)의 인출공(130)에 인접하여 하우징(100) 양측벽에 상하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격벽(610),
상기 가이드 격벽(610) 내에서 가이드 격벽(610)에 안내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스틸테이프(12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후단에는 상기 인출공(130)에 걸림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걸림 돌기부(620)가 형성되며, 전단부는 상기 스틸테이프(120)의 하면만 덮도록 구성되는 커버부재(630),
상기 스틸테이프(120)의 전단부 하면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부(640) 및
커버부재(630) 전단부 상면에 형성되며 스틸테이프(120) 비인출시 상기 결합 돌기부(640)와 결합되는 결합 홈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틸테이프(120) 인출시 함께 인출되는 커버부재(630)의 걸림 돌기부(620)가 걸릴 수 있도록 하측 가이드 격벽(610)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턱(6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빈(200)과 감속부재(400)를 연결하는 기어 세트(300) 및
상기 보빈(200)과 기어세트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틸테이프(120)의 감김방향으로 상기 보빈(200)이 회전될 때 상기 보빈(200)이 일정 속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감속부재(400)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어 세트(300)는,
상기 보빈(200)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보빈(200)에 구비되는 링 기어(320) 및
상기 링 기어(320)와 상시 치합되며 상기 감속부재(400)와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34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속부재(400)는,
상기 보빈(200)과 일체로 회전토록 상기 피니언 기어(340)와 일체로 형성된 브레이크 로터(420),
상기 브레이크 로터(420)의 외주에 위치하는 링형의 마찰부(442)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된 브레이크 드럼(440),
상기 브레이크 드럼(440)의 마찰부(442)에 마찰 가능토록 구비된 마찰부재(460) 및
상기 브레이크 로터(420)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마찰부재(460)와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브레이크 로터(4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마찰부재(460)와 연결되어 상기 보빈(200)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마찰부재(460)의 전체 마찰면(462)이 상기 브레이크 드럼의 내벽에 균일하게 마찰되게 하는 탄성부재(4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줄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감속기를 보빈의 내주면으로 위치 이동시킴으로서 감속기가 있던 자리에 보빈 스토퍼를 설치할 수 있어 줄자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마찰부재의 전체 마찰면이 브레이크 드럼의 내벽에 균일하게 마찰될 수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내구성 및 제동력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상기 마찰부재가 반경방향으로만 유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가 더 포함됨으로써, 상기 마찰부재가 확실히 상기 브레이크 드럼에 균일 마찰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넷째, 상기 마찰부재와 탄성부재는 브레이크 로터의 축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하나씩 대칭적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밸런스가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케이싱 외부로 인출된 커버부재를 통해 스틸테이프 감김시에 손 베임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멈춤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자동으로 감기는 줄자로부터 사용시 안전성과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줄자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주요부인 감속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주요부인 감속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줄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손 베임 방지수단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줄자에 멈춤수단을 추가한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멈춤수단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줄자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주요부인 감속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주요부인 감속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줄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손 베임 방지수단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줄자에 멈춤수단을 추가한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멈춤수단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줄자는 눈금이 표시된 스틸테이프(120)가 출몰되도록 인출공(130)이 형성되는 하우징(100),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며, 스틸테이프(120)의 감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파이럴 스프링(미도시)이 형성된 보빈(200), 보빈(200)과 감속부재(400)를 연결하는 기어 세트(300) 및 보빈(200)과 기어 세트(300)를 통해 연결되어 스틸테이프(120)의 감김방향으로 보빈(200)이 회전될 때 보빈(200)이 일정 속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감속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빈(200)은 하우징(100)에 형성된 보빈 스핀들(110)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며, 후술하는 링 기어(3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보빈(200)의 내부에는 스파이럴 스프링이 구비되고 이 스파이럴 스프링은 보빈(200)과 보빈 스핀들(110)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보빈(200)의 회전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기어 세트(300)는 보빈(200)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보빈(200)에 구비된 링 기어(320)와, 링 기어(320)와 상시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340)로 이루어진다.
특히, 링 기어(320)와 피니언 기어(340)는 보빈(200)의 회전속도가 배가되어 감속부재(4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서로 일정 기어비로 치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링 기어(320)는 링 기어(320)의 기어치 수가 피니언 기어(340)의 기어치 수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많도록 피니언 기어(3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형성되되, 그 외경이 보빈(2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보빈(200)의 일면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 기어(320)는 공간 활용도 향상을 위해 피니언 기어(340)가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듯 통상의 줄자 하우징(100)에 형성되던 감속을 위한 기어를 보빈(200)에 형성하고 피니언 기어(340)를 링 기어(320)의 내주면에 형성하므로서 통상의 하우징(100)에 있던 감속을 위한 기어의 공간이 확보되어 하우징(100)을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기어(340)는 감속부재(400)의 일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속부재(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200)과 일체로 회전토록 피니언 기어(340)와 일체로 형성된 브레이크 로터(420)와, 브레이크 로터(420)의 외주에 위치되고 하우징(100)에 고정된 브레이크 드럼(440)과, 브레이크 드럼(440)의 내벽에 마찰 가능토록 구비된 마찰부재(460)와, 브레이크 로터(420)의 마찰부재(460)와 나란히 배열되고 브레이크 로터(420)에 지지된 상태에서 마찰부재(460)와 연결되어 보빈(200)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마찰부재(460)의 전체 마찰면(462)이 브레이크 드럼(440)의 내벽에 균일하게 마찰되게 하는 탄성부재(48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레이크 로터(420)는 브레이크 드럼(440) 내부에 회전 가능토록 삽입될 수 있는 원판형 바디(422)와, 브레이크 드럼(440)을 향해 돌출되어 탄성부재(480)를 지지토록 원판형 바디(422)의 일면 축 중심에 위치된 로터 스핀들(4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판형 바디(422)의 타면에는 원판형 바디(422)의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피니언 기어(340)가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되며, 로터 스핀들(424)은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드럼(440)은 단면이 '
Figure 112012082457722-pat00001
'자 형태로 형성되고, 브레이크 로터(420)의 외둘레에 위치되어 마찰부재(460)의 마찰면(462)와 마찰되는 링형의 마찰부(442)와, 링형의 마찰부(442) 측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축 중심에 브레이크 로터(420)를 회전 가능토록 지지할 수 있는 드럼 스핀들(444)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럼 스핀들(444)은 로터 스핀들(424)의 내부에 회전 가능토록 삽입됨으로써 브레이크 로터(420)를 지지한다.
상기 마찰부재(460)는 그 마찰면(462)이 브레이크 드럼(440)의 링형의 마찰부(442)에 면접촉될 수 있도록 브레이크 드럼(440)의 링형의 마찰부(442)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마찰부재(460)는 밸런스를 위해 브레이크 로터(420)의 축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더 나아가서 2개의 마찰부재(460)가 브레이크 드럼(440)의 내벽에 동일한 마찰력으로 마찰될 수 있도록 브레이크 로터(420)의 축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하나씩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감속부재(400)는 마찰부재(460)가 원심력에 의해 브레이크 로터(420)의 반경방향으로만 유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바(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500)는 브레이크 로터(420)의 축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마찰부재(460)와 탄성부재(480)가 위치될 수 있는 한 쌍의 가이드 바(5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가이드 바(500)는 제조가 간단, 용이토록 브레이크 로터(4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500)와 로터 스핀들(424) 사이에는 탄성부재용 바(425)가 더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480)는 상기 마찰부재(460)와 탄성부재용 바(425)에 양단이 고정되어 탄성변형하도록 구성되되, 탄성부재(480)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부재(460)에는 중공 원통의 제 1 연결관(426)을 형성하고 탄성부재용 바(425)에는 제 1 연결관(426)에 삽입되는 중공 원통의 제 2 연결관(427)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제 1 및 제 2 연결관(426,427)의 내부에 탄성부재(480)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탄성부재(480)와 제 1 및 제 2 연결관(426,427)의 수는 복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 베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줄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인출공(130)에 인접하여 하우징(100) 양측벽에 상하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격벽(610), 가이드 격벽(610) 내에서 가이드 격벽(610)에 안내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틸테이프(12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후단에는 인출공(130)에 걸림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걸림 돌기부(620)가 형성되며 전단부는 스틸테이프(120)의 하면만 덮도록 구성되는 커버부재(630), 스틸테이프(120)의 전단부 하면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부(640), 커버부재(630) 전단부 상면에 형성되며 스틸테이프(120) 비인출시 결합 돌기부(640)와 결합되는 결합 홈부(650) 및 스틸테이프(120) 인출시 함께 인출되는 커버부재(630)의 걸림 돌기부(620)가 걸릴 수 있도록 하측 가이드 격벽(610)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턱(6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테이프(120)를 감싸고 있는 커버부재(630)는 스틸테이프(120) 인출시 결합 돌기부(640)와 결합 홈부(650)가 서로 결합하고 있으므로 스틸테이프(120)와 함께 인출되고, 커버부재(630)가 대부분 인출되게 되면 커버부재(630)의 후단에 마련된 걸림 돌기부(620)가 인출공(130) 주변의 하우징(100)에 걸려 커버부재(630)는 더 이상의 전진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때 스틸테이프(120)는 탄성변형됨으로써 결합 돌기부(640)와 결합 홈부(650)가 서로 분리되면서 스틸테이프(120)가 단독으로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스틸테이프(120) 감김시에는 걸림 돌기부(620)가 걸림턱(660)에 걸려 커버부재(630)는 하우징(100)에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스틸테이프(120)에 의해 줄자를 파지한 손 베임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그 이후에 하우징(100) 내로 인입되는 스틸테이프(120)의 탭(122)에 의해서 커버부재(630)는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또한, 하측의 가이드 격벽(610)의 후단부 상면에는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는 커버부재(630)가 걸려 멈출 수 있도록 멈춤 돌기(67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630)는 눈금 확인을 위해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줄자에 대한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줄자 사용자가 줄자의 하우징(100)을 한 손으로 파지하고 다른 한 손을 이용하여 하우징(100) 하단의 인출공(130) 외부로 돌출된 탭(122)을 잡아당기면, 스틸테이프(120)가 보빈(200)으로부터 풀어지면서 보빈(200)이 스틸테이프(120)의 풀림방향으로 회전되고 스파이럴 스프링이 탄성 변형된다.
이때, 스틸테이프(120)를 감싸고 있는 커버부재(630)는 스틸테이프(120) 인출시 결합 돌기부(640)와 결합 홈부(650)가 서로 결합하고 있으므로 함께 인출되고, 인출시 커버부재(630)의 후단에 마련된 걸림 돌기부(620)가 인출공(130) 주변의 하우징(100)에 걸려 더 이상의 전진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면 스틸테이프(120)는 변형되어 단독으로 인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기어 세트(300)를 통해 보빈(200)과 함께 브레이크 로터(420)가 회전되기 때문에 마찰부재(460)와 탄성부재(480)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마찰부재(460)가 브레이크 드럼(440)과 마찰되기는 하지만, 감속부재(400)의 제동력이 사용자가 스틸테이프(120)를 당기는 힘에 비하여 매우 미비하기 때문에 스틸테이프(120)가 큰 저항 없이 보빈(20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인출된 스틸테이프(120)에 의해서 길이 측정이 끝나게 되면 사용자는 스틸테이프(120)를 놓게 되고 보빈(200)이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스틸테이프(120)의 감김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스틸테이프(120)가 보빈(200)에 감겨진다.
이 때, 상기 감속부재(400)가 작동되어 마찰부재(460)가 원심력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440)과 마찰되는데, 마찰부재(460)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보빈(200)의 회전속도와 비례하고, 마찰부재(460)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클수록 마찰부재(460)와 브레이크 드럼(440)의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보빈(200)이 적당한 속도로 일정하게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마찰부재(460)가 탄성부재(480)와 가이드 바(500)에 의해 반경방향으로만 유동되기 때문에 마찰부재(460)의 전체 마찰면(462)이 브레이크 드럼(440)의 링형의 마찰부(442) 내벽에 균일 마찰될 수 있어서 감속부재(400)의 제동력이 좋아질 뿐만 아니라 마찰부재(460)의 내구성도 좋아진다.
한편, 스틸테이프(120)가 감기는 동안에 커버부재(630)는 그 걸림 돌기부(620)가 걸림턱(660)에 걸림되어 하우징(100)에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줄자를 파지한 손의 일부가 하우징(100)으로 인입되는 스틸테이프(120)에 직접 닿아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에 스틸테이프의 탭(122)에 의해서 커버부재(630)는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줄자는 스틸테이프(120)를 인출하여 측정시 되감김을 방지하도록 하는 멈춤수단이 구비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멈춤수단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보빈(200)의 중심에는 관통홀(701)이 마련되고, 보빈(200)의 양 측면 중 링 기어(320)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는 보빈(200)의 회전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길이로 이격되고 원주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걸림돌기(702)가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일측벽{여기서 '일측벽'은 보빈(200)의 링 기어(320)가 위치하는 쪽의 측벽을 지칭한다}에는 외력에 의해 내외측 방향(줄자의 폭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누름 버튼(703)이 형성되며, 누름 버튼(703)의 내면에는 보빈(200)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홀(701)에 삽입되는 제 1 중심돌기(704)가 구비되며, 하우징(100)의 타측벽에는 상기 타측벽을 'ㄷ'자 형태로 절개함으로써 형성되고 그 내면에 제 1 걸림돌기(702)가 걸림되어 보빈(200)의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스틸테이프(120)의 감김을 제한하는 제 2 걸림돌기(705)가 구비되는 걸림판(706)이 형성되며, 걸림판(706)의 내면에는 보빈(200)의 관통홀(701)에 삽입되어 그 단부가 제 1 중심돌기(704)의 단부와 접하는 제 2 중심돌기(707)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 버튼(703)은 '
Figure 112012082457722-pat00002
'의 형태로 하우징(100)의 일측벽을 절개함으로써 형성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판(706)은 외력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누름 버튼(703)이 가압되는 경우에 보빈(20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및 제 2 중심돌기(704,707)에 의해 탄성변형함으로써 제 2 걸림돌기(705)는 제 1 걸림돌기(702)로부터 이격되어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걸림돌기(702,705)는 스틸테이프(120)가 풀리는 경우에 상호간의 슬림과 걸림판(706)의 탄성변형에 의해 서로 간의 걸림이 발생되지 않으며, 감기는 경우에는 걸림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제 1 및 제 2 걸림돌기(702,705)는 각각 직삼각형의 형태를 취하되, 서로 반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멈춤수단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사용자는 스틸테이프(120)를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하여 길이 측정을 하게 되는데, 스틸테이프(120) 인출시에는 제 1 및 제 2 걸림돌기(702,705)에 걸림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보빈(200)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고, 원하는 길이만큼 스틸테이프(120) 인출 후 스틸테이프(120)를 놓게 되면 제 1 및 제 2 걸림돌기(702,705)에 의한 걸림이 발생되어 보빈(200)의 회전에 제약이 발생되는 멈춤기능이 수행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 후에는 누름버튼을 눌러 걸림판(706)을 탄성변형시키고 이를 통해 제 1 및 제 2 걸림돌기(702,705)의 상호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보빈(200)을 회전시켜 스틸테이프(120)가 감기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00: 하우징
110: 보빈 스핀들
120: 스틸테이프 122: 탭
130: 인출공
200: 보빈
300: 기어 세트
320: 링 기어, 340: 피니언 기어
400: 감속부재
420: 브레이크 로터 422: 원판형 바디 424: 로터 스핀들
425: 탄성부재용 바 426: 제 1 연결관 427: 제 2 연결관
440: 브레이크 드럼 442: 링형의 마찰부 444: 드럼 스핀들
460: 마찰부재 462: 마찰면
480: 탄성부재
500: 가이드 바
610: 가이드 격벽 620: 걸림 돌기부 630: 커버부재
640: 결합 돌기부 650: 결합 홈부 660: 걸림턱 670: 멈춤 돌기
701: 관통홀 702: 제 1 걸림돌기 703: 누름 버튼
704: 제 1 중심돌기 705: 제 2 걸림돌기 706: 걸림판
707: 제 2 중심돌기

Claims (3)

  1. 스틸테이프(120)가 출몰되도록 인출공(130)이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틸테이프(120)의 감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이 형성된 보빈(200),
    하우징(100)의 인출공(130)에 인접하여 하우징(100) 양측벽에 상하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격벽(610),
    상기 가이드 격벽(610) 내에서 가이드 격벽(610)에 안내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스틸테이프(12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후단에는 상기 인출공(130)에 걸림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걸림 돌기부(620)가 형성되며, 전단부는 상기 스틸테이프(120)의 하면만 덮도록 구성되는 커버부재(630),
    상기 스틸테이프(120)의 전단부 하면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부(640) 및
    커버부재(630) 전단부 상면에 형성되며 스틸테이프(120) 비인출시 상기 결합 돌기부(640)와 결합되는 결합 홈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틸테이프(120) 인출시 함께 인출되는 커버부재(630)의 걸림 돌기부(620)가 걸릴 수 있도록 하측 가이드 격벽(610)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턱(6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빈(200)과 감속부재(400)를 연결하는 기어 세트(300) 및
    상기 보빈(200)과 기어세트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틸테이프(120)의 감김방향으로 상기 보빈(200)이 회전될 때 상기 보빈(200)이 일정 속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감속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어 세트(300)는,
    상기 보빈(200)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보빈(200)에 구비되는 링 기어(320) 및
    상기 링 기어(320)와 상시 치합되며 상기 감속부재(400)와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34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속부재(400)는,
    상기 보빈(200)과 일체로 회전토록 상기 피니언 기어(340)와 일체로 형성된 브레이크 로터(420),
    상기 브레이크 로터(420)의 외주에 위치하는 링형의 마찰부(442)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된 브레이크 드럼(440),
    상기 브레이크 드럼(440)의 마찰부(442)에 마찰 가능토록 구비된 마찰부재(460) 및
    상기 브레이크 로터(420)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마찰부재(460)와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브레이크 로터(4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마찰부재(460)와 연결되어 상기 보빈(200)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마찰부재(460)의 전체 마찰면(462)이 상기 브레이크 드럼의 내벽에 균일하게 마찰되게 하는 탄성부재(4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KR1020120112693A 2012-10-10 2012-10-10 줄자 KR101315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693A KR101315057B1 (ko) 2012-10-10 2012-10-10 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693A KR101315057B1 (ko) 2012-10-10 2012-10-10 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057B1 true KR101315057B1 (ko) 2013-10-14

Family

ID=4963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693A KR101315057B1 (ko) 2012-10-10 2012-10-10 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05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423A1 (ko) * 2015-07-21 2017-01-26 임재호 감속기능을 갖는 안전 줄자
KR20190067836A (ko) * 2016-10-05 2019-06-17 밀워키 일렉트릭 툴 코포레이션 소형 리트랙션 시스템을 갖춘 줄자
EP3696495A1 (en) * 2019-02-12 2020-08-19 Taylor Hobson Limited Rotatable sensor with locking mechanism
US11427434B2 (en) 2017-03-22 2022-08-3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with epicyclic gear drive for tape retraction
US11466970B2 (en) 2016-10-05 2022-10-1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with compact retraction system
KR20230147309A (ko) 2022-04-14 2023-10-23 이건수 부속모듈 교체형 줄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126Y1 (ko) 2001-07-12 2002-02-21 하정은 기능성 줄자
KR100612726B1 (ko) 2006-03-21 2006-08-17 주식회사코메론 블레이드의 가속 방지를 위한 줄자
KR100855614B1 (ko) 2007-04-19 2008-09-01 최용종 감속기능이 있는 줄자
KR20120000114A (ko) * 2010-06-14 2012-01-02 김한식 공급 용해로를 갖는 잉곳 단결정 성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126Y1 (ko) 2001-07-12 2002-02-21 하정은 기능성 줄자
KR100612726B1 (ko) 2006-03-21 2006-08-17 주식회사코메론 블레이드의 가속 방지를 위한 줄자
KR100855614B1 (ko) 2007-04-19 2008-09-01 최용종 감속기능이 있는 줄자
KR20120000114A (ko) * 2010-06-14 2012-01-02 김한식 공급 용해로를 갖는 잉곳 단결정 성장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423A1 (ko) * 2015-07-21 2017-01-26 임재호 감속기능을 갖는 안전 줄자
KR20190067836A (ko) * 2016-10-05 2019-06-17 밀워키 일렉트릭 툴 코포레이션 소형 리트랙션 시스템을 갖춘 줄자
KR102435641B1 (ko) * 2016-10-05 2022-08-23 밀워키 일렉트릭 툴 코포레이션 소형 리트랙션 시스템을 갖춘 줄자
KR20220118563A (ko) * 2016-10-05 2022-08-25 밀워키 일렉트릭 툴 코포레이션 소형 리트랙션 시스템을 갖춘 줄자
US11466970B2 (en) 2016-10-05 2022-10-1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with compact retraction system
KR102575932B1 (ko) * 2016-10-05 2023-09-06 밀워키 일렉트릭 툴 코포레이션 소형 리트랙션 시스템을 갖춘 줄자
US11846504B2 (en) 2016-10-05 2023-12-1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with compact retraction system
US11427434B2 (en) 2017-03-22 2022-08-3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with epicyclic gear drive for tape retraction
EP3696495A1 (en) * 2019-02-12 2020-08-19 Taylor Hobson Limited Rotatable sensor with locking mechanism
KR20230147309A (ko) 2022-04-14 2023-10-23 이건수 부속모듈 교체형 줄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057B1 (ko) 줄자
US8646718B2 (en) Flexible conduit storage device
GB1592933A (en) Exercising device
US7494083B1 (en) Reel structure
CN105882594B (zh) 安全带卷绕装置
JPS6126323B2 (ko)
US20170013343A1 (en) Cable winding device
DE20004957U1 (de) Bandmaß
CN106184111B (zh) 安全带卷取装置
US3318550A (en) Tape measure reel
US3212729A (en) Wire dispensing apparatus
KR100702051B1 (ko) 코드 릴의 원심 브레이크
KR20160009998A (ko) 편리성이 강화된 줄자
KR100911212B1 (ko) 줄자
KR101660599B1 (ko) 비상탈출용 완강기
TWI285184B (en) Bidirectional wire winder
US3675334A (en) Tape measures
US320555A (en) Chalk-line reel
KR101782392B1 (ko) 핸들 역회전 방지기능이 구비된 줄자를 권취하기 위한 핸들 고정 장치
KR100544410B1 (ko) 회전제어 기능과 코-드권취드럼의 구성.
US1804975A (en) Automatic unwinding rule
JP4755493B2 (ja) 巻尺
JP5718118B2 (ja) 巻尺
JP2007327911A (ja) 巻き尺
JP4633398B2 (ja) 巻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