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338B1 - Obstacle detector for motorized shutter and motorized shutter with obstacle detector - Google Patents

Obstacle detector for motorized shutter and motorized shutter with obstacle de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338B1
KR101312338B1 KR1020087028141A KR20087028141A KR101312338B1 KR 101312338 B1 KR101312338 B1 KR 101312338B1 KR 1020087028141 A KR1020087028141 A KR 1020087028141A KR 20087028141 A KR20087028141 A KR 20087028141A KR 101312338 B1 KR101312338 B1 KR 101312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member
shutter curtain
edge
shutter
light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23572A (en
Inventor
이치로 다카하시
히로미치 야마다
만프레트 자이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타
Publication of KR20090023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5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3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8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3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3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 E05F2015/434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with cameras or optical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3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 E05F2015/434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with cameras or optical sensors
    • E05F2015/435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with cameras or optical sensors by interruption of the beam
    • E05F2015/436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with cameras or optical sensors by interruption of the beam the beam being parallel to the wing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ga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6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E06B2009/6836Control using sensors sensing obstac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46Bottom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고감도 및 고신뢰성을 가지고, 화재시에 방화 셔터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의 어떠한 화염의 빠져나감도 허용하지 않는 전동식 셔터에 사하는 장해물 검지 장치를 제공하고, 그와 같은 장해물 검지 장치를 구비한 전동식 셔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해결 수단)

장해물 검지 장치는 셔터 커튼(12)의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이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의 거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 있는 가요성 가장자리 부재(24)를 구비한다. 가장자리 부재의 한쪽 단부 근방에는, 가장자리 부재에 형성된 중공 공간(30)을 통해 가장자리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레이저빔을 투사하는 레이저빔 사출기(34)가 위치되어 있다. 가장자리 부재의 다른쪽 단부 근방에는, 그 레이저빔을 받는 광센서(40)가 위치되어 있다. 가장자리 부재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찌부러졌을 때에는, 레이저빔이 가장자리 부재에 의해 차단되어, 광센서로 입사되는 것이 방해된다. 가장자리 부재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다.

Figure 112008079474520-pct00001

전동식 셔터, 장해물 검지 장치, 가장자리 부재, 셔터 커튼, 하단 가장자리, 광빔 투사 수단, 광센서, 베이스부, 관형상부, 날개형상부

(Problem) Provides an obstacle detecting device for an electric shutter having high sensitivity and high reliability and does not allow any flame to escape from one side of the fire shutter in the event of a fire, and is provided with such an obstacle detecting device. It is to provide an electric shutter.

(Solution)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has a flexible edge member 24 attach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and extending along almost the entire length of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In the vicinity of one end portion of the edge member, a laser beam injection machine 34 for projecting a laser 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member is located through the hollow space 30 formed in the edge member. In the vicinity of the other end of the edge member, an optical sensor 40 that receives the laser beam is located. When the edge member is deformed and crushed by an external force, the laser beam is blocked by the edge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incident to the optical sensor. The edge member is formed of a flame retardant elastomer.

Figure 112008079474520-pct00001

Electric shutter, obstacle detection device, edge member, shutter curtain, bottom edge, light beam projection means, light sensor, base part, tubular part, wing part

Description

전동식 셔터의 장해물 검지 장치 및 장해물 검지 장치를 구비한 전동식 셔터{OBSTACLE DETECTOR FOR MOTORIZED SHUTTER AND MOTORIZED SHUTTER WITH OBSTACLE DETECTOR}OBSTACLE DETECTOR FOR MOTORIZED SHUTTER AND MOTORIZED SHUTTER WITH OBSTACLE DETECTOR}

본 발명은 금속제 셔터 커튼 및 이 셔터 커튼을 승강시키는 전동식 승강 기구를 구비한 전동식 셔터에 사용하는 장해물 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장해물 검지 장치를 구비한 전동식 셔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stacle detecting device for use in an electric shutter provided with a metal shutter curtain and an electric lifting mechanism for elevating the shutter curtain.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electric shutter having such an obstacle detecting device.

금속제 셔터 커튼 및 이 셔터 커튼을 승강시키는 전동식 승강 기구를 구비한 전동식 셔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와 같은 셔터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전동식 권상 셔터 등이 있다. 전동식 권상 셔터는 건물의 출입구, 시설의 게이트용 셔터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전동식 권상 셔터는 또한 방화 셔터로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많은 방화 셔터는 화재 센서 및 자동 동작을 제공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구비한 전동식 셔터로 이루어져 있다. 화재시에, 화재 센서가 고온 및/또는 연기를 검지하면, 전동식 셔터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셔터 커튼을 폐색 위치로 강하한다. BACKGROUND ART Electric shutters equipped with metal shutter curtains and electric lifting mechanisms for lifting the shutter curtains are widely used. As a typical example of such a shutter, there exists an electric hoisting shutter etc., for example. Electric hoist shutters are used as entrances to buildings, gate shutters for facilities, and the like. Electric hoist shutters are also widely used as fire shutters. Many recent fire shutters consist of a motorized shutter with a fire sensor and a controller to provide automatic operation. In the event of a fire, when the fire sensor detects high temperature and / or smoke, the electric shutter automatically operates to lower the shutter curtain to the closed position.

일반적으로 금속제 셔터 커튼을 가진 전동식 셔터는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장해물 검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은, 셔터 커튼이 권해되어 강하될 때,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와 플로어 사이에 끼일 수 있는 특히 인체와 같은 임의의 장해물의 검지를 가능하게 해준다. 그러한 장해물 검지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셔터의 하단 가장자리가 장해물과 접촉하게 그러한 장해물 검지 장치는 특히 자동 작동식 방화 셔터에 필요하다. 전동식 셔터에 사용하는 장해물 검지 장치의 예가 일본 특개평10-238261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2000-54765호에 개시되어 있다. In general, the electric shutter having a metal shutter curtain preferably has an obstacle detecting device provided at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This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detect any obstacle, especially the human body, which can be caught between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the floor when the shutter curtain is recommended and lowered. By using such an obstacle detection device, such an obstacle detection device is particularly necessary for an automatically operated fire shutter so that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is in contact with the obstacle. Examples of obstacle detection devices for use in electric shutters ar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10-238261 and 2000-54765.

특허공보 1: 일본 특개평10-238261호Patent publication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38261

특허공보 2: 일본 특허공개2000-54765호Patent Publication 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0-54765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안전상의 관점에서, 자동 작동식의 방화 셔터의 셔터 커튼의 이동 속도는 특정 속도 이하로 억제되어야 한다. 하지만, 자동 작동식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통상의 방화 셔터는 안전상의 한계 속도보다 너무 낮은 이동 속도로 작동하는 셔터 커튼을 가지고 있다.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자동 작동식 방화 셔터의 작동을 고속화하기 위해서는, 고감도 및 고신뢰성을 가지는 장해물 검지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방화 셔터에 사용하기 위한 장해물 검지 장치는 화재시 장해물 검지 장치가 화염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경우에 일어나게 되는 화염의 빠져나감을 허용해서는 안된다. 종래의 전동식 방화 셔터용 장해물 검출 장치로는 이들 요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웠다. From the safety point of view, the moving speed of the shutter curtain of the self-acting fire shutter should be kept below a certain speed. However, typical conventional fire shutters configured to be self-acting have shutter curtains that operate at a travel speed that is too lower than the safety limit speed. In order to speed up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actuation fire shutter while ensuring stability, an obstacle detecting device having high sensitivity and high reliability is required. At the same time, the obstruction detection device for use in the fire shutter should not allow the escape of the flame which occurs when the obstruction detection device in the fire can be damaged by the flame. It has been difficult to meet these requirements with conventional obstacle detecting devices for electric fire shutters.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고감도 및 고신뢰성을 가지고, 전동식 방화 셔터에 사용되는 경우에, 방화 셔터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의 어떠한 화염의 빠져나감도 허용하지 않는 전동식 셔터에 사용하는 장해물 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In view of these circumstances, when used in an electric fire shutter having high sensitivity and high reliability, an obstacle detecting device for use in an electric shutter that does not allow escape of any flame from one side of the fire shutter to the other is provid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그와 같은 장해물 검지 장치를 구비한 전동식 셔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이다. Moreover, it is another object of this invention to provide the electric shutter provided with such an obstacle detection apparatus.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라, 금속제 셔터 커튼, 및 상기 셔터 커튼을 승강시키는 전동식 승강 기구를 구비한 전동식 셔터에 사용하는 장해물 검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의 거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 있는 가요성 가장자리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그것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중공 공간을 내부에 구획형성하고 있다.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한쪽 단부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상기 중공 공간을 통하여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광빔을 투사하는 광빔 투사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다른쪽 단부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상기 중공 공간을 통하여 상기 광빔 투사 수단으로부터의 광빔을 받는 광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장자리 부재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찌부러졌을 때에, 상기 광빔 투사 수단으로부터 투사되는 광빔이 찌부러진 상기 가장자리 부재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광센서로 입사되는 것이 방해된다. 또한,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화재시에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에, 연소하지 않고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고착되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bstacle detecting device for use in an electric shutter having a metal shutter curtain and an electric lifting mechanism for elevating the shutter curtain.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has a flexible edge member attach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extending along almost the entire length of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The edge member defines a hollow space extending therein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is provided with light beam projection means positioned near one end of the edge member and projecting a light 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member through the hollow space of the edge member.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has an optical sensor positioned near the other end of the edge member and receiving a light beam from the light beam projection means through the hollow space of the edge member. When the edge member is deformed and crushed by an external force, the light beam projected from the light beam projection means is blocked by the crushed edge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incident to the optical sensor. The edge member is formed of a flame retardant elastomer that is fixed to the lower edge of the shutter curtain without burning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in a fire.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 금속제 셔터 커튼, 상기 셔터 커튼을 승강시키는 전동식 승강 기구, 상기 전동식 승강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장비되는 장해물 검지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전동식 셔터가 제공된다.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의 거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 있는 가요성 가장자리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그것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중공 공간을 내부에 구획형성하고 있다.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한쪽 단부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상기 중공 공간을 통하여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광빔을 투사하는 광빔 투사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다른쪽 단부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상기 중공 공간을 통하여 상기 광빔 투사 수단으로부터의 광빔을 받는 광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장자리 부재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찌부러졌을 때에, 상기 광빔 투사 수단으로부터 투사되는 광빔이 찌부러진 상기 가장자리 부재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광센서로 입사되는 것이 방해된다.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화재시에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에, 연소하지 않고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고착되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i) 상기 셔터 커튼의 강하 중에 상기 광센서로 투사되어 입사하고 있던 광빔이 차단되었을 때에,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셔터 커튼의 강하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셔터 커튼의 이동 방향을 하향에서 상향으로 반전시키도록 상기 전동식 승강 기구를 제어하고, ii) 그 후에 광빔이 다시 상기 광센서로 입사할 때에,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셔터 커튼의 강하를 시작하도록 상기 전동식 승강 기구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al shutter curtain, an electric lifting mechanism for elevating the shutter curtai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lifting mechanism, and an obstacle detecting device equipped at a lower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 electric shutter is provided.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has a flexible edge member attach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extending along almost the entire length of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The edge member defines a hollow space extending therein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is provided with light beam projection means positioned near one end of the edge member and projecting a light 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member through the hollow space of the edge member.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has an optical sensor positioned near the other end of the edge member and receiving a light beam from the light beam projection means through the hollow space of the edge member. When the edge member is deformed and crushed by an external force, the light beam projected from the light beam projection means is blocked by the crushed edge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incident to the optical sensor. The edge member is formed of a flame retardant elastomer that is fix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without burning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in a fire.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i) stopping the drop of the shutter curtain or moving the shutter curtain downward when the light beam projected by the optical sensor while the shutter curtain falls is blocked. The motorized elevating mechanism is controlled to invert upward, and ii) thereafter is programmed to control the motorized elevating mechanism such that when the light beam enters the optical sensor again, the controller starts to descend the shutter curtain.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장해물 검지 장치는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가요성의 가장자리 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 가장자리 부재를 통과하는 광 빔이 차단될 때, 이 가요성 가장자리 부재의 변형이 검출될 수 있기 때문에, 장해물 검출 장치는 고감도 및 고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화재시에 고온에 노출될 때 연소하지 않고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 상에 고착되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폐색된(강하된)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와 플로어 표면 양쪽에 고착되어,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와 플로어 표면 사이의 간극을 밀봉시키고, 그에 의해, 셔터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의 어떠한 화염의 빠져나감도 허용하지 않는다.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exible edge member attach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When the light beam passing through the edge member is blocked,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edge member can be detected, so that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can have high sensitivity and high reliability. In addition, since the edge member is made of a flame retardant elastomer that does not burn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in a fire and adheres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the edge member is formed with the bottom edge of the closed (dropped) shutter curtain. Adheres to both floor surfaces, sealing the gap between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the floor surface, thereby not allowing any flame to escape from one side of the shutter to the other.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장해물 검지 장치를 구비한 전동식 권상 셔터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전동식 권상 셔터의 측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C-C선에 따른 전동식 권상 셔터의 단면 평면도이다. 1A is a front view of an electric hoist shutter provided with an obstacle detec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side view of an electric hoist shutter, and FIG. 1C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electric hoist shutter taken along line CC of FIG. 1A. to be.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와 그것에 부착된 가장자리 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1A와 유사한 단면도로서, 셔터 커튼이 최하단 위치로 완전 강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shown in FIG. 1A and the edge member attached thereto,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1A showing the shutter curtain fully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도 3은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의 제 1 단부의 확대 정면도이다. 3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first end of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도 4는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의 제 2 단부의 확대 정면도이다. 4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second end of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도 5는 본 발명의 변경예에 따른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와 그것에 부착된 가장자리 부재의 단면도로서, 셔터 커튼이 최하단 위치로 완전 강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the edge member attached thereto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hutter curtain is completely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도면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drawing)

10 전동식 권상 셔터10 electric hoist shutter

12 셔터 커튼12 shutter curtain

14 셔터 박스14 shutter box

21 컨트롤러21 controller

22 슬랫22 slats

24 가장자리 부재24 edge members

28 가장자리 부재의 관형상부28 Tubular part of the edge member

30 중공 공간30 hollow space

32 가장자리 부재의 날개형상부32 Wing members of the edge member

34 레이저빔 사출기(광빔 투사 수단)34 Laser Beam Injection Machine (Light Beam Projection Means)

40 광센서40 Light Sensor

52 슬랫52 slats

54 가장자리 부재54 Edge member

55 날개형상 부재55 wing member

56 중공 공간56 hollow space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A는 장해물 검지 장치를 구비한 전동식 권상 셔터(10)의 정면도, 도 1B는 전동식 권상 셔터(10)의 측면도, 도 1C는 도 1A의 C-C선을 따른 전동식 권상 셔터(10)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권상 셔터(10)는 셔터 커튼(12), 건물의 일부분에 고정하여 장착되는 셔터 박스(14), 및 건물의 일부분에 고정하여 장착되는 1쌍의 연직으로 뻗어 있는 지주(16)를 구비하고 있다. 지주(16)는 중공의 강제 기둥으로 이루어져 있다. 권상 셔터(10)는 또한 1쌍의 연직으로 뻗어있는 가이드 레일(18)을 구비하고 있고, 그들 가이드 레일(18)은 중공의 지주(16)의 내에 수용되어 고정 장착되어 있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an accompanying drawing below. 1A to 1C show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A is a front view of the electric hoist shutter 10 provided with an obstacle detecting device, and FIG. 1B is a side view of the electric hoist shutter 10, FIG. 1C.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electric hoist shutter 10 along the CC line of FIG. 1A. As shown in FIGS. 1A-1C, the electric hoist shutter 10 includes a shutter curtain 12, a shutter box 14 fixedly mounted to a part of a building, and a pair of fixedly mounted parts of a building. It is provided with the prop 16 extended perpendicularly. The strut 16 consists of a hollow steel column. The hoisting shutter 10 is also provided with a pair of guide rails 18 extending perpendicularly, and these guide rails 18 are accommodated in and fixed to the hollow support 16.

전동식 권상 셔터(10)는 또한 셔터 커튼(12)의 권취 및 권해를 행하여 이 셔터 커튼(12)을 승강시키는 전동식 승강 기구(권취 기구)(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동식 승강 기구(20)는 셔터 박스(14)에 수용되어 있다. 전동식 권상 셔터(10)는 또한 전동식 승강 기구(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컨트롤러(21)는 전동식 승강 기구(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와 전력 조절기의 조합체를 구비한 전자 회로(21a), 조작자가 이 전자 회 로(21a)에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게 해주는 입력 장치(21b), 및 예컨대 온도 센서 및/또는 스모크 센서 등의 화재 센서(21c)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 회로(21a), 입력 장치(21b), 및 화재 센서(21c)는 도 1B에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The electric hoist shutter 10 further includes an electric hoisting mechanism (winding mechanism) 20 which winds and unwinds the shutter curtain 12 to lift the shutter curtain 12. This electric lifting mechanism 20 is housed in the shutter box 14. The electric hoist shutter 10 also has a controller 2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lifting mechanism 20. The controller 21 has an electronic circuit 21a having a combination of a microcomputer and a power regulator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lifting mechanism 20, and an operator inputs various commands to the electronic circuit 21a. And a fire sensor 21c such as, for example, a temperature sensor and / or a smoke sensor. The electronic circuit 21a, the input device 21b, and the fire sensor 21c are shown only schematically in FIG. 1B.

셔터 커튼(12)은, 종래의 많은 권상 셔터의 셔터 커튼과 마찬가지로,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금속제 슬랫(22)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 복수의 금속제 슬랫(22)은 서로 상하로 배열되어 연결됨으로써 권취가능한 금속제 셔터 커튼을 형성하고 있다. 종래의 많은 권상 셔터의 셔터 커튼은 강제 슬랫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셔터 커튼(12)의 슬랫(22)은 일정 길이의 압출가공된 알루미늄 프로파일재 즉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길다란 재료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장해물 검지 장치는 알루미늄 슬랫으로 이루어진 셔터 커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실상, 본 발명은 강제 슬랫으로 이루어진 셔터 커튼을 가진 전동식 권상 셔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게다가, 권상 셔터에만 한정되지 않고 많은 다른 형태의 전동식 셔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shutter curtain 12 includes a plurality of metal slats 2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imilar to the shutter curtains of many conventional hoisting shutters, and the plurality of metal slats 22 are arranged to be connected up and down with each other. As a result, a rollable metal shutter curtain is formed. Although the shutter curtain of many conventional hoist shutters consists of steel slats, the slats 22 of the shutter curtain 12 shown in Figs. 1A to 1C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f extruded aluminum profile material, i. It is formed of an elongated material made of an alloy. However,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utter curtain made of aluminum slats. Indee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electric hoist shutters with shutter curtains made of forced slats, and in addition to many other types of electric shutters.

본 발명에 따른 장해물 검지 장치는 셔터 커튼(12)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셔터 커튼(12)의 하단 가장자리의 거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 있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제작된 가요성의 가장자리 부재(2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셔터 커튼(12)의 양 측부 가장자리는 중공의 지주(16)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자리 부재(24)는 셔터 커튼(12)의 양 측부 가장자리에 이르도록 연장될 필요는 없다. 가장자리 부재(24)는 적어도 지주(16)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는 범위의 셔터 커 튼(12)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으면 충분하다. 가장자리 부재(24)를 형성하고 있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는, 화재시에 가장자리 부재(24)가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에, 연소하지 않고 셔터 커튼(12) 하단 가장자리에 고착되는 특성의 재료이다. 적합한 난연성 엘라스토머로는 클로로프렌 고무와 실리콘 고무가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exible edge member 24 made of a flame retardant elastomer, which is attach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and extends along almost the entire length of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have. In addition, since both side edges of the shutter curtain 12 are housed in the hollow strut 16, the edge member 24 need not extend to reach both side edges of the shutter curtain 12. It is sufficient that the edge member 24 extends along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in a range that is exposed at least outside the strut 16. The flame-retardant elastomer forming the edge member 24 is a material having a characteristic of being fixed to the lower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without burning when the edge member 24 i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during a fire. Suitable flame retardant elastom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hloroprene rubber and silicone rubber.

도 2A 및 도 2B는 각각 가장 자리 부재(24)가 부착된 셔터 커튼(12) 하단 가장자리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며, 도 2B는 최하단 위치로 완전히 강하된 셔터 커튼(12)을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셔터 커튼(12) 하단 가장자리의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2A, 도 2B, 도 3 및 도 4의 각각의 도면에서는, 셔터 커튼(12)의 최하단 슬랫(22)의 일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셔터 커튼(12)의 최하단 슬랫(22)에 부착되어 있는 가장자리 부재(24)는 일정 길이의 압출가공된 엘라스토머 프로파일재 즉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 길다란 재료로 형성된다. 가장자리 부재(24)의 단면형상은 그것의 목적에 가장 유익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to which the edge member 24 is attached, respectively, and FIG. 2B shows the shutter curtain 12 completely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3 and 4 are enlarged front views of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respectively. In each of the figures of FIGS. 2A, 2B, 3 and 4, a portion of the bottom slat 22 of the shutter curtain 12 is shown. The edge member 24 attached to the bottom slat 22 of the shutter curtain 12 is formed of an extruded elastomeric profile material of a certain length, ie a long material made of flame retardant elastomer with a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dge member 24 will have the shape that is most beneficial for its purpose.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부재(24)는 셔터 커튼(12)의 최하단 슬랫(22)에 접촉하여 유지되는 베이스부(25), 및 이 베이스부(25)의 상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26)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25)의 상면과 걸어맞춤부(26)의 하면 사이에 대향하는 1쌍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가장자리 부재(24)의 1쌍의 홈은 안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슬랫의 1쌍의 에지를 수용하고 있어, 가장자리 부재(24)가 슬랫(22)에 고정된다.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edge member 24 is formed on the base portion 25 which is held in contact with the lowermost slat 22 of the shutter curtain 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25. The engaging part 26 is provided. A pair of opposing grooves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25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26. The pair of grooves of the edge member 24 accommodate the pair of edges of the slats protruding inward, and the edge member 24 is fixed to the slats 22.

가장자리 부재(24)는 또한 베이스부(25)의 하방에 형성된 관형상부(28)를 구비하고 있다. 관형상부(28)는 반원통형 단면을 가진 하부벽을 구비하고 있고, 가장자리 부재(24) 내에 가장자리 부재(24)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중공의 길다란 공간(30)을 구획형성하고 있다. The edge member 24 also has a tubular portion 28 formed below the base portion 25. The tubular portion 28 has a lower wall having a semi-cylindrical cross section and defines a hollow elongated space 3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member 24 in the edge member 24.

가장자리 부재(24)는 또한 관형상부(28)의 양측에 형성된 1쌍의 날개형상부(32)를 구비하고 있고, 이 1쌍의 날개형상부(32)는 베이스부(25)로부터 하방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관형상부(28)의 최하부보다 아래의 높이까지 이르도록 되어 있다. 날개형상부(32)는, 셔터 커튼(12)이 최하단 위치로 완전히 강하되었을 때에(도 2B 참조), 관형상부(28)를 덮어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화재시에 셔터 커튼(12)이 강하되었을 때에, 날개형상부(32)는 화재의 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관형상부(28)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여, 관형상부(28)의 하부벽이 아래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The edge member 24 also has a pair of wing portions 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ubular portion 28, and the pair of wing portions 32 extend downward from the base portion 25. It protrudes toward and reaches the height below the lowest part of the tubular part 28. As shown in FIG. The blade portion 32 covers and protects the tubular portion 28 when the shutter curtain 12 is completely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see Fig. 2B).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hutter curtain 12 is lowered at the time of fire, the wing portion 32 functions to protect the tubular portion 28 from damage caused by the heat of the fire, thereby lowering the wall of the tubular portion 28. This may have a very thin thickness as detailed below.

전동식 권상 셔터(10)는, 셔터 커튼의 상향 이동시에 최상단 위치에 도달했을 때와 셔터 커튼의 하향 이동시에 최하단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셔터 커튼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기구(도시 안됨)를 구비하고 있다. 이 리미트 기구는 컨트롤러(21)(도 1B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셔터 커튼(12)이 최상단 위치 및 최하단 위치에 도달했을 때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컨트롤러(21)에 제공한다. 이런 종류의 리미트 기구는 종래의 많은 전동식 권상 셔터에서 일반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셔터 커튼(12)이 최하단 위치에 있을 때에, 셔터 커튼(12)의 하단 가장자리에 대한 플로어 표면(FL)의 상대 위치가 도 2B,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고, 이 때, 플로어 표면(FL)과 가장자리 부재(24)의 관형상부(28)의 하부면 사이에는 작은 간극이 존재한다. The electric hoist shutter 10 has a limit mechanism (not shown)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shutter curtain when the uppermost position is reached when the shutter curtain moves upward and when the lowermost position is reached when the shutter curtain moves downward. have. This limit mechanism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1 (refer FIG. 1B), and provides an electric signal to the controller 21 which shows when the shutter curtain 12 reached the uppermost position and the lowermost position. This kind of limit mechanism is generally found in many conventional electric hoist shutters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here. When the shutter curtain 12 is in the lowest positio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loor surface FL with respect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is shown in Figs. 2B, 3 and 4, wherein the floor surface ( There is a small gap between FL)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28 of the edge member 24.

일반적으로, 셔터 커튼(12)이 최하단 위치로 완전히 강하되었을 때에, 셔터 커튼(12)의 하단 가장자리에 대한 플로어 표면(FL)의 상대 위치는, 플로어 표면(FL)이 가장자리 부재(24)의 관형상부(28)의 하부면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플로어 표면(FL)과 가장자리 부재(24)의 관형상부(28)의 하부면 사이에 작은 간극이 존재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셔터 커튼(12)이 최하단 위치에 있을 때에, 플로어 표면(FL)과 가장자리 부재(24)의 관형상부(28)의 하부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플로어 표면(FL)과 가장자리 부재(24)의 관형상부(28)의 하부면 사이에 비교적 큰 간극이 존재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단지 중요한 것은 날개형상부(32)의 하부 가장자리부가 플로어 표면(FL)에 접촉되어 관형상부(28)를 덮어 보호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In general, when the shutter curtain 12 is completely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loor surface FL with respect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is such that the floor surface FL is tubular of the edge member 24. It may be set to be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28.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hat a small gap exists between the floor surface FL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28 of the edge member 24. In other words, when the shutter curtain 12 is in the lowermost position, the floor surface FL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28 of the edge member 24 may be set to contact each other, and the floor surface FL and It may be set such that a relatively large gap exists between the lower surfaces of the tubular portion 28 of the edge member 24. It is only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lower edge of the wing 32 contacts the floor surface FL to cover and protect the tubular 28.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2B,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셔터 커튼(12)의 하부 가장자리에 대한 플로어 표면(FL)의 상대 위치가, 관형상부(28)가 플로어 표면(FL)에 절대 접촉하지 않아, 장기간에 걸쳐 셔터 커튼(12)이 최하단 위치에 유지된 후에도, 관형상부(28)의 반원통형의 하부벽에 어떠한 크립도 생기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Nevertheles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loor surface FL with respect to the lower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shown in Figs. 2B, 3 and 4 does not allow the tubular portion 28 to contact the floor surface FL. Thus, even after the shutter curtain 12 is held at the lowermost position for a long time, it is very advantageous because no creep is generated in the semi-cylindrical lower wall of the tubular portion 28.

도 3에 도시된 셔터 커튼(12) 하단 가장자리의 제 1 단부에는, 레이저빔 사 출기(34)로 이루어지는 광빔 투사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레이저빔 사출기(34)는 가장자리 부재(24)의 한쪽 단부 근방에 위치되어 브래킷(36)을 통해 셔터 커튼(12)의 최하단 슬랫(22)에 고정되어 있다. 레이저빔 사출기(34)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소형의 기기이며, 가장자리 부재(24)의 중공 공간(30)을 통해 가장자리 부재(24)의 길이방향으로 광빔(여기서는 레이저빔)(38)을 투사하도록 배향되어 있다. At the first end of the lower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shown in Fig. 3, a light beam projection means composed of a laser beam ejector 34 is provided. This laser beam injection machine 34 is located near one end of the edge member 24 and is fixed to the lowermost slat 22 of the shutter curtain 12 via the bracket 36. The laser beam injection machine 34 is a compact device having a laser diode, and projects a light beam (here laser beam) 3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member 24 through the hollow space 30 of the edge member 24. Is oriented so as to

도 4에 도시된 셔터 커튼(12) 하단 가장자리의 제 2 단부에는, 가장자리 부재(24)의 다른쪽 단부 근방에 위치되어 브래킷(42)을 통해 셔터 커튼(12)의 최하단 슬랫(22)에 고정되어 있는 광센서(40)가 구비되어 있다. 광센서(40)는 가장자리 부재(24)의 중공 공간(30)을 통해 레이저빔 사출기(34)로부터의 레이저빔(38)을 받도록 배향되어 있다. At the second end of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shown in FIG. 4, it is located near the other end of the edge member 24 and secured to the lowest slat 22 of the shutter curtain 12 via the bracket 42. An optical sensor 40 is provided. The optical sensor 40 is oriented to receive the laser beam 38 from the laser beam ejector 34 through the hollow space 30 of the edge member 24.

셔터 커튼(12)을 강하시키는 전동식 권상 셔터(10)의 동작 중에, 강하하는 셔터 커튼(12) 하단 가장자리와 플로어 표면(FL) 사이에 장해물 특히 인체가 끼일 수 있다. 이런 경우가 발생하면, 장해물로부터의 외력이 가장자리 부재(24)의 관형상부(28)의 하부벽에 부여되고, 이로 인해 장해물과 접촉하게 되는 가장자리 부재(24)의 부분의 변형과 찌부러짐이 야기된다. 관형상부(28)의 일부분이 찌부러지게 될 때에는 언제든지, 레이저빔 사출기(34)로부터 투사되고 있는 레이저빔(38)이 관형상부(28)의 찌부러진 부분에 의해 차단되어, 광센서(40)로 입사되는 것이 방해된다. Dur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hoisting shutter 10 which lowers the shutter curtain 12, an obstacle, in particular a human body, may be caught between the lower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and the floor surface FL. If this happens, an external force from the obstacle is imparted to the lower wall of the tubular portion 28 of the edge member 24, thereby causing deformation and crushing of the portion of the edge member 24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bstacle. do. Whenever a portion of the tubular portion 28 is crushed, the laser beam 38 projecting from the laser beam injection machine 34 is blocked by the crushed portion of the tubular portion 28, so as to the optical sensor 40. Incidents are disturbed.

레이저빔 사출기(34) 및 광센서(40)는 컨트롤러(21)(도 1B 참조)에 전기적으 로 접속되어 있다. 셔터 커튼(12)을 강하시키기 시작할 때, 컨트롤러(21)는 레이저빔 사출기(34)를 능동화하여 레이저빔(38)을 투사하기 시작함과 아울러, 광센서(40)의 출력을 감시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컨트롤러(21)는 다음과 같이 프로그램되어 있다. 셔터 커튼(12)의 강하 중에, 광센서(40)로 투사되어 입사하고 있던 레이저빔(38)이 차단되어, 광센서(40)의 출력이 소멸하면, 컨트롤러(21)는 전동식 승강 기구(20)를 제어하여 셔터 커튼(12)의 강하를 정지시킨다. 그 후, 레이저빔(38)이 다시 광센서(40)로 입사하게 되면, 컨터롤러(21)는 전동식 승강 기구(20)를 제어하여 셔터 커튼(12)의 강하를 재개시킨다. The laser beam injection machine 34 and the optical sensor 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1 (see FIG. 1B). When the shutter curtain 12 begins to descend, the controller 21 activates the laser beam ejector 34 to start projecting the laser beam 38 and at the same time starts monitoring the output of the light sensor 40. do. The controller 21 is programmed as follows. If the laser beam 38 projected by the optical sensor 40 is blocked while the shutter curtain 12 falls, and the output of the optical sensor 40 is extinguished, the controller 21 moves on the electric lifting mechanism 20. ), The descent of the shutter curtain 12 is stopped. After that, when the laser beam 38 enters the optical sensor 40 again, the controller 21 controls the electric lifting mechanism 20 to resume the drop of the shutter curtain 12.

다른 방법으로서, 컨트롤러(21)는 다음과 같이 프로그램될 수 있다. 셔터 커튼(12)의 강하 중에, 광센서(40)로 투사되어 입사하고 있던 레이저빔(38)이 차단되어, 광센서(40)의 출력이 소멸하면, 컨트롤러(21)는 전동식 승강 기구(20)를 제어하여 셔터 커튼(12)의 이동 방향을 역전시켜 하향에서 상향으로 한다. 그 후, 레이저빔(38)이 다시 광센서(40)로 입사하게 되면, 컨트롤러(21)는 전동식 승강 기구(20)를 제어하여 셔터 커튼(12)의 이동 방향을 다시 역전시켜 상향에서 하향으로 하여 셔터 커튼(12)의 강하를 재개한다.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21 can be programmed as follows. If the laser beam 38 projected by the optical sensor 40 is blocked while the shutter curtain 12 falls, and the output of the optical sensor 40 is extinguished, the controller 21 moves on the electric lifting mechanism 20. ) Is controlled to revers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hutter curtain 12 so as to be downward from upward. After that, when the laser beam 38 is incident again to the optical sensor 40, the controller 21 controls the electric lifting mechanism 20 to revers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hutter curtain 12 again so that it moves upwards and downwards. The descent of the shutter curtain 12 is resumed.

컨트롤러(21)는 또한 셔터 커튼(12)이 최하단 위치에 도달했을 때를 나타내는 전술한 리미트 기구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셔터 커튼(12)의 강하를 종료시키고, 레이저빔 사출기(34)를 비능동화하고, 광센서(40)의 출력의 감시를 종료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The controller 21 also terminates the falling of the shutter curtain 12 in response to the electric signal from the above-described limit mechanism indicating when the shutter curtain 12 has reached the lowest position, and the laser beam injection machine 34 is turned off. It is programmed to deactivate and terminate monitoring of the output of the optical sensor 40.

이상에 설명한 장해물 검지 장치는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된 가 동 탐침 부재 및 장해물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가동 탐침 부재의 변위를 전기 스위치에 전달하는 기계식 링크기구를 사용하는 종래의 기계식 장해물 검지 장치보다 더 높은 감도와 더 높은 신뢰성을 가진다. 상술한 장해물 검지 장치의 감도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가장자리 부재(24)의 관형상부(28)의 하부벽의 두께를 감소시켜 이 하부벽의 변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이 장해물 검지 장치를 방화 셔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장자리 부재(24)가 화재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것이 중요한데, 왜냐하면 그러한 손상이 생기면 셔터 커튼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의 화염의 빠져나감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자리 부재(24)의 형상은 관형상부(28)를 덮어 보호하도록 기증하는 1쌍의 날개형상부(3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왜냐하면, 관형상부(28)의 하부벽을 어느 정도 얇고 세밀해도, 날개형상부(32)가 화재시의 화염 빠져나감을 방지하여, 관형상부(28)의 하부벽이 손상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게 되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시에 가장자리 부재(24)가 고온에 노출될 때에 연소하지 않고 셔터 커튼(12)의 하단 가장자리에 고착되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날개형상부(32)는 폐색된(강하된) 셔터 커튼(12)의 하단 가장자리와 플로어 표면 사이에 고착되어서, 셔터 커튼(12)의 하단 가장자리와 플로어 표면 사이의 간극을 밀봉시킴으로써, 방화 셔터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의 어떠한 화염의 빠져나감도 허용하지 않는다. The obstacle detection device described above is more conventional than a mechanical obstacle detection device using a movable probe member attached to the lower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a mechanical link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displacement of the movable probe member generated by the obstacle to an electric switch. It has higher sensitivity and higher reliability. The sensitivity of the above-described obstacle detecting device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lower wall of the tubular portion 28 of the edge member 24 made of an elastomer to facilitate deformation of the lower wall. When this obstacle detection device is used for a fire shutter, it is important that the edge member 24 is not damaged by fire, because such damage may cause the flame to escape from one side of the shutter curtain to the other. to be. The shape of the edge member 24 is very advantageous because it has a pair of wing portions 32 that donate to cover and protect the tubular portion 28, because the lower wall of the tubular portion 28 is somewhat to some extent. Even if it is thin and fine, the wing | blade part 32 prevents flame escape in case of a fire, and the lower wall of the tubular part 28 is free from the risk of damage. More specifically, since the edge member 24 is formed of a flame retardant elastomer that is fix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without burning when the edge member 24 is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in a fire, the wing 32 is closed. Stuck between the bottom edge of the (dropped) shutter curtain 12 and the floor surface to seal any gaps between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and the floor surface, thereby eliminating any flame from one side of the fire shutter to the other. No exit is allowed.

도 5는 전술한 가장자리 부재(24)와 최하단 슬랫(22)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가장자리 부재(54), 1쌍의 날개형상 부재(55), 및 가장자리 부재(54)와 날개형상 부재(55)가 부착되는 셔터 커튼의 최하단 슬랫(52)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최하단 위치로 완전히 강하되어 있는 셔터 커튼을 도시하고 있다. 슬랫(52)은 가장자리 부재(54) 및 1쌍의 날개형상 부재(55)의 부착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하단 가장자리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슬랫(22)과 동일하다. 가장자리 부재(54) 및 1쌍의 날개형상 부재(55)는, 전술한 가장자리 부재(24)와 마찬가지로,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가요성 부재이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의 거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 있다. 또한, 가장자리 부재(54) 및 1쌍의 날개형상 부재(55)를 형성하고 있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는, 가장자리 부재(24)를 형성하고 있는 난연성 엘라스토머와 마찬가지로, 화재시에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에 연소하지 않고 셔터 커튼(12)의 하단 가장자리에 고착되는 엘라스토머이다. 적합한 난연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로로프렌 고무나 실리콘 고무가 있지만,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 shows an edge member 54, a pair of wing members 55, and an edge member 54 and a wing member 55, which can be used in place of the edge member 24 and the bottom slat 22 described above. )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ttom slat 52 of the shutter curtain to which is attached. 5 shows the shutter curtain fully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The slat 52 is the same as the slat 22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e shape of the bottom edge which is suitable for attachment of the edge member 54 and the pair of wing-like members 55. The edge member 54 and the pair of wing members 55, like the edge member 24 described above, are flexible members made of flame retardant elastomer, and extend along almost the entire length of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In addition, the flame retardant elastomer forming the edge member 54 and the pair of wing members 55 does not burn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in a fire, similar to the flame retardant elastomer forming the edge member 24. It is an elastomer that is fix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12. Suitable flame retardant elastom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hloroprene rubber and silicone rubber as described above.

가장자리 부재(54)는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진 일정 길이의 압출가공된 엘라스토머 프로파일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날개형상 부재(55)도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진 일정 길이의 압출가공된 엘라스토머 프로파일재로 형성되어 있다.The edge member 54 is formed of a predetermined length extruded elastomeric profile material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Each wing member 55 is also formed of a predetermined length extruded elastomeric profile material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가장자리 부재(54)는 대략 U자형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의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중공 공간(56)을 구획형성하고 있다. 가장자리 부재(54)는 또한 그것의 상단부에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걸어맞춤하여 고정하기 위한 1쌍의 대향하는 걸어맞춤부(58)를 구비하고 있다. 가장자리 부재(54)에 구획형성되어 있는 중공 공간(56)은 전술한 가장자리 부재(24)에 구획형성되어 있는 중공 공간(30)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The edge member 54 has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and defines a hollow space 56 extending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edge member 54 also has at its upper end a pair of opposing engagements 58 for engaging and securing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The hollow space 56 partitioned on the edge member 54 provides the same function as the hollow space 30 partitioned on the edge member 24 described above.

1쌍의 날개형상 부재(55)는 가장자리 부재(54)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가장자리 부재(54)와 평행하게 뻗어 있다. 각각의 날개형상 부재(55)는 그것의 상단에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걸어맞춤하여 고정하기 위한 걸어맞춤부(6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날개형상 부재(55)는, 셔터 커튼이 최하단 위치로 완전히 강하되었을 때에, 가장자리 부재(54)를 덮어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화재시에 셔터 커튼이 강하되었을 때에, 날개형상 부재(55)는 가장자리 부재(54)가 화재의 열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여, 가장자리 부재(54)의 벽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관형상부(28)의 하부벽과 마찬가지로, 장해물 검지 장치의 감도의 향상에 기여하는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The pair of wing members 55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edge member 54 and extend in parallel with the edge member 54. Each vane member 55 has an engaging portion 60 at its upper end for engaging and securing the lower edge of the shutter curtain. In addition, the blade-shaped member 55 covers and protects the edge member 54 when the shutter curtain is completely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hutter curtain is dropped during the fire, the wing member 55 functions to prevent the edge member 54 from being damaged by the heat of the fire, so that the wall of the edge member 54 is shown in FIG. Like the lower wall of the tubular portion 28 shown in 2A and 2B, it can have a very thin thickness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sensitivity of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도 2에 도시된 슬랫(22) 및 가장자리 부재(24) 대신에, 도 5에 도시된 슬랫(52), 가장자리 부재(54), 및 1쌍의 날개형상 부재(55)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장해물 검지 장치는 동일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사용하는 장해물 검지 장치와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사용하는 장해물 검지 장치의 주된 차이점은 장해물 검지 장치의 제작상의 수고 및 비용에 있다.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한 것이냐는 장해물 검지 장치의 특정 용도 및 설계에 좌우된다. Instead of the slat 22 and the edge member 24 shown in FIG. 2, by using the slat 52, the edge member 54 and the pair of wing members 55 shown in FIG. 5,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can provide the same function.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obstacle detection device usi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 5 and the obstacle detection device usi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lies in the manufacturing effort and cost of the obstacle detection device. Which is more preferable depends on the specific use and design of the obstacle detecting apparatus.

Claims (10)

금속제 셔터 커튼, 및 상기 셔터 커튼을 승강시키는 전동식 승강 기구를 구비한 전동식 셔터에 사용하는 장해물 검지 장치에 있어서, An obstacle detecting device for use in an electric shutter having a metal shutter curtain and an electric lifting mechanism for elevating the shutter curtain,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의 거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 있는 가요성 가장자리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has a flexible edge member attach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extending along almost the entire length of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그것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중공 공간을 내부에 구획형성하고 있고, The edge member defines a hollow space extending therein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한쪽 단부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상기 중공 공간을 통하여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광빔을 투사하는 광빔 투사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is provided near one end of the edge member and includes light beam projection means for projecting a light 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member through the hollow space of the edge member,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다른쪽 단부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상기 중공 공간을 통하여 상기 광빔 투사 수단으로부터의 광빔을 받는 광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has an optical sensor positioned near the other end of the edge member and receiving a light beam from the light beam projection means through the hollow space of the edge member, 상기 가장자리 부재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찌부러졌을 때에, 상기 광빔 투사 수단으로부터 투사되는 광빔이 찌부러진 상기 가장자리 부재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광센서로 입사되는 것이 방해되고, When the edge member is deformed and crushed by an external force, the light beam projected from the light beam projection means is blocked by the crushed edge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incident to the optical sensor,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화재시에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에, 연소하지 않고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고착되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고,The edge member is formed of a flame retardant elastomer that is fix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without burning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in a fire,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와 접촉하여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베이스부, 이 베이스부의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 공간을 구획형성하고 있는 관형상부, 및 상기 관형상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1쌍의 날개형상부를 구비하고 있고, The edge member is provided with a base portion which is held in contact with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 tubular portion formed below the base portion to define the hollow space, and a pai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ubular portion. It has a wing shape of 상기 1쌍의 날개형상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하방 외측을 향해 돌출하여 상기 관형상부의 최하부보다 아래의 높이까지 이르도록 되어 있고, The pair of wing portions protrude downward from the base portion to reach a height below the lowest portion of the tubular portion, 상기 1쌍의 날개형상부는, 상기 셔터 커튼이 최하단 위치로 완전히 강하되었을 때에, 상기 관형상부를 덮어 보호하도록 되어 있고,The pair of wing portions cover and protect the tubular portion when the shutter curtain is completely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상기 가장자리 부재가 화재시에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와 플로어 표면 양쪽에 고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와 플로어 표면 사이의 간극을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셔터에 사용하는 장해물 검지 장치.The edge member is formed to adhere to both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the floor surface when the edge member i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in a fire, thereby sealing a gap between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the floor surface. Obstacle detection device to use for electric shutter to say. 금속제 셔터 커튼, 및 상기 셔터 커튼을 승강시키는 전동식 승강 기구를 구비한 전동식 셔터에 사용하는 장해물 검지 장치에 있어서, An obstacle detecting device for use in an electric shutter having a metal shutter curtain and an electric lifting mechanism for elevating the shutter curtain,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의 거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 있는 가요성 가장자리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has a flexible edge member attach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extending along almost the entire length of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그것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중공 공간을 내부에 구획형성하고 있고, The edge member defines a hollow space extending therein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한쪽 단부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상기 중공 공간을 통하여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광빔을 투사하는 광빔 투사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is provided near one end of the edge member and includes light beam projection means for projecting a light 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member through the hollow space of the edge member,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다른쪽 단부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상기 중공 공간을 통하여 상기 광빔 투사 수단으로부터의 광빔을 받는 광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has an optical sensor positioned near the other end of the edge member and receiving a light beam from the light beam projection means through the hollow space of the edge member, 상기 가장자리 부재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찌부러졌을 때에, 상기 광빔 투사 수단으로부터 투사되는 광빔이 찌부러진 상기 가장자리 부재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광센서로 입사되는 것이 방해되고, When the edge member is deformed and crushed by an external force, the light beam projected from the light beam projection means is blocked by the crushed edge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incident to the optical sensor,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화재시에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에, 연소하지 않고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고착되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고,The edge member is formed of a flame retardant elastomer that is fix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without burning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in a fire,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대략 U자형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단부에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걸어맞춤하여 고정하기 위한 1쌍의 대향하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고, The edge member has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and has a pair of opposing engagement portions at its upper end for engaging and securing the lower edge of the shutter curtain,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또한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장자리 부재와 평행하게 뻗어 있는 1쌍의 날개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pair of wing-shaped member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edge member and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edge member, 상기 날개형상 부재의 각각은 상단부에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걸어맞춤하여 고정하기 위한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고, Each of the wing-shaped members has an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and securing the lower edge of the shutter curtain to an upper end portion; 상기 1쌍의 날개형상 부재는, 화재시에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에, 연소하지 않고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고착되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고, The pair of wing members is formed of a flame retardant elastomer that is fix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without burning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in a fire, 상기 1쌍의 날개형상 부재는, 상기 셔터 커튼이 최하단 위치로 완전히 강하되었을 때에, 상기 가장자리 부재를 덮어 보호하도록 되어 있고,The pair of wing members cover and protect the edge member when the shutter curtain is completely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상기 가장자리 부재가 화재시에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와 플로어 표면 양쪽에 고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와 플로어 표면 사이의 간극을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셔터에 사용하는 장해물 검지 장치.The edge member is formed to adhere to both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the floor surface when the edge member i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in a fire, thereby sealing a gap between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the floor surface. Obstacle detection device to use for electric shutter to sa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엘라스토머는 클로로프렌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셔터에 사용하는 장해물 검지 장치.The obstacl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lame retardant elastomer is made of chloroprene rubb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엘라스토머 재료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셔터에 사용하는 장해물 검지 장치.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for use in an electric shutt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lame retardant elastomer material is made of silicone rubber. 금속제 셔터 커튼, 상기 셔터 커튼을 승강시키는 전동식 승강 기구, 상기 전동식 승강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장비되는 장해물 검지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전동식 셔터에 있어서, In the electric shutter provided with a metal shutter curtain, the electric lifting mechanism which raises and lowers the said shutter curtain, the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lifting mechanism, and the obstacle detection apparatus equipped in the lower edge of the said shutter curtain,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의 거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 있는 가요성 가장자리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has a flexible edge member attach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extending along almost the entire length of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그것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중공 공간을 내부에 구획형성하고 있고, The edge member defines a hollow space extending therein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한쪽 단부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상기 중공 공간을 통하여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광빔을 투사하는 광빔 투사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is provided near one end of the edge member and includes light beam projection means for projecting a light 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member through the hollow space of the edge member,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다른쪽 단부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상기 중공 공간을 통하여 상기 광빔 투사 수단으로부터의 광빔을 받는 광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has an optical sensor positioned near the other end of the edge member and receiving a light beam from the light beam projection means through the hollow space of the edge member, 상기 가장자리 부재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찌부러졌을 때에, 상기 광빔 투사 수단으로부터 투사되는 광빔이 찌부러진 상기 가장자리 부재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광센서로 입사되는 것이 방해되고, When the edge member is deformed and crushed by an external force, the light beam projected from the light beam projection means is blocked by the crushed edge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incident to the optical sensor,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화재시에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에, 연소하지 않고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고착되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고,The edge member is formed of a flame retardant elastomer that is fix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without burning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in a fire, 상기 컨트롤러는, i) 상기 셔터 커튼의 강하 중에 상기 광센서로 투사되어 입사하고 있던 광빔이 차단되었을 때에,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셔터 커튼의 강하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셔터 커튼의 이동 방향을 하향에서 상향으로 반전시키도록 상기 전동식 승강 기구를 제어하고, ii) 그 후에 광빔이 다시 상기 광센서로 입사할 때에,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셔터 커튼의 강하를 시작하도록 상기 전동식 승강 기구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고,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i) stop the falling of the shutter curtain or move the shutter curtain downward from the upward direction when the light beam projected by the optical sensor while the falling of the shutter curtain is incident is blocked. Control the motorized elevating mechanism to invert, and ii) thereafter control the motorized elevating mechanism such that when the light beam enters the light sensor again, the controller starts the descent of the shutter curtain,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와 접촉하여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베이스부, 이 베이스부의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 공간을 구획형성하고 있는 관형상부, 및 상기 관형상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1쌍의 날개형상부를 구비하고 있고, The edge member is provided with a base portion which is held in contact with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 tubular portion formed below the base portion to define the hollow space, and a pai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ubular portion. It has a wing shape of 상기 1쌍의 날개형상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하방 외측을 향해 돌출하여 상기 관형상부의 최하부보다 아래의 높이까지 이르도록 되어 있고, The pair of wing portions protrude downward from the base portion to reach a height below the lowest portion of the tubular portion, 상기 1쌍의 날개형상부는, 상기 셔터 커튼이 최하단 위치로 완전히 강하되었을 때에, 상기 관형상부를 덮어 보호하도록 되어 있고,The pair of wing portions cover and protect the tubular portion when the shutter curtain is completely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상기 가장자리 부재가 화재시에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와 플로어 표면 양쪽에 고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와 플로어 표면 사이의 간극을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셔터.The edge member is formed to adhere to both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the floor surface when the edge member i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in a fire, thereby sealing a gap between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the floor surface. Electric shutter. 금속제 셔터 커튼, 상기 셔터 커튼을 승강시키는 전동식 승강 기구, 상기 전동식 승강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장비되는 장해물 검지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전동식 셔터에 있어서, In the electric shutter provided with a metal shutter curtain, the electric lifting mechanism which raises and lowers the said shutter curtain, the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lifting mechanism, and the obstacle detection apparatus equipped in the lower edge of the said shutter curtain,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의 거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 있는 가요성 가장자리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has a flexible edge member attach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extending along almost the entire length of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그것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중공 공간을 내부에 구획형성하고 있고, The edge member defines a hollow space extending therein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한쪽 단부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상기 중공 공간을 통하여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광빔을 투사하는 광빔 투사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is provided near one end of the edge member and includes light beam projection means for projecting a light 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member through the hollow space of the edge member,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다른쪽 단부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상기 중공 공간을 통하여 상기 광빔 투사 수단으로부터의 광빔을 받는 광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has an optical sensor positioned near the other end of the edge member and receiving a light beam from the light beam projection means through the hollow space of the edge member, 상기 가장자리 부재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찌부러졌을 때에, 상기 광빔 투사 수단으로부터 투사되는 광빔이 찌부러진 상기 가장자리 부재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광센서로 입사되는 것이 방해되고, When the edge member is deformed and crushed by an external force, the light beam projected from the light beam projection means is blocked by the crushed edge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incident to the optical sensor,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화재시에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에, 연소하지 않고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고착되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고,The edge member is formed of a flame retardant elastomer that is fix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without burning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in a fire, 상기 컨트롤러는, i) 상기 셔터 커튼의 강하 중에 상기 광센서로 투사되어 입사하고 있던 광빔이 차단되었을 때에,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셔터 커튼의 강하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셔터 커튼의 이동 방향을 하향에서 상향으로 반전시키도록 상기 전동식 승강 기구를 제어하고, ii) 그 후에 광빔이 다시 상기 광센서로 입사할 때에,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셔터 커튼의 강하를 시작하도록 상기 전동식 승강 기구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고,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i) stop the falling of the shutter curtain or move the shutter curtain downward from the upward direction when the light beam projected by the optical sensor while the falling of the shutter curtain is incident is blocked. Control the motorized elevating mechanism to invert, and ii) thereafter control the motorized elevating mechanism such that when the light beam enters the light sensor again, the controller starts the descent of the shutter curtain,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대략 U자형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단부에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걸어맞춤하여 고정하기 위한 1쌍의 대향하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고, The edge member has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and has a pair of opposing engagement portions at its upper end for engaging and securing the lower edge of the shutter curtain, 상기 장해물 검지 장치는 또한 상기 가장자리 부재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장자리 부재와 평행하게 뻗어 있는 1쌍의 날개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pair of wing-shaped member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edge member and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edge member, 상기 날개형상 부재의 각각은 상단부에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걸어맞춤하여 고정하기 위한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고, Each of the wing-shaped members has an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and securing the lower edge of the shutter curtain to an upper end portion; 상기 1쌍의 날개형상 부재는, 화재시에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에, 연소하지 않고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에 고착되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고, The pair of wing members is formed of a flame retardant elastomer that is fixed to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without burning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in a fire, 상기 1쌍의 날개형상 부재는, 상기 셔터 커튼이 최하단 위치로 완전히 강하되었을 때에, 상기 가장자리 부재를 덮어 보호하도록 되어 있고,The pair of wing members cover and protect the edge member when the shutter curtain is completely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상기 가장자리 부재가 화재시에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와 플로어 표면 양쪽에 고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셔터 커튼의 하단 가장자리와 플로어 표면 사이의 간극을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셔터.The edge member is formed to adhere to both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the floor surface when the edge member i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in a fire, thereby sealing a gap between the bottom edge of the shutter curtain and the floor surface. Electric shutter.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엘라스토머는 클로로프렌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셔터.7. The electric shutter of claim 5 or 6, wherein the flame retardant elastomer is made of chloroprene rubber.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엘라스토머 재료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셔터.7. The electric shutter of claim 5 or 6, wherein the flame retardant elastomeric material is made of silicone rub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87028141A 2006-06-07 2007-05-29 Obstacle detector for motorized shutter and motorized shutter with obstacle detector KR10131233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58882 2006-06-07
JPJP-P-2006-158882 2006-06-07
PCT/JP2007/060902 WO2007142080A1 (en) 2006-06-07 2007-05-29 Obstacle detector of electric shutter and electric shutter equipped with obstacle det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572A KR20090023572A (en) 2009-03-05
KR101312338B1 true KR101312338B1 (en) 2013-09-27

Family

ID=3880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141A KR101312338B1 (en) 2006-06-07 2007-05-29 Obstacle detector for motorized shutter and motorized shutter with obstacle detec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29953B2 (en)
KR (1) KR101312338B1 (en)
CN (1) CN101443525B (en)
WO (1) WO200714208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0594B (en) * 2006-07-28 2011-10-26 Cronapress Ltd Switch
CN102587817B (en) * 2012-02-08 2014-11-12 宁波杜亚机电技术有限公司 Door and window motor system with opening and closing protection
CN105347249B (en) * 2015-11-30 2018-01-30 苏州市康鼎升降机械有限公司 A kind of hydraulic elevator with emergency protection system
CN105347247B (en) * 2015-11-30 2017-12-12 苏州市康鼎升降机械有限公司 A kind of fixed hydraulic lift
CN105347248B (en) * 2015-11-30 2017-12-12 苏州市康鼎升降机械有限公司 A kind of fixed hydraulic lift easy to remove
KR102085439B1 (en) * 2018-08-20 2020-03-06 김기대 Fire shutter with improved thermal performance
KR102085438B1 (en) * 2018-08-20 2020-03-06 김기대 Fire shutter with lower roller
TWI767446B (en) * 2020-12-11 2022-06-11 億豐綜合工業股份有限公司 Electric curtains
CN111119707A (en) * 2019-12-30 2020-05-08 江苏黑马森田机器人有限公司 Intelligent safe laser protection door
KR102211279B1 (en) * 2020-05-06 2021-02-04 이진성 Aluminum shutter with windproof and high speed fun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644U (en) * 1985-07-09 1987-01-28
JPH11173034A (en) * 1997-12-11 1999-06-29 Bunka Shutter Co Ltd Refractory screen device
JP2001207752A (en) * 2000-01-24 2001-08-03 Sanwa Shutter Corp Airtight-watertight seat plate structure and airtight- watertight shutt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8809A (en) * 1985-09-07 1986-04-09 株式会社フジクラ Flame resistant cable
JPS63302398A (en) * 1987-06-02 1988-12-09 Toshiba Corp Reactor containment vessel
JP3040312B2 (en) * 1994-06-20 2000-05-15 プロファイル工業株式会社 End piece for shutter
JP2004190322A (en) * 2002-12-11 2004-07-08 Taiyo Kogyo Corp Shutter for emergency exit
JP2004257121A (en) * 2003-02-26 2004-09-16 Tostem Suzuki Shutter Mfg Co Ltd Shutter
UA84860C2 (en) * 2003-03-20 2008-12-10 Адольф Зойстер Гмбг Унд Ко. Кг Rolling do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644U (en) * 1985-07-09 1987-01-28
JPH11173034A (en) * 1997-12-11 1999-06-29 Bunka Shutter Co Ltd Refractory screen device
JP2001207752A (en) * 2000-01-24 2001-08-03 Sanwa Shutter Corp Airtight-watertight seat plate structure and airtight- watertight sh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572A (en) 2009-03-05
CN101443525A (en) 2009-05-27
CN101443525B (en) 2011-11-30
JPWO2007142080A1 (en) 2009-10-22
WO2007142080A1 (en) 2007-12-13
JP5329953B2 (en)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338B1 (en) Obstacle detector for motorized shutter and motorized shutter with obstacle detector
JP2008025189A (en) Fire preventive shutter having safety mechanism
EP2328826B1 (en) Safety devices for elevators with reduced clearances
US3426829A (en) Relay actuated overhead door safety catch
EP3310986B1 (en) Door curtains with position sensor switches
JP2011201666A (en) Elevator flooding preventive device with smoke shut-off structure added to landing
US20170284157A1 (en) Overhead door tilt detection package and method
JP4208241B2 (en) Automatic closing device
KR20120006522U (en) Controlling apparatus of electromotive blind using photoelectron sensor
KR101324093B1 (en)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elevator entrance
KR101034384B1 (en) Emergency escape shutter
JP6190719B2 (en) Waterproof door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waterproof door
JP5713838B2 (en) Open / close control device
JP2007016430A (en) Safety device for fire shutter
JPS6138087A (en) Safety apparatus of electromotive shutter
JPH0616137Y2 (en) Safety device for electric shutter
TWI813514B (en) Curtai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083589B2 (en) Switchboard safety device
KR102320502B1 (en) Fall preventing structure of shutter for industrial facilities
JP2019105142A (en) Opening/closing body device
JPH0725428Y2 (en) Shutter curtain fall prevention device for building shutters
US20240188745A1 (en) Curtain control system and curtain control method
JP5800633B2 (en) Open / close control device
JP2007077791A (en) Crime preventive device of motor-driven shutter
JP7075859B2 (en) Shutt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