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538B1 - Red clay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d clay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2538B1 KR101312538B1 KR1020120026362A KR20120026362A KR101312538B1 KR 101312538 B1 KR101312538 B1 KR 101312538B1 KR 1020120026362 A KR1020120026362 A KR 1020120026362A KR 20120026362 A KR20120026362 A KR 20120026362A KR 101312538 B1 KR101312538 B1 KR 1013125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 vertical
- wall
- stucco
- ang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2—Carbides; Nitrides; Borides ; Silici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는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수평각재 삽입 홈들(111)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 각각 수직 각재 삽입 홈(113)이 형성되는 다수의 치장 벽목(110);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111)에 끼워져 수평으로 고정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 각재(120); 상기 수직각재 삽입 홈(113)에 끼워져 상기 수평 각재(120)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각재(130); 및 상기 수평 각재(120)와 상기 수직 각재(130)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치장 벽목(110)과 상기 수평 각재(120)와 상기 수직 각재(130)를 감싸고 결합하는 황토체(14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굵기가 상이(직경이 상이)하거나 구부러진 통나무를 모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장 벽목의 전후 단면이 직각 단면 또는 예각으로 형성되어 직각 단면보다 단면적이 증가하여 수분증발이 증가하게 되어 통나무의 외부균열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나무 긴 섬유 다발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절단되어 목재 갈라짐을 감소하고, 통나무가 경사각으로 황토체에 위치하여 황토체 자체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단열효과를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The ocher wall using the stucco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horizontal lay-up state two horizontal chamfering insertion grooves 111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the vertical angular inserting grooves 113 on both sides A plurality of stucco walls (110) formed; A plurality of horizontal horns 120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horns insertion grooves 111 and fixedly arranged horizontally; A plurality of vertical anglers 130 inserted into the vertical angler insertion grooves 113 and vertically fixed to the horizontal angler 120; And an ocher body 140 that is filled between the horizontal primitive 120 and the vertical primitive 130 to surround and couple the stucco wall 110, the horizontal primitive 120, and the vertical primitive 130. d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ecause it can use both different thickness (different diameter) or bent logs.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nd rear cross-section of the stucco wall is formed at right angles or acute angle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right angle cross-section to increase the water evapora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external crack of the lo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logs long fiber bundles are cut at different positions to reduce the wood split, the log is located on the ocher body at an oblique ang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ocher body itself and increase the insulation effe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 및 그 황토벽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굵기가 상이하거나 구부러진 통나무를 모두 활용할 수 있고, 통나무의 단면적이 증가하여 통나무의 외부균열을 대폭 줄이며, 목재 갈라짐을 감소시키고, 자체 강도를 증가시키고 단열효과를 높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 및 그 황토벽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cher wall using a stucco wa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ocher wall, and more specifically, to be able to utilize all of the different thickness or bent log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g increases significantly reduces the external crack of the log, wo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cher wal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ocher wall using stucco wood, which has reduced cracking, increased its own strength, and improved the insulation effect.
일반적으로 전원주택은 교외의 한적한 장소에 주로 시공되는 건축물로서, 근래에 들어 도시인구의 폭발적인 증대로 인해 교외의 한적한 전원생활을 갈망하는 현대인의 요구에 맞추어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In general, rural houses are mainly constructed in secluded places in the suburbs. Recently, the demand is increasing steadily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modern people who desire long rural life in the suburbs due to the explosive increase in urban population.
이러한 전원주택은 통상 석재 등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시공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석재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시공이 용이한 통나무 재를 이용한 목조주택이 많이 시공되고 있다.Such rural houses have been generally constructed using materials such as stone, but in recent years, many wooden houses have been constructed using log ash, which is cheaper and easier to construct than stone.
최근 저렴한 전원주택의 수요에 발맞추어 전문 시공업체의 전문적인 시공 없이도 가족끼리 소규모로 비교적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소규모의 목조주택용 자재들이 생산되고 있는데, 이러한 목재들을 이용하여 주택의 골격을 시공한 후, 소정길이의 목재들을 쌓아올려 벽체를 시공한 다음, 지붕, 창문, 출입문 등을 시공하여 손쉽게 목조주택을 시공할 수 있다.Recently, in line with the demand of low-cost rural houses, small wooden house materials are being produced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small scale by families without specialized construction by a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y. In addition, by stacking timbers of predetermined length and constructing walls, the wooden houses can be easily constructed by constructing roofs, windows and doors.
최근에는 통나무를 이용한 통나무 목조주택도 많이 설치되고 있는바, 이러한 통나무 목조주택은 건물 자체가 통나무를 가공한 통나무 자재로 이루어진 만큼, 친환경적이며, 환경에 따라 습기를 흡수하거나 품고 있던 습기를 내뿜어 주는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나무 특유의 향을 가지기 때문에, 다른 양식의 주택에 비하여 실내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Recently, many log wooden houses using logs have been installed. The log wooden houses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as the buildings themselves are made of log materials processed with logs. In addition to having a unique wood fragrance, it has the advantage of keeping the indoor environment more comfortable than other types of houses.
그리고, 통나무 목조주택은 에너지 효율이 매우 뛰어나며, 단열 효과도 좋은바, 실제로 같은 평수의 통나무집과 일반 주택을 비교할 때 냉·난방비를 30% 정도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도가 높고 증개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log wooden house is very energy efficient and has a good thermal insulation effect. In fact, the log wooden house is known to save 30% of cooling and heating costs when compared to the log house of the same area. There is a high and easy expansion and expansion.
통나무 목조주택의 벽체는 통나무 부재를 적층 결합시킨 구조로서, 대지에 콘크리트 구조의 기초 공사를 실시한 후 그 위에, 지반에 의한 습기에 부식되지 않도록 화학 약품 등으로 방부처리된 방부 목을 설치하고, 이 방부목에 통나무 부재를 적층 결합시켜 벽체를 만든 다음, 벽체 상단에 지붕을 조립하게 된다.The wall of the log wooden house is a structure in which log members are laminated and bonded, and after the foundation construction of concrete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ground, a preservative wood preservatively treated with chemicals or the like is installed on the ground to prevent corrosion from moisture caused by the ground. The members of the logs are laminated and joined to form a wall, and then the roof is assembled on the top of the wall.
그러나 종래 통나무 목조주택의 벽체는 나무 고유의 특성 때문에 수축 변형을 하게 되는바, 수축된 이후의 벽체 높이의 차가 10㎝ 정도로 변형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수축에 대처할 수 없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벽체의 수축에 의해 창호나 문 등의 변형 내지는 파손이 초래되거나 틈이 발생하여 목조주택의 수명과 기능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립이 어렵고 구조가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wall of the conventional log wooden house is contracted and deformed due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ree. Although the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wall after being deformed is about 10 cm, the wall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not cope with such contraction, thereby contracting the wall. Due to the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windows and doors or the like, or the occurrence of gaps, there is a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 and function of the wooden house, and the assembly is difficult and the structure is vulnerable.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굵기가 상이(직경이 상이)하거나 구부러진 통나무를 모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치장 벽목의 전후 단면이 직각 단면 또는 예각으로 형성되어 직각 단면보다 단면적이 증가하여 수분증발이 증가하게 되어 통나무의 외부균열을 대폭 감소시키며, 통나무 다발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절단되어 목재 갈라짐을 감소하고, 통나무가 경사각으로 황토체에 위치하여 황토체 자체 강도를 증가시키고 단열효과를 높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 및 그 황토벽체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ecause it can use both different thickness (different diameter) or bent logs, and the front and rear cross-section of the stucco wall is formed at right angles or acute angles and at right angles The more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the water evaporation, which greatly reduces the external cracking of the logs, the log bundles are cut at different locations to reduce the wood splitting, and the logs are located on the ocher body at an oblique angle,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ocher body itsel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cher wal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ocher wall using stucco wood, which has a high thermal insulation effec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는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수평각재 삽입 홈들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 각각 수직 각재 삽입 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치장 벽목;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에 끼워져 수평으로 고정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 각재; 상기 수직각재 삽입 홈에 끼워져 상기 수평 각재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각재; 상기 수평 각재와 상기 수직 각재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치장 벽목과 상기 수평 각재와 상기 수직 각재를 감싸고 결합하는 황토체;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cher wall using the stucc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horizontal shell insert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in a horizontally laid down state, and vertical shell inserts are inserted at both sides. A plurality of stuccos in which grooves are formed; A plurality of horizontal angler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angler inserting grooves and fixed horizontally; A plurality of vertical anglers inserted into the vertical angler insertion grooves and vertically fixed to the horizontal angler; It comprises a loess body filled between the horizontal and the vertical shell, the oak body surrounding and bonded to the stucco wall, the horizontal and the vertical shell.
상기 치장 벽목은 굵기가 상이한(직경이 상이한) 다수의 통나무들이며,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과 상기 수직 각재 삽입 홈의 깊이도 각각의 통나무 직경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된다.The stucco is a plurality of logs of different thicknesses (different diameters), and the depths of the horizontal lumber insert grooves and the vertical lumber insert grooves ar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respective log diameter sizes.
상기 치장 벽목의 전후 단면은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수직 각재는 상기 2개의 수평 각재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cross-sections of the stucco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cute angle, and the vertical bark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between the two horizontal bark.
상기 황토체는 황토, 숯, 볏짚, 톱밥, 단열재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The loess is composed of a mixture of loess, charcoal, rice straw, sawdust, insula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황토벽체 제조방법은 통나무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상기 통나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수평각재 삽입 홈들을 형성하고, 상기 통나무의 양 측면에 각각 수직 각재 삽입 홈을 형성하여 다수의 치장 벽목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에 수평 각재를 끼워서 수평으로 고정 배치하는 단계; 상기 수직각재 삽입 홈에 수직 각재를 끼우되, 상기 수평 각재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 및 황토, 숯, 볏짚, 톱밥, 단열재의 혼합물을 상기 수평 각재와 상기 수직 각재 사이에 충진하고 황토체를 양생하여 상기 치장 벽목과 상기 수평 각재와 상기 수직 각재를 감싸고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ocher wal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log horizontally laid two horizontal lumber insert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og, respectively, the vertical angular insert on each side of the log Forming a groove to produce a plurality of stuccos; Inserting a horizontal angler into the horizontal angler insertion groove and horizontally fixing the horizontal angler; Inserting a vertical angler into the vertical angler insertion groove, wherein the vertical angler is fixed to the vertical angler; And filling the mixture of ocher, charcoal, rice straw, sawdust, and insu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and the vertical shells, and curing the loess to wrap and couple the stucco and the horizontal and the vertical shell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굵기가 상이하거나 구부러진 통나무를 모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통나무의 외경은 상이하거나 구부러져 있지만 치장벽목 각재 홈의 내부규격은 일정하여 시공이 손쉬운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ecause it can utilize all of the different thickness or bent logs, the outer diameter of the log is different or bent, but the internal standard of the stucco timber beam groove is constant construction It has an easy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치장 벽목의 전후 단면이 직각 단면 또는 예각으로 형성되어 직각 단면보다 단면적이 증가하여 수분증발이 증가하게 되어 통나무의 외부균열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nd rear cross-section of the stucco wall is formed at right angles or acute angle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right angle cross-section to increase the water evapora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external crack of the log.
또한, 본 발명은 통나무 긴 섬유 다발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절단되어 목재 갈라짐이 감소하고, 통나무가 경사각으로 황토체에 위치하여 황토체 자체의 강도가 증가시키고 단열효과가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log long fiber bundles are cut at different positions to reduce the wood split, the log is located on the ocher body at an oblique ang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ocher body itself and increase the insulation effect.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치장 벽목을 보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못에 의한 고정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황토벽체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를 보인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황토벽체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1 to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e of the ocher wall using the stucc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show the stucco wall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cher wall using the stucc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structure by nails.
9 is a process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ocher wa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e of the ocher wall using the stucc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cher wall using stucco wo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views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ocher wall using stucco wo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ocher wa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 및 그 황토벽체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cher wall using a stucc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ocher wa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치장 벽목을 보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못에 의한 고정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to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e of ocher wall using a stucc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is a view showing the stucco, Figure 6 and 7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cher wall using stucco according to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fixing structure by nails.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100)는 통나무 주택의 벽체에 사용되는 벽체로서, 치장 벽목(110) 상부에 수평 각재 삽입 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111)에 삽입되도록 수평 각재(120)를 고정 배치하며, 황토체(140)를 충전하여 제조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참고로, 본 발명에 있어서, 치장 벽목(110)의 상부, 하부 개념은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치장 벽목(110)을 수평으로 눕힌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concepts of the
이하,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100)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100)는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수평각재 삽입 홈들(111)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 각각 수직 각재 삽입 홈(113)이 형성되는 다수의 치장 벽목(110);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111)에 끼워져 수평으로 고정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 각재(120); 상기 수직각재 삽입 홈(113)에 끼워져 상기 수평 각재(120)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각재(130); 및 상기 수평 각재(120)와 상기 수직 각재(130)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치장 벽목(110)과 상기 수평 각재(120)와 상기 수직 각재(130)를 감싸고 결합하는 황토체(140);를 포함한다.The
상기 치장 벽목(110)은 굵기가 상이(직경이 상이)하거나 구부러진 다수의 통나무들이며,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111)과 상기 수직 각재 삽입 홈(113)의 깊이는 그 직경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된다.The
다시 말해서,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111)과 상기 수직 각재 삽입 홈(113)의 깊이에 있어서, 작은 직경의 통나무들의 경우에는 홈의 깊이가 작지만 큰 직경의 통나무들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홈의 깊이가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111)과 상기 수직 각재 삽입 홈(113)에 끼워지는 수평 각재(120) 및 수직 각재(130)가 한쪽으로 치우쳐지거나 기울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된다.In other words, in the depths of the horizontal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는 굵기가 상이하거나 구부러진 통나무를, 즉 버려지는 잡목을 모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통나무의 외경은 상이하거나 구부러져 있지만 치장벽목 각재 홈의 내부규격은 일정하여 시공이 손쉬운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ecause the log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or bent logs, that is, the discarded lumber can be utilized. Since the standard is constant, the construction is easy to effect.
상기 치장 벽목(110)의 전후 단면은 직각 단면 또는 예각으로 경사진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cross-sections of the
치장 벽목(통나무)을 예각으로 경사진 단면으로 형성할 경우(도 4 및 도 5 참조), 직각 단면보다 단면적이 증가하여 수분증발이 증가하게 되어 통나무의 외부균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들(111) 및 상기 수직각재 삽입 홈들(113)은 예각으로 경사진 단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된다.When the stucco wood (log) is formed in an inclined cross section at an acute angle (see Figs. 4 and 5), the cross-sectional area is increased than the right-angle cross section to increase moisture evaporation, thereby preventing the external crack of the log. The horizontal shell insert
또한, 통나무 긴 섬유 다발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절단되어 목재 갈라짐이 감소하며, 통나무가 경사각으로 황토체(140)에 위치하여 황토체 자체 강도를 증가시키고 단열효과를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log long fiber bundles are cut at different positions to reduce the wood split, the log is located on the
상기 수직 각재(130)는 상기 2개의 수평 각재(120)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바, 충진제 역할을 하는 황토체(140)가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111)과 상기 수직 각재 삽입 홈(113)에 삽입하여, 목조주택의 기밀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The
상기 황토체(140)는 황토, 숯, 볏짚, 톱밥, 단열재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수평 각재(120)가 상기 수평 각재 삽입 홈(1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평 각재(120)에는 못(N)이 삽입될 수도 있다.
A nail N may be inserted into the
한편,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를 보인 사시 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s 10 and 1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e of the ocher wall using the stucc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cher wall using the stucc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200)는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수평 각재 삽입 홈들(211)이 형성되는 다수의 치장 벽목(210); 상기 수평 각재 삽입 홈(211)에 끼워져 수평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 각재(220); 상기 수평 각재(220)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치장 벽목(210)과 상기 수평 각재를 감싸고 결합하는 황토체(240);를 포함한다. 상기 치장 벽목(210)은 직경이 상이한 통나무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10 to 12, the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200)는 상기 치장 벽목(210)의 전후 면에는 통나무 무늬가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목조주택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일자형태는 물론 "ㄱ"자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The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의 변형 예를 보인 것이다.13 and 14 show a modified example of the ocher wall using the stucc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의 수평 각재(220)를 이용하여 둥근 벽체(240)를 제조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3 and FIG. 14, a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황토벽체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9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loess wal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황토벽체 제조방법은 통나무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상기 통나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수평각재 삽입 홈들을 형성하고, 상기 통나무의 양 측면에 각각 수직 각재 삽입 홈을 형성하여 다수의 치장 벽목을 제조하는 단계(S 110);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에 수평 각재를 끼워서 수평으로 고정 배치하는 단계(S 120); 상기 수직각재 삽입 홈에 수직 각재를 끼우되, 상기 수평 각재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S 130); 및 황토, 숯, 볏짚, 톱밥, 단열재의 혼합물을 상기 수평 각재와 상기 수직 각재 사이에 충진하고 황토체를 양생하여 상기 치장 벽목과 상기 수평 각재와 상기 수직 각재를 감싸고 결합하는 단계(S 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9, in the ocher wal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two horizontal shell insert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og in the log lying horizontally, the log of the Forming a plurality of vertical timber insertion grooves on both sides to produce a plurality of stuccoes (S 110); Inserting a horizontal angler into the horizontal angler inserting groove and horizontally fixing the horizontal angler (S 120); Inserting a vertical angler into the vertical angler insertion groove, wherein the vertical angler is vertically fixed to the horizontal angler (S 130); And filling the mixture of loess, charcoal, rice straw, sawdust, and insu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and the vertical shells and curing the loess to wrap and couple the stucco, the horizontal and the vertical shells (S 140); It includes.
상기 통나무들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것을 사용하고, 상기 수평 각재 삽입 홈과 상기 수직 각재 삽입 홈의 깊이는 그 직경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한다.
The logs use different diameters, and the depths of the horizontal horn insert grooves and the vertical horn insert grooves ar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diameter size.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황토벽체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5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loess wal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황토벽체 제조방법은 통나무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상기 통나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수평 각재 삽입 홈들을 형성하여 다수의 치장 벽목을 제조하는 단계(S 210);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에 수평 각재를 끼워서 수평으로 고정 배치하는 단계(S 220); 및 황토, 숯, 볏짚, 톱밥, 단열재의 혼합물을 상기 수평 각재 사이에 충진하고 황토체를 양생하여 상기 치장 벽목과 상기 수평 각재를 감싸고 결합하는 단계(S 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5, in the ocher wal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ucco walls are formed by forming two horizontal shell inserting groov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og in a state in which the logs are laid horizontally. Manufacturing step (S 210); Inserting a horizontal angler into the horizontal angler insertion groove and horizontally fixing the horizontal angler (S 220); And filling the mixture of loess, charcoal, rice straw, sawdust, and insu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slabs and curing the loess to wrap and couple the stucco and the horizontal slabs (S 230).
상기 통나무들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것을 사용하고,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과 상기 수직 각재 삽입 홈의 깊이는 그 직경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한다.The logs use different diameters, and the depths of the horizontal shell insert grooves and the vertical shell insert grooves ar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diameter siz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굵기가 상이(직경이 상이)하거나 구부러진 통나무를 모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통나무의 외경은 상이하거나 구부러져 있지만 치장벽목 각재 홈의 내부규격은 일정하여 시공이 손쉬운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ecause it can use both different thickness (different diameter) or bent log, the outer diameter of the log is different or bent, but the internal specification of the stucco wood lumber groove Has a constant effect on the construction is easy.
또한, 본 발명은 치장 벽목의 전후 단면이 직각 단면 또는 예각으로 형성되어 직각 단면보다 단면적이 증가하여 수분증발이 증가하게 되어 통나무의 외부균열을 대폭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nd rear cross-section of the stucco wall is formed at right angles or acute angle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right angle cross-section to increase the water evapora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external crack of the log.
또한, 본 발명은 통나무 긴 섬유 다발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절단되어 목재 갈라짐을 감소하고, 통나무가 경사각으로 황토체에 위치하여 황토체 자체 강도를 증가시키고 단열효과를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logs long fiber bundles are cut at different locations to reduce the wood split, the log is located on the ocher body at an oblique ang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ocher body itself and increase the insulation effect.
110: 치장 벽목
111: 수평 각재 삽입 홈
113: 수직 각재 삽입 홈
120: 수평 각재
130: 수직 각재
140: 황토체
N: 못
210: 치장 벽목
220: 수평 각재
240: 황토체110: stucco
111: horizontal lumber insert groove
113: vertical shell insert groove
120: horizontal lumber
130: vertical lumber
140: ocher
N: nail
210: stucco
220: horizontal lumber
240: ocher
Claims (15)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111)에 끼워져 수평으로 고정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 각재(120);
상기 수직각재 삽입 홈(113)에 끼워져 상기 수평 각재(120)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각재(130); 및
상기 수평 각재(120)와 상기 수직 각재(130)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치장 벽목(110)과 상기 수평 각재(120)와 상기 수직 각재(130)를 감싸고 결합하는 황토체(140);를 포함하는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A plurality of stucco wall (110) having two horizontal angler inserting grooves (111)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top and bottom in a horizontally laid state, respectively, and vertical angler inserting grooves (113)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plurality of horizontal horns 120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horns insertion grooves 111 and fixedly arranged horizontally;
A plurality of vertical anglers 130 inserted into the vertical angler insertion grooves 113 and vertically fixed to the horizontal angler 120; And
Filled between the horizontal angle 120 and the vertical angle 130, the ocher body 140 is wrapped around the stucco wall 110, the horizontal angle 120 and the vertical angle 130 and combined; Clay wall using stucco.
상기 치장 벽목(110)은 직경이 상이한 다수의 통나무들이며,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111)과 상기 수직 각재 삽입 홈(113)의 깊이는 그 직경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The method of claim 3,
The stucco wall 110 is a plurality of logs having a different diameter, the depth of the horizontal lumber insert groove 111 and the vertical lumber insert groove 11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ucco wall is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iameter size Ocher wall using
상기 치장 벽목(110)의 전후 단면은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The method of claim 3,
The front and rear cross-section of the stucco 110 is an ocher wall using stucco wa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clined at an acute angle.
상기 수직 각재(130)는 상기 2개의 수평 각재(120)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The method of claim 3,
The vertical keratin 130 is the ocher wall using a stucco,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disposed between the two horizontal angular 120.
상기 황토체(140)는 황토, 숯, 볏짚, 톱밥, 단열재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The method of claim 3,
The ocher 140 is a loess wall using a stucco, including a mixture of ocher, charcoal, rice straw, sawdust, insulation.
상기 수평 각재(120)가 상기 수평 각재 삽입 홈(1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평 각재(120)에는 못(N)이 삽입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The method of claim 3,
The ocher wall using stucco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nail (N)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angle member 120 so that the horizontal angle member 120 is not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angle member insertion groove (111).
상기 수평각재 삽입 홈에 수평 각재를 끼워서 수평으로 고정 배치하는 단계(S 120);
상기 수직각재 삽입 홈에 수직 각재를 끼우되, 상기 수평 각재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S 130); 및
황토, 숯, 볏짚, 톱밥, 단열재의 혼합물을 상기 수평 각재와 상기 수직 각재 사이에 충진하고 황토체를 양생하여 상기 치장 벽목과 상기 수평 각재와 상기 수직 각재를 감싸고 결합하는 단계(S 140);를 포함하는 황토벽체 제조방법.A plurality of stucco wall grooves are formed by forming two horizontal lumber insert groov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og, respectively, and forming vertical lumber insert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log. Step S 110;
Inserting a horizontal angler into the horizontal angler inserting groove and horizontally fixing the horizontal angler (S 120);
Inserting a vertical angler into the vertical angler insertion groove, wherein the vertical angler is vertically fixed to the horizontal angler (S 130); And
Filling the mixture of loess, charcoal, rice straw, sawdust, insu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and the vertical shell and curing the ocher body to wrap and combine the stucco and the horizontal and the vertical shell (S 140); Ocher wall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상기 통나무들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것을 사용하고, 상기 수평 각재 삽입 홈과 상기 수직 각재 삽입 홈의 깊이는 그 직경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벽체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2,
The logs use different diameters, and the depths of the horizontal lumber insert grooves and the vertical lumber insert grooves ar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diamete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6362A KR101312538B1 (en) | 2012-03-15 | 2012-03-15 | Red clay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6362A KR101312538B1 (en) | 2012-03-15 | 2012-03-15 | Red clay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4669A KR20130104669A (en) | 2013-09-25 |
KR101312538B1 true KR101312538B1 (en) | 2013-09-30 |
Family
ID=4945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63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12538B1 (en) | 2012-03-15 | 2012-03-15 | Red clay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253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82355A1 (en) * | 2021-02-26 | 2022-09-01 | Ross John P | Log wall construc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8898A (en) * | 1996-08-23 | 1998-03-03 | Koichi Kawasaki | Decorative plate material with logs |
KR200186199Y1 (en) * | 2000-01-10 | 2000-06-15 | 강원임산개발주식회사 | A log cabin |
KR200296955Y1 (en) * | 2002-08-23 | 2002-12-05 | 이기열 | A prefabricated timber wall |
KR20060028301A (en) * | 2004-09-24 | 2006-03-29 | 이준의 | Ocher / wooden houses and their construction methods |
-
2012
- 2012-03-15 KR KR1020120026362A patent/KR10131253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8898A (en) * | 1996-08-23 | 1998-03-03 | Koichi Kawasaki | Decorative plate material with logs |
KR200186199Y1 (en) * | 2000-01-10 | 2000-06-15 | 강원임산개발주식회사 | A log cabin |
KR200296955Y1 (en) * | 2002-08-23 | 2002-12-05 | 이기열 | A prefabricated timber wall |
KR20060028301A (en) * | 2004-09-24 | 2006-03-29 | 이준의 | Ocher / wooden houses and their construction method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82355A1 (en) * | 2021-02-26 | 2022-09-01 | Ross John P | Log wall constru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4669A (en) | 2013-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0903B1 (en) | Wall of log prefabricated wooden house | |
EA037767B1 (en) | Structural panel and method for building a structure | |
JP5759486B2 (en) | Energy efficient and weight efficient building block, its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process | |
CN201180325Y (en) | A two-way skeleton structure wall | |
EP1941109B1 (en) | Building block | |
KR101312538B1 (en) | Red clay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911718B1 (en) | Wall structure of wooden house | |
KR101235249B1 (en) | Assembly structure of log prefabricated house | |
KR101122815B1 (en) | Wall of log prefabricated houses and method for preventing contraction deformation of the houses | |
KR101353841B1 (en) | Hous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5389392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firewood and firewood | |
KR102052824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Housing materials utilizing sidesplits generated when processing angle material from Log and Housing materials being used by the same method | |
KR100677819B1 (en) | Wall structure of wooden house | |
CN2791166Y (en) | Assembled house of wood imitation hollow heat-insulation material | |
RU108777U1 (en) | COMBINED GLUED BEAM | |
RU124275U1 (en) | WOODEN BUILDING BLOCK KUROCHKINA | |
RU166518U1 (en) | PROFILED WARMED BAR WITH HIGHER STRENGTH | |
KR100630845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log cabin | |
RU141751U1 (en) | LOG CUT | |
RU73894U1 (en) | WARMED BAR | |
RU139753U1 (en) | CELL BAR | |
RU222031U1 (en) | GLUED BLOCK FROM WOOD WASTE (WOODEN BRICK) | |
RU49053U1 (en) | WARMED WOODEN BAR | |
KR100694891B1 (en) | Wall construction method of ear house | |
JP2004052225A (en) | Brick wall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