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509B1 -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509B1
KR101312509B1 KR1020130022152A KR20130022152A KR101312509B1 KR 101312509 B1 KR101312509 B1 KR 101312509B1 KR 1020130022152 A KR1020130022152 A KR 1020130022152A KR 20130022152 A KR20130022152 A KR 20130022152A KR 101312509 B1 KR101312509 B1 KR 101312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xle
axle operation
sensor
opera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규
허성범
김용근
윤성준
김성중
심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산전
김성중
주식회사 더영비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산전, 김성중, 주식회사 더영비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산전
Priority to KR1020130022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during motion
    • G01G19/035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during motion us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005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과적 차량의 검출을 위한 축중 계측장치와는 별도로 보조적으로 사용되면서, 차축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인지를 신속하게 검출하여 경보함으로써 부정 계측 차량을 선별할 수 있게 한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차량의 주행중 신속하게 차축이 조작되었는 지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축중기 계측장비와 연계하여 과적차량이 계측 오류를 일으키게 하는 위반 차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단속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SENSING DEVICE OF FAKE AXLES OF OVERLOADED VEHICL}
본 발명은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과적 차량의 검출을 위한 축중 계측장치와는 별도로 보조적으로 사용되면서, 차축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인지를 신속하게 검출하여 경보함으로써 부정 계측 차량을 선별할 수 있게 한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이 과적을 하게 되면 상기 도로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대되어 도로의 균열이 촉진되고 소성변형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포장수명이 단축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교통사고 발생위험이 증대되고, 상기와 같은 파손의 보수를 위한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특히, 차량 중에 화물차량의 과적은 도로 파손의 주된 원인으로 지적되어 오고 있고, 이러한 화물차량의 과적을 단속하기 위하여, 건설교통부령으로 규정한 단속요령 제4조 제1호의 단속기준은 「차량의 중량이 축중 10톤 또는 총 중량 40톤을 초과하는 차량이나, 다만, 계측기 및 측정 오류 등을 감안하여 축중 및 총 중량이 위 기준의 1할(10%)이내 초과된 경우에는 이를 허락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과적 차량 통행이 도로포장에 미치는 영향은, 축중이 10t인 경우, 승용차 7만대 통행과 같은 도로파손이 발생하고, 축중이 11t인 경우, 승용차 11만대 통행과 같은 도로파손이 발생하며, 축중이 15t인 경우는 무려 승용차 39만대 통행과 같은 도로파손이 발생한다고 한다.
또한, 도로교통법 제39조에 의하여 「모든 차의 운전자는 승차인원적재중량 및 적재용량에 관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운행상의 안전기준을 넘어서 승차시키거나 적재한 상태로 운전하여서는 아니된다.(다만,출발지를 관할하는 경찰서장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고 규정되어 있어, 최대 적재중량을 초과하는 차량에 대해서도 상기 도로교통법에 의해 단속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최대적재중량을 초과하는 차량은 과적 단속기준에는 해당되지 않지만, 도로의 파손뿐만 아니라, 도로에서 일어나는 교통상의 모든 위험과 장해를 방지하고 제거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하기 위해 단속되고 있다. 따라서 최대적재중량을 초과하는 차량도 과적차량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적차량을 식별하는 장치로는, 차량을 정지시켜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거나, 이동중일 때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장치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중 정지시켜 측정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과적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차량을 인도하야 하므로 이에 따른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고, 특히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을 유도하여 정지시키는 경우, 교통사고와 같은 안전사고의 문제와 과적여부를 식별하는데 직간접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에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지고, 이에 대한 다양한 장치가 현재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도로의 노면에 중량감지장치를 설치하여 그 위를 통행하는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여 차량의 과적여부를 판단하는 장치가 사용되었다. 이때 상기 차량이 과적차량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번호판 인식 카메라로 촬영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과적 단속을 시행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과적단속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총 중량이 20t 이상의 화물운송 차량은 보통 5개 이상의 차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차축 중 하나 이상은 운전자가 랜딩기어를 조작함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띄울 수 있다.
즉, 5개 차축 중 랜딩기어로 조작할 수 있는 차축이 제3차축이라면, 제2차축의 축중 측정시에는 제3차축을 랜딩기어로 내려 제3차축의 바퀴가 지면을 가압하게 하여 제2차축의 축중을 감소시킨다. 또는 제3차축의 축중 측정시에는 랜딩기어로 제3차축을 들어올려 제3차축의 축중을 감소시킨다. 또한 일부 운전자는 조작에 의해 띄울 수 없는 차축에 대해서도 운전기술을 통하여 해당 축중이 중량감지장치에 보다 적은 중량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운전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과적단속 장치에서는 이러한 운전자의 부정계측에 대해서는 전혀 감지하지 못하여 과적의 실효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과적 차량의 검출을 위한 축중 계측장치와는 별도로 보조적으로 사용되면서, 차축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인지를 신속하게 검출하여 경보함으로써 부정 계측 차량을 선별할 수 있게 한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구역으로의 차량 진입을 감지하고, 차축을 카운트하고, 차륜 사이즈를 검출하기 위한 진입센서(2)와; 검출 구역으로부터의 차량 진출을 감지하는 진출센서(4)와; 상기 검출 구역내 양측에 설치되어 해당 구역을 통과하는 차륜의 접촉면적값을 검출하는 차축조작 검출센서(6)와;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로부터 인가받은 검출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8)와;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로부터 인가받은 접촉면적값의 변화량이 기준값보다 큰지를 검출하여 차축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차축조작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접촉면적값의 변화량에 대한 기준값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원격의 관제서버에 대해 통신하는 통신모듈(2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차량 진출입 상태 및 차축 조작여부, 차량번호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16)와; 상기 표시부(16)를 구동하는 표시구동부(18)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진입차량의 차축조작으로의 판단시, 구동되어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부저(12)와; 상기 부저(12)를 구동하는 부저구동부(14)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는 검출구역의 일측에 배치되고 다수의 발광소자가 횡방향으로 설치된 발광부(32)와; 검출구역의 타측에 배치되고 다수의 수광소자가 횡방향으로 설치된 수광부(34)로 이루어져 차륜의 접촉면 길이를 검출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는 차륜 순서 및 간격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는 적어도 6미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입센서(2)와 진출센서(4)의 간격은 적어도 6미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는 적어도 지면으로부터 5센치미터 이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22)는 검출결과 차축조작으로 판단되었으나, 진입센서(2)가 감지한 차축이 2개이하인 경우는 차축조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22)는 축중 계측장치와 연계하여 중량 30톤 이하의 차량은 차축조작 판단에서 제외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준값은 상기 진입센서(2)가 검출한 첫 번째 차륜의 폭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는 차량의 주행중 신속하게 차축이 조작되었는 지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축중기 계측장비와 연계하여 과적차량이 계측 오류를 일으키게 하는 위반 차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단속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 포함된 센서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 포함된 차축조작 검출센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 포함된 차축조작 검출센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 포함된 차축조작 검출센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는 과적 차량의 검출을 위한 축중 계측장치와는 별도로 보조적으로 사용되면서, 차축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인지를 신속하게 검출하여 경보함으로써 부정 계측 차량을 선별할 수 있게 한 장치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는 기존의 축중기 계측장치에 부가되어 계측 구역을 통과하는 차량에 대해 차축조작이 있는 지를 차량 이동중에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게 한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는 검출 구역으로의 차량 진입을 감지하고, 차축을 카운트하고, 차륜 사이즈를 검출하기 위한 진입센서(2)와; 검출 구역으로부터의 차량 진출을 감지하는 진출센서(4)와; 상기 검출 구역내 양측에 설치되어 해당 구역을 통과하는 차륜의 접촉면적값을 검출하는 차축조작 검출센서(6)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는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로부터 인가받은 검출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8)와;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로부터 인가받은 접촉면적값의 변화량이 기준값보다 큰지를 검출하여 차축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2)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는 차축조작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접촉면적값의 변화량에 대한 기준값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0)가 더 포함된 바, 상기 기준값은 상기 진입센서(2)가 검출한 첫 번째 차륜의 폭길이이다.
따라서, 검출 구역으로 차량이 진입하면 해당 차량의 첫 번째 차륜의 폭길이를 진입센서(2)를 통해 검출하여 데이터저장부(10)에 기준값으로 저장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검출 구역으로 진입하는 차륜의 지면 접촉면적(폭길이임)를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가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22)는 검출된 두 번째 차륜부터 최종 차륜(통상, 5개이며 10개까지 검출 가능)까지의 차륜 폭길이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차축을 조작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는 원격의 관제서버에 대해 통신하는 통신모듈(20)이 더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는 차축조작 검출정보를 원격의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고, 원격의 서버와 연계하여 추가적인 장치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는 차량 진출입 상태 및 차축 조작여부, 차량번호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16)와; 상기 표시부(16)를 구동하는 표시구동부(18)가 더 포함된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는 진입차량의 차축조작으로의 판단시, 구동되어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부저(12)와; 상기 부저(12)를 구동하는 부저구동부(14)가 더 포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 포함된 센서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 포함된 차축조작 검출센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 포함된 차축조작 검출센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 포함된 차축조작 검출센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 포함된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는 검출구역의 일측에 배치되고 다수의 발광소자가 횡방향으로 설치된 발광부(32)와; 검출구역의 타측에 배치되고 다수의 수광소자가 횡방향으로 설치된 수광부(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는 차륜 순서 및 간격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인 바,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는 적어도 6미터 이상이고 상기 진입센서(2)와 진출센서(4)의 간격은 적어도 6미터 이상이다.
즉, 상기 진입센서(2)와 진출센서(4)가 설치된 구역은 차축조작 검출구역으로서, 그 차축조작 검출구역내 모든 범위를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가 커버할 수 있게 설치된다.
또한, 차륜(3) 폭의 변화량을 더 잘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는 적어도 지면으로부터 5센치미터 이내에 설치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2)는 검출결과 차축조작으로 판단되게 구성되었으나, 진입센서(2)가 감지한 차축이 2개이하인 경우는 차축을 들어올리는 차축조작을 실행할 수 없으므로 차축조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게 설정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2)는 축중 계측장치와 연계하여 중량 30톤 이하의 차량은 차축조작 판단에서 제외하게 설정되어져 있다. 즉, 중량 30톤 이하의 차량은 단속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차축조작 판단에서 제외되도록 상기 제어부(22)가 공지의 축중 계측장치(미도시)와 연동된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는 그 내측벽에 절개부가 형성된 하우징(30)이 각각 상기 검출구역의 양측에 설치되어져 있으며, 어느 일측 하우징(30)에 발광부(32)와, 타측의 하우징(30)에는 수광부(34)가 인입되어 설치되게 복수의 하우징(30)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에 포함된 진입센서(2)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차량(1)이 진입하는 지를 판단한다.
차량(1)이 진입하여 진입센서(2)의 감지신호가 데이터변환부 (8)를 통하여 제어부(22)로 인가되면 제어부(22)는 해당 차량의 차축조작 검출이 실시되는 지를 인지하고, 상기 진입센서(2)로부터 차륜축 카운트 신호를 수신한다.
동시에, 상기 차륜조작검출센서(6)는 첫 번째 차륜의 폭길이를 기준값으로 데이터 저장부(10)에 등록하게 인가하고, 두 번째부터 최종 차륜까지 폭길이를 측정하여 제어부(22)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2)는 기준값과 두 번째부터 최종 차륜까지의 폭길이 변화량 검출값을 비교한다.
즉, 각 차륜의 폭길이 변화량 검출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어느 한 차륜의 차축을 들어올리는 차축조작으로 인해 차륜의 접지면적에 이상 차이가 발생된 것으로 제어부(22)가 판단한다.
차축조작으로 판단된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부저구동부(14)와 표시구동부(18)에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부저(12)가 구동되게 하고, 표시부(16)에 해당 차량의 촬상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동시에, 상기 제어부(22)는 해당 차량번호 등 차축조작 위반차량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저장부(10)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진입센서, 4:진출센서,
6:차축조작 검출센서, 8:데이터 변환부,
10:데이터저장부, 12:부저,
16:표시부, 20:통신모듈,
22:제어부.

Claims (13)

  1. 검출 구역으로의 차량 진입을 감지하고, 차축을 카운트하고, 차륜 사이즈를 검출하기 위한 진입센서(2)와;
    검출 구역으로부터의 차량 진출을 감지하는 진출센서(4)와;
    상기 검출 구역내 양측에 설치되어 해당 구역을 통과하는 차륜의 접촉면적값을 검출하는 차축조작 검출센서(6)와;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로부터 인가받은 검출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8)와;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로부터 인가받은 접촉면적값의 변화량이 기준값보다 큰지를 검출하여 차축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차축조작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접촉면적값의 변화량에 대한 기준값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원격의 관제서버에 대해 통신하는 통신모듈(2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차량 진출입 상태 및 차축 조작여부, 차량번호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16)와;
    상기 표시부(16)를 구동하는 표시구동부(18)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진입차량의 차축조작으로의 판단시, 구동되어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부저(12)와;
    상기 부저(12)를 구동하는 부저구동부(14)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는 검출구역의 일측에 배치되고 다수의 발광소자가 횡방향으로 설치된 발광부(32)와;
    검출구역의 타측에 배치되고 다수의 수광소자가 횡방향으로 설치된 수광부(34)로 이루어져 차륜의 접촉면 길이를 검출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는 차륜 순서 및 간격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는 적어도 6미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센서(2)와 진출센서(4)의 간격은 적어도 6미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조작 검출센서(6)는 적어도 지면으로부터 5센치미터 이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2)는 검출결과 차축조작으로 판단되었으나, 진입센서(2)가 감지한 차축이 2개이하인 경우는 차축조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12.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2)는 축중 계측장치와 연계하여 중량 30톤 이하의 차량은 차축조작 판단에서 제외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진입센서(2)가 검출한 첫 번째 차륜의 폭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KR1020130022152A 2013-02-28 2013-02-28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KR101312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152A KR101312509B1 (ko) 2013-02-28 2013-02-28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152A KR101312509B1 (ko) 2013-02-28 2013-02-28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509B1 true KR101312509B1 (ko) 2013-10-01

Family

ID=4963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152A KR101312509B1 (ko) 2013-02-28 2013-02-28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5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322A (ko) * 2002-09-24 2004-03-31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축 조작에 의한 차량의 부정진입을 막기 위한 고정식 축중기
KR20080050337A (ko) * 2006-12-01 2008-06-05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과다 축중량 차량 검출 시스템
KR100860394B1 (ko) 2008-05-22 2008-09-26 김학선 고속, 저속겸용 축중기 및 차량정보, 교통량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322A (ko) * 2002-09-24 2004-03-31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축 조작에 의한 차량의 부정진입을 막기 위한 고정식 축중기
KR20080050337A (ko) * 2006-12-01 2008-06-05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과다 축중량 차량 검출 시스템
KR100860394B1 (ko) 2008-05-22 2008-09-26 김학선 고속, 저속겸용 축중기 및 차량정보, 교통량검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0193B2 (ja) 過積載車両の検出システムおよび検出方法
JP4742742B2 (ja) 軸重計測システムおよび軸重計測方法
CN109903562B (zh) 一种化学危险品运输配送系统
KR101816566B1 (ko) 차량센서를 활용한 교량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022263A1 (ja) 車両管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管理方法
CN109855711A (zh) 一种车辆超载超限动态称重系统
JP3721874B2 (ja) 軸重計測装置
KR20160069687A (ko) 차량 진입제한 장치
CN111696358A (zh) 一种高速公路收费站的车辆超载检测处理系统
KR20100138022A (ko) 과중량 차량 적발 및 단속 시스템
JP6418100B2 (ja) 車載器、通信装置および車両管理システム
KR100977977B1 (ko) 차량의 과적 및 부정계측 검출방법
KR101312509B1 (ko) 과적차량의 차축 조작 검출장치
CN205899803U (zh) 一种用于治理超载超限的无人机车载系统
CN110009932B (zh) 一种公路连续长陡坡路段车辆失控处理系统及方法
US96254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defective brakes
JP2000194987A (ja) 大型車誘導・警告システム
CN209560712U (zh) 货运源头企业超限超载检测系统
KR20080000147U (ko) 건축 구조물에 차량 충돌 방지 장치
KR100830578B1 (ko) 화물차량의 불균형 적재검출 및 안전운전안내 시스템과그의 제어방법
KR101516579B1 (ko) 차량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162537B1 (ko) 차량의 축 조작 방지 시스템
KR101784783B1 (ko) 차축 감지장치 및 그 방법
JP5955715B2 (ja) 車両の軸数検知装置、車種判別装置及び車両の軸数検知方法
KR20120110973A (ko) 유료도로의 운행제한차량 단속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