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936B1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936B1
KR101310936B1 KR1020060128446A KR20060128446A KR101310936B1 KR 101310936 B1 KR101310936 B1 KR 101310936B1 KR 1020060128446 A KR1020060128446 A KR 1020060128446A KR 20060128446 A KR20060128446 A KR 20060128446A KR 101310936 B1 KR101310936 B1 KR 101310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arrangement position
screen system
stereo audio
ster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5306A (ko
Inventor
김창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8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936B1/ko
Publication of KR20080055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화면 시스템에서의 배치 위치에 따라 스테레오 음성 신호 중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구성 채널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이 개시된다. 화면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복수개의 음향 장치를 구비한 표시 장치는 화면 시스템에서의 배치 위치를 판단하고,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구성 채널별로 분리하며,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구성 채널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음향 장치들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하에,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구성 채널 이외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화면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스테레오(stereo), 사운드(sound), 간섭, 분리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THE DRIVING}
도 1은 일반적인 화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면 시스템을 구성하는 표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면 시스템을 구성하는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면 시스템 200 : 제1 표시 장치
210, 310 : 메모리부 220, 320 : 제어부
230, 330 : 통신 인터페이스부 240 :340 : 표시부
300 : 제2 표시 장치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 시스템 내에서의 배치 위치에 따라 스테레오 음성 신호 중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구성 채널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TV), 컴퓨터의 모니터와 같은 표시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출력한다.
최근에는 영상 및 음성 신호의 처리 기술의 발달, 표시 장치의 고집적화로 인한 소형화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비용의 절감됨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개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멀티 비전(multi-vision)을 구현하여 사용하거나, 복수개의 모니터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는 구현된 멀티 비전 등을 통해 하나의 영상을 복수개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표시하거나, 복수개의 영상을 멀티 비전 등에 포함된 각각의 표시 장치에 각각 표시하거나 각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화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화면 시스템(10)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 등으로 구성되는 제1 표시 장치(20), 제2 표시 장치(3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화면 시스템(10)의 경우, 일반적으로 각각의 표시 장치(20, 30)에 구비되는 스피커와 같은 음향 장치(22, 24, 32, 34)는 컴퓨터 또는 방송국으로부터 인가되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각 구성 채널별로 분리하고, 대응되는 위치의 음향 장치(22, 24, 32, 34)로 분리된 스테레오 음성 신호가 각각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각 표시 장치(20, 30)가 좌 채널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좌측 스피커(22, 32)와 우 채널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우측 스피커(24, 34)를 구비하고, 스테레오 음성 신호가 좌 및 우 채널로 구성된 2채널 스테레오 음성 신호로 입력되면, 각 표시 장치(20, 30)는 2채널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각 채널별로 각각 분리하고 대응되는 위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즉, 각 표시 장치(20, 30)는 좌 채널 스테레오 음성 신호는 좌측 스피커(22, 32)로, 우 채널 스테레오 음성 신호는 우측 스피커(24, 34)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을 갖는 표시 장치들(20, 30)로 화면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경우, 화면 시스템(10)의 각 표시 장치(20, 30)에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고, 동시에 동일한 스테레오 음성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면, 좌-우-좌-우 채널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가 출력되어 상호간의 신호 간섭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스테레오 사운드를 청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만일,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술한 예에서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표시 장치(20)의 우측 스피커의 출력을 표시 장치의 구동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OSD(On Screen Display) 창을 통하여 차단하고, 우측에 배치되는 제2 표시 장치(30)의 좌측 스피커의 출력을 차단하는 경우, 원하는 출력 레벨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청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면 시스템(10)을 구성하는 표시 장치의 수가 증가하거나, 스테레오 음성 신호의 구성 채널 수가 4채널 또는 6채널 등으로 증가하는 경우에 상술한 문제점이 더욱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 시스템 내에서의 배치 위치에 따라 스테레오 음성 신호 중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면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복수개의 음향 장치를 구비한 표시 장치는 상기 화면 시스템에서의 배치 위치를 판단하고,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구성 채널별로 분리하며, 상기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구성 채널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상기 음향 장치들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구성 채널 이외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상기 화면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면 시스템의 설정 메뉴를 표시하고, 표시된 위치 설정 메뉴를 통해 상기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다른 표시 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로 상기 연결 상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구성 채널 이외의 상기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상기 화면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표시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상태 정보는 상기 화면 시스템에서의 배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면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복수개의 음향 장치를 구비한 표시 장치는 상기 화면 시스템 내의 다른 표시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상기 음향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스테레오 음성 신호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 중 상기 다른 표시 장치의 화면 시스템에서의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구성 채널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 이외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면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복수개의 음향 장치를 구비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화면 시스템에서의 배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각 구성 채널별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화면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표시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테레오 음성 신호 중 상기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구성 채널 이외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상기 화면 시스템의 다른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구성 채널 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상기 음향 장치들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배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 정보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시스템내에서의 다른 표시 장치와의 인터페이싱을 통해 상기 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의하면, 복수개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화면 시스템에 있어서, 화면 시스템에서의 배치 위치에 따라 스테레오 음성 신호 중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어, 원하는 출력 레벨 의 스테레오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고, 구성 채널별 스테레오 음성 신호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 정상적인 스테레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면 시스템(100)은 제1 표시 장치(200) 및 제2 표시 장치(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표시 장치(200) 및 제2 표시 장치(300)는 컴퓨터 또는 방송국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화상 또는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표시 장치(200, 300)는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제1 표시 장치(200)의 구동 조건을 입력받기 위한 설정 메뉴 키(도시하지 않음)를 제1 표시 장치(200)의 외부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장치(200)는 표시 영역에 상기 설정 메뉴 키를 조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설정 메뉴를 구비하는 OSD 창이 형성될 수 있고, OSD 창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설정 메뉴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에 따라 자신의 구동 조건 예를 들어, 밝기, 명암, 색상, 수평 및 수직 위치, 소리 크기 등의 설정값인 구동 조건은 일례로, 각 표시 장치의 표시 환경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때, OSD 창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채널 음성 신호와 우 채널 음성 신호가 각각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스피커와 같은 음향 장치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구동 모드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장치(200)가 화면 시스템(100) 내에서의 배치 위치에 따라 즉, 제1 표시 장치(200)가 화면 시스템(100)의 좌측에 배치됨에 따라 제1 표시 장치에 포함된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음향 장치는 모두 좌 채널 음성 신호만을 출력되도록 하는 제2 구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제1 표시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의 구성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표시 장치(300)는 제1 표시 장치(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표시 장치(300)는 제1 표시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 이외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포함된 음향 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표시 장치(200)가 화면 시스템(100)의 좌측에 배치되어 좌 채널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한 경우, 제2 표시 장치(300)는 화면 시스템(100)의 우측에 배치되어 우 채널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표시 장치(200) 및 제2 표시 장치(300)는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신호 전송 케이블 등을 상호간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표시 장치(200, 3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면 시스템을 구성하는 표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면 시스템을 구성하는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특히, 도 3과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제1 표시 장치(200)와 제2 표시 장치(300)에 대한 세부 블록도가 각각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표시 장치(200)는 메모리부(210), 제어부(220), 통신 인터페이스부(230) 및 표시부(2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부(210)는 제1 표시 장치(200)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들과, 제1 표시 장치(200)의 구동 중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 예를 들어, 채널 정보, 기 설정된 구동 조건 등에 대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1 표시 장치(2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부(240) 또 는 스피커와 같은 음향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20)는 MCU(Micro Controlling Unit)(221), 스케일러부(222), 비디오 처리부(223), 오디오 처리부(224) 및 OSD(On Screen Display) 처리부(225)를 포함한다.
MCU(221)는 메모리부(210)를 제어하여 제1 표시 장치(210)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을 기입 및 독출하고, 제어부(220) 내부의 각부를 제어하여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의 처리를 제어한다. 또한, MCU(221)는 하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제1 표시 장치(200)의 화면 시스템 내에서의 배치 위치 정보(S_DP) 또는 OSD 처리부(225)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배치 위치 정보에 의해 제1 표시 장치(200)의 화면 시스템 내에서의 배치 위치를 판단한다.
스케일러부(222)와 비디오 처리부(223)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표시부(240)에 해상도에 맞도록 가공 및 조절하여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224)는 예를 들어,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 앰프 등으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처리 및 변환하여 스피커와 같은 음향 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24)는 MCU(221)의 제어 하에, 스테레오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각 채널별로, 예를 들어, 2채널 스테레오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좌 및 우 채널 스테레오 음성 신호로 분리하고, 4채널 스테레오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전방 좌, 후방 좌, 전방 우, 후방 우 채널 스테레오 음성 신호로 분리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24)는 MCU(221)의 제어 하에, MCU(221)에 서 판단된 제1 표시 장치(200)의 화면 시스템(100) 내에서의 배치 위치에 따라 대응되는 채널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제1 표시 장치(200)에 포함된 음향 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장치(200)가 화면 시스템(100)에서 좌측에 배치되고, 입력되는 전체 스테레오 음성 신호(STO_sound)가 2채널 스테레오 음성 신호인 경우, 제1 표시 장치(200)는 좌 채널 음성 신호를 제1 표시 장치(200)에 포함된 음향 장치를 통해 사운드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MCU(221)는 우 채널 음성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OSD 처리부(225)는 MCU(221)의 제어하에, 표시부(240)에 OSD 창을 표시하고, 표시부(230)에 표시된 OSD 창 내부에 형성된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 메뉴를 선택받으면, 이에 대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부(240)의 밝기(brightness)와 대비비(Contrast), 동조, RGB 조정, 화면의 상하 좌우 크기 및 위치 조정 등을 수행한다. 또한, OSD 처리부(225)는 설정 메뉴에 제1 구동 모드와 제2 구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를 포함시켜 OSD 창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동 모드에 따라 제1 표시 장치(200)가 구동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제1 표시 장치(200)와 제2 표시 장치(300) 상호간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제1 표시 장치(200)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제2 표시 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되면, 연결 상태 정보를 제어부(22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D-sub, DVI-I, RS-232C 등에 따른 신호 전송 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커넥터에 신호 전송 케이블이 연결됨에 따라 전위가 변동되는 상태 확인 핀을 구비하여 상태 확인 핀의 전위 변동을 연결 상태 정보로써 제어부(22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신호 전송 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와 별도의 연결 상태 확인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장치(200)가 제2 표시 장치(300)와 기구적 결합 구조로 연결되거나, 적외선 방식 등에 의해 제2 표시 장치(300)가 인접 영역에 배치되어 하나의 화면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등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연결 상태 정보를 제어부(220)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표시 장치(200)와 제2 표시 장치(300)가 기구적 결합 구조로 연결되면, 연결 부분이 기 정의된 소정 레벨의 전위를 갖도록 형성하고, 제1 및 제2 표시 장치(200, 300)가 연결됨에 따라 예를 들어 연결 부분의 전위가 접지 전위로 변동되는 구조로 형성하여 접지 전위를 연결 상태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연결 상태 정보는 제어부(220)가 단일 칩 셋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마련되는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핀을 통해 입력하여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외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입력되는 적외선 신호를 연결 상태 정보로 이용하고,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GPIO 핀으로 입력하여 제어부(220)가 인식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연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 하에 제2 표시 장 치(300)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인식 신호를 제2 표시 장치(300)로 전송하고, 제2 표시 장치(300)와 연결된 경우, 제2 표시 장치(300)에서 전송되는 인식 신호에 대해 반향 신호를 출력하게 하며, 반향 신호를 연결 상태 정보로 이용하여 제어부(220)가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상태 정보에는 제1 표시 장치(200)와 제2 표시 장치(300) 상호간의 통신에 의하여 또는 위치 센서 등을 통해 출력되는 배치 위치 정보(S_DP)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위치 정보(S_DP)는 상술한 바와 같이, OSD 창을 통해 사용자가 구동 모드를 선택하고, 사용자가 직접 OSD 창을 통해 배치 위치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배치 위치 정보(S_DP)를 연결 상태 정보에 포함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제1 표시 장치(200)가 제2 표시 장치(300)와 연결된 경우, 제어부(220)에서 출력 제어된 제1 스테레오 음성 신호(sound1)를 제2 표시 장치(3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스테레오 음성 신호(sound1)는 제1 표시 장치(200)로 인가되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STO_sound) 중 제1 표시 장치(200)의 배치 위치에 따라 선택된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제외한 음성 신호이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장치(200)가 화면 시스템의 좌측에 배치되고, 스테레오 음성 신호(STO_sound)가 2채널 스테레오 음성 신호인 경우, 제1 표시 장치(200)는 좌 채널 음성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것임으로, 제1 스테레오 음성 신호(sound1)는 우 채널 음성 신호가 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제어부(22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소정 영상을 표시하고, OSD부(225)에 의해 형성되는 OSD 창을 표시부(240)의 소정 영역에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240)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직접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OSD 창만을 표시하고, 제1 표시 장치(200) 외부에 형성된 메뉴 설정 키 등을 통해 제어부(220)에 설정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부(240)는 CRT, LCD 및 PDP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표시 장치(300)는 실질적으로 제1 표시 장치(200)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따라서, 그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표시 장치(30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40)는 제1 표시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1 스테레오 음성 신호(sound1)를 수신하여 제어부(320)로 입력한다. 이때, 제2 표시 장치(300)가 제1 스테레오 음성 신호(sound1)를 수신하는 수신측임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340)는 연결 상태 정보를 출력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통신 인터페이스부(340)는 제2 표시 장치(300) 자체에 형성된 설정 메뉴 키 또는 OSD 처리부(325) 등을 통해 형성되는 OSD 창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즉 제1 표시 장치(200)로부터 설정 정보가 입력되고, 제2 표시 장치(300) 자체에도 설정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구동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구동 모드 상호간의 우선 순위를 정하기 위하여 연결 상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디오 처리부(224)는 제1 표시 장치(200)로부터 인가되는 제1 스테레오 음성 신호(sound1)을 음성 처리하여 제2 표시 장치(300)에 포함된 음향 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오디오 처리부(224)에 의해 처리된 제1 스테레오 음성 신호(sound1)는 상술한 예와 같이, 제1 표시 장치(200)가 화면 시스템의 좌측에 배치되고, 전체 스테레오 음성 신호(STO_sound)가 2채널 스테레오 음성 신호인 경우, 제1 표시 장치(200)는 좌 채널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것임으로, 제1 스테레오 음성 신호(sound1)는 우 채널 음성 신호가 될 수 있고, 제2 표시 장치(30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음향 장치들은 모두 전체 스테레오 음성 신호 중 우 채널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면 시스템(400)은 제1 내지 제4 표시 장치(410, 420, 430, 4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표시 장치(410, 420, 430, 4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200, 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장치(410)에 스테레오 음성 신호(STO_sound)가 입력되면, 제1 표시 장치(410)는 도 3에 도시된 제1 표시 장치(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나머지 표시 장치들(420, 430, 440)은 도 4에 도시된 제2 표시 장치(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면 시스템(400)에는 일례로 4채널 스테레오 음성 신호가 입력되고, 제1 표시 장치(200)는 입력되는 4채널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각각 전방 좌(좌1), 후방 좌(좌2), 전방 우(우1), 후방 우(우2) 채널 스 테레오 음성 신호로 분리하여 다른 표시 장치들(420, 430, 440)로 각각 전송한다.
이때, 제2 및 제3 표시 장치(420, 430)는 제1 표시 장치(410)와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형성하고, 순차적으로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다른 표시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장치(410)는 전방 좌(좌1)의 채널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자신의 좌측 및 우측 음향 장치로 출력하고, 나머지 스테레오 음성 신호들(좌2, 우1, 우2)을 제2 표시 장치(420)로 전송하며, 제2 표시 장치(420) 및 제3 표시 장치(430)도 자신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만을 선택하고 나머지 음성 신호는 순차적으로 다른 표시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화면 시스템에서의 각 표시 장치의 배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S100),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분리하는 단계(S110), 다른 표시 장치와의 상호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120), 분리된 음성 신호 중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를 다른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130),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각 표시 장치의 음향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140) 및 자신의 음향 장치로 분리된 음성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단계 S100에서, 제1 표시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표시부(240)에 표시된OSD 창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제2 표시 장치(300)와의 인터페이싱을 통해 제1 표시 장치(200)의 화면 시스템에서의 배치 위치를 판단한다.
단계 S110에서, 제어부(220)는 제1 표시 장치(200)에 입력되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각 구성 채널별로 분리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레오 음성 신호가 2채널인 경우, 좌 채널 음성 신호와 우 채널 음성 신호로 분리한다. 또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레오 음성 신호가 4채널인 경우, 전방 좌(좌1), 후방 좌(좌2), 전방 우(우1), 후방 우(우2) 채널 스테레오 음성 신호로 분리하여 다른 표시 장치들(420, 430, 440)로 각각 전송한다.
여기서, 단계 S110은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단계 S100 이후에 수행되는 단계로 설명하였으나, 단계 S100과 S110의 수행 단계가 역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단계 S120에서, 제어부(2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30)에서 입력되는 연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표시 장치(100)와 제2 표시 장치(200)가 상호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화면 시스템을 기초로 설명하나, 도 5에 도시된 화면 시스템과 더 많은 수의 표시 장치를 구비하거나, 더 많은 수의 구성 채널을 갖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계를 통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단계 S120에서 판단한 결과, 제1 및 제2 표시 장치(200, 300)가 상호 연결되 지 아니한 경우, 제어부(220)는 단계 S150을 수행하여 제1 표시 장치(200)에 포함된 음향 장치 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스피커를 통해 각각 좌 채널 음성 신호와 우 채널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단계 S120에서 판단한 결과, 제1 및 제2 표시 장치(200, 300)가 상호 연결된 경우, 제어부(220)는 단계 S130을 수행한다.
단계 S130에서, 제어부(220)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 중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장치(200)에서 선택된 좌 채널 음성 신호를 제외한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부(230)에 연결된 신호 전송 케이블을 통해 제2 표시 장치(300)로 전송한다.
단계 S140에서, 제1 표시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선택된 좌 채널 음성 신호를 제1 표시 장치(200)에 포함되고 제1 표시 장치(20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스피커를 통해 동시에 출력한다. 또한, 제2 표시 장치(300)의 제어부(320)는 제1 표시 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우 채널 음성 신호를 제2 표시 장치(300)에 포함되고 제2 표시 장치(30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스피커를 통해 동시에 출력한다.
이를 통해, 제1 표시 장치(200)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 중 제1 표시 장치(200)가 화면 시스템(100)에서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 예를 들어, 좌 채널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제2 표시 장치(300)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 중 제2 표시 장치(300)가 화면 시스템(100)에서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 예를 들어, 우 채널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화면 시스템에 있어서, 화면 시스템에서의 배치 위치에 따라 스테레오 음성 신호 중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어, 원하는 출력 레벨의 스테레오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고, 구성 채널별 스테레오 음성 신호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 정상적인 스테레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화면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복수개의 음향 장치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면 시스템에서의 상기 표시 장치의 배치 위치를 판단하고,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구성 채널별로 분리하며, 상기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구성 채널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음향 장치들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구성 채널 이외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기 화면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표시 장치와의 인터페이싱 또는 화면 상에 표시된 메뉴를 통해 입력된 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배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시스템의 설정 메뉴를 표시하고, 표시된 위치 설정 메뉴를 통해 상기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다른 표시 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로 상기 연결 상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구성 채널 이외의 상기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상기 화면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상태 정보는 상기 화면 시스템에서의 배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화면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복수개의 음향 장치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면 시스템 내의 다른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표시 장치의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구성 채널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제외하고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음향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표시 장치의 배치 위치는,
    상기 표시 장치와의 인터페이싱 또는 상기 다른 표시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된 메뉴를 통해 입력된 배치 위치 정보를 통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스테레오 음성 신호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 중 상기 다른 표시 장치의 화면 시스템에서의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구성 채널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 이외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화면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복수개의 음향 장치를 구비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다른 표시 장치와의 인터페이싱 또는 화면 상에 표시된 메뉴를 통해 입력된 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 시스템에서의 상기 표시 장치의 배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각 구성 채널별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화면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표시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테레오 음성 신호 중 상기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구성 채널 이외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기 화면 시스템의 다른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구성 채널의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음향 장치들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배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 정보를 통해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9. 삭제
KR1020060128446A 2006-12-15 2006-12-15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310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446A KR101310936B1 (ko) 2006-12-15 2006-12-15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446A KR101310936B1 (ko) 2006-12-15 2006-12-15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306A KR20080055306A (ko) 2008-06-19
KR101310936B1 true KR101310936B1 (ko) 2013-09-23

Family

ID=3980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446A KR101310936B1 (ko) 2006-12-15 2006-12-15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5770A (zh) * 2014-11-25 2016-06-01 三星电子株式会社 图像再现装置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710A (ja) * 1996-07-31 1998-02-20 Fujitsu Ten Ltd 表示装置
JP2006295313A (ja) 2005-04-06 2006-10-2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011475A (ja) 2006-06-30 2008-01-17 Sharp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音出力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710A (ja) * 1996-07-31 1998-02-20 Fujitsu Ten Ltd 表示装置
JP2006295313A (ja) 2005-04-06 2006-10-2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011475A (ja) 2006-06-30 2008-01-17 Sharp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音出力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5770A (zh) * 2014-11-25 2016-06-01 三星电子株式会社 图像再现装置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306A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8073B1 (en) Video wall display system
US7672470B2 (en) Audio/video device having a volume control function for an external audio reproduction unit by using volume control buttons of a remote controller and volume control method therefor
US8786779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20033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stening to audio Corresponding to a PIP Display
US20070285364A1 (en) Display apparatus
US20190028655A1 (en) Imag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video signal in multiple video modes
KR20150111624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 시스템
US7904632B2 (en) Connection device for selecting an optimum receiver
KR20110060464A (ko) 오디오 출력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EP218491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10936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11021355A1 (ja) Gui装置及びgui表示方法
WO2006016910A1 (en) Display device graphics interface
US20060044214A1 (en) Touch panel video display system for vehicles
KR101319536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090157917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750228B (zh) 音频切换系统及方法
USRE46713E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117073U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型テレビジョン受信機および映像音声出力装置
KR10054907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5307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39363A (ko) 영상/음향 출력장치 및 영상/음향 출력방법
KR20050000252A (ko) 영상표시기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149157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20906B1 (ko) 외부장치 연결유닛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입력영상 포맷 판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