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189B1 -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189B1
KR101311189B1 KR1020110141323A KR20110141323A KR101311189B1 KR 101311189 B1 KR101311189 B1 KR 101311189B1 KR 1020110141323 A KR1020110141323 A KR 1020110141323A KR 20110141323 A KR20110141323 A KR 20110141323A KR 101311189 B1 KR101311189 B1 KR 101311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mer composition
silicone polymer
parts
sil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469A (ko
Inventor
강윤정
Original Assignee
강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정 filed Critical 강윤정
Priority to KR1020110141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189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1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14Macromolecular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방화재에 적합한 높은 물성을 가지면서도 제조 및 성형이 용이한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Silicon polymer composition for fireproofing material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방화재에 적합한 높은 물성을 가지면서도 제조 및 성형이 용이한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현재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거의 모든 내·외장용 건축자재는 화학제를 혼합하여 제조되고 있는 화학제품으로서, 특수한 용도로서 난연건재(방화재, 난연재, 준불연재, 불연재), 방화피난재, 공해 방지용재, 방수재, 방부 및 방식재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흡음, 단열, 내화, 결로방지 등의 목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내·외장재용의 구성원료는 유리면, 암면, 세라믹 파이버, 셀룰로오스 등의 섬유상 물질과 목분을 이용한 합성목재, 기타 복합건축자재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조립식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패널로는 EPS, 우레탄, MDF, 그라스울, 콘크리트 PC, ALC 패널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축자재의 내·외장재는 각각 환경오염, 화재에 대한 취약성, 연소에 의한 유독가스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재발생의 취약성과 연소성에 대한 유독가스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용제의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으나 그 실효성에서는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으며, 특히 방화재에 적합한 화염확산도, 내화성능, 연기기발생지수 등의 물성을 가지면서도 제조 및 성형이 용이하여 다양한 방화재에 상업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화재용 조성물은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낮은 화염확산도와 방화재에 적합한 높은 물성을 가지면서도 제조 및 성형이 용이한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 50 ~ 70 중량%, 실리콘 디옥사이드 10 ~ 30 중량%, 석영파우더 10 ~ 30 중량%를 포함하는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마스터배치 10 ~ 20 중량부, 부가반응 촉매 1 ~ 3000ppm 및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Si-H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5 ~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ⅰ) 실리콘수지 50 ~ 70 중량%, 실리콘 디옥사이드 10 ~ 30 중량%, 석영파우더 10 ~ 30 중량%를 혼합하여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ⅱ) 상기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를 10 ~ 20 중량부 투입하여 혼련하는 단계; 및 ⅲ) 상기 혼련물에 부가반응 촉매 1 ~ 3,000 ppm, 1 분자 중 2개 이상의 Si-H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히드로젠폴리실록산 5 ~ 20 중량부 투입하여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조방법은 ⅳ)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형틀에 균일하게 투입하여 24시간 양생한 후에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0~100,000 g/mol, 비닐기 함량은 0.2 ~ 5몰%, 점도는 0.2 ~ 200 Pas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리콘 디옥사이드의 B.E.T는 100 ~ 3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ⅰ) 단계의 컴파운딩은 100~200℃에서 5~6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본 블랙 마스터 배치는 카본블랙 25 ~ 40 중량%, 실리콘수지25 ~ 40 중량% 및 유기용매 25 ~ 40중량%를 혼련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ⅱ) 단계의 혼련은 30 ~ 40℃에서 30 ~ 45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가반응 촉매는 백금흑, 염화 제2백금, 염화 백금산, 염화 백금산과 1가 알코올의 반응물, 염화백금산과 올레핀류의 착제, 백금비스아세토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백금계 촉매 또는 팔라듐계 촉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이 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1,3,5,7- 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메틸히드로젠실록산 환상 중합체, 메틸히드로젠실록산디메틸실록산 환상 공중합체, 트리스(디메틸히드로젠실록시)메틸실란, 트리스(디메틸히드로젠실록시)페닐실란, 양쪽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메틸히드로젠폴리실록산디페닐실록산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은 방화재에 적합한 물성을 가지면서도 제조 및 성형이 용이하여 다양한 방화재에 상업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화재용 액상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은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 50 ~ 70 중량%, 실리콘 디옥사이드 10 ~ 30 중량%, 석영파우더 10 ~ 30 중량%를 포함하는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마스터배치 10 ~ 20 중량부, 부가반응 촉매 1 ~ 3000ppm 및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Si-H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5 ~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하는 본 발명의 각 성분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는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 실리콘디옥사이드, 석영파우더를 첨가해서 컴파운딩 함으로써, 기계적 물성(경도)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100,000g/mol이며, 비닐기 함량이 0.2 ~ 5 몰%, 점도는 0.2 ~ 200 Pas인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기 함량이 0.2 몰% 미만인 경우 고무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며, 비닐기 함량이 5 몰% 초과인 경우 반발탄성이 높아져 성형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디옥사이드는 경도와 같은 물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B.E.T가 100 ~ 300㎡/g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최적의 경도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리콘 디옥사이드의 함량은 10 ~ 3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 경도가 떨어지며, 30 중량% 초과인 경우 경도가 너무 높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는 분산성이 우수한 배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그 함량은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본 블랙 마스터 배치는 카본블랙 25 ~ 40 중량%, 실리콘수지 25 ~ 40 중량% 및 유기용매 25 ~ 40중량%를 혼련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실리콘 수지는 상기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와 동일 또는 상이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100,000g/mol이며, 비닐기 함량이 0.2 ~ 5몰%, 점도는 0.2 ~ 200 Pas인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은 다양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캐보트사의 발칸 XC-72, 덴카 블랙사의 HS-100, 아사히 카본사의 케첸 블랙 인터콘티넨탈사의 EC - 600J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반응 촉매로는 백금흑, 염화 제2백금, 염화 백금산, 염화 백금산과 1가 알코올의 반응물, 염화백금산과 올레핀류의 착제, 백금비스아세토아세테이트 등의 백금계 촉매 또는 팔라듐계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제품명으로는 UMICORE사의 PLATINUM DIVINYL TETRAMETHYLDISILOXA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가반응 촉매의 함량은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3000ppm, 특히 1 내지 1000ppm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은 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1,3,5,7- 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메틸히드로젠실록산 환상 중합체, 메틸히드로젠실록산디메틸실록산 환상 공중합체, 트리스(디메틸히드로젠실록시)메틸실란, 트리스(디메틸히드로젠실록시)페닐실란, 양쪽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메틸히드로젠폴리실록산디페닐실록산공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품명으로는 MPM사의 TSF-484, DOWCORNING사의 DC-1107, BRB사의 AC-3327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르가노히드로젠폴리실록산배합량은 실리콘 컴파운드 배합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 ~ 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이거나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충분한 고무 물성을 확보할 수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반도전성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화재용 액상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ⅰ) 실리콘수지 50 ~ 70 중량%, 실리콘 디옥사이드 10 ~ 30 중량%, 석영파우더 10 ~ 30 중량%를 혼합하여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ⅱ) 상기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를 10 ~ 20 중량부 투입하여 혼련하는 단계; 및 ⅲ) 상기 혼련물에 부가반응 촉매 1 ~ 3,000 ppm, 1 분자 중 2개 이상의 Si-H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히드로젠폴리실록산 5 ~ 20 중량부 투입하여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카본 블랙 파우더를 마스터 뱃치화 함으로 분산성이 우수하다.
상기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제조방법은 ⅳ)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형틀에 균일하게 투입하여 24시간 양생한 후에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방화재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각 단계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를 먼저 컴파운딩 한 후,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를 추가로 혼련하고, 이후 부가 반응형 촉매와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규소 원자와 결합하는 수소 원자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히드로젠포리실록산을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써 방화재용 액상 실리콘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ⅰ) 단계의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 100,000g/mol이며, 비닐기 함량이 0.2 ~ 5몰%, 점도는 0.2 ~ 200 Pas인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컴파운딩한다. 이때 컴파운딩 조건은 100 ~ 200℃에서 5 ~ 6시간 동안 컴파운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컴파운딩 시간이 5시간 미만일 경우 VOC가 많이 발생하여 방화재용 실리콘 고무 소재로 사용할 경우 마이그레이션(MIGRATION) 현상이 발생하여 난연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6시간 초과인 경우 더 이상 VOC 저분자 물질이 줄어드는 효과가 거의 없다.
상기 ⅱ) 단계는 상기 컴파운딩된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에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를 첨가하여 혼련하는 단계로, 이러한 혼련과정을 거침으로써 본 발명에 필요한 조색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혼련은 30 ~ 40℃에서 30 ~ 45 분간 이루어지는 것이 조색의 균일성을 달성하기에 바람직하며, 상기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는 카본블랙 25 ~ 40 중량%, 실리콘수지25 ~ 40 중량% 및 유기용매 25 ~ 40중량%를 혼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ⅲ) 단계에서는 제품을 성형하기 위하여 부가반응 촉매 1 - 3,000 ppm, 1 분자 중 2개 이상의 Si-H를 함유하는 오르가노 히드로젠폴리실록산 5 ~20 중량부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로, 믹서기 또는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련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일 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물성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화염확산도(Flame Spread Classification) : UL 723, ASNI/NFPA NO.255, AND UBC No. 8-1에 의해 평가하였다. 단위는 (MINUTES)이다.
2) 연기발생지수(Smoke Developed Index) : UL 723, ASNI/NFPA NO.255, AND UBC No. 8-1에 의해 평가하였다. 단위는 (MINUTES)이다.
3) 내화성능시험 :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864호에 의해 평가하였다. 단위는 (MINUTES)이다.
4) 산소지수 : KS M ISO 4589-2: 2001(플라스틱-산소지수에 의한 연소거동의 측정-제2부 상온 시험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단위는 %이다.
[제조예 1]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 (A)의 제조
중량평균분자량이 60,000g/mol이고, 비닐기 함량이 4몰%인 (주)HRS의 HR-U 10,000 60중량%를 30분간 믹싱하였다. 상기 실리콘 폴리머 수지 조성물에 실리콘디옥사이드 (EVONIC사 B.E.T: 300㎡/g) 20중량%, 석영파우더 20중량%를 200℃에서 6시간 컴파운딩 하였다.
[ 제조예 2]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B)의 제조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g/mol이고, 비닐기 함량이 3몰%인 주)HRS의HR- U (10,000) 50중량%와 중량 분자량이 10,000g/mol이고, 비닐기 함량이 5몰%이며, (주)HRS사의 HR-U(65,000) 10중량%를 30분간 믹싱하였다. 상기 실리콘 폴리머 수지 수지 조성물에 실리콘 디옥사이드(EVONIC사 B.E.T: 300㎡/g) 20중량%, 석영파우더 20중량%를 200℃에서 6시간 컴파운딩 하였다
[ 제조예 3]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C)의 제조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g/mol이고, 비닐기 함량이 3몰%인 (주)HRS의HR- U(10,000) 40중량%와 중량 분자량이 100,000g/mol이고, 비닐기 함량이 0.5 몰%인 HR-U(65,000) 20중량%를 30분간 믹싱하였다. 상기 실리콘 폴리머 수지 조성물에 실리카분말(EVONIC사 B.E.T: 300㎡/g) 20 중량%, 석영파우더 20중량%를 200℃에서 6시간 컴파운딩 하였다.
[ 제조예 4] 카본블랙 마스터배치의 제조
혼합기(DISSOLVER, Thiele Technologies , Vacuum Planetary Mixer 10)에 실리콘수지로 중량 분자량이 10,000g/mol이고, 비닐기 함량이 5몰%이며, (주)HRS사의 HR-U(65,000)를 10kg를 투입 후, 상기 실리콘수지 10kg에 대해 톨루엔 10kg를 투입하여 상기 실리콘 수지가 상기 유기 용제에 완전히 분산되도록 30℃에서 10분간 혼련 하였다.(제1공정)
다음으로 상기 제1공정 혼합물에 카본 블랙(캐보트사, 발칸 XC-72) 10kg를 투입하여 혼합한다.(제2 공정) 이때, 제2 공정에서 투입되는 카본 블랙은 실리콘 수지의 흐름성을 저하시키고 점도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카본 블랙이 실리콘 수지와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분할 투입하였다. 초기에는 카본 블랙의 수량을 2kg 투입 후 완전 믹싱 후 1.2kg, 1.0kg, 0.8kg, 0.6, 0.4kg의 순으로 분산되면 다음 카본 투입량을 분할 투입하여 30℃에서 30분간 혼련하여 액상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다.
상기 용제는 휘발성이 있으므로 공정 수행 중에 유기 용제의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2공정 이후에 상기 제2공정의 혼합물을 칭량하여 증발된 유기 용제의 양을 보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카본 블랙의 마스터 배치는 화학적 안정을 유지하고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폴리에틸렌 용기에 담아서 보관하였다.
[ 실시예 1] 실시예 1의 제조 및 물성 평가
혼합기(DISSOLVER)에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 (A) 100중량부, 카본 블랙 마스터 배치(30%)를 10중량부를 투입하고 40℃에서 20분간 혼련하여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련물에 부가반응 촉매 800PPM,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10중량부를 첨가하여 40℃에서 30분간 혼련하여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514(mm)*7320(mm)*51.4(mm) 크기의 시험용 형틀에 균일하게 투입하여 화염확산도와 연기발생지수를 측정하고,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2000(mm)×너비 200(mm)×깊이 150 (mm) 시험체에 투입하여 24시간 양생한 후에 내화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150(mm)×너비 10(mm)×깊이 10 (mm) 시험체에 투입하여 120시간 양생한 후에 산소지수 테스트를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2] 실시예 2의 제조 및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30%)의 함량을 1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514(mm)*7320(mm)*51.4(mm) 크기의 시험용 형틀에 균일하게 투입하여 화염확산도와 연기발생지수를 측정하고,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2000(mm)×너비 200(mm)×깊이 150 (mm) 시험체에 투입하여 24시간 양생한 후에 내화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150(mm)×너비 10(mm)×깊이 10 (mm) 시험체에 투입하여 120시간 양생한 후에 산소지수 테스트를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3] 실시예 3의 제조 및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의 함량을 2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514(mm)*7320(mm)*51.4(mm) 크기의 시험용 형틀에 균일하게 투입하여 화염확산도와 연기발생지수를 측정하고,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2000(mm)×너비 200(mm)×깊이 150 (mm) 시험체에 투입하여 24시간 양생한 후에 내화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150(mm)×너비 10(mm)×깊이 10 (mm) 시험체에 투입하여 120시간 양생한 후에 산소지수 테스트를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4] 실시예 4의 제조 및 물성 평가
혼합기(DISSOLVER)에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 (A) 100중량부, 카본 블랙 마스터 배치(30%)를 10중량부를 투입하고 40℃에서 20분간 혼련하여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련물에 부가반응 촉매 800PPM,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10중량부를 첨가하여 40℃에서 30분간 혼련하여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514(mm)*7320(mm)*51.4(mm) 크기의 시험용 형틀에 균일하게 투입하여 화염확산도와 연기발생지수를 측정하고,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2000(mm)×너비 200(mm)×깊이 150 (mm) 시험체에 투입하여 24시간 양생한 후에 내화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150(mm)×너비 10(mm)×깊이 10 (mm) 시험체에 투입하여 120시간 양생한 후에 산소지수 테스트를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5] 실시예 5의 제조 및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4에서 카본블랙 마스터배치(30%)의 함량을 1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514(mm)*7320(mm)*51.4(mm) 크기의 시험용 형틀에 균일하게 투입하여 화염확산도와 연기발생지수를 측정하고,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2000(mm)×너비 200(mm)×깊이 150 (mm) 시험체에 투입하여 24시간 양생한 후에 내화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150(mm)×너비 10(mm)×깊이 10 (mm) 시험체에 투입하여 120시간 양생한 후에 산소지수 테스트를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6] 실시예 6의 제조 및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4에서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30%)의 함량을 2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514(mm)*7320(mm)*51.4(mm) 크기의 시험용 형틀에 균일하게 투입하여 화염확산도와 연기발생지수를 측정하고,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2000(mm)×너비 200(mm)×깊이 150(mm) 시험체에 투입하여 24시간 양생한 후에 내화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150(mm)×너비 10(mm)×깊이 10(mm) 시험체에 투입하여 120시간 양생한 후에 산소지수 테스트를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7] 실시예 7의 제조 및 물성 평가
혼합기(DISSOLVER)에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 (A) 100중량부, 카본 블랙 마스터 뱃치(30%)를 10중량부를 투입하고 40℃에서 30분간 혼련하여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련물에 800PPM,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10중량부를 첨가하여 40℃에서 20분간 혼련하여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련물에 부가반응 촉매 800PPM,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10중량부를 첨가하여 40℃에서 30분간 혼련하여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514(mm)*7320(mm)*51.4(mm) 크기의 시험용 형틀에 균일하게 투입하여 화염확산도와 연기발생지수를 측정하고,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2000(mm)×너비 200(mm)×깊이 150(mm) 시험체에 투입하여 24시간 양생한 후에 내화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150(mm)×너비 10(mm)×깊이 10(mm) 시험체에 투입하여 120시간 양생한 후에 산소지수 테스트를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8] 실시예 8의 제조 및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7에서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30%)의 함량을 1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514(mm)*7320(mm)*51.4(mm) 크기의 시험용 형틀에 균일하게 투입하여 화염확산도와 연기발생지수를 측정하고,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2000(mm)×너비 200(mm)×깊이 150(mm) 시험체에 투입하여 24시간 양생한 후에 내화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150(mm)×너비 10(mm)×깊이 10(mm) 시험체에 투입하여 120시간 양생한 후에 산소지수 테스트를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9] 실시예 9의 제조 및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7에서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30%)의 함량을 2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514(mm)*7320(mm)*51.4(mm) 크기의 시험용 형틀에 균일하게 투입하여 화염확산도와 연기발생지수를 측정한다.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2000(mm)×너비 200(mm)×깊이 150 (mm) 시험체에 투입하여 24시간 양생한 후에 내화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그리고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150(mm)×너비 10(mm)×깊이 10 (mm) 시험체에 투입하여 120시간 양생한 후에 산소지수 테스트를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 1] 비교예 1의 제조 및 물성 평가
혼합기(DISSOLVER)에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A) 100중량부에 카본블랙 마스터배치(30%) 40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한 후, 상기 혼련물에 부가반응 촉매 800PPM,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10중량부를 첨가하여 40℃에서 30분간 혼련하여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514(mm)*7320(mm)*51.4(mm) 크기의 시험용 형틀에 균일하게 투입하여 화염확산도와 연기발생지수를 측정하고,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2000(mm)×너비 200(mm)×깊이 150 (mm) 시험체에 투입하여 24시간 양생한 후에 내화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150(mm)×너비 10(mm)×깊이 10 (mm) 시험체에 투입하여 120시간 양생한 후에 산소지수 테스트를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 2] 비교예 2의 제조 및 물성 평가
혼합기(DISSOLVER)에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A) 100중량부에 카본블랙 마스터배치 60 중량부를 투입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한 후, 상기 혼련물에 부가반응 촉매 800PPM,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10중량부를 첨가하여 40℃에서 30분간 혼련하여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514(mm)*7320(mm)*51.4(mm) 크기의 시험용 형틀에 균일하게 투입하여 화염확산도와 연기발생지수를 측정하고,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2000(mm)×너비 200(mm)×깊이 150 (mm) 시험체에 투입하여 24시간 양생한 후에 내화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길이 150(mm)×너비 10(mm)×깊이 10 (mm) 시험체에 투입하여 120시간 양생한 후에 산소지수 테스트를 실시하여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
(중량부)
카본블랙
마스터배치
(중량부)
부가반응
촉매
(PPM)
오르가노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중량부)
실시예 1 제조예 1 100 10 800 10
실시예 2 제조예 1 100 15 800 10
실시예 3 제조예 1 100 20 800 10
실시예 4 제조예 2 100 10 800 10
실시예 5 제조예 2 100 15 800 10
실시예 6 제조예 2 100 20 800 10
실시예 7 제조예 3 100 10 800 10
실시예 8 제조예 3 100 15 800 10
실시예 9 제조예 3 100 20 800 10
비교예 1 제조예 1 100 40 800 10
비교예 2 제조예 1 100 60 800 10
<실시예 1~9와 비교예 1~2의 구성성분 표>
화염확산도
(Flame Spread)
산소지수 내화성능 시험 연기발생지수
(Smoke developed Index)
실시예 1 12 40 120분 125
실시예 2 16 35 120분 115
실시예 3 20 30 120분 110
실시예 4 11 42 120분 120
실시예 5 15 38 120분 115
실시예 6 19 34 120분 110
실시예 7 12 40 120분 115
실시예 8 16 35 120분 110
실시예 9 20 30 120분 105
비교예 1 40 50 90분 150
비교예 2 50 55 90분 130
<실시예 1~9와 비교예 1~2의 물성 표>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물성 평가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은 방화재에 적합한 물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5)

  1. (i)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0 ~100,000g/mol, 비닐기 함량은 0.2 ~ 5몰%, 점도는 0.2 ~ 200 Pas인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 50 ~ 70 중량%, 실리콘 디옥사이드 10 ~ 30 중량%, 석영파우더 10 ~ 30 중량%를 포함하는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ii) 카본블랙 25 ~ 40 중량%, 실리콘수지 25 ~ 40 중량% 및 유기용매 25 ~ 40 중량%를 혼련한 카본블랙 마스터배치 10 ~ 20 중량부, (iii) 부가반응 촉매 1 ~ 3000ppm 및 (iv)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Si-H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5 ~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디옥사이드의 B.E.T가 100 ~ 3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반응 촉매는 백금흑, 염화 제2백금, 염화 백금산, 염화 백금산과 1가 알코올의 반응물, 염화백금산과 올레핀류의 착제, 백금비스아세토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백금계 촉매 또는 팔라듐계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이 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1,3,5,7- 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메틸히드로젠실록산 환상 중합체, 메틸히드로젠실록산디메틸실록산 환상 공중합체, 트리스(디메틸히드로젠실록시)메틸실란, 트리스(디메틸히드로젠실록시)페닐실란, 양쪽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메틸히드로젠폴리실록산디페닐실록산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7. ⅰ)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0 ~ 100,000g/mol, 비닐기 함량은 0.2 ~ 5몰%, 점도는 0.2 ~ 200 Pas인 폴리메틸비닐실록산수지 50 ~ 70 중량%, 실리콘 디옥사이드 10 ~ 30 중량%, 석영파우더 10 ~ 30 중량%를 100 ~ 200℃에서 5 ~ 6시간 동안 컴파운딩하여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ⅱ) 상기 실리콘 컴파운드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25 ~ 40 중량%, 실리콘수지 25 ~ 40 중량% 및 유기용매 25 ~ 40중량%를 혼련하여 제조한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를 10 ~ 20 중량부 투입하여 30 ~ 40℃에서 30 ~ 45분 동안 혼련하는 단계; 및
    ⅲ) 상기 혼련물에 부가반응 촉매 1 ~ 3,000 ppm, 1 분자 중 2개 이상의 Si-H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히드로젠폴리실록산 5 ~ 20 중량부 투입하여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ⅳ) 상기 제조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을 형틀에 균일하게 투입하여 24시간 양생한 후에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ⅰ) 단계에서 컴파운딩되는 실리콘 디옥사이드의 B.E.T가 100 ~ 3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ⅲ) 단계에서 투입되는 부가반응 촉매는 백금흑, 염화 제2백금, 염화 백금산, 염화 백금산과 1가 알코올의 반응물, 염화백금산과 올레핀류의 착제, 백금비스아세토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백금계 촉매 또는 팔라듐계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ⅲ) 단계에서 투입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이 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1,3,5,7- 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메틸히드로젠실록산 환상 중합체, 메틸히드로젠실록산디메틸실록산 환상 공중합체, 트리스(디메틸히드로젠실록시)메틸실란, 트리스(디메틸히드로젠실록시)페닐실란, 양쪽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메틸히드로젠폴리실록산디페닐실록산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10141323A 2011-12-23 2011-12-23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11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323A KR101311189B1 (ko) 2011-12-23 2011-12-23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323A KR101311189B1 (ko) 2011-12-23 2011-12-23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469A KR20130073469A (ko) 2013-07-03
KR101311189B1 true KR101311189B1 (ko) 2013-09-26

Family

ID=4898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323A KR101311189B1 (ko) 2011-12-23 2011-12-23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933A (ko) 2015-12-29 2017-07-10 (주)탑프라 실란트 조성물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실란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767B1 (ko) 2015-12-29 2019-11-01 (주)탑프라 방화재용 실란트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37A (ja) * 1992-06-30 1994-01-25 Toshiba Silicone Co Ltd 難燃性シリコーンゲル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H07179764A (ja) * 1993-10-29 1995-07-18 Dow Corning Corp 低粘度硬化性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JP2005068273A (ja) 2003-08-22 2005-03-17 Ge Toshiba Silicones Co Ltd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シリコーンゴム成形品
KR20060113504A (ko) * 2005-04-28 2006-11-02 와커 헤미 아게 고점도 가교결합형 실리콘 조성물의 연속적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37A (ja) * 1992-06-30 1994-01-25 Toshiba Silicone Co Ltd 難燃性シリコーンゲル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H07179764A (ja) * 1993-10-29 1995-07-18 Dow Corning Corp 低粘度硬化性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JP2005068273A (ja) 2003-08-22 2005-03-17 Ge Toshiba Silicones Co Ltd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シリコーンゴム成形品
KR20060113504A (ko) * 2005-04-28 2006-11-02 와커 헤미 아게 고점도 가교결합형 실리콘 조성물의 연속적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933A (ko) 2015-12-29 2017-07-10 (주)탑프라 실란트 조성물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실란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69401B1 (ko) * 2015-12-29 2020-01-22 (주)탑프라 실란트 조성물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실란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469A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43387B (zh) 一种聚烯烃用无卤耐水性膨胀型磷氮阻燃剂及其制备方法
CA2937570C (en) Air-water barrier silicone coatings
Michałowski et al. Thermal stability and flammability of polyurethane foams chemically reinforced with POSS
Wu et al. Design of P-decorated POSS towards flame-retardant, mechanically-strong, tough and transparent epoxy resins
Luo et al. A novel intumescent flame retardant with nanocellulose as charring agent and its flame retardancy in polyurethane foam
KR102169771B1 (ko) 탄닌산이 코팅된 그래핀-에폭시 난연 복합소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2097169A (ja) 難燃性ポリウレタン原料組成物及びそれにより成形される難燃性に優れた発泡成形品
EP3533838B1 (en) Heat-resistant millable silicone rubber composition
Bellayer et al. Fire retardant sol–gel coatings for flexible polyurethane foams
KR101311189B1 (ko) 방화재용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96898B1 (ko) 내화 실리콘 고무 조성물
Li et al. Halogen‐free coatings combined with the synergistic effect of phytic acid and montmorillonite for fire safety flexible polyurethane foam
KR101676272B1 (ko) 저점도 난연성 고전압 절연물용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
KR20190009681A (ko) 팽창흑연을 포함하는 실리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스켓의 제조 방법
KR20200082850A (ko) 난연제 및 상용화제로 개질된 그래핀 옥사이드 충전제 및 이를 이용한 폴리프로필렌 나노복합재료조성물
CN111117046B (zh) 低添加量高阻燃性的阻燃母粒及其制备方法
CN107142073A (zh) 改良密封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204632395U (zh) 一种粘接型陶瓷化防火耐火硅橡胶复合带
RU2476470C1 (ru) Полиуретан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крытий пониженной горючести
KR20010032096A (ko) 밀폐형 다공성 실리콘 발포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579478B1 (ko) 난연효율이 우수한 고분자수지용 무기수산화물―실리카하이브리드 복합 난연제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난연제
KR101193037B1 (ko) 난연성이 향상된 우레탄 도료 조성물
TWI363079B (en) Flame retardant seal
Laza et al. Thermal properties and fire behaviour of materials produced from curing mixed epoxy and phenolic resins
JPH11509886A (ja) 発泡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