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974B1 -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974B1
KR101310974B1 KR1020120141487A KR20120141487A KR101310974B1 KR 101310974 B1 KR101310974 B1 KR 101310974B1 KR 1020120141487 A KR1020120141487 A KR 1020120141487A KR 20120141487 A KR20120141487 A KR 20120141487A KR 101310974 B1 KR101310974 B1 KR 101310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link
link member
washer
hin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명수
최영재
윤정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14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 E05D15/3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with two pairs of pivoted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two or more pivoted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2Lubric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3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재들이 리벳으로 서로 결합되는 리벳팅부위에 사용되는 와셔의 오일주입공간에 오일을 주입하여 여닫이 창문을 여닫을 때 오일에 의해 원활하도록 하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리벳팅부위의 헐거워짐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창문틀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에 일단이 리벳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부재; 상기 제2고정부재에 일단이 리벳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부재; 및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과 제2링크부재의 타단이 각각 리벳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창문측에 고정되는 제3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측면이 제2고정부재의 하측면과 서로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제2고정부재의 하측면에 제1고정부재가 내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제1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제1고정부재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측면과 제2고정부재의 하측면이 창문틀측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재들이 리벳으로 서로 결합되는 리벳팅부위에 사용되는 와셔의 오일주입공간에 오일을 주입하여 여닫이 창문을 여닫을 때 오일에 의해 원활하도록 하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리벳팅부위의 헐거워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CASEMENT WINDOWS HINGE DEVICE}
본 발명은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여닫이 창문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재들이 리벳으로 서로 결합되는 리벳팅부위에 사용되는 와셔의 오일주입공간에 오일을 주입하여 여닫이 창문을 여닫을 때 오일에 의해 원활하도록 하고, 와셔의 마모가 방지되어 장시간 사용에 따른 결합부위의 헐거워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킨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 창문을 창문틀에 설치할 때, 여닫이 창문의 측면과 창문틀을 연결하여 창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여닫이 창문과 창문틀을 링크시키는 힌지가 사용된다.
도 1은 여닫이용 창문을 문틀에 설치하기 위한 부품, 즉, 힌지의 한 예로써, 이 힌지는 문틀측 고정간(110)과, 문짝측 연결지지간(140)과, 이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제1지지간(120) 및 제2지지간(130)을 포함한다.
이들의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제1지지간(120)의 양단이 제1결합부(150) 및 제2결합부(160)에 의하여 고정간(110)과 연결지지간(140)에 차례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지지간(130)의 양단이 제3결합부(170) 및 제4결합부(180)에 의하여 고정간(110)과 연결지지간(140)에 차례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창문을 여닫을 때 고정간(110)에 대하여 연결지지간(140)이 지지간들(120, 130)을 통하여 링크운동을 함으로써 창문을 여닫을 수 있다. 미설명부호 190은 작동정지턱이다.
상기 결합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간(110) 또는 연결지지간(140)에 형성된 삽입홈과 예컨대 제2지지간(130)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홈 사이에 수지와셔(158)를 끼우고, 고정간(110) 또는 연결지지간(140)에 형성된 삽입홈, 수지와셔(158)의 삽입홈 및 제2지지간(130)의 삽입홈을 통하여 리벳(152)을 끼운 다음, 리벳(152)의 다리 끝을 확장시켜 리벳팅하면, 리벳머리(154)와 리벳다리 끝의 확장부(156)에 의하여 고정간(110) 또는 연결지지간(140)과, 제2지지간(13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서 미설명부호 111은 고정간(110) 또는 연결지지간(140)의 절곡부분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힌지에 있어서는 수지와셔(158)를 채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부재들간의 마찰판 기능을 하는 수지와셔(158)는 종래 저단가, 마찰력의 우수성을 이유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탄성력의 급격한 저하로 수지와셔(158)의 마찰력이 저하되면서 리벳팅된 부분이 헐거워져 창문을 열면 창문이 열린 상태로 정지되지 않고 중력이 작용하는 쪽으로 열리거나 닫히게 되고, 약한 바람에도 열리거나 닫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힌지는 20kg 이상의 창문에 사용될 경우, 창문을 열었을 때, 연결간(120, 130)들이 중력이 작용하는 쪽으로 휘어지게 되거나, 고정간(110)이 문틀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고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힌지는, 리벳팅된 부분의 헐거워지고 연결간의 휘어짐과 고정간의 분리되는 문제점에 따라 새로운 힌지로 교체해 주어야 하며, 이에 따른 인력손실, 사용상 불편함, 자원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331954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재들이 리벳으로 서로 결합되는 리벳팅부위에 사용되는 와셔의 오일주입공간에 오일을 주입하여 여닫이 창문을 여닫을 때 오일에 의해 원활하도록 하고, 와셔의 마모가 방지되어 장시간 사용에 따른 리벳팅부위의 헐거워짐을 방지할 수 있는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고정부재와 제1고정부재의 상측면에 제2고정부재가 결합되며 그 결합부분을 확장시킴으로써, 여닫이 창문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그에 따라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창문틀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에 일단이 리벳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부재; 상기 제2고정부재에 일단이 리벳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부재; 및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과 제2링크부재의 타단이 각각 리벳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창문측에 고정되는 제3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측면이 제2고정부재의 하측면과 서로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제2고정부재의 하측면에 제1고정부재가 내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제1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제1고정부재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측면과 제2고정부재의 하측면이 창문틀측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벳과 제1링크부재 사이 및 상기 리벳과 제2링크부재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제1와셔; 및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1고정부재 사이,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3고정부재 사이, 상기 제2링크부재와 제2고정부재 사이 및 상기 제2링크부재와 제3고정부재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제2와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와셔는, 상기 리벳과 마주하는 측면에 오링이 주입되는 제1오일주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와셔는, 상기 제1고정부재, 제2고정부재 또는 제3고정부재와 마주하는 측면에 오일이 주입되는 제2오일주입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일측면에 하측면의 일정영역이 내입되며 상부로 돌출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측면에 하부로 결합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일측면에 하측면의 일정영역이 내입되며 상부로 돌출되되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중앙에 돌출되어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는 돌출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하측면의 일정영역이 내입되며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의 홈에 구멍과 돌출부를 형성하여 제1고정부재의 상측면과 제2고정부재의 하측면이 서로 접합되는 면적이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2고정부재는 제1고정부재의 상측면에 위치하여 제1고정부재를 창문틀측에 밀착시키며 제1고정부재와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제2링크부재에 전달되는 하중을 버틸 수 있으며, 하중을 버팀에 따라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가 창문틀측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재들이 리벳으로 서로 결합되는 리벳팅부위에 사용되는 와셔의 오일주입공간에 오일을 주입하여 여닫이 창문을 여닫을 때 오일에 의해 원활하도록 하고, 와셔의 마모가 방지되어 장시간 사용에 따른 리벳팅부위의 헐거워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고정부재와 제1고정부재의 상측면에 제2고정부재가 결합되며 그 결합부분을 확장시킴으로써, 여닫이 창문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그에 따라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힌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힌지에 사용되는 부품들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B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A1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의 제1와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의 제2와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의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의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A3부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의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B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는 제1고정부재(210), 제2고정부재(220), 제1링크부재(230), 제2링크부재(240) 및 제3고정부재(250)를 포함한다.
먼저,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는 제1고정부재(210)와 제2고정부재(220)가 창문틀측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2고정부재(220)는, 제1고정부재(210)의 하측면이 제2고정부재(220)의 하측면과 서로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제2고정부재(220)의 하측면에 제1고정부재(210)가 내입되는 공간부(221)가 형성된다.(도 4, 도9, 도 13 참조)
즉, 제2고정부재(220)는, 공간부(221)에 제1고정부재(210)가 삽입되어 제1고정부재(210)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며, 제1고정부재(210)의 하측면과 제2고정부재(220)의 하측면이 창문틀측면에 각각 접촉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1고정부재(210)와 제2고정부재(220)가 창문틀측면에 고정될 때는, 본딩 또는 나사와 같은 겹합부재에 의해서 결합된다.
또한, 제2고정부재(220)의 제2링크부재(240)가 결합된 우측에 창문이 열렸을 때 제2링크부재(240)가 더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열림회전방지턱(222)이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제2링크부재(240)가 결합된 좌측에 창문이 닫혔을 때 제2링크부재(240)가 더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닫힘회전방지턱(223)이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제1링크부재(230)는, 일단이 제1고정부재(210)에 리벳(260)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2링크부재(240)는, 일단이 제2고정부재(220)에 리벳(260)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부재(230)는 제1고정부재(210)에 결합되고, 제2링크부재(240)는 제2고정부재(220)와 제2고정부재(220)의 하측면에 위치한 제1고정부재(210)와 함께 결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가 설치된 여닫이 창문이 열렸을 때, 창문에 가해지는 하중은 제1링크부재(230)와 제2링크부재(240)에 각각 전달되되 제1링크부재(230)보다 제2링크부재(240)에 더 많은 하중이 전달된다. 즉, 제2고정부재(220)는 제1고정부재(210)의 상측면에 위치하여 제1고정부재(210)를 창문틀측에 밀착시키며 제1고정부재(210)와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제2링크부재(240)에 전달되는 하중을 버틸 수 있으며, 하중을 버팀에 따라 제1고정부재(210)와 제2고정부재(220)가 창문틀측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보통의 창문 무게는 20kg일 때, 종래는 창문의 처짐이 발생하나, 본 발명의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를 사용하면, 창문 무젝 20kg 이상 내지 25kg 이하일 때에도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3고정부재(250)는, 제1링크부재(230)의 타단과 제2링크부재(240)의 타단이 각각 리벳(260)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창문측에 고정된다.
또한, 제1링크부재(230)와 제2링크부재(240)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리벳(260)으로 결합될 때는 리벳(260)이 각각의 부재들이 회전가능하게 리벳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가 설치된 여닫이 창문은, 사용자에 의해서 밀려지거나 당겨지면서 제1링크부재(230)와 제2링크부재(240)의 링크운동으로 여닫이게 된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A1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의 제1와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의 제2와셔를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도 6은 A1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나, A2부분에 대한 단면도 즉, 리벳(260), 제1와셔(270) 및 제2와셔(270)의 결합관계는 A1부분의 단면도와 동일하므로 도 6를 참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는 제1와셔(270) 및 제2와셔(280)를 더 포함한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제1와셔(270)는, 리벳(260)과 제1링크부재(230) 사이 및 리벳(260)과 제2링크부재(240) 사이에 각각 삽입된다.
이때, 제1와셔(270)는 플레이트 와셔이다. 그리고, 제1와셔(270)는 리벳(260)과 마주하는 측면에 오일이 주입되는 제1오일주입공간(271)이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와셔(280)는, 제1링크부재(230)와 제1고정부재(210) 사이, 제1링크부재(230)와 제3고정부재(250) 사이, 제2링크부재(240)와 제2고정부재(220) 사이 및 제2링크부재(240)와 제3고정부재(250) 사이에 각각 삽입된다.
이때, 제2와셔(280)는 'T'형상으로 형성된 T와셔이다. 그리고, 제2와셔(280)의 중앙부분이 돌출되고, 돌출된 상단 외주면에 제1와셔(270)가 안착되는 안착홈(282)이 형성된다. 또한, 제2와셔(280)는, 제1고정부재(210), 제2고정부재(220) 또는 제3고정부재(250)와 마주하는 측면에 오일이 주입되는 제2오일주입공간(28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오일주입공간(271)과 제2오일주입공간(281)은 도 8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셔(270) 및 제2와셔(280)의 측면에 각각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4개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제1링크부재(230)와 제2링크부재(240)가 링크운동하면서 발생되는 리벳(260)과의 마찰력이 제1오일주입공간(271)에 주입된 오일에 의해 저감되며, 소정의 마찰력이 유지되며 원활한 링크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1링크부재(230)와 제2링크부재(240)가 링크운동하면서 발생하는 제1고정부재(210), 제2고정부재(220) 및 제3고정부재(250)과의 마찰력이 제2오일주입공간(281)에 주입된 오일에 의해 저감되며, 소정의 마찰력이 유지되며 원활한 링크운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는 부재들이 리벳(260)으로 서로 결합되는 리벳팅부위에 사용되는 제1와셔(270)의 제1오일주입공간(271)과 제2와셔(280)의 제2오일주입공간(281)에 주입된 오일에 의해 링크운동이 원활해지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리벳팅부위의 헐거워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의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의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A3부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제2고정부재(220)는, 일측면에 하측면의 일정영역이 내입되며 상부로 돌출부(224)가 돌출형성되고, 돌출부(224)의 하측면에 하부로 결합부(225)가 돌출형성되고, 결합부(225)의 중앙에 관통공(226)이 형성된다.
또한, 제1고정부재(210)는, 일측면에 하측면의 일정영역이 내입되며 상부로 돌출되되 결합부(225) 즉, 결합부(225)의 프레임이 삽입되는 삽입홈(211)이 형성되고, 삽입홈(211)의 중앙에 돌출되어 관통공(226)에 끼워지는 돌출핀(212)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는 제1고정부재(210)의 돌출핀(212)이 제2고정부재(220)의 관통공(226)에 끼워짐으로써, 여닫이 창문이 열린 경우, 창문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2링크부재(240)를 통해 제2고정부재(220)에 전달될 때, 제2링크부재(240)에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제2고정부재(220)가 제1고정부재(2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의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A4 부분을 참조하면, 제1고정부재(210)와 제2고정부재(220)는, 서로 대응되는 하측면의 일정영역이 내입되며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의 홈에 구멍과 돌출부를 형성하여 제1고정부재(210)의 상측면과 제2고정부재(220)의 하측면이 서로 접합되는 면적이 확장된다.
이때, 제1고정부재(210)가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제2고정부재(220)의 하측면 일정영역이 내입되는 공간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고정부재(210)와 제2고정부재(220)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그에 따라 창문이 열렸을 때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제1고정부재(210)와 제2고정부재(220)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여닫이 창문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견고하게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일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제1고정부재 211: 삽입홈
212: 돌출핀 220: 제2고정부재
221: 공간부 222: 열림회전방지턱
223: 닫힘회전방지턱 224: 돌출부
225: 결합부 226: 관통공
230: 제1링크부재 240: 제2링크부재
250: 제3고정부재 260: 리벳
270: 제1와셔 271: 제1오일주입공간
280: 제2와셔 281: 제2오일주입공간
282: 안착홈

Claims (4)

  1. 창문틀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210)와 제2고정부재(220); 상기 제1고정부재(210)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부재(230); 상기 제2고정부재(220)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부재(240); 및 상기 제1링크부재(230)의 타단과 제2링크부재(240)의 타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창문측에 고정되는 제3고정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220)는,
    상기 제1고정부재(210)의 하측면이 제2고정부재(220)의 하측면과 서로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제2고정부재(220)의 하측면에 제1고정부재(210)가 내입되는 공간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21)에 제1고정부재(210)가 삽입되어 제1고정부재(210)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210)의 하측면과 제2고정부재(220)의 하측면이 창문틀측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220)는,
    일측면에 하측면의 일정영역이 내입되며 상부로 돌출부(22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24)의 하측면에 하부로 결합부(225)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25)의 중앙에 관통공(226)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210)는,
    일측면에 하측면의 일정영역이 내입되며 상부로 돌출되되 상기 결합부(225)가 삽입되는 삽입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11)의 중앙에 돌출되어 상기 관통공(226)에 끼워지는 돌출핀(2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210)와 제1링크부재(230)의 일단이 리벳(2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고정부재(220)와 제2링크부재(240)의 일단이 리벳(2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링크부재(230)의 타단과 제2링크부재(240)의 타단이 리벳(2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리벳(260)과 제1링크부재(230) 사이 및 상기 리벳(260)과 제2링크부재(240)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제1와셔(270); 및
    상기 제1링크부재(230)와 제1고정부재(210) 사이, 상기 제1링크부재(230)와 제3고정부재(250) 사이, 상기 제2링크부재(240)와 제2고정부재(220) 사이 및 상기 제2링크부재(240)와 제3고정부재(250)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제2와셔(2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와셔(270)는,
    상기 리벳(260)과 마주하는 측면에 오일이 주입되는 제1오일주입공간(27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와셔(280)는,
    상기 제1고정부재(210), 제2고정부재(220) 또는 제3고정부재(250)와 마주하는 측면에 오일이 주입되는 제2오일주입공간(28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210)와 제2고정부재(220)는,
    서로 대응되는 하측면의 일정영역이 내입되며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의 홈에 구멍과 돌출부를 형성하여 제1고정부재(210)의 상측면과 제2고정부재(220)의 하측면이 서로 접합되는 면적이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
KR1020120141487A 2012-12-06 2012-12-06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 KR101310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487A KR101310974B1 (ko) 2012-12-06 2012-12-06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487A KR101310974B1 (ko) 2012-12-06 2012-12-06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974B1 true KR101310974B1 (ko) 2013-09-25

Family

ID=4945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487A KR101310974B1 (ko) 2012-12-06 2012-12-06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3145A (zh) * 2019-06-03 2019-07-23 山东正华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风撑及其工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3764A (ja) * 1998-06-01 1999-12-14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開き障子のステー
KR20020026222A (ko) * 2002-02-20 2002-04-06 민정 오일홈을 가지는 와셔장치
JP2009299365A (ja) * 2008-06-13 2009-12-24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建具用ステー及び該ステーを備えた建具
JP2010216203A (ja) * 2009-03-19 2010-09-30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建具用ステー及び該ステーを備えた建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3764A (ja) * 1998-06-01 1999-12-14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開き障子のステー
KR20020026222A (ko) * 2002-02-20 2002-04-06 민정 오일홈을 가지는 와셔장치
JP2009299365A (ja) * 2008-06-13 2009-12-24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建具用ステー及び該ステーを備えた建具
JP2010216203A (ja) * 2009-03-19 2010-09-30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建具用ステー及び該ステーを備えた建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3145A (zh) * 2019-06-03 2019-07-23 山东正华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风撑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1644B1 (en) Device for installing damping member to hinge unit
WO2011118951A3 (ko) 은폐형 도어 힌지
KR101475937B1 (ko) 미닫이 도어의 완충장치
KR20150113757A (ko) 여닫이문용 안전보호대
KR101310974B1 (ko) 여닫이 창문용 힌지장치
CA2779919C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hinge keeper
KR102115975B1 (ko) 미닫이용 도어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2433888B1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US11028627B2 (en) Hinge for a window, a window including a set of such hinges,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a window
ITMI971288A1 (it) Cerniera per sportelli di forni per cucine elettriche a gas a microonde o simili
TWI647373B (zh) Controllable damper and easy-to-assemble hinge structure
KR101610864B1 (ko) 접이문용 문고리
GB2525183A (en) Fenestration products
KR200473952Y1 (ko) 접이식 도어용 힌지 브래킷
KR200489230Y1 (ko) 도어 틈새 차단 장치
KR102343904B1 (ko) 슬라이딩도어 고정장치
KR101137823B1 (ko) 여닫이문
KR200410180Y1 (ko) 안전도어용 피벗힌지
JP5411372B1 (ja) 開き窓用ヒンジ装置
KR20190002371U (ko) 도어 틈새 차단 장치
CN205558589U (zh) 铰链
KR200313887Y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경첩
KR20130001882U (ko) 방화문
KR100999175B1 (ko) 창호용 록킹장치
KR101715558B1 (ko) 미닫이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