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342B1 -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342B1
KR101314342B1 KR1020110089566A KR20110089566A KR101314342B1 KR 101314342 B1 KR101314342 B1 KR 101314342B1 KR 1020110089566 A KR1020110089566 A KR 1020110089566A KR 20110089566 A KR20110089566 A KR 20110089566A KR 101314342 B1 KR101314342 B1 KR 101314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hot air
pipe
horizontal portion
bypas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6139A (ko
Inventor
손호인
Original Assignee
손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호인 filed Critical 손호인
Priority to KR1020110089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3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6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2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using hot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는 아파트와 같은 다층건물의 배수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관의 지하층에 바이패스관을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관의 일측에 열풍공급부를 형성하며,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에는 온도감지기를 장착시켜 열풍을 배수관 내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관 내에 지속적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동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배수되는 물이 건조장치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DRAINPIPE'S FREEZE AND BURST PREVE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다층건물의 배수관에 열풍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다층건물은 베란다에 우수나 오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배수관이 시공되어 있다.
따라서 각 층의 분지관이 메인배수관에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겨울철에는 배수관 내에 잔류하는 물이 얼게 되어 동파가 발생되므로 배수가 안되어 어려움이 발생되고, 이를 해빙시키거나 배관 공사를 다시 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으며 아울러 금전적인 지출도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된 바 있으며 가장 흔한 방법으로는 배수관의 외부에 보온재를 시공하거나 또는 보온재 내에 발열선을 매립시켜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시킴으로써 동파를 방지토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들은 보온재의 성능만으로는 동파 기능을 기대하기 어려웠고, 발열선의 경우 합선이나 누전의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참고할만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91962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 기술은 배수관 내의 배수되는 물이 역류될 우려가 있었고, 역류로 인해 건조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수관 내에 지속적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동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배수되는 물이 건조장치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와 같은 다층건물의 배수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관의 지하층에 바이패스관을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관의 일측에 열풍공급부를 형성하며,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에는 온도감지기를 장착시켜 열풍을 배수관 내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관은 상하에 배열되며 일단이 배수관에 통하도록 연결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타단을 연결하는 수직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부의 수평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열풍이 직선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온도감지기는 수직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패스관은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상부 수평부의 일단이 상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하부 수평부의 일단이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관 내에 지속적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동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배수되는 물이 건조장치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A)는, 아파트와 같은 다층건물의 배수관(100)에 장착되되 바람직하게는 전원 공급이 용이하고, 온도가 상온으로 유지될 수 있어 장비의 작동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하실에 설치된다.
통상 아파트의 지하실에는 대피공간이나 주차장이 시공되어 있고, 일측에 우수 배수관, 오수관, 냉,난방관 및 펌프가 장착된 맨홀 등이 형성된 기계실이 마련된다.
따라서 배수관(100)의 하부는 기계실로 시공되어 있고, 그 하단은 맨홀에 연결되어 우수가 배출되도록 하였고, 각종 배관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수리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100)의 동파방지장치(A)는 지하 기계실에 마련된 배수관(10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배수관(100)의 하부, 지층 슬라브(200)의 하부에 바이패스관(1)이 연결되며 이는 통상의 플랜지(P)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이패스관(1)은 배수관(100)의 상하에 통하도록 연결되는데, 일단이 배수관(100)에 통하도록 연결된 수평부(11,12)와, 상기 수평부(11,12)의 타단을 연결하는 수직부(13)로 구성되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배수관(100)의 일부를 절단하여 Y형 연결부속을 연결한 후 T형 연결부속을 연결하여 상부 수평부(11)를 형성하고, 상기 T형 연결부속의 하부에 엘보우관을 연결하고, 상기 엘보우관의 타단에 다시 Y형 연결부속을 연결하여 하부 수평부(12)를 형성하면서 아울러 배수관(100)에 연결시킴으로써 대략 "ㄷ"자 형상으로 바이패스관(1)이 제작된다.
또 바이패스관(1)의 일측에는 열풍공급부(2)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관(1)의 타측에는 온도감지기(3)를 장착시켜 열풍 온도를 감지하면서 적정한 온도의 열풍이 배수관(100) 내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풍공급부(2)는 바이패스관(1)의 상부의 수평부(11,12)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열풍이 직선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열풍공급부(2)는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열선 코일(21)과, 상기 열선 코일(21)의 열을 송기하는 휀(22) 및 휀(22)을 회전시키는 모터(23)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23)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에 프로그램 제어에 의해 모터(23) 및 휀(22), 그리고 열선 코일(21)의 발열은 다단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예로는 고, 중, 저의 3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 적합한 온도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작동이 제어되는 것이다.
이러한 열풍의 온도 제어에 관해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술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상기 바이패스관(1)은 상기 배수관(100)과 연결되는 상부 수평부(11,12)의 일단이 상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열풍이 공급되는 상부 수평부(11)와 배수관(100)의 연결부위에는 상방으로 만곡진 만곡부(15)가 형성됨으로써 열풍이 상방으로 안내되도록 하여 배수관(100)의 상부를 향해 유입되도록 방향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열풍공급부(2)는 바이패스관(1)의 상부 수평부(11)의 후단에 연장되어 수직부(13) 보다 후방에 위치된 연장부에 형성된다.
이렇게 열풍공급부(2)를 바이패스관(1)의 가장 후단에 배치함으로써 혹시라도 배수관(100)으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소량일지라도 열풍공급부(2)에 미치지 않도록 하여 고장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였다.
바이패스관(1)으로 유입된 물은 수직부(13)를 경유하여 하부 수평부(12)를 통해 다시 배수관(10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방향이 유도된다.
이를 보다 능동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배수관(100)과 연결되는 하부 수평부(12)의 일단이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기(3)는 바이패스관(1)의 수직부(13)에 장착된다. 물론 온도감지기(3)의 장착 위치는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감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에라도 장착이 가능하다.
온도감지기(3)는 열풍공급부(2)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여 셋팅된 온도 범위로 한정시키기 위해 제어부에 온도 측정값을 송신하게 된다.
온도 측정값을 입력받은 제어부는 열풍공급부(2)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여 정해진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를 조작하여 열풍의 온도와 가동 시간을 외부 온도나 기타 환경적인 조건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작동되도록 설정한다.
이후 가동 조건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열풍공급부(2)가 구동되고, 열풍이 공급되어 바이패스관(1)의 상부 수직부(13)를 통해 배수관(100)으로 유입된 후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바이패스관(1)의 내부에는 항상 0~15℃의 온도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온도에 의해 내부의 물이 결빙되는 폐단이 방지될 수 있다.
또 배수관(100) 내의 물이 흘러내리면 대개는 직접 흘러내려가지만 일부는 바이패스관(1)으로 유입된 후 다시 배출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도 열풍공급부(2)는 물과 가장 먼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침수될 우려는 없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열풍공급부의 전단부, 즉 열풍이 송출되는 출구측에 일방향으로만 개폐되는 차수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차수부재는 열풍의 송출시에는 풍압에 의해 개방될 수 있고, 반대편에서 물이 침입되는 경우는 수압에 의해 폐쇄되도록 하여 열풍공급부(2)가 침수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바이패스관 2 : 열풍공급부
3 : 온도감지기 11,12 : 수평부
21 : 열선 코일 22 : 휀
23 : 모터

Claims (5)

  1. 아파트와 같은 다층건물의 배수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관의 지하층에 바이패스관을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관의 일측에 열풍공급부를 형성하며,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에는 온도감지기를 장착시켜 열풍을 배수관 내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한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은 상하에 배열되며 일단이 배수관에 통하도록 연결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타단을 연결하는 수직부로 구성되고,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부의 수평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열풍이 직선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열풍공급부의 열풍 출구 측에 열풍 송출시 풍압에 의해 개방되고, 반대편에서 물이 침입시 수압에 의해 폐쇄되도록 일 방향으로만 개폐 가능한 차수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은 배수관의 일부를 절단하여 Y형 연결부속을 연결한 후 T형 연결부속을 연결하여 상부 수평부를 형성하고,
    상기 T형 연결부속의 하부에 엘보우관을 연결하고, 다시 Y형 연결부속을 연결하여 하부 수평부를 형성하여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은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상부 수평부의 일단이 상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하부 수평부의 일단이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



KR1020110089566A 2011-09-05 2011-09-05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 KR101314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566A KR101314342B1 (ko) 2011-09-05 2011-09-05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566A KR101314342B1 (ko) 2011-09-05 2011-09-05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139A KR20130026139A (ko) 2013-03-13
KR101314342B1 true KR101314342B1 (ko) 2013-10-04

Family

ID=4817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566A KR101314342B1 (ko) 2011-09-05 2011-09-05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3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085B1 (ko) * 2016-10-19 2017-04-06 주식회사 정원랜드 에어 세정시스템용 압축공기 여과장치
KR20180102847A (ko) * 2017-03-08 2018-09-18 김진국 상수도관의 누수 감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502B1 (ko) * 2013-06-12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역류 감지 장치
CN110512695B (zh) * 2019-09-09 2020-12-22 广西翔盛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带有自动清淤功能的建筑管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8181A (ja) * 1994-02-03 1995-08-18 Mitsubishi Heavy Ind Ltd 水配管の凍結防止装置
KR19980061898A (ko) * 1996-12-31 1998-10-07 오상수 차량용 에어컨
JP2008175047A (ja) 2006-12-18 2008-07-31 Shinichi Kaneko 雨樋融雪装置
KR100971318B1 (ko) * 2010-02-01 2010-07-20 이광호 베란다배수관결빙방지장치 및 베란다배수관결빙방지용 열풍밀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8181A (ja) * 1994-02-03 1995-08-18 Mitsubishi Heavy Ind Ltd 水配管の凍結防止装置
KR19980061898A (ko) * 1996-12-31 1998-10-07 오상수 차량용 에어컨
JP2008175047A (ja) 2006-12-18 2008-07-31 Shinichi Kaneko 雨樋融雪装置
KR100971318B1 (ko) * 2010-02-01 2010-07-20 이광호 베란다배수관결빙방지장치 및 베란다배수관결빙방지용 열풍밀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085B1 (ko) * 2016-10-19 2017-04-06 주식회사 정원랜드 에어 세정시스템용 압축공기 여과장치
KR20180102847A (ko) * 2017-03-08 2018-09-18 김진국 상수도관의 누수 감지 시스템
KR101967405B1 (ko) * 2017-03-08 2019-04-09 김진국 상수도관의 누수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139A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966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US20070205308A1 (en) Snow removal device
KR101314342B1 (ko)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
US20070151704A1 (en) Geothermal heat exchange system
KR101891827B1 (ko) 배관 동파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화장실
KR101596813B1 (ko) 지중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US11333395B2 (en) Condensate removal system for cold-climate heat pumps
US95515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selected portions of swimming pool water
US20090145852A1 (en) Heating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on of underground tank freeze-ups
JP2000055413A (ja) 地盤熱利用の冷暖房システム及び冷暖房機能付き建物及び冷暖房方法
US201601775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swimming pool water
KR101595089B1 (ko) 건축물 옥상 단열 및 방수 시스템
KR20130100251A (ko) 동파방지용 삼방밸브 배관장치
JP3148898U (ja) 地熱利用建物
JP7054083B2 (ja) 熱伝導板を用いて暖房排熱で屋根の凍結を防止し、屋根上の積雪を溶融する建築工法
CN107288582A (zh) 一种井筒保温系统及井筒保温控制方法
JP2012097459A (ja) 建物の通気システム
JP6569029B1 (ja) 建物等の地下に設置する地下貯水槽
CN112253880A (zh) 一种热力自循环驱动的建筑供水管道防冻系统
Im et al. Demonstration and performance monitoring of foundation heat exchangers (FHX) in ultra-high energy efficient research homes
KR20190107470A (ko) 냉,온수 배관의 동파 방지장치
JP2006153304A (ja) 地熱利用設備
JP2018165607A (ja) 建物の空調装置
KR101651376B1 (ko) 관정 및 간이상수도의 상부보호 기계실 시스템
WO2019059876A1 (ru) Система комплексной термомодернизации зданий или сооруж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