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907B1 -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907B1
KR101311907B1 KR1020130041685A KR20130041685A KR101311907B1 KR 101311907 B1 KR101311907 B1 KR 101311907B1 KR 1020130041685 A KR1020130041685 A KR 1020130041685A KR 20130041685 A KR20130041685 A KR 20130041685A KR 101311907 B1 KR101311907 B1 KR 101311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laminate
laminated
stacking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야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야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야호텍
Priority to KR1020130041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2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33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두께 단위의 모터코어 적층체를 공급하는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얇은 판상의 디스크 형태로 제작된 낱장의 모터코어를 다수 적층하여 적층그룹을 형성하고, 그 적층된 적층그룹에서 일정 두께의 단위로 된 적층체로 분리하여 공급하되, 특히 모터코어의 적층 과정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적층체로 분리 및 분리된 적층체를 공급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신속하고 인력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수단의 적층 포스트에 낱장의 코어를 삽입 적층하여 코어 적층그룹을 형성하게 되면 승하강수단 및 분리수단의 분리칼 및 밀착패드부에 의해서 일정 두께 단위로 된 코어 적층체로 분리되며, 분리된 코어 적층체는 이송수단에 의해서 이송되어지는 전 과정이 자동으로 구현되므로 신속하고 인력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적층 포스트의 경우 하측에 구비된 제2회전판 상에 위치하여 최상단 부분이 작업자의 허리 높이 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낱장의 코어를 적층하는 과정이 편리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THE SUPPLY DEVICE OF MOTOR CORE}
본 발명은 일정 두께 단위의 모터코어 적층체를 공급하는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얇은 판상의 디스크 형태로 제작된 낱장의 모터코어를 다수 적층하여 적층그룹을 형성하고, 그 적층된 적층그룹에서 일정 두께의 단위로 된 적층체로 분리하여 공급하되, 특히 모터코어의 적층 과정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적층체로 분리 및 분리된 적층체를 공급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신속하고 인력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모터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으로, 전원의 종별에 따라 직류모터와 교류모터로 구분하고 교류모터는 다시 3상교류용과 단상교류용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상기 전동모터는 코일을 감도록 슬롯을 구비한 코어를 여러 장 적층하여 고정자 혹은 회전자를 구성하고, 코일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석을 구비하거나 또는 자석 없이 적층한 코어를 구비하여 회전자 혹은 고정자를 구성하여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코어는 일정 두께 단위로 여러 장 적층되어서 코어 적층제를 이루며 고정자 혹은 회전자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코어는 얇은 판상의 디스크 형태로 제작되며 이러한 낱장의 코어를 다수 적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코어가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2009-0117301호, 공개특허번호 제2005-0026882호 등에서 제시하고 있으며, 통상 다수 적층된 코어 적층체를 상하측에서 눌러 코킹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각 코어에 형성된 슬릿으로 절연체를 삽입하여서 결합하게 된다.
이렇듯, 상기 적층된 코어를 결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수 제안하고 있으나, 낱장의 코어를 일정 두께 단위로 적층하여 공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폐단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1993-0003497호에서 코어의 적층용 지그를 제안하여 낱장의 코어를 일정 두께 단위로 쉽게 적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낱장의 코어가 일정 두께 단위로 된 코어 적층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얇은 판상의 디스크 형태로 제작된 낱장의 모터코어를 다수 적층하여 적층그룹을 형성하고, 그 적층된 적층그룹에서 일정 두께의 단위로 된 적층체로 분리하여 공급하되, 특히 모터코어의 적층 과정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적층체로 분리 및 분리된 적층체를 공급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신속하고 인력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가장자리에는 방사상 형태로 반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1회전판과, 상기 제1회전판 하측에서 연결체를 매개로 연결되며 가장자리에는 상기 반홈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안치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치부의 양 측면에는 슬릿공이 형성된 제2회전판과, 상기 제2회전판에 형성된 안치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서 상측에 구비된 제1회전판의 반홈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어서 낱장의 코어가 다수 삽입 적층되어 코어 적층그룹을 이루도록 하는 적층 포스트로 이루어지는 코어 적층수단;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상기 코어 적층수단을 회전 작동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코어 적층수단 일측에서 적층된 코어 적층그룹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하강수단;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주를 매개로 설치되어서 상기 승하강수단이 상승시키는 코어 적층그룹의 높이를 센싱하여 상승 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코어 적층그룹에서 일정 두께 단위로 된 코어 적층체로 분리하는 분리수단; 및 상기 분리수단 일측에서 상기 코어 적층그룹에서 분리된 상기 코어 적층체를 파지하여서 외부로 운반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적층 포스트의 일측면에는 낱장의 코어 내면에 형성된 슬릿이 가이드되어 삽입 적층될 수 있도록 레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지주에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되는 조절봉을 구비하는 제1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 적층수단에 적층된 코어 적층그룹의 일측면을 향해 인출되어 밀착되는 밀착패드부로 이루어진 밀착부재;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지주를 매개로 상기 밀착부재와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는 곳에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되는 조절봉을 구비하는 제2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 적층수단에 적층된 코어의 타측면을 향해 인출되어 코어 적층그룹에서 일정 두께 단위의 코어 적층체로 분리하는 분리칼로 이루어진 분리부재; 및 상기 제1 혹은 제2지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서 승하강수단이 상승시키는 코어 적층그룹의 높이를 센싱하여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수단의 적층 포스트에 낱장의 코어를 삽입 적층하여 코어 적층그룹을 형성하게 되면 승하강수단 및 분리수단의 분리칼 및 밀착패드부에 의해서 일정 두께 단위로 된 코어 적층체로 분리되며, 분리된 코어 적층체는 이송수단에 의해서 이송되어지는 전 과정이 자동으로 구현되므로 신속하고 인력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적층 포스트의 경우 하측에 구비된 제2회전판 상에 위치하여 최상단 부분이 작업자의 허리 높이 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낱장의 코어를 적층하는 과정이 편리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 적층수단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 적층수단을 보인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수단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수단 및 승하강수단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수단 및 승하강수단의 작동관계를 보인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9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수단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나"는 개략적 평면도이며, "다"는 개략적 측면도.
도 10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을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D-D선 단면도.
도 11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는 크게 프레임(100), 코어 적층수단(200), 회전수단(300), 승하강수단(400), 분리수단(500) 및 이송수단(600)을 포함하고, 이송콘베어(700)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의 각 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상 및 구성은 설치 장소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수단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지주(1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코어 적층수단(2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낱장의 모터 코어(10)가 다수 적층된 코어 적층그룹(20)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의 적층 포스트(230)를 구비하여 각 포스트(230) 마다 낱장의 모터 코어(10)가 삽입 적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코어 적층수단(200)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수단(3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서 상기 코어 적층수단(200)을 회전 작동시키는 것으로, 미부호 설명인 회전 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다수의 적층 포스트(230)에 적층된 코어 적층그룹(20)이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회전 작동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승하강수단(400)은 상기 코어 적층수단(200) 일측에서 적층된 코어 적층그룹(20)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것으로, 이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 또한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수단(5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주(110)를 매개로 설치되어서 상기 승하강수단(400)이 상승시키는 코어 적층그룹(20)의 높이를 센싱하여 상승 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코어 적층그룹(20)에서 일정 두께 단위로 된 코어 적층체(30)로 분리하는 것으로, 이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 또한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이송수단(600)은 상기 분리수단(500) 상측에서 상기 코어 적층그룹(20)에서 분리된 상기 코어 적층체(30)를 파지하여서 외부로 운반하는 것으로, 이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 또한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타측에는 상기 이송수단(600)에서 운반되어지는 코어 적층체(30)를 공급 받아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콘베어(70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이송콘베어(700) 일측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코어 적층체(30)의 높낮이를 다시 센싱하여서 상기 분리수단(500)에서 분리된 코어 적층체(30)가 동일한 높낮이로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높낮이가 다른 코어 적층체(30)에는 새로운 낱장의 코어를 공급하거나 반대로 분리하여서 요구되는 두께 단위의 코어 적층체(30)가 될 수 있도록 최종적으로 점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모터 코어(10)는 코일을 감도록 슬롯을 구비한 형상으로 여러 장 적층되어서 전동모터의 고정자 혹은 회전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이미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에서 간략하게 살펴본 각 수단의 더욱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 적층수단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 적층수단을 보인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코어 적층수단(200)은 크게 제1회전판(210), 제2회전판(220) 및 적층 포스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회전판(210)은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프레임(100) 상면 일측에서 가운데 부분이 회전수단(300)과 연결되어 회전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가장자리에는 방사상 형태로 반홈(21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회전판(220)은 상기 제1회전판(210) 하측에서 연결체(226)를 매개로 연결되어서 같이 회전 작동되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반홈(212)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안치부(222)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치부(222)의 양 측면에는 슬릿공(224)이 형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적층 포스트(230)는 상기 제2회전판(220)에 형성된 안치부(222)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서 상측에 구비된 제1회전판(210)의 반홈(212)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어 제1회전판(210)에 간섭 받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적층 포스트(230)의 일면에는 낱장의 코어(10) 내면에 형성된 슬릿(12)이 가이드되면서 삽입 적층될 수 있도록 레일부(232)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적층 포스트(230)에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낱장의 코어(10)가 다수 삽입 적층되어 코어 적층그룹(20)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적층 포스트(230)는 상기 제1회전판(210) 하측에 구비된 제2회전판(220)에서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적층 포스트(230)의 최상단 끝부분이 작업자의 허리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최초 적층 포스트(230)로 낱장의 코어(1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신속하고 편리한 작업상 이점이 발생하게 된다. 만약, 상기 회전판을 제1,2회전판(210,220)으로 분리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제1회전판(210)으로 구성하여 그 상부에 적층 포스트(230)를 구비하게 되면 상기 적층 포스트(230)의 최상단 끝부분이 작업자의 얼굴 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최초 낱장 코어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노동력이 요구되는 등 작업이 원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수단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승하강수단(400)은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레일(412)이 형성된 가이드판(410)과, 상기 가이드판(410)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볼트봉(420)과, 상기 볼트봉(420)을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회전모터(430) 및 상기 볼트봉(420)에 측면에 구비된 너트부(442)를 매개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이드판(410)의 레일(412)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봉(420)의 회전 작동으로 인해 승하강 작동되며, 전측에는 적층수단(200)의 적층 포스트(230)에 적층된 코어 적층그룹(20)을 하측에서 지지하여 승하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지지부(444)가 형성된 지지판(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적층수단(200) 및 승하강수단(400)은 하기와 같이 작동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수단 및 승하강수단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수단 및 승하강수단의 작동관계를 보인 도 6의 C-C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로 하면, 적층수단(200)의 각 적층 포스트(230)에는 낱장의 코어(10)가 다수 삽입되어져 코어 적층그룹(20)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적층수단(200)의 일측에 구비된 승하강수단(400)의 지지판(440)은 상기의 각 적층 포스트(230) 중 후측에 구비된 하나의 적층 포스트(230)에 적층된 코어 적층그룹(20)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상기 지지판(440)은 상기 적층수단(200)의 제2회전판(220) 하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수단(400)의 회전모터(430)(여기서는 미도시)의 작동으로 인해 지지판(440)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지지판(440)에 구비된 지지부(444)는 적층수단(200)의 제2회전판(220)에 구비된 안치부(222)의 양 측에 형성된 슬릿공(224)을 통해 상승하면서 적층 포스트(230)에 적층된 코어 적층그룹(20)을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코어 적층그룹(20)이 상승하게 되면 후술할 분리수단(500) 및 이송수단(600)이 다시 일정 두께 단위로 된 코어 적층체(30)로 분리하여 이송하게 되는데, 상기 적층 포스트(230)에 적층된 코어 적층그룹(20)이 소진되면 상기 적층수단(200)의 제1회전판(210)은 회전수단(300)을 매개로 회전 작동되어 그 일측에 구비된 새로운 적층 포스트(230)에 적층된 코어 적층그룹(20)이 상기 승하강수단(400)의 지지판(440)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계속해서 공급될 수 있도록 된다. 이러한 회전 작동에 의해 코어(10)가 소진된 적층 포스트(230)는 상기 승하강수단(400) 일측으로 위치가 이동되면 새로운 낱장의 코어(10)를 작업자가 적층하게 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수단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분리수단(500)은 크게 밀착부재(510), 분리부재(520) 및 센서(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밀착부재(510)는 여기서는 미도시 된 프레임(100)에 구비된 지주(110)에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되는 조절봉(512)을 구비하는 제1지지체(511) 및 상기 제1지지체(511)의 조절봉(512)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 적층수단(200)에 적층된 코어 적층그룹(20)의 일측면을 향해 인출되어 밀착되는 밀착패드부(513)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패드부(513)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유압 혹은 공압으로 동작되는 실린더(514)에 설치되어서 인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부재(520)는 상기 프레임(100)에 구비된 지주(110)를 매개로 상기 밀착부재(510)와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는 곳에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되는 조절봉(522)을 구비하는 제2지지체(521) 및 상기 제2지지체(521)의 조절봉(522)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 적층수단(200)에 적층된 코어 적층그룹(20)의 타측면을 향해 인출되어 코어 적층그룹(20)에서 일정 두께 단위의 코어 적층체(30)로 분리하는 분리칼(523)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칼(523) 또한 개략적으로 도시된 유압 혹은 공압으로 동작되는 실린더(524)에 설치되어서 인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리칼(523)은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되어서 적층된 코어 사이로 쉽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센서(530)는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혹은 제2지지체(511,521)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되 상기 분리칼(523) 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서 여기서는 미도시 된 승하강수단(400)이 상승시키는 코어 적층그룹(20)의 높이를 센싱하여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센서(530) 역시 높낮이 조절체(532)에 설치되어서 상기 조절봉(512,522)의 높낮이 동작과 별개로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센서(530)와 분리칼(523) 사이 공간이 적층된 코어 적층그룹(20)에서 일정 두께 단위로 분리될 코어 적층체(30)의 두께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며, 센서(530)와 분리칼(523)은 각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요구되는 코어 적층체(30)의 두께에 따라 조절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렇게 구성된 분리수단(500)은 하기와 같이 작동된다.
도 9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수단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나"는 개략적 평면도이며, "다"는 개략적 측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적층수단(200)의 적층 포스트(230) 상부 양 측에 대칭되게 설치된 분리수단(500)의 밀착부재(510)와 분리부재(520)에 설치된 센서(530)는 승하강수단(400)의 지지판(440)이 상승 동작에 의해 상승시키는 코어 적층그룹(20)의 상면이 센싱되면 승하강수단(400)의 상승 동작을 멈추도록 한다.
그런 뒤, "나"와 같이 밀착부재(510)의 밀착패드부(513)와 분리부재(520)의 분리칼(523)은 대각선 방향(사선 방향)에서 동시에 중심부를 향해 인출 작동되면서 상기 밀착패드부(513)는 코어 적층그룹(20)의 일측면을 밀착하고, 분리칼(523)은 코어 적층그룹(20)의 타측면을 향해 인출되는 과정에서 그 끝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적층된 코어(10) 사이로 삽입될 것이다.
그런 뒤, "다"와 같이 승하강수단(400)의 지지판(440)이 하강 동작을 하게 되면 분리칼(523) 상측에 안치된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하강되며, 결국 코어 적층그룹(20)에서 일정 두께를 가진 코어 적층체(30)를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분리칼(523)의 끝부분과 밀착패드부(513)의 하면이 거의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하게 되며, 요구되는 코어 적층체(30)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 조절 즉, 센서(530)와 밀착패드부(513) 및 분리칼(523)의 사이 공간 조절을 통해서 새롭게 셋팅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0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을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D-D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이송수단(600)은 전술한 분리수단(500)에서 분리한 코어 적층체(30)를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 바(610), 상기 가이드 바(610)에 구비되는 볼트봉(620), 상기 볼트봉(62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630), 상기 볼트봉(620)에 너트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이동체(640), 상기 이동체(640)에 설치되며 유압 혹은 공압으로 동작되는 상하실린더(650), 상기 상하실린더(650)의 하측에 설치되는 이동판(660), 상기 이동판(660) 하측에 설치되어서 상하실린더(650)의 상하 인출 동작에 의해 상하 이동되면서 양 측으로 인출 작동되는 실린더 축을 가지는 좌우실린더(670), 상기 좌우실린더(670)의 실린더 축에 설치되어서 좌우 이동되면서 코어 적층체(30)의 양 측면을 파지하는 파지부재(680) 및 상기 이동판(660) 하측에 스프링(692)을 매개로 탄성 지지되어 있되 가운데 부분에는 관통공(694)이 형성되어 코어 적층체(30)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판(6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이송수단(600)은 하기와 같이 작동된다.
도 11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파선으로 도시된 분리수단(500)의 분리칼(523) 및 밀착패드부(513)에 의해서 코어 적층그룹(20)으로부터 분리된 코어 적층체(30)의 상측에서 이송수단(600)의 상하실린더(650)의 하향 인출 동작에 의해 이동판(660), 상기 이동판(660)에 설치된 좌우실린더(670), 파지부재(680) 및 가압판(690)이 하향되고, 곧 상기 가압판(690)이 코어 적층체(30)의 상면에 닿아서 밀착하게 되고, 좌우실린더(670)에 구비된 파지부재(680)가 코어 적층체(30)의 양 측을 파지함과 동시에 "나"와 같이 상하실린더(650)의 상향 동작에 의해 코어 적층체(30)를 분리수단(500)으로부터 분리한 뒤 볼트봉(620)의 회전 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하여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압판(690)의 가운데 부분에는 관통공(694)이 형성되어 있어 하향 동작시 적층 포스트(230)에 간섭 받지 않고 일정 거리 하향 동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고 분리수단(500)의 분리칼(523) 및 밀착패드부(513)는 코어 적층체(30)의 모서리 부분에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파지부재(680)의 파지 동작에 간섭하지 않게 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이송수단(600)의 하향 동작을 분리수단(500)이 분리한 뒤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작동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예컨대 승하강수단(400)이 코어 적층그룹(20)을 상승시키기 전 먼저 이송수단(600)이 하향 동작하여서 적층 포스트(230) 상측에 대기하고 있다가 승하강수단(400)에 의해서 상승하는 코어 적층그룹(20)의 상면을 가압판(690)에 닿도록 한 다음 분리수단(500)을 동작시켜서 분리하고 파지부재(680)가 분리된 코어 적층체(30)를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방식으로 작동 순서는 변경될 수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이렇듯, 적층수단(200)의 적층 포스트(230)에 낱장의 코어를 삽입 적층하여 코어 적층그룹(20)을 형성하게 되면 승하강수단(400) 및 분리수단(500)의 분리칼(523) 및 밀착패드부(513)에 의해서 일정 두께 단위로 된 코어 적층체(30)로 분리되며, 분리된 코어 적층체(30)는 이송수단(600)에 의해서 이송되어지는 전 과정이 자동으로 구현되므로 신속하고 인력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적층 포스트(230)의 경우 하측에 구비된 제2회전판(220) 상에 위치하여 최상단 부분이 작업자의 허리 높이 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낱장의 코어를 적층하는 과정이 편리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코어 20 : 코어 적층그룹
30 : 코어 적층체 100 : 프레임
110 : 지주 200 : 적층수단
210 : 제1회전판 212 : 반홈
220 : 제2회전판 222 : 안치부
224 : 슬릿공 226 : 연결체
230 : 적층 포스트 232 : 레일부
300 : 회전수단 400 : 승하강수단
410 : 가이드판 412 : 레일
420 : 볼트봉 430 : 회전모터
440 : 지지판 442 : 너트부
444 : 지지부 500 : 분리수단
510 : 밀착부재 511 : 제1지지체
512 : 조절봉 513 : 밀착패드부
514,524 : 실린더 520 : 분리부재
521 : 제2지지체 522 : 조절봉
523 : 분리칼 530 : 센서
532 : 조절체 600 : 이송수단
610 : 가이드 바 620 : 볼트봉
630 : 회전모터 640 : 이동체
650 : 상하실린더 660 : 이동판
670 : 좌우실린더 680 : 파지부재
690 : 가압판 692 : 스프링
694 : 관통공 700 : 이송콘베어

Claims (4)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가장자리에는 방사상 형태로 반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1회전판과, 상기 제1회전판 하측에서 연결체를 매개로 연결되며 가장자리에는 상기 반홈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안치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치부의 양 측면에는 슬릿공이 형성된 제2회전판과, 상기 제2회전판에 형성된 안치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서 상측에 구비된 제1회전판의 반홈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어서 낱장의 코어가 다수 삽입 적층되어 코어 적층그룹을 이루도록 하는 적층 포스트로 이루어지는 코어 적층수단;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상기 코어 적층수단을 회전 작동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코어 적층수단 일측에서 적층된 코어 적층그룹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하강수단;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주를 매개로 설치되어서 상기 승하강수단이 상승시키는 코어 적층그룹의 높이를 센싱하여 상승 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코어 적층그룹에서 일정 두께 단위로 된 코어 적층체로 분리하는 분리수단; 및
    상기 분리수단 일측에서 상기 코어 적층그룹에서 분리된 상기 코어 적층체를 파지하여서 외부로 운반하는 이송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포스트의 일측면에는 낱장의 코어 내면에 형성된 슬릿이 가이드되어 삽입 적층될 수 있도록 레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지주에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되는 조절봉을 구비하는 제1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 적층수단에 적층된 코어 적층그룹의 일측면을 향해 인출되어 밀착되는 밀착패드부로 이루어진 밀착부재;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지주를 매개로 상기 밀착부재와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는 곳에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되는 조절봉을 구비하는 제2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 적층수단에 적층된 코어의 타측면을 향해 인출되어 코어 적층그룹에서 일정 두께 단위의 코어 적층체로 분리하는 분리칼로 이루어진 분리부재; 및
    상기 제1 혹은 제2지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서 승하강수단이 상승시키는 코어 적층그룹의 높이를 센싱하여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
KR1020130041685A 2013-04-16 2013-04-16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 KR101311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685A KR101311907B1 (ko) 2013-04-16 2013-04-16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685A KR101311907B1 (ko) 2013-04-16 2013-04-16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907B1 true KR101311907B1 (ko) 2013-09-26

Family

ID=4945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685A KR101311907B1 (ko) 2013-04-16 2013-04-16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9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003B1 (ko) 2013-04-02 2015-01-29 주식회사 대곤코퍼레이션 전동기 고정자 철심 자동 적층 장치
CN107834789A (zh) * 2017-12-10 2018-03-23 惠州市精准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转子自动叠压设备
CN108045889A (zh) * 2017-12-20 2018-05-18 无锡特恒科技有限公司 铁芯柱形上料机构
KR20190135280A (ko) * 2018-05-28 2019-12-06 (주)항남 적층 코어의 반제품 제조 장치
KR20190135281A (ko) * 2018-05-28 2019-12-06 (주)항남 적층 코어 제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3835A (ja) * 2002-06-13 2004-01-22 Denso Corp 平板積層品の製造装置
JP2004055573A (ja) * 2002-07-16 2004-02-19 Denso Corp 積層コア製造装置および積層コア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3835A (ja) * 2002-06-13 2004-01-22 Denso Corp 平板積層品の製造装置
JP2004055573A (ja) * 2002-07-16 2004-02-19 Denso Corp 積層コア製造装置および積層コア製造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003B1 (ko) 2013-04-02 2015-01-29 주식회사 대곤코퍼레이션 전동기 고정자 철심 자동 적층 장치
CN107834789A (zh) * 2017-12-10 2018-03-23 惠州市精准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转子自动叠压设备
CN107834789B (zh) * 2017-12-10 2023-11-17 惠州市精准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转子自动叠压设备
CN108045889A (zh) * 2017-12-20 2018-05-18 无锡特恒科技有限公司 铁芯柱形上料机构
KR20190135280A (ko) * 2018-05-28 2019-12-06 (주)항남 적층 코어의 반제품 제조 장치
KR20190135281A (ko) * 2018-05-28 2019-12-06 (주)항남 적층 코어 제조 장치
KR102067336B1 (ko) * 2018-05-28 2020-01-15 (주)항남 적층 코어의 반제품 제조 장치
KR102069972B1 (ko) * 2018-05-28 2020-01-23 (주)항남 적층 코어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907B1 (ko) 모터코어의 적층 공급장치
WO2020107963A1 (zh) 一种变压器铁芯自动叠装生产装置
JP2019193777A (ja) スプリングファスナーの全自動組立機
CN108666126B (zh) 电力变压器硅钢片铁芯的高效自动叠片装置及方法
KR102043902B1 (ko) 이차전지용 전극적층장치
CN109087803B (zh) 一种变压器铁芯自动叠片装置
CN111276327A (zh) 一种硅钢片铁芯自动叠装机
CN115548412A (zh) 一种锂电池贴胶装置及其贴胶方法
CN109003803B (zh) 基于多机械臂协同的电力变压器硅钢片自动叠片生产系统的送料装置
CN106783708A (zh) 太阳能电池组件层压工艺中玻璃片上料装置
KR20140031735A (ko) 카메라를 이용한 변압기 철심 자동 적층 장치
CN213042789U (zh) 铁芯叠片生产用自动矫正装置
CN203944537U (zh) 一种电机转子片自动涂胶生产线
CN212625158U (zh) 一种硅钢片铁芯自动叠装机
CN102514941A (zh) 蜂窝芯半格结构层叠方法及装置
CN109003804B (zh) 基于多机械臂协同的电力变压器硅钢片自动叠片生产系统
CN206415856U (zh) 一种变电站变压器用铁芯铁厄片自动拆装设备
KR20150049627A (ko) 수직식 스탭랩 스태커
CN113675481B (zh) 极片叠片装置及叠片设备
CN212734234U (zh) 一种片体的钻孔收集一体化设备
CN213752343U (zh) 一种变压器铁芯硅钢片码放用箱体及推送装置
CN106357064B (zh) 一种电机冲片供片装置
CN213988584U (zh) 一种用于变压器铁芯硅钢片的错位叠放装置
KR102176213B1 (ko) 태빙장치
CN107887150A (zh) 一种含有三相三柱铁芯的配电网变压器自动化制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