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727B1 -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727B1
KR101312727B1 KR1020110088216A KR20110088216A KR101312727B1 KR 101312727 B1 KR101312727 B1 KR 101312727B1 KR 1020110088216 A KR1020110088216 A KR 1020110088216A KR 20110088216 A KR20110088216 A KR 20110088216A KR 101312727 B1 KR101312727 B1 KR 101312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plate
plate
eyepiece
ship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651A (ko
Inventor
이원주
이동호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72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야간에 접안작업이 이루어질 때에 작업자가 부두에 설치되는 완충부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두에 설치되고 부두에 접안되는 선박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완충부와, 완충부에 구비되고 작업자가 선박과 완충부 사이의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식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 {DOCKING INDUCING APPARATUS FOR VESSEL}
본 발명은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야간에 접안작업이 이루어질 때에 작업자가 부두에 설치되는 완충부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나 제철공장의 연료 또는 원료 등의 선박 하역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선박을 부두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접안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부두에 접안되는 선박은 다량의 연원료를 선적하고 있기 때문에, 부두에 안전하게 접안하더라도 해수면의 이동에 따라 부두와 지속적으로 충돌할 수 있다.
선박과 부두의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완충부를 부두에 설치하는 데, 통상적으로 부두에 설치되는 완충부는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구조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선박의 접안작업을 행할 때에 선박과 부두의 충돌되면 탄성재질의 구조물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다.
또한, 부두에는 조명시설이 설치되어 야간에 선박의 접안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8478호(2007년 9월 6일 등록, 발명의 명칭 :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부두의 조명시설은 부두의 상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부두의 측면에 설치되는 완충부와 조명시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므로 야간에 접안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완충부와 선박 사이의 간격을 확인하기 어려워 접안작업이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야간에 접안작업이 이루어질 때에 작업자가 부두에 설치되는 완충부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두에 설치되고 부두에 접안되는 선박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에 구비되고 작업자가 선박과 상기 완충부 사이의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부두에 설치되는 장착패널; 선박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접촉부; 및 상기 장착패널과 상기 접촉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탄성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벽에 설치되고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완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되는 연장플레이트; 상기 연장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선박 측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 및 상기 연장플레이트의 배면에 구비되고 후반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플레이트는 상기 인식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플레이트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되는 연장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고 태양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집광부; 및 상기 연장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집광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고 빛을 조사하는 광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플레이트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파하는 확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원은 상기 연장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에 대향되는 상기 연장플레이트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연장플레이트를 따라 확산되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연장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선박 측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는 야간에 접안작업을 행할 때에 작업자가 완충부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선박의 접근 속도를 조절하면서 접안작업을 행하도록 유도하여 선박과 부두의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가 도시된 구동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가 도시된 구동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는, 부두(3)에 설치되고 부두(3)에 접안되는 선박(1)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완충부(10, 30, 50)와, 완충부(10, 30, 50)에 구비되고 작업자가 선박(1)과 완충부(10, 30, 50) 사이의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식부(70)를 포함한다.
선박(1)이 부두(3)에 정착할 때에는 작업자가 선박(1)의 속도를 조절하면서 부두(3)에 접근하는 접안작업을 행하는데, 선박(1)이 부두(3)에 닿기 전에 완충부(10, 30, 50)와 접촉되므로 선박(1)과 부두(3)가 직접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부두(3)의 위치는 쉽게 인지할 수 있으나 완충부(10, 30, 50)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고, 특히, 야간에 접안작업을 행할 때에는 완충부(10, 30, 50)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운데, 본 실시예는 인식부(70)에 의해 작업자가 완충부(10, 30, 50)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접안작업을 행할 때에 완충부(10, 30, 50)의 위치를 인지하여 선박(1)이 완충부(10, 30, 50)에 접촉되기 전에 선박(1)의 접근 속도를 충분히 줄여서 선박(1)이 필요 이상의 속도로 완충부(10, 30, 50)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완충부(10, 30, 50)는, 부두(3)에 설치되는 장착패널(10)과, 선박(1)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접촉부(50)와, 장착패널(10)과 접촉부(5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구조물(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탄성구조물(30)은 평면 형상이 'V' 모양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일측 단부가 부두(3)에 설치되는 장착패널(10)에 연결되며, 타측 단부에 접촉부(50)가 결합된다.
선박(1)이 접촉부(50)에 충돌되면 탄성구조물(30)이 'U'모양으로 변형되면서 선박(1)과 접촉부(50)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상쇄시키게 되어 선박(1) 및 부두(3)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접안작업 중에 발생되는 충돌에 의해 선박(1) 또는 부두(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접촉부(50)는, 탄성구조물(30)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52)와, 지지플레이트(52)의 외벽에 설치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완충플레이트(54)를 포함한다.
지지플레이트(52)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선박(1)의 충돌에 의해 지지플레이트(52)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플레이트(54)에 의해 지지플레이트(52) 또는 선박(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인식부(70)는, 완충부(10, 30, 50)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되는 연장플레이트(72)와, 연장플레이트(72)에 설치되고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74)를 포함한다.
연장플레이트(72)는 좌우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어 지지플레이트(52)의 상면에 설치되고, 연장플레이트(72)의 양측 단부에는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지지플레이트(52)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절곡부(72a)가 형성된다.
연장플레이트(72)와 절곡부(72a)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지지플레이트(52)에 결합되는 결합부(72b)가 형성되므로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부(72b)를 지지플레이트(52)에 장착시켜 연장플레이트(72)의 설치를 행할 수 있다.
연장플레이트(72)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선박(1)의 충돌이나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지지플레이트(52)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연장플레이트(72)의 전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재(74)가 접착되므로 선박(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 또는 부두(3)에 설치되는 조명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반사부재(74)에 의해 반사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반사부재(74)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인지하여 완충부(10, 30, 50)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접안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용 접안 유도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박(1)이 부두(3)에 접근하여 접안작업이 개시되면, 선박(1)의 조명으로부터 조사되는 빛 또는 부두(3)에 설치되는 조명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반사부재(74)에 의해 반사되어 작업자가 지지플레이트(52)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지플레이트(52)와 선박(1) 사이의 거리를 인지하면서 선박(1)의 속도를 줄이면서 접안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선박(1)과 지지플레이트(52)가 접촉될 때에는 완충플레이트(54) 및 탄성구조물(30)이 압축되면서 선박(1)과 지지플레이트(52)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므로 선박(1), 지지플레이트(52) 및 부두(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의 인식부(170)는, 완충부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되는 연장플레이트(172)와, 연장플레이트(172)에 설치되고 태양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집광부(176)와, 연장플레이트(172)에 설치되고 집광부(176)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고 빛을 조사하는 광원(178)을 포함한다.
집광부(176)에 태양열에너지가 공급되는 주간에는 집광부(176)에 의해 태양열에너지기 전기에너지로 변환되어 축전지(미도시)에 저장되고, 야간에는 축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광원(178)으로부터 빛이 조사된다.
야간에 접안작업을 행하는 작업자는 광원(178)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인지하여 지지플레이트(5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원(178)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연장플레이트(172)에 부착되는 반사부재(174)에 의해 선박 측으로 반사되므로 광원(178)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지지플레이트(52) 후방으로 유실되지 않고 선박 측으로 반사되도록 한다.
따라서 야간에 접안작업을 행하는 작업자는 보다 쉽게 지지플레이트(5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집광부(176) 및 광원(178)의 작동은 주간에 집광부(176)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축전지에 저장토록 한 후에 야간에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광원(178)에 공급하는 제어부(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의 인식부(270)에 포함되는 연장플레이트(272)는 광원(278)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파하는 확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광원(278)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확산판을 따라 확산되어 연장플레이트(272) 전면이 빛을 조사하게 된다.
따라서 야간에 접안작업을 행하는 작업자는 연장플레이트(272) 모양으로 빛을 조사하는 플레이트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쉽게 연장플레이트(272)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광원(278)은 연장플레이트(272)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광원(278)에 대향되는 연장플레이트(272)에는 광원(278)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연장플레이트(272)를 따라 확산되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면(272a)이 형성된다.
광원(278)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반사면(272a)에 의해 반사된 후에 연장플레이트(272)를 따라 측 방향으로 확산되어 연장플레이트(272) 전면으로부터 빛이 조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적은 개수의 광원(278)을 설치하여 연장플레이트(272) 전면으로부터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므로 부품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주간에 집광부(276)에 의해 태양열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어 축전지에 저장되고, 야간에는 제어부의 작동에 의해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에너지가 광원(278)에 공급되어 광원(278)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연장플레이트(272) 전면을 통해 조사된다.
이로써, 야간에 접안작업이 이루어질 때에 작업자가 부두(3)에 설치되는 완충부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선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유도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선박 3 : 부두
10 : 장착패널 30 : 탄성구조물
50 : 접촉부 52 : 지지플레이트
54 : 완충플레이트 70, 170, 270 : 인식부
72, 172, 272 : 연장플레이트 72a : 절곡부
72b : 결합부 74, 174 : 반사부재
176, 276 : 집광부 178, 278 : 광원
272a : 반사면

Claims (7)

  1. 부두에 설치되고 부두에 접안되는 선박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에 구비되고 작업자가 선박과 상기 완충부 사이의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부두에 설치되는 장착패널;
    선박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접촉부; 및
    상기 장착패널과 상기 접촉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탄성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벽에 설치되고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완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되는 연장플레이트;
    상기 연장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선박 측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 및
    상기 연장플레이트의 배면에 구비되고 후반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플레이트는 상기 인식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플레이트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되는 연장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고 태양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집광부; 및
    상기 연장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집광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고 빛을 조사하는 광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플레이트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파하는 확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연장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에 대향되는 상기 연장플레이트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연장플레이트를 따라 확산되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방용 접안 유도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연장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선박 측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
KR1020110088216A 2011-08-31 2011-08-31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 KR101312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16A KR101312727B1 (ko) 2011-08-31 2011-08-31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16A KR101312727B1 (ko) 2011-08-31 2011-08-31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651A KR20130024651A (ko) 2013-03-08
KR101312727B1 true KR101312727B1 (ko) 2013-10-01

Family

ID=48176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216A KR101312727B1 (ko) 2011-08-31 2011-08-31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7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753A1 (en) * 2021-12-28 2023-07-06 Petroliam Nasional Berhad (Petronas) Offshore boat landing fen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1128A (ja) * 2000-04-28 2001-11-09 Yokohama Rubber Co Ltd:The 標識手段を備えた防舷材
JP2003227120A (ja) * 2002-02-01 2003-08-15 Sumitomo Rubber Ind Ltd 防舷装置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KR101024610B1 (ko) * 2010-07-20 2011-03-24 동일특수고무(주) 조명부를 갖는 해안용 방현판
KR20110007585U (ko) * 2010-01-25 2011-08-02 주식회사동일케미칼 발광램프를 구비한 방현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1128A (ja) * 2000-04-28 2001-11-09 Yokohama Rubber Co Ltd:The 標識手段を備えた防舷材
JP2003227120A (ja) * 2002-02-01 2003-08-15 Sumitomo Rubber Ind Ltd 防舷装置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KR20110007585U (ko) * 2010-01-25 2011-08-02 주식회사동일케미칼 발광램프를 구비한 방현재
KR101024610B1 (ko) * 2010-07-20 2011-03-24 동일특수고무(주) 조명부를 갖는 해안용 방현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651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628838A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expansion with near focus in a display device
CN105738899B (zh) 物体检测装置
CN103100537B (zh) 一种水下激光清洗方法及清洗头
KR101312727B1 (ko) 선박용 접안 유도장치
ATE232581T1 (de) Energieabsorbierende struktur
CN203459581U (zh) 自动折弯装置
TW200745607A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laser light shaped as a line beam
CN102788800A (zh) 一种太阳能电池组件检测装置
CN104488162A (zh) 非接触供电系统
CN109941083A (zh) 车辆用电池组保护结构及具备其的车辆
CN109216609A (zh) 用于车辆的电池保护装置
CN108290629A (zh) 可伸缩推进器系统
TW200732659A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fluids
CN104411442B (zh) 光纤激光加工机
CN104649148A (zh) 一种加强型工程车辆驾驶室
CN212738946U (zh) 一种h钢运输固定装置
FR3093481B1 (fr)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es chocs des elements sous plancher
KR100779268B1 (ko) 발광부를 가지는 모서리 보호구
KR101220627B1 (ko) 발광체를 가진 선박 접안용 펜더의 판넬
CN203171333U (zh) 安全防撞的机头
CN207892334U (zh) 一种无车盘式立体车库的ev充电装置
CN213985658U (zh) 一种智能汽车用车灯防爆检测装置
DK1490261T3 (da) Fortøjning af en flydbar enhed til en fartøjsside
CN210707705U (zh) 一种agv小车用防护装置
KR100967134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