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019B1 - 피트니스 구조물 - Google Patents

피트니스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019B1
KR101315019B1 KR1020130058778A KR20130058778A KR101315019B1 KR 101315019 B1 KR101315019 B1 KR 101315019B1 KR 1020130058778 A KR1020130058778 A KR 1020130058778A KR 20130058778 A KR20130058778 A KR 20130058778A KR 101315019 B1 KR101315019 B1 KR 101315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tanding member
barbell
vertical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이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원 filed Critical 이기원
Priority to KR1020130058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019B1/ko
Priority to US14/785,503 priority patent/US20160074695A1/en
Priority to PCT/KR2014/004347 priority patent/WO20141857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캐쳐바를 구비하는 피트니스 구조물이 개시된다. 피트니스 구조물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제1 스탠딩 부재;와, 상기 제1 스탠딩 부재에 대향하며,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제2 스탠딩 부재; 및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바벨 지탱부와, 상기 바벨 지탱부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된 삽탈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탈부가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스탠딩 부재 및 제2 스탠딩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캐쳐바;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삽탈부가 삽입되는 입구인 개구부로부터 상기 삽탈부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수평홈과, 상기 수평홈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삽탈부를 안착부까지 가이드 하는 수직홈을 포함한다. 상기 삽탈부는 상기 수직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 수직 단면을 가진다.

Description

피트니스 구조물{STRUCTURE FOR PHYSICAL FITNESS}
본 발명은 피트니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피트니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미용과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근력을 향상시키고 균형 잡힌 신체를 만들기 위하여 웨이트 트레이닝(weight training)을 지속하는 헬스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바벨(barbell)이나 덤벨(dumbbell)과 같이 무게를 가진 물체를 이용해 근육을 단련시키고 그로 인한 체력 증진을 목표로 하는 운동이다. 웨이트 트레이닝에 사용되는 동작들은 벤치 프레스(bench press), 스쿼트(squat), 데드리프트(deadlift)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피트니스 클럽에는 이러한 동작들을 구현시키기 위한 다양한 헬스 기구들이 구비되어 있다.
웨이트 트레이닝의 동작 중 하나인 스쿼트 동작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쇠막대 및 쇠막대의 양쪽에 매달리는 원반형 중량물을 포함하는 바벨이 필요하다. 이와 달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22618호 (2011년 11월 10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57716호 (2006년 12월 14일 공고) 등에 공개된 기술과 같이 바벨 없이도 중량추 및 도르래의 조합을 포함하는 헬스 기구를 사용하여 스쿼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복잡한 기능을 갖는 헬스 기구를 구비해야 하여 번거로우며, 프리웨이트(free weight) 운동과 달리 균형근 및 보조근이 함께 참여할 수 없어 근육을 골고루 단련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쿼트 동작을 하기 위해 바벨을 사용하는 경우, 바벨을 어깨에 짊어지고 서서 깊이 앉은 다음 일어서는 동작이 반복된다. 이때, 스쿼트 동작을 수행하는 사람은 자신의 몸무게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무거운 바벨을 들어올려야 하므로, 동작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바벨에 대한 통제력을 잃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이는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일부 피트니스 구조물은, 통제되지 못한 바벨의 무게로 인해 운동하는 사람이 부상당하지 않도록 적절한 높이에서 바벨을 잡아주는 캐쳐바를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체형이 다른 여러 사람이 하나의 피트니스 구조물을 사용하는 경우, 개개인의 체형에 따라 캐쳐바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데, 종래의 캐쳐바는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쿼트 등의 웨이트 트레이닝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적절한 높이로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는 캐쳐바를 구비하는 피트니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제1 스탠딩 부재;와, 상기 제1 스탠딩 부재에 대향하며,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제2 스탠딩 부재; 및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바벨 지탱부와, 상기 바벨 지탱부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된 삽탈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탈부가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스탠딩 부재 및 제2 스탠딩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캐쳐바;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삽탈부가 삽입되는 입구인 개구부로부터 상기 삽탈부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수평홈과, 상기 수평홈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삽탈부를 안착부까지 가이드 하는 수직홈을 포함한다. 상기 삽탈부는 상기 수직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 수직 단면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탈부는 상기 안착부 상에서, 상기 수직홈의 양측에 위치한 고정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벨 지탱부의 각 단부에는 하나의 삽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탈부 또는 바벨 지탱부의 수직 단면은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벨 지탱부는 편평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 또는 제2 가이드 홈의 상기 개구부는 입구 쪽의 수직 폭이 상기 수평홈 쪽의 수직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에 따르면, 여러 사용자들이 동일한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하더라도 각자의 체형에 맞는 적절한 높이로 캐쳐바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스탠딩 부재의 가이드 홈들이, 개구부를 갖는 수평홈 및 수평홈에 이어지는 수직홈을 포함하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캐쳐바의 삽탈부가 수직홈의 양측에 위치한 고정벽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캐쳐바가 외력에 의해 흔들리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 홈의 개구부는 입구 쪽의 수직 폭이 가이드 홈 내부를 향하는 쪽의 수직 폭에 비해 더 넓게 형성됨으로써, 캐쳐바를 각각의 가이드 홈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탠딩 부재의 가이드 홈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캐쳐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스탠딩 부재에 캐쳐바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스탠딩 부재의 가이드 홈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들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캐쳐바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하여 스쿼트 동작을 수행한 사용자가 바벨을 거치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탠딩 부재의 가이드 홈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캐쳐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캐쳐바(310)가 제1 스탠딩 부재(210)에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캐쳐바(310)가 제1 스탠딩 부재(210)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100)은 한 쌍의 제1 스탠딩 부재(210), 상기 제1 스탠딩 부재(210)에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스탠딩 부재(280), 및 한 쌍의 캐쳐바(31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스탠딩 부재(210) 및 제2 스탠딩 부재(280)는 지지 구조(4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구조(400)는 다수 개의 다리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피트니스 구조물(100)은 사용자의 어깨 높이에 맞추어 바벨을 거치시킬 수 있는 바벨 거치대 등과 같이 다양한 다른 피트니스 구조물과 결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탠딩 부재들(210, 280) 및 지지 구조(400)는 단단한 금속 재질, 예컨대, 철(Fe) 또는 철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스탠딩 부재(210)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 가이드 홈(guiding groove)(GG)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탠딩 부재(280)는 상기 제1 가이드 홈(GG)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가이드 홈들은 이에 각각 대응되는 제1 가이드 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 도 1에서는 각각의 제1 및 제2 스탠딩 부재(210, 280)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4 개의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을 포함하는 모습이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스탠딩 부재(210, 280)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캐쳐바(310)는 사용자가 웨이트 트레이닝 동작 중 바벨을 손에서 놓치는 경우와 같이 바벨에 대한 통제력을 잃은 상황(예컨대, 바벨을 짊어진 채 뒤로 넘어지려는 상황 등)에서, 바벨을 소정의 높이에서 지탱해줌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행태에 따라, 캐쳐바(310)는 상면(315_1)에 바벨이 거치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캐쳐바(310)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형태의 바벨 지탱부(315)와, 상기 바벨 지탱부의 양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삽탈부(317a, 317b)를 포함한다. 바벨 지탱부(315)의 상면(315_1)은 바벨과의 마찰면적을 늘리기 위해 실질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면(315_1)에는 고무패드 등이 부착될 수 있다. 캐쳐바(310)는 한 쌍의 삽탈부(317a, 317b)가 각각 제1 및 제2 가이드홈들에 삽입됨으로써 설치되며, 특히 캐쳐바(310)의 연장 방향인 제1 방향(D1)이, 상기 제1 및 제2 스탠딩 부재(210, 280)의 연장 방향인 제3 방향(D3)과 수직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바벨 지탱부(315) 및 삽탈부(317)는 후술할 도 4a 및 도 4b 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구조(400)는 상기 제1 및 제2 스탠딩 부재들(210, 280)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구조(400)는 평면에서 볼 때 디귿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 구조(400)는 상기 피트니스 구조물(100)의 사용자가 이동하는 부분이 개구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귿자 형상의 내부에 위치할 경우 양 측면에 각각의 제1 및 제2 스탠딩 부재들(210, 280)과 캐쳐바(310)가 위치되도록, 총 4 개의 상기 제1 및 제2 스탠딩 부재들(210, 28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410)는 상기 지지 구조(400)에 가해지는 무게를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구조(400)가 디귿자 형상을 갖는 경우, 디귿자 형상의 각진 부분을 포함한 4 개의 다리부(410)가 상기 지지 구조(40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스탠딩 부재(210)는 소정의 내부 공간으로 움푹 파인 가이드 홈(GG)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홈(GG)은 개구부(OP)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OP)에 이어지는 수평홈(HG) 및 상기 수평홈(HG)에 이어지는 수직홈(VG)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홈(VG)의 하단에는 안착부(AP)가 위치한다. 상기 안착부(AP)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평홈(HG)은 상기 바벨 지탱부(315)의 연장 방향인 제1 방향(D1)에 수직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되고 일단이 개구부(OP)와 이어지며, 상기 수직홈(VG)은 상기 수평홈(HG)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안착부(AP)까지 이어진다. 상기 수직홈(VG)의 양측에는 제1 스탠딩 부재(210)의 연장 방향인 제3 방향(D3)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벽(W1, W2)이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홈(GG)은 상기 수평홈(HG) 및 수직홈(VG)을 포함하는, 기역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캐처바(310)의 삽탈부(317)는 바벨 지탱부(315)의 일단에 형성되어 제1 스탠딩 부재(210)에 삽입되는 제1 삽탈부(317a)와, 바벨 지탱부(315)의 타단에 형성되어 제2 스탠딩 부재(280)에 삽입되는 제2 삽탈부(317b)를 포함한다. 후술할 바와 같이, 안착부(AP)에 안착된 상기 제1 및 제2 삽탈부들(317a, 317b)은, 양 측면들(317a_1, 317a_2)이 수직홈(VG)의 양측에 위치한 고정벽(W1, W2)에 접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캐쳐바(310)가 가이드 홈(GG)에 설치된 상태로 회전하거나, 가이드 홈(GG) 내에서 흔들리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삽탈부들(317a, 317b)의 수직 단면(즉, D3 방향을 따라 절단된 단면)은 상기 수직홈(VG)의 길이방향인 제3 방향(D3)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삽탈부(317)는 상기 제3 방향(D3)을 따라 고정벽(W1, W2)에 접하는 2개의 측면(317a_1, 317a_2)을 갖고, 수직 단면이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벨 지탱부(315)의 수직 단면은 상기 삽탈부(317a, 317b)들보다 큰 면적을 갖는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캐쳐바(310)는, 삽탈부(317)가 개구부(OP)를 통해 삽입되어 화살표 A1을 따라 수평홈(HG)에 제공되고, 이후 상기 수평홈(HG)에 이어지는 수직홈(VG)에 제공되어 화살표 A2를 따라 상기 안착부(AP)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제1 스탠딩 부재(210)에 설치된다. 이때, 삽탈부(317)의 양 측면들(317a_1, 317a_2)은 수직홈(VG)의 양측에 위치한 고정벽(W1, W2)를 따라 상기 제3 방향(D3)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도 4a 및 도 4b에는 제1 스탠딩 부재(210)의 제1 가이드 홈(GG)에 대하여 캐쳐바(310)가 설치되는 모습이 도시되었으나,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가이드 홈(GG)에 대응되는 제2 스탠딩 부재(280)의 제2 가이드 홈(미도시)에 대하여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캐쳐바(3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의 스탠딩 부재(210)는 편평한 안착부(AP)를 포함하는 기역자 형상의 가이드 홈(GG)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홈(GG)에 삽입되는 캐쳐바(310)는 수직 단면이 사각 형상인 삽탈부(317)를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형상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캐쳐바(310)는, 수직홈(VG)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 삽탈부(317)와, 상기 삽탈부(317)를 지지하도록 수직홈(VG)의 양측에 위치한 고정벽(W1, W2)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GG)에 고정되어, 바벨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탠딩 부재(210, 280)가 서로 다른 높이의 다수의 가이드 홈(GG)을 포함함으로써, 여러 사용자들이 동일한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하더라도 각자의 체형에 맞는 높이에 캐쳐바(31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스탠딩 부재의 가이드 홈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들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부재(220)는 제2 방향(D2)으로 개구된 개구부(OP)와 상기 개구부(OP)에 이어지는 수평홈(HG) 및 상기 수평홈(HG)에 이어지는 수직홈(VG)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GG)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홈(VG)의 하단에는 편평한 면을 갖는 안착부(AP)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홈(GG)은 기역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홈과 다르게, 상기 제2 방향(D2)으로는 가이드 홈(GG)이 닫혀 있도록, 상기 스탠딩 부재(220)의 일부분에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역자 형상의 가이드 홈(GG)은 상기 스탠딩 부재(220)의 2 개의 측면으로만 개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부재(230)는 제2 방향(D2)으로 개구된 개구부(OP)와, 상기 개구부(OP)에 이어지는 수평홈(HG), 및 상기 수평홈(HG)에 이어지는 수직홈(VG)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GG)을 포함한다. 도 5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직홈(VG)의 하단에는 라운드진(round) 면을 갖는 안착부(AP)가 배치된다. 이 경우, 후술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진 하면을 갖는 삽탈부(327)를 포함하는 캐쳐바(320)가 상기 안착부(AP)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캐쳐바(320)가 안정적으로 스탠딩 부재(2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삽탈부(327)는 수직홈(VG)의 양측에 위치한 고정벽(W1, W2)에 의해서 지지되며, 상기 안착부(AP)의 곡률과 상기 삽탈부(327)의 하면의 곡률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AP)가 곡면을 갖는 것을 제외하면, 스탠딩 부재(230)에 형성된 가이드 홈(GG)의 나머지 부분은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부재(240)는 제2 방향(D2)으로 개구된 개구부(OP)와, 상기 개구부(OP)에 이어지는 수평홈(HG), 및 상기 수평홈(HG)에 이어지는 수직홈(VG)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GG)을 포함한다. 도 6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직홈(VG)의 하단에는 각진 면을 갖는 안착부(AP)가 배치된다. 이 경우, 후술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진 하면을 갖는 삽탈부(337)를 포함하는 캐쳐바(330)가 상기 안착부(AP)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캐쳐바(330)가 안정적으로 스탠딩 부재(2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삽탈부(337)는 수직홈(VG)의 양측에 위치한 고정벽(W1, W2)에 의해서 지지되며, 상기 안착부(AP)가 갖는 2 개의 면들이 만나서 이루는 각도는 상기 삽탈부(337)의 각진 하면이 갖는 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AP)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만나는 2 개의 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안착부(AP)의 각진 면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착부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더블유(W) 형상으로 만나는 4 개의 면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대응하는 캐쳐바의 삽탈부는, 상기 안착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를 이루며 더블유(W) 형상을 갖는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AP)가 각진 면을 갖는 것을 제외하면, 스탠딩 부재(240)에 형성된 가이드 홈(GG)의 나머지 부분은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부재(250)는 제2 방향(D2)으로 개구된 개구부(OP)와, 상기 개구부(OP)에 이어지는 수평홈(HG), 및 상기 수평홈(HG)에 이어지는 수직홈(VG)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GG)을 포함한다. 도 5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개구부(OP)는 캐쳐바가 삽입되는 입구 쪽의 수직 폭(VW1)이 수평홈(HG)의 내부로 이어지는 쪽의 수직 폭(VW2)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캐쳐바에 포함된 삽탈부가, 넓은 입구를 갖는 개구부(OP)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어, 상기 수평홈(HG)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OP)의 수직 폭은, 입구 쪽 수직 폭(VW1)으로부터 수평홈(HG) 쪽 수직 폭(VW2)에 이르기까지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OP)의 수직 폭이 감소되는 정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OP)의 입구 쪽 수직 폭(VW1)으로부터 수평홈(HG) 쪽 수직 폭(VW2)에 이르는 부분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OP)의 입구 쪽 수직 폭(VW1)이 수평홈(HG) 쪽 수직 폭(VW2)보다 큰 것을 제외하면, 스탠딩 부재(250)에 형성된 가이드 홈(GG)의 나머지 부분은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부재(260)는 제2 방향(D2)으로 개구된 개구부(OP)와, 상기 개구부(OP)에 이어지는 수평홈(HG), 및 상기 수평홈(HG)에 이어지는 수직홈(VG)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GG)을 포함한다. 도 8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직홈(VG)은 상기 수평홈(HG)의 단부로부터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수평홈(HG)의 연장 방향 중 일부로부터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홈(GG)은 제1 방향(D1)에서 볼 때, 알파벳 티(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OP)의 입구를 보다 더 넓게 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OP)의 상부에는,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경사진 측면(26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캐쳐바의 삽탈부는 넓은 입구를 갖는 상기 개구부(OP)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어, 상기 수평홈(HG)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홈(GG)이 티(T)자 형상을 갖는 것과, 상기 개구부(OP)의 상부에 경사진 측면(267)이 더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스탠딩 부재(260)에 형성된 가이드 홈(GG)의 나머지 부분은 도 8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부재(270)는 제2 방향(D2)으로 개구된 개구부(OP)와, 상기 개구부(OP)에 이어지는 수평홈(HG), 및 상기 수평홈(HG)에 이어지는 수직홈(VG)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GG)을 포함한다. 도 9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직홈(VG)은 상기 수평홈(HG)을 가로질러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홈(GG)은 상기 제1 방향(D1)에서 볼 때, 한글 모음 아(ㅏ)자 형상이나 십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OP)의 상부에는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경사진 측면(277)이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개구부(OP)의 입구를 넓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홈(VG)이 길게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면, 스탠딩 부재(270)에 형성된 가이드 홈(GG)의 나머지 부분은 도 9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캐쳐바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들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하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캐쳐바(320, 330, 340)는, 제3 방향(D3)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 수직 단면을 갖는 삽탈부(327, 337, 347)를 포함한다. 또한, 삽탈부(327, 337, 347)는 상기 제3 방향(D3)을 따른 하부에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들은 상기 캐쳐바(320, 330, 340)가 스탠딩 부재와 결합할 때 접촉하는 안착부(AP)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탈부는 수직 단면이 사각 형상(347)을 갖거나, 하면이 라운드진(round) 형상(327)을 갖거나, 하면이 각진 형상(337)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삽탈부의 각진 형상(337)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역삼각 형상, 더블유(W) 형상 등 이와 다른 각진 형상을 얼마든지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캐쳐바(320, 330, 340)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면(325_1, 335_1, 345_1)을 갖는 바벨 지탱부(325, 335, 345)를 포함한다. 상기 편평한 상면과 달리, 상기 바벨 지탱부의 하면 또는 측면은 편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벨 지탱부(345)는 하면이 라운드진(roun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바벨 지탱부의 측면들 또는 하면은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4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하여 스쿼트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쿼트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미리, 자신의 앉은 자세보다 약간 더 낮은 높이에 위치한, 스탠딩 부재(210, 230)의 가이드 홈에 캐쳐바(310)를 삽입시켜 스탠딩 부재들(210, 230)에 설치한 다음, 사용자의 어깨 높이에 대응하는 별도의(또는 일체로 형성된) 바벨 거치부(미도시)에 거치된 바벨을 짊어지고 앉았다 섰다 하는 자세를 반복한다. 동작을 반복하는 도중, 사용자가 바벨을 놓치거나 혹은 바벨을 짊어지고 앉은 자세에서 더 이상 일어날 수 없을 때와 같이 사용자가 바벨에 대한 통제력을 잃은 경우, 캐쳐바(310)가 사용자 대신 바벨을 소정의 위치에서 잡아주게 된다. 이에 따라, 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에 따르면, 각각의 스탠딩 부재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수의 가이드 홈들을 포함함으로써, 여러 사용자들이 동일한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하더라도 각자의 체형에 맞는 적절한 높이로 캐쳐바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스탠딩 부재의 가이드 홈들이, 개구부를 갖는 수평홈 및 수평홈에 이어지는 수직홈을 포함하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캐쳐바의 삽탈부가 수직홈의 양측에 위치한 고정벽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캐쳐바가 외력에 의해 흔들리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 홈의 개구부는 입구 쪽의 수직 폭이 가이드 홈 내부를 향하는 쪽의 수직 폭에 비해 더 넓게 형성됨으로써, 캐쳐바를 각각의 가이드 홈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웨이트 트레이닝에 사용되는 모든 피트니스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피트니스 구조물
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스탠딩 부재
310, 320, 330, 340: 캐쳐바
315, 325, 335, 345: 바벨 지탱부
317, 327, 337, 347: 삽탈부
400: 지지 구조
410: 다리부
GG: 가이드 홈
HG: 수평홈
VG: 수직홈
OP: 개구부

Claims (6)

  1.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제1 스탠딩 부재;
    상기 제1 스탠딩 부재에 대향하며,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제2 스탠딩 부재; 및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바벨 지탱부와, 상기 바벨 지탱부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된 삽탈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탈부가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스탠딩 부재 및 제2 스탠딩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캐쳐바;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삽탈부가 삽입되는 입구인 개구부로부터 상기 삽탈부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수평홈과, 상기 수평홈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삽탈부를 안착부까지 가이드 하는 수직홈을 포함하며,
    상기 삽탈부는 상기 수직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 수직 단면을 가지는, 피트니스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탈부는 상기 안착부 상에서, 상기 수직홈의 양측에 위치한 고정벽에 의해 지지되는, 피트니스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벨 지탱부의 각 단부에는 하나의 삽탈부가 형성된, 피트니스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탈부 또는 바벨 지탱부의 수직 단면은 다각 형상을 가지는, 피트니스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벨 지탱부는 편평한 상면을 갖는, 피트니스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 또는 제2 가이드 홈의 상기 개구부는 입구 쪽의 수직 폭이 상기 수평홈 쪽의 수직 폭보다 큰, 피트니스 구조물.
KR1020130058778A 2013-05-15 2013-05-24 피트니스 구조물 KR101315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778A KR101315019B1 (ko) 2013-05-24 2013-05-24 피트니스 구조물
US14/785,503 US20160074695A1 (en) 2013-05-15 2014-05-15 Fitness structure
PCT/KR2014/004347 WO2014185718A1 (ko) 2013-05-15 2014-05-15 피트니스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778A KR101315019B1 (ko) 2013-05-24 2013-05-24 피트니스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019B1 true KR101315019B1 (ko) 2013-10-04

Family

ID=4963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778A KR101315019B1 (ko) 2013-05-15 2013-05-24 피트니스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5739A (ko) 2015-07-06 2017-01-16 한태희 웨이트트레이닝 머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385A (ko) * 2004-04-09 2005-10-13 윤태원 바벨 웨이트 지지봉 쇄정 장치를 구비한 벤치 프레스
US20070203002A1 (en) 2006-02-28 2007-08-30 Webber Randall T Dual action weightlifting machine
US20090124469A1 (en) 2007-11-14 2009-05-14 Webber Randall T Dual action weightlifting machine
KR20110004843U (ko) * 2009-11-09 2011-05-17 이광수 안치홈의 높이를 조절케 한 역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385A (ko) * 2004-04-09 2005-10-13 윤태원 바벨 웨이트 지지봉 쇄정 장치를 구비한 벤치 프레스
US20070203002A1 (en) 2006-02-28 2007-08-30 Webber Randall T Dual action weightlifting machine
US20090124469A1 (en) 2007-11-14 2009-05-14 Webber Randall T Dual action weightlifting machine
KR20110004843U (ko) * 2009-11-09 2011-05-17 이광수 안치홈의 높이를 조절케 한 역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5739A (ko) 2015-07-06 2017-01-16 한태희 웨이트트레이닝 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9085B2 (en) Pull-up bar with hand and finger holds
EP2021083B1 (en) Multi-grip dumbbell
US5411459A (en) Dumbbell rack attachment for exercise weight bench column
WO2012177918A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exercises using a freely rotating ball
WO2016086109A1 (en) Exercise apparatus
US201202830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ngth conditioning
AU2012200068B2 (en) An exercise device for weightlifting and other fitness activities
US20160074695A1 (en) Fitness structure
KR20160039532A (ko) 피트니스 구조물
KR101346471B1 (ko) 피트니스 구조물
KR101561144B1 (ko) 다기능성 아령
KR101315019B1 (ko) 피트니스 구조물
KR200485362Y1 (ko) 코어 근육 강화 및 스트레칭을 위한 운동 장치
KR101592490B1 (ko)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US20070197358A1 (en) Roller Squad
KR20170004009U (ko) 바벨 랙
WO2015182190A1 (ja) バーベルおよびこのバーベルを用いたベンチプレス装置
GB2447846A (en) Aerobic exercise apparatus
KR20110056170A (ko) 점핑 트위스트 운동기구
US20110092341A1 (en) Bench dip blaster
RU64918U1 (ru)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ъема веса (варианты)
CN107115633A (zh) 一种用于腰部肌肉爆发力运动后康复训练装置
KR200418008Y1 (ko) 악력운동 겸용 아령구조
KR200482244Y1 (ko) 덤벨 안전 장치
US20040058782A1 (en) Low impact exercising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