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384B1 - Emergency escape shutter - Google Patents

Emergency escape shut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384B1
KR101034384B1 KR1020100103263A KR20100103263A KR101034384B1 KR 101034384 B1 KR101034384 B1 KR 101034384B1 KR 1020100103263 A KR1020100103263 A KR 1020100103263A KR 20100103263 A KR20100103263 A KR 20100103263A KR 101034384 B1 KR101034384 B1 KR 101034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emergency
membrane switch
power
emergenc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영복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앤에스
Priority to KR102010010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3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3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PURPOSE: An emergency fireproof shutter is provided to display the location of an emergency door in order to evacuate evacuees to the outside. CONSTITUTION: An emergency fireproof shutter comprises: an upper frame(10); and perpendicular frames(20) which are perpendicular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The upper frame includes: a shutter(100) moving to the top and bottom between the perpendicular frames; a power unit transferring power to make the shutter move between the perpendicular frames; an emergency door which is hinge-coupled with the shutter; and a plurality of emergency door display LEDs(142) which emit light when the shutter descends.

Description

비상용 방화 셔터{Emergency Escape Shutter}Emergency fire shutter {Emergency Escape Shutter}

본 발명은 방화 셔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셔터의 하장바가 하강 중에 사람이나 물건 등에 부딪히게 되는 경우 셔터의 하강 동작을 즉시 정지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대피자가 셔터에 형성된 비상문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비상문 표시 엘이디가 설치된 비상용 방화 셔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shutter,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lower bar of the shutter hits a person or an object while descending,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shutter may be stopped immediately, and the evacuator may not be able to stop the shutter even when the vision is not secured. An emergency fire shutter is provided with an emergency door display LED to easi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emergency door formed.

본 발명은 전동 셔터 내지 방화 셔터 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ic shutters, fire shutters and the like.

기존의 방화 셔터는 방화 셔터에 형성된 비상문의 위치를 표시해 주는 표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화염이나 연기에 의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피자가 폐쇄된 셔터에 형성된 비상문을 쉽게 찾아서 외부로 대피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Existing fire shutters do not have a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the position of the emergency door formed on the fire shutter, so the evacuator can easily find the emergency door formed on the shutter that is closed by the evacuation without the view of flame or smoke.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do.

또한, 기존의 방화 셔터는 방화 셔터가 하강 중에 셔터 하단에 사람 또는 일정한 물건이 부딪히거나 걸리게 되는 경우에도 사람이 직접 셔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는 한 셔터의 하강 동작이 멈추지 않고 셔터가 계속 하강되도록 작동됨으로써, 인명 손실이나 물건 파손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ire shutter does not stop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shutter even if a person or a certain object hits or is caught at the bottom of the shutter while the fire shutter is descending, unless a person operates an operation switch that direct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By operating the shutter to lower continuous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loss of life, object damage, and the like.

또한, 셔터의 슬라트가 수직 프레임(즉, 가이드 레일)에 끼였을 경우에 일측은 걸려 있고 타측은 내려오게 됨으로써, 셔터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slats of the shutter are caught in the vertical frame (that is, the guide rail), one side is hung and the other side is lowered, which causes a problem of shutter failur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셔터에 형성된 비상문 주위 및/또는 하장바에 비상문 표시 엘이디(LED)들을 설치함으로써, 화재 내지 연기에 의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대피자가 쉽게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문 또는 하장바의 위치를 표시해 줄 수 있는 비상용 방화 셔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to provide emergency door display LEDs (LEDs) around the emergency door formed in the shutter and / or in the lower bar, so that the evacuator can be avoided even when the vision is not secured by fire or smoke. It is to provide an emergency fire shutter that can mark the position of the emergency door or loading bar so that it can be easily evacuat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셔터의 하장바가 하강 중에 사람이나 물건 등에 부딪히게 되는 경우 하장바 하측면 내지 양 측면에 설치된 멤브레인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셔터의 하강 동작을 즉시 정지 시킬 수 있는 비상용 방화 셔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ergency fire shutter that can immediately stop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shutter by the operation of the membrane switch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r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ar when the lower bar hits a person or an object while the lower bar is lowered.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셔터의 하장바가 상승 또는 하강 중에 셔터의 슬라트가 수직 프레임(즉, 가이드 레일)에 끼이거나 기타 물건이 끼어 문제가 발생한 경우 멤브레인 스위치에 의해 즉각적인 셔터 개폐의 동작 정지 제어가 가능한 비상용 방화 셔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mediately open and close the shutter by the membrane switch when the slat of the shutter is caught in the vertical frame (i.e., guide rail) or other object is caught while the lower bar of the shutter is raised or lowered. This is to provide an emergency fire shutter capable of stopping control.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장바가 상승 또는 하강 중에 멤브레인 스위치에 의한 즉각적인 셔터 개폐의 동작 정지가 가능하고, 멤브레인 스위치와 연결된 전선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비상용 방화 셔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fire shutter that can be immediately stopped operation of the shutter opening and closing by the membrane switch while the lower bar is raised or lowered, and the length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membrane switch can be adjust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멤브레인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감지부와 제어부를 포함한 동력부를 제어하는 통제부를 포함함으로써, 셔터의 하장바에 사람이나 물건 등에 의한 일정한 압력 등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셔터의 개폐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용 방화 셔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brane switch and controls the power unit including the sens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so that a constant pressure caused by a person or an object occurs automatically in the lower bar of the shutter. It is to provide an emergency fire shutter that can stop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측 프레임과 상기 상측 프레임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상하로 이동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에는 상기 셔터의 슬라트에 힌지 결합되는 비상문이 형성되고, 상기 비상문이 형성된 상기 셔터의 슬라트 주변에는 비상문 표시 엘이디들이 상기 셔터가 하강한 경우에만 발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셔터 하단의 하장바에는 하측면과 양 측면에 상기 동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멤브레인 스위치가 설치되어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작동에 따라 상기 셔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기 동력부의 온 또는 오프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에는 상기 동력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와 연결된 전선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전선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동력부의 온 또는 오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제부가 상기 전선 롤러의 전선 단부 및 동력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frame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and the upper frame, the upper frame is to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vertical frame A fire shutter comprising a shutter and a power unit for transmitting power to move the shutter vertically between the vertical frame, wherein the shutter is formed with an emergency door hinged to the slat of the shutter, the emergency door is Emergency door display LEDs are installed to emit light only when the shutter is lowered around the slats of the formed shutters, and a membrane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unit is installed at the lower side and both sides of the lower bar at the bottom of the shutter. Move the shutter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on or off operation of the membrane switch To control the on or off operation of the power unit, and the upper frame includes a wire roller for lifting or unwinding the wire connected to the membrane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power unit, and whether the membrane switch on or off operation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n or off operation of the power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sensing unit is sensed.

또한, 비상문 표시 엘이디들은 상기 셔터 하단의 하장바 전면에까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door display LE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bottom bar of the shutter.

또한, 상기 하장바에는 상기 셔터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부를 형성하는 삽입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is further formed to form an insertion portion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shutter is inserted.

삭제delete

또한, 상기 통제부는 상기 감지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은 상기 동력부 및 비상문 표시 엘이디들의 전원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detec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the power supply may be used as a power source of the power unit and the emergency door display LEDs.

삭제delet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내지 연기에 의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대피자가 쉽게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문 또는 하장바의 위치를 표시해 줄 수 있도록 하는 비상용 방화 셔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mergency fire shutter that can mark the position of the emergency door or the loading bar so that the evacuator can easily evacuate to the outside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vision is not secured by fire or smoke.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셔터의 하장바가 하강 중에 사람이나 물건 등에 부딪히게 되는 경우 셔터의 하강 동작을 즉시 정지 시킬 수 있는 비상용 방화 셔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mergency fire shutter that can stop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shutter immediately when the lower bar of the shutter hits people or objects during the lower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셔터의 하장바가 상승 또는 하강 중에 셔터의 슬라트가 수직 프레임(즉, 가이드 레일)에 끼이거나 기타 물건이 끼어 문제가 발생한 경우 즉각적인 셔터 개폐의 동작 정지 제어가 가능한 비상용 방화 셔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ergency fire shutt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immediately after opening and closing the shutter when the slat of the shutter is caught in the vertical frame (ie, guide rail) or other objects while the lower bar of the shutter is raised or lowered.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장바가 상승 또는 하강 중에 멤브레인 스위치에 의한 즉각적인 셔터 개폐의 동작 정지가 가능하고 동시에 멤브레인 스위치와 연결된 전선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비상용 방화 셔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mergency fire shutter that can immediately stop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opening and closing by the membrane switch while the lower bar is rising or falling, and at the same time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membrane switch.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셔터의 하장바에 사람이나 물건 등에 의한 일정한 압력 등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셔터의 개폐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용 방화 셔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mergency fire shutter that can automatically stop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when a constant pressure or the like caused by people or objects in the lower bar of the shutt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방화 셔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전선 롤러와 멤브레인 스위치가 설치된 하장바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멤브레인 스위치가 설치된 하장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통제부가 더 포함된 것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fire shut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bar provided with the wire roller and the membrane switch.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bar provided with a membrane switch.
4 is a view to show that the control unit is further include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비상용 방화 셔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describing an emergency fire shutt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용 방화 셔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fire shut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방화 셔터는 상측 프레임(10)과 상기 상측 프레임(10)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프레임(20)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10)은 상기 수직 프레임(20) 사이를 상하로 이동하는 셔터(100)와 상기 셔터(100)가 상기 수직 프레임(20) 사이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미도시)를 포함하는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100)에는 상기 셔터의 슬라트에 힌지 결합되는 비상문이 형성되고, 상기 비상문이 형성된 상기 셔터의 슬라트 주변에는 비상문 표시 엘이디(142)들이 상기 셔터가 하강한 경우에만 발광하도록 설치된다.Emergency fire shut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frame 10 and a vertical frame 20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10, the upper frame 10 is the vertical frame 20 In the fire shutter comprising a shutter 100 for moving up and down between a) and a power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power for allowing the shutter 100 to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vertical frame 20, The shutter 100 is formed with an emergency door hinged to the slat of the shutter, and the emergency door display LEDs 142 are installed to emit light only when the shutter is lowered around the slat of the shutter in which the emergency door is formed. do.

이때, 비상문 표시 엘이디(142)들은 상기 셔터(100) 하단의 하장바(110) 전면에까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도 1 참조).In this case, the emergency door display LEDs 142 may b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lower bar 110 at the bottom of the shutter 100 (see FIG. 1).

상기 비상문(140)은 상기 셔터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20)를 따라 하강한 경우 대피자가 상기 셔터(100)를 통과해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emergency door 140 is formed such that when the shutter descends along the vertical plate 20, the evacuator passes through the shutter 100 to evacuate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비상문(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100)의 슬라트에 힌지(143)에 의한 힌지 결합됨으로써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emergency door 140 is preferably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hinged by the hinge 143 to the slats of the shutter 10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비상문 표시 엘이디(142)들은 엘이디 전선(145)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전선은 상기 셔터가 방화 등으로 하강한 경우에만 상기 비상문 표시 엘이디(142)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정된 전원과 연결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door display LEDs 142 are connected by an LED wire 145 and the electric wire is set to supply power to the emergency door display LEDs 142 only when the shutter is lowered by arson or the like; Connected.

이때, 상기 셔터(100) 하단의 하장바(110)에는 하측면과 양 측면에 상기 동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멤브레인 스위치(120)가 설치되어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의 온 또는 오프 작동에 따라 상기 셔터(1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기 동력부의 온 또는 오프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10)에는 상기 동력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와 연결된 전선(210)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전선 롤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switch bar 110 at the lower end of the shutter 10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nd both sides of the membrane switch 1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unit according to the on or off operation of the membrane switch 120 The on or off operation of the power unit for moving the shutter 100 up and down is controlled, and the wires 210 connected to the membrane switch 120 are wound up or unwound on the upper frame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unit. It may include a wire roller 200 to lower.

즉, 본 발명에 의한 비상용 방화 셔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프레임(10), 수직 프레임(20), 셔터(100) 및 하장바(110)를 포함한다.That is, the emergency fire shu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frame 10, a vertical frame 20, a shutter 100, and a lower bar 110, as shown in FIG. 1.

이때, 상기 상측 프레임(10)으로부터 상기 셔터(100)가 상기 수직 프레임(20) 사이를 감겨 올라가거나 풀려 내려오도록 하는 작동 원리 내지 구성은 기존의 방화 셔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operating principle or configuration of the shutter 100 is wound up or releas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20 from the upper frame 1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ventional fire shutter.

또한, 상기 셔터(100)를 상기와 같이 이동시키도록 하는 동력부의 구성 및 결합 관계 또한 기존의 방화 셔터와 동일한 구성 및 결합 관계를 갖는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and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power unit for moving the shutter 100 as described above also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coupling relationship as the conventional fire shutter.

상기 셔터(100)의 하단을 구성하는 하장바(100)에는 멤브레인 스위치(120)가 설치된다.The membrane switch 120 is installed at the lower bar 100 constituting the lower end of the shutter 100.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00)는 일반적인 멤브레인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정한 압력 등에 의해 온 또는 오프로 작동될 수 있는 다양한 감지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membrane switch 100, a general membrane switch may be used, and various sensing switches that may be operated on or off by a constant pressure may be used.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는 상기 하장바(110)의 하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하장바(110)의 하측면과 함께 양 측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The membrane switch 12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ar 110,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together with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ar (110).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는 상기 동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동력부가 온 또는 오프로 제어되게 된다.The membrane switch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unit so that the power unit is controlled to be on or off according to an on or off operation of the membrane switch 120.

즉, 상기 동력부에 의해 상기 셔터(100)가 상기 수직 프레임(20) 사이를 상기 상측 프레임(10)으로부터 풀려 내려오는 상황에서, 상기 하장바(110)의 하측면 내지 양측면에 설치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가 사람 또는 물건에 의한 일정한 압력에 의해 온 스위칭 되는 경우 상기 동력부에 의해 상기 셔터(100)가 내려오는 작동이 멈추게 되고, 상기 압력이 해제되어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가 오프 스위칭 상태에서만 상기 셔터(100)가 움직이도록 상기 동력부를 제어한다.That is, the membrane switch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r both sides of the lower bar 110 in a situation where the shutter 100 is releas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20 by the power unit from the upper frame 10. When the 120 is switched on by a certain pressure by a person or an object,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100 is stopped by the power unit, and the pressure is released to release the membrane switch 120 in the off switching state. Only to control the power unit to move the shutter 100.

이때,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와 상기 동력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선(210)이 포함된다.In this case, a wire 21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embrane switch 120 and the power unit is included.

상기 상측 프레임(100)에는 상기 동력부와 상기 하장바(110)에 설치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 사이에서 상기 상측 프레임(10) 아래로 상기 하장바(110)를 따라 내려 가거나 올라가는 상기 전선(2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전선 롤러(200)가 더 포함된다.The electric wire 210 which descends or rises along the lower bar 110 below the upper frame 10 between the power unit and the membrane switch 120 installed on the lower bar 110 in the upper frame 100. The wire roller 200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is further included.

이때, 상기 전선(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이디 전선(145)와 연결되어 상기 비상문 표시 엘이디(145)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 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the wire 210 may be connected to the LED wire 145 to supply power to the emergency door display LED 145.

즉, 상기 셔터(100)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전선 롤러(200)에 의해 상기 전선(210)이 풀려 내려오면 상기 전선(210)으로부터 상기 엘이디 전선(145)에 전기가 흐르게 되어 상기 비상문 표시 엘이디(142)들이 발광하도록 설치된다.That is, as the shutter 100 descends, when the electric wire 210 is released by the electric wire roller 200, electricity flows from the electric wire 210 to the LED electric wire 145, thereby causing the emergency door display LED. 142 are provided to emit light.

상기 전선 롤러(200)는 상기 상측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기 동력부로부터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로 연결된 상기 전선(210)의 길이를 상기 셔터(1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wire roller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10 and adjusts the length of the wire 210 connected to the membrane switch 120 from the power unit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hutter 100. Do this.

즉, 상기 전선 롤러(200)는 상기 셔터(100)가 내려오는 경우에는 상기 셔터(100)가 내려가는 속도에 맞추어 상기 상측 프레임(10) 아래의 상기 전선(210)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회전하고, 상기 셔터(100)가 올라가는 경우에는 그 역으로 전선(210)을 감아 올리게 된다.That is, when the shutter 100 descends, the wire roller 200 rotates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wire 210 under the upper frame 10 in accordance with the speed at which the shutter 100 descends. When the shutter 100 is raised, the wire 210 is rolled up in reverse.

상기와 같은 상기 전선 롤러(200)의 동작은 상기 동력부에 의한 셔터의 상하 이동 속도와 대응되도록 설치된다.The operation of the wire roller 200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vertical movement speed of the shutter by the power unit.

도 2는 멤브레인 스위치가 설치된 하장바와 전선 롤러로부터 전선이 멤브레인 스위치에 연결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3은 상기 하장바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wires are connected to a membrane switch from a loading bar and an electric wire roller provided with a membrane switch,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bar.

상기 하장바(110)에는 상기 셔터(100)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부(131)를 형성하는 삽입돌기(1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bar 110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protrusion 130 forming an insertion unit 131 to insert and fix the lower end of the shutter 100.

즉, 상기 삽입돌기(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장바(110)의 상측면으로부터 삽입부(131)가 형성되도록 두 개가 돌설된다.That is, two insertion protrusions 130 are protruded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131 is form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ar 110, as shown in Figs.

상기 셔터(100) 하단부가 상기 삽입부(131)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보다 더 안정적으로 상기 셔터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A lower end of the shutter 10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ertion part 131, thereby enabling the shutter to be moved up and down more stably.

도 4는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에 연결된 전선이 통제부와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ire connected to the membrane swit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 의한 비상용 방화 셔터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의 온 또는 오프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420) 및 상기 감지부(420)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동력부의 온 또는 오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30)를 포함하는 통제부가 상기 전선 롤러(200)의 전선 단부 및 동력부에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emergency fire shu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by the sensing unit 420 and the sensing unit 420 detecting whether the membrane switch 120 is on or off. A control unit including a control unit 430 for controlling the on or off operation of the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wire end and the power unit of the wire roller 200.

즉, 상기 감지부(420)는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detector 420 detects an on or off state of the membrane switch 120.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감지부(420)에서 감지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210)의 온 또는 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셔터(100)가 상기 수직 프레임(20) 사이를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430 may move the shutter 100 upward or downward between the vertical frames 20 according to an on or off state of the membrane switch 210 sensed by the detector 420. Function to control the power unit.

이때, 상기 통제부는 상기 감지부(420) 및 제어부(4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41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원(410)은 상기 동력부 및 비상문 표시 엘이디(142)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으로도 사용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4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detection unit 420 and the control unit 430, the power 410 to the power unit and the emergency door display LED 142. It can also be used as a power supply for electricity.

상기 통제부에 의해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의 온 또는 오프 상태에 따른 상기 셔터(100)의 개폐가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hutter 100 according to the on or off state of the membrane switch 120 may be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이때, 상기 셔터(100)가 폐쇄, 즉 하강하는 경우 상기 비상문 표시 엘이디(142)들이 발광하게 설치된다.At this time, when the shutter 100 is closed, that is, the emergency door display LEDs 142 are installed to emit light.

본 발명에 의한 비상용 방화 셔터는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대피자는 연기나 정전 등으로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방화 동작에 의한 셔터 폐쇄 상태 또는 셔터가 하강 중 멈춘 상태(예컨대, 셔터의 1차 정지 위치 내지 셔터의 하강 중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에 의해 멈추게 된 상태 등)에서 상기 비상문 내지 하장바에 설치된 비상문 표시 LED의 점멸 표시를 통해 상기 비상문 내지 하장바의 높이를 신속하게 판단하여 안전하게 외부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In the emergency fire shu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cuator is in a state in which the shutter is stopped due to the fire prevention operation or the shutter is stopped during the fall (for example, the first stop position of the shutter) even when the evacuator is not secured due to smoke or power failure. In the state of being stopped by the membrane switch during the descending of the shutter, etc.), the emergency door display LEDs installed on the emergency door or the loading bar can be quickly judged to evacuate safely to the outside by determining the height of the emergency door or the loading bar. It becomes possible.

이때, 상기 하장바(110)에는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120)와 함께 또는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를 대신하여 모션 감지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bar 110 may be provided with a mot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together with or instead of the membrane switch 120.

상기 모션 감지 센서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되고, 상기 모션 감지 센서는 상기 전선(210)에 의해 상기 동력부 내지 통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선(210)은 상기 전선 롤러(200)에 의해 상기 셔터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감겨 올라가거나 풀려 내려오도록 설치된다. 이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motion detection sensor includes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a movement of a perso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unit or the control unit by the wire 210, the wire 210 is The wire roller 200 is installed to be wound up or un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rising or falling of the shutter. The description thereof i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의한 비상용 방화 셔터는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와 함께 또는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를 대신하여 설치된 상기 모션 감지 센서에 의하여 상기 하장바 근처에 사람을 포함한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한 경우 하장바와의 충돌 이전에 미리 상기 셔터의 하강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보다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Emergency fire shu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hutter in advance before the collision with the intestine bar when a moving object including a person near the intestine bar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together with or in place of the membrane switch Higher stability can be ensured by stopping the lowering operation of.

본 발명에 의한 비상용 방화 셔터는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210)의 온 또는 오프 상태에 따라서 방화 동작으로 인한 셔터의 자중 강하에서도 상기 셔터(100)의 강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한국등록특허 제09070980000호 참조).
Emergency fire shu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to stop the falling operation of the shutter 100 even in the self-fall of the shutter due to the fire prot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on or off state of the membrane switch (210) Patent number 0907098000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상측 프레임 20: 수직 프레임
100: 셔터 110: 하장바
120: 멤브레인 스위치 130: 삽입돌기
131: 삽입부 140: 비상문
142: 비상문 표시 엘이디 200: 전선 롤러
143: 힌지 145: LED 전선
210: 전선 410: 전원
420: 감지부 430: 제어부
10: upper frame 20: vertical frame
100: shutter 110: bottom bar
120: membrane switch 130: insertion projection
131: insertion portion 140: emergency door
142: emergency door indicator LED 200: electric wire roller
143: hinge 145: LED wire
210: wire 410: power source
420: detection unit 430: control unit

Claims (6)

상측 프레임과 상기 상측 프레임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상하로 이동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에는 상기 셔터의 슬라트에 힌지 결합되는 비상문이 형성되고, 상기 비상문이 형성된 상기 셔터의 슬라트 주변에는 비상문 표시 엘이디들이 상기 셔터가 하강한 경우에만 발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셔터 하단의 하장바에는 하측면과 양 측면에 상기 동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멤브레인 스위치가 설치되어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작동에 따라 상기 셔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기 동력부의 온 또는 오프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에는 상기 동력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와 연결된 전선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전선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동력부의 온 또는 오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제부가 상기 전선 롤러의 전선 단부 및 동력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방화 셔터.
And a vertical frame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and the upper frame, wherein the upper frame transmits a shutter moving up and down between the vertical frames and power to enable the shutter to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vertical frames. In the fire shutter including the power unit,
The shutter is formed with an emergency door hinged to the slat of the shutter, and the emergency door display LEDs are installed to emit light only when the shutter is lowered around the slat of the shutter in which the emergency door is formed,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hutter is provided with a membrane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unit on the lower side and both sides to the on or off operation of the power unit for moving the shutter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on or off operation of the membrane switch. Control,
The upper frame includes a wire roller for winding up or unwinding the wire connected to the membrane switch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unit,
A control unit including a sensing unit detecting whether the membrane switch is on or off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on or off operation of the power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sensing unit is detected. Emergency fire shutt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비상문 표시 엘이디들은 상기 셔터 하단의 하장바 전면에까지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방화 셔터.
The method of claim 1,
Emergency door display LEDs are emergency fire shutt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lower bar under the shutt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장바에는 상기 셔터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부를 형성하는 삽입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방화 셔터.
The method of claim 1,
Emergency lowering shu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bar is further formed with an insertion projection forming an insertion portion to b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hutt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부는 상기 감지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은 상기 동력부 및 비상문 표시 엘이디들의 전원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방화 셔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detec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the power source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the power unit and emergency door display LEDs.
KR1020100103263A 2010-10-22 2010-10-22 Emergency escape shutter KR1010343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263A KR101034384B1 (en) 2010-10-22 2010-10-22 Emergency escape shu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263A KR101034384B1 (en) 2010-10-22 2010-10-22 Emergency escape shut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384B1 true KR101034384B1 (en) 2011-05-20

Family

ID=4436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263A KR101034384B1 (en) 2010-10-22 2010-10-22 Emergency escape shut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38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499B1 (en) * 2016-05-23 2016-11-10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Fire doors that block of buildings in case of fire flames
KR101890068B1 (en) * 2017-06-01 2018-08-21 김기대 Fire Shutter with LED un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391A (en) * 2002-09-11 2004-03-18 주식회사 엔지넷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eting Service by Using the Internet and Vehicle
JP2005342222A (en) * 2004-06-03 2005-12-1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Fire door
KR200423391Y1 (en) * 2006-05-08 2006-08-07 김명규 A fireproof shutter
KR100983249B1 (en) * 2010-02-16 2010-09-20 강연구 Control apparatus for stopping descent of fire preventing shut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391A (en) * 2002-09-11 2004-03-18 주식회사 엔지넷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eting Service by Using the Internet and Vehicle
JP2005342222A (en) * 2004-06-03 2005-12-1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Fire door
KR200423391Y1 (en) * 2006-05-08 2006-08-07 김명규 A fireproof shutter
KR100983249B1 (en) * 2010-02-16 2010-09-20 강연구 Control apparatus for stopping descent of fire preventing shut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499B1 (en) * 2016-05-23 2016-11-10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Fire doors that block of buildings in case of fire flames
KR101890068B1 (en) * 2017-06-01 2018-08-21 김기대 Fire Shutter with LED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35560A (en) Power source switching method for shutter device, and shutter device
KR101034384B1 (en) Emergency escape shutter
KR20090023572A (en) Obstacle detector for motorized shutter and motorized shutter with obstacle detector
JP2019198640A (en) Fire prevention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fire prevention signal transmission method
JP4986528B2 (en) Shutter device
KR102008096B1 (en)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fire spreading of exterior walls of buildings
KR20180088179A (en) blind of prevention fire
KR101088496B1 (en) Security shutter with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JP2004150096A (en) Opening/closing body control system
KR101034714B1 (en) Fireproof apparatus using material capable of transforming shape
KR101279263B1 (en) Fire alarm device
JP4804084B2 (en) Electric shutter
JP4788337B2 (en) Fireproof and smokeproof shutter device for elevator and elevator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KR20060040092A (en) Fire shutter
JP7066500B2 (en) Waterproof door
JP7066501B2 (en) Waterproof shutter
JP3643611B2 (en) Retractable movable wall made of fireproof sheet
JP2010281061A (en) Shutter device
JP2509151Y2 (en) Shutter safety device
JP6541468B2 (en) Shutter open / close control system
JP3298050B2 (en) Device to prevent pinching when the fire protection shutter descends
JP2019105142A (en) Opening/closing body device
JP6698332B2 (en) Open/close control system
JP6898801B2 (en) Open / close control system
JP4746186B2 (en) Switchg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