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030B1 -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및 토양병해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및 토양병해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030B1
KR101310030B1 KR1020100131419A KR20100131419A KR101310030B1 KR 101310030 B1 KR101310030 B1 KR 101310030B1 KR 1020100131419 A KR1020100131419 A KR 1020100131419A KR 20100131419 A KR20100131419 A KR 20100131419A KR 101310030 B1 KR101310030 B1 KR 101310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acid ester
disease control
agent
soil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866A (ko
Inventor
마사오 하야시
조타로 키다
츠카사 오니시
히데오 카와시마
나오야 아라이
준로 키시
Original Assignee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5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to-oxygen bonds
    • A01N33/18Nitro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 A01N41/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containing a sulfur-to-oxygen double bond
    • A01N41/04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01N41/08Sulfonic acid halides; alpha-Hydroxy-sulfonic acids; Amino-sulfonic acids; Thio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47Triazoles; Hydrogenated triazoles
    • A01N43/653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having the sequences of atoms O—N—S, X—O—S, N—N—S, O—N—N or O-halogen, regardless of the number of bonds each atom has and with no atom of these sequences forming part of a heterocyclic 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드리프트가 저감 되며, 또한 약효의 불균일에 의한 효과 부족의 발생이 억제되는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제공한다.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에,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의 적어도 1종과, 광물 담체의 적어도 1종과,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의 적어도 1종을 함유시킨다.

Description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및 토양병해 방제 방법{DUST-GRANULE MIXTURE FORMULATIONS FOR CONTROLLING SOIL-BORNE DISEASE AND SOIL-BORNE DISEASE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및 토양병해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작물을 재배하는데 있어서의 큰 장해의 하나로 작물의 병해가 있다. 병해 중에서도 특히 토양 병원균에 의해서 일으켜지는 토양병해의 상당수는 난방제 병해로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작물 재배의 집단화에 의한 연작(連作)에 의해, 피해가 점점 더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이들 토양병해 방제의 약제의 하나로서, 종래부터 브롬화 메틸, 클로로피크린 등의 토양 훈증제(燻蒸劑)가 이용되고 있지만, 그 가스제라는 성질이나 독성면에서 사용 시의 안전성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가스의 휘산을 막기 위해 플라스틱 필름에 의해 미리 토양을 피복할 필요가 있으며, 그 작업방법은 매우 번잡하다. 또한, 약제 처리 후는, 약해(藥害)의 발생을 막기 위해 가스 빼기 작업이 필요하고, 7~20일 이상에 걸쳐서 작물의 옮겨심기를 할 수 없는 기간이 있어, 코스트면이나 생산성의 면에서도 불리한 점이 있다. 또한 살균 처리 후는 토양 중의 미생물의 밀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병해의 재감염에 대해서 무력하고, 한 번 감염하면 병해의 발생을 보다 조장하는 위험성도 있다. 
한편, 토양병해를 방제하는 방법으로서, 분제 혹은 수화제를 토양 혼화, 관 주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TPN, 플루설파마이드(flusulfamide), 플루아지남(fluazinam) 등의 분제 혹은 수화제가 알려져 있다. 
분제를 이용하는 토양병해 방제 방법은, 약제의 균일한 산포(散布)에 의한 약효의 불균일이 적은 반면, 약제의 분립(粉立)에 의해, 산포 시에 약제가 비산(드리프트)하는 것에 의한 작업자로의 약제의 폭로(暴露)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드리프트를 억제한 제제로서 최근, 분제 DL 등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약제의 드리프트 방지의 목적으로, 보다 비산성이 적은 제형으로서 입제보다도 입경이 작은 입경 0.05~0.3mm의 분입제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분입제는, 물로 희석해서 이용하는 유제나 수화제에 비하여 사용이 간편하며, 또한 비산(드리프트)이 억제된다. 그러나, 분입제는, 분제와 비교하여 산포된 약제의 균일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이에 따른 효과의 불균일의 문제나, 제조 비용이 비싼 점이 있어, 실용화된 것이 적은 것이 현상황이다.
예를 들어,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분입제로서는 다조멧 분입제가 알려져 있지만, 이것은, 그 유효 성분이 토양 중에서 분해 후 가스화하여 토양을 살균한다는 특수한 것이다.
또한, 분제의 대체 제제로서 분입제의 일종인 미립제 F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담체에 유효 성분을 바인더로 코팅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일이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미립제 F에 있어서도, 완전하게 드리프트의 문제는 해결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드리프트의 억제는, 약효의 불균일이나 고비용과 상반되는 관계에 있기 때문에, 보다 좋은 분입제의 제공이 희구되고 있다.
상기에 관련하여,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인 플루설파마이드를 포함하는 혼합제로서 분제, 입제, 수화제, 플로어블(flowable)제, 유제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03-227904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08-198710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08-198713호).
또한, 분무 조립법을 이용한 농약 입상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7-308482호). 또한, 수지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농약용 효과 증강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08-151302호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03-227904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08-198710호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08-198713호 특허 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7-308482호 특허 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08-151302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03-227904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08-198710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08-198713호 공보에는 분입제에 관한 형식적인 기재는 있지만, 구체적인 분입제에 관해서는 특별히 개시는 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7-308482호의 분무 조립법에서는, 생산 설비가 대규모로 되며, 또한 제조 공정도 간편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드리프트가 저감되며, 또한 약효의 불균일에 의한 효과 부족의 발생이 억제되는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및 그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이용하는 토양병해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은 이하와 같다.
<1>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과, 광물 담체와,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2>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가, 폴리옥시에틸렌 수지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수지산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에 기재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3>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가, 폴리옥시에틸렌 로진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로진산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2>에 기재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4> 상기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전중량에 대한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의 함유율이 0.01~1중량%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5> 상기 광물 담체에 대한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의 함유 비율이, 0.01~1.11중량%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6> 토양병해가, 뿌리혹병, 입고병 또는 역병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7> 상기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이, 2',4-디클로로-α,α,α-트리플루오로-4'-니트로-m-톨루엔술폰아닐리드, 3-클로로-N-(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α,α,α-트리플루오로-2,6-디니트로-p-톨루이딘, 및 3-(3-브로모-6-플루오로-2-메틸인돌-1-일술포닐)-N,N-디메틸-1,2,4-트리아졸-1-술폰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8>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9> 상기 계면활성제가, 폴리알킬렌글리콜인 상기 <8>에 기재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10> 상기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전중량에 대한 상기 광물 담체의 함유율이, 90~99.5중량%인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11>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는, 옥시 알킬렌기의 총 부가몰수가 수지산 1몰에 대해서 평균 1~20몰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12> 상기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이, 2',4-디클로로-α,α,α-트리플루오로-4'-니트로-m-톨루엔술폰아닐리드인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13>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토양에 시용(施用)하는 것을 포함하는 토양병해 방제 방법.
<14> 광물 담체 및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를 혼합하여, 결합제 함유 광물 담체를 얻는 제1의 공정과,
상기 결합제 함유 광물 담체 및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을 혼합하여,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얻는 제2의 공정을 포함하는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드리프트가 저감되며, 또한 약효의 불균일에 의한 효과 부족의 발생이 억제되는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및 그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이용하는 토양병해 방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는,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의 적어도 1종과, 광물 담체의 적어도 1종과,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한다.
이러한 구성인 것에 의해, 드리프트가 저감되며, 또한 약효의 불균일에 의한 효과 부족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이, 입경이 작은(예를 들어, 40㎛ 이하)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입경이 작은 활성 성분이 광물 담체로부터 박리하여 분립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
본 발명에 이용되는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은, 토양병해를 방제 가능한 활성을 가지며, 광물 담체에 담지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의 예로서 유기 염소계 화합물, 술폰아미드계 화합물, 시아노이미다졸계 화합물, 페닐 피리딘계 화합물, 술파모일 트리아졸 골격을 갖는 살균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토양병해는, 토양 중에 존재하는 세균 등에 유래하는 병해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토양병해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뿌리혹병, 입고병, 역병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토양병해를 방제 가능한 활성 성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TPN(화합물명: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플루설파마이드(화합물명: 2',4-디클로로-α,α,α-트리플루오로-4'-니트로-m-톨루엔술폰아닐리드), 시아조파미드(화합물명: 4-클로로-2-시아노-N,N-디메틸-5-p-톨릴이미다졸-1-술폰아미드), 플루아지남(화합물명: 3-클로로-N-(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α,α,α-트리플루오로-2,6-디니트로-p-톨루이딘), 아미설브롬(화합물명: 3-(3-브로모-6-플루오로-2-메틸인돌-1-일술포닐)-N,N-디메틸-1,2,4-트리아졸-1-술폰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토양병해 방제 활성의 관점에서, 2',4-디클로로-α,α,α-트리플루오로-4'-니트로-m-톨루엔술폰아닐리드, 3-클로로-N-(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α,α,α-트리플루오로-2,6-디니트로-p-톨루이딘, 및 3-(3-브로모-6-플루오로-2-메틸인돌-1-일술포닐)-N,N-디메틸-1,2,4-트리아졸-1-술폰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2',4-디클로로-α,α,α-트리플루오로-4'-니트로-m-톨루엔술폰아닐리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의 함유량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토양병해 방제 활성의 관점에서, 상기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의 함유량은,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전중량에 대해서, 0.1~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5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이, 2',4-디클로로-α,α,α-트리플루오로-4'-니트로-m-톨루엔술폰아닐리드의 경우는, 그 함유량은,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전중량에 대해서 0.1~0.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는, 동시에 발생하는 다른 병해를 방제하기 위하여, 상기 술폰아미드계 화합물이나 페닐 피리딘계 화합물 등의 본 발명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화합물이란, 다른 토양병해 방제 효과를 갖는 살균제 등을 더 포함하여 제재화되어 있어도 된다. 그러한 살균제 등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속사졸, 메프로닐, 플루토라닐, 펜시클론, 리조렉스, 바리다마이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능이 다른 살균제를 병용함으로서, 일반적으로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함유량 이하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들 살균제의 함유량은 살균제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에 대해서 0.1~3.0중량%로 할 수 있다.
(광물 담체)
상기 광물 담체로서는,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을 담지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농약 조성물에 통상 이용되는 광물 담체를 적당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광물 담체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타팔자이트, 규사, 소성규조토, 제올라이트, 세피올라이트, 탄산칼슘, 벤토나이트, 탈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올라이트, 규사, 탄산칼슘이 바람직하고, 탄산칼슘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광물 담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며, 또한, 복수 종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광물 담체의 입경에는, 광물 담체가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을 담지 가능하다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광물 담체의 입경은, 예를 들어, 0.01~0.7mm로 할 수 있으며, 0.03~0.6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06~0.4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물 담체의 입경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비산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양호한 약효의 균일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0.05~0.3mm의 입경은, 일본국에 있어서는 분입제로 분류된다.
상기 광물 담체의 함유량은,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전중량에 대해서, 예를 들어, 90~99.5중량%로 할 수 있으며, 95~99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
본 발명의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는,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광물 담체 상에 상기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을 부착시키는 결합제로서 작용한다고 생각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토양에 시용하기 전에는, 활성 성분이 광물 담체로부터 박리하여 분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함과 함께,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가 토양에 시용된 후는, 토양과의 혼화 등의 물리적인 자극에 의해 용이하게 광물 담체로부터 박리하여, 토양에 균일하게 혼화 가능해져서, 약효의 균일성이 뛰어나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는, 수지산에 산화알킬렌을 부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산에 산화에틸렌을 부가하여 얻어지는 폴리옥시에틸렌 수지산에스테르, 수지산에 산화프로필렌을 부가하여 얻어지는 폴리옥시프로필렌 수지산에스테르, 수지산에 산화에틸렌과 산화프로필렌을 부가하여 얻어지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수지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립 억제와 약효의 균일성의 관점에서,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는, 폴리옥시에틸렌 수지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수지산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산의 예로서는, 로진산과 같은 디테르펜산이나, 벤조산이나 계피산등의 방향족 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립 억제와 약효의 균일성의 관점에서, 상기 수지산은 로진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진산은, 소나무속 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모노카르복실산계의 디테르펜산이며, 아비에틴산, 피말산 등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는, 폴리옥시알킬렌 로진산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 로진산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로진산에 산화알킬렌을 부가함으로서 폴리옥시알킬렌 로진산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진산에 산화에틸렌을 부가하여 얻어지는 폴리옥시에틸렌 로진산에스테르, 로진산에 산화프로필렌을 부가하여 얻어지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로진산에스테르, 로진산에 산화에틸렌과 산화프로필렌을 부가하여 얻어지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로진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 로진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로진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또한, 폴리옥시에틸렌 로진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로진산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옥시알킬렌 로진산에스테르는, 공업적으로도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고, 예를 들어, DRA 시리즈(토호화학공업(주)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에 있어서, 수지산에 대한 산화알킬렌의 부가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분립 억제와 약효의 균일성의 관점에서, 수지산 1몰에 대해서 산화알킬렌을 1~20몰 부가시킨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즉 옥시 알킬렌기의 총 부가몰수가 수지산 1몰에 대해서 평균 1~20몰인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수지산 1몰에 대해서 산화알킬렌을 3~18 부가시킨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즉 옥시 알킬렌기의 총 부가몰수가 수지산 1몰에 대해서 평균 3~18몰인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의 함유량은, 부가한 산화알킬렌의 종류에 관계없이,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전중량에 대해서 0.01~1중량%의 범위의 함유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8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0.01중량% 이상인 것에 의해, 사용 시의 비산(드리프트) 억제 효과가 보다 효과적으로 얻어진다. 또한, 1중량% 이하인 것에 의해, 토양 혼화 후에 있어서의 활성 성분의 박리가 보다 양호하게 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소망한 생물 효과가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물 담체에 대한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의 함유 비율이 0.01~1.11중량%인 것도 또한 바람직하고, 0.05~0.89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배합량(상기 광물 담체에 대한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의 함유 비율)이 0.01중량% 이상인 것에 의해, 사용 시의 비산(드리프트) 억제 효과가 보다 효과적으로 얻어진다. 또한, 1.11중량% 이하인 것에 의해, 토양 혼화 후에 있어서의 활성 성분의 박리가 보다 양호하게 되어, 생물 효과의 균일성이 보다 향상한다.
본 발명의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는,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로서, 폴리옥시에틸렌 수지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수지산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전중량에 대해서 0.01~1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옥시에틸렌 로진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로진산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전중량에 대해서 0.05~0.8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외의 성분)
본 발명의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는, 상기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 결합제 및 광물 담체에 가하여, 필요에 따라서 그 외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일반적으로 농약용조제로서 공지의 성분을 적당히 선택하여함유할 수 있다. 그 외의 성분으로서의 농약용 조제는, 예를 들어, 결합제의 점도, 제제의 색, pH, 광물 담체 미분의 응집, 고결방지, 광안정성, 시용 후의 토양 중에서의 확산성, 침투성 등의 각종 효과를 부여 또는 조정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의 성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물,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식물유(콩기름, 면실유 등), 광물유(유동파라핀 등)를 들 수 있으며, 그 외, 착색제, pH 조정제, 응집제(드릴레스(Driless) A, 드릴레스 B, 드릴레스 C 등), 광물 미분(다공질규산 등), 자외선 흡수제, 계면활성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는, 계면활성제의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생물 효과의 균일성이 보다 향상하고, 또한 본 발명의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알킬렌글리콜형 계면활성제, 다가알코올형 계면활성제, 아세틸렌계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지만, 분립 억제, 효과의 균일성 및 제조 효율의 관점에서, 폴리알킬렌글리콜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형 계면활성제의 분자량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분립 억제, 효과의 균일성 및 제조 효율의 관점에서,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형 계면활성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0~6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5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알킬렌글리콜형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전중량에 대해서, 0.01~1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8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계면활성제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600인 폴리알킬렌글리콜형 계면활성제를,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전중량에 대해서 0.01~1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5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전중량에 대해서 0.05~0.8중량%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제조 방법은, 광물 담체에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 및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을 담지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광물 담체 및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를 혼합하여, 결합제 함유 광물 담체를 얻는 제1의 공정과, 상기 결합제 함유 광물 담체 및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을 혼합하여,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얻는 제2의 공정을 포함하는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제조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조 방법으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제조함으로써, 예를 들어, 광물 담체 표면에,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 및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이 부착된다. 이에 의해, 토양과 혼합하기 전에 있어서의 분립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토양과 혼합한 다음은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이 광물 담체로부터 박리하여, 토양 중에 의해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상기 제 1의 공정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는, 광물 담체와 직접 혼합해도 되며, 또한,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와 계면활성제(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미리 혼합해서 얻어지는 결합제 프리믹스와, 광물 담체를 혼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조 효율의 관점에서, 미리 조제한 결합제 프리믹스와 광물 담체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광물 담체 표면에 부착된다. 광물 담체 표면에 부착된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는,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광물 담체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 프리믹스는,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서 그 외의 성분을 더 포함해도 된다. 결합제 프리믹스에 포함되는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 유기용제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 프리믹스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는, 이미 기술한 계면활성제와 같은 뜻이며, 바람직한 양태도 같다.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 및 광물 담체를 혼합하는 방법으로서는 통상 이용되는 일반적인 혼합기를 특별히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리본 믹서, 나우타 믹서, 헨셀 믹서 등의 각종 혼합날개를 갖는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제 2의 공정에 있어서는, 제1의 공정에서 얻어진 결합제 함유 광물 담체와,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을 혼합하여,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제조한다.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은 결합제 함유 광물 담체와 직접 혼합해도 되며, 또한, 미리 조제한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 프리믹스를 결합제 함유 광물 담체와 혼합해도 된다.
상기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 프리믹스는,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서 그 외의 성분을 더 포함해도 된다.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 프리믹스에 포함되는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탄산칼슘, 화이트 카본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 함유 광물 담체와,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을 혼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제 1의 공정에 있어서의 혼합 방법과 마찬가지로, 통상 이용되는 일반적인 혼합기를 특별히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리본믹서, 나우타믹서, 헨셀믹서 등의 각종 혼합날개를 갖는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1의 공정과 제2의 공정을 다른 혼합 수단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실시해도 되며, 상기 제 1의 공정과 제2의 공정을 동일한 혼합 수단을 이용하여 연속해서 실시해도 된다.
또한 상기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제조 방법은, 필요에 따라서 그 외의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 외의 공정으로서는, 예를 들어, 가열 공정, 냉각 공정, 건조 공정 등을 들 수 있다.
(토양병해 방제 방법)
본 발명의 토양병해 방제 방법은, 상기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토양에 시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이용함으로써, 시용에서의 약제의 비산(드리프트)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균일성이 뛰어난 토양병해 방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토양에 시용하는 방법으로서는, 통상 이용되는 분입제의 시용 방법을 특별히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손으로 뿌리기 혹은 전용 처리기를 이용하여 상기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토양 표면에 살포 후, 토양과 혼화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시용할 수 있지만, 처리 방법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에 의해, 작업자에 대한 약제의 폭로를 저감하고, 또한, 목적 환경 이외에의 약제의 비산을 저감시켜, 더욱 효과가 안정된 분입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에 있어서는, 침투 이행성 혹은 휘발성을 가지지 않은 활성 성분을 이용했을 경우라도, 토양 중에 있어서의 활성 성분의 농도에 불균일이 억제되어 균일한 토양병해 방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는, 살포 후의 약제의 토양 확산성이 양호하고, 농도의 불균일에 의한 방제 효과의 불안정성이 억제된다. 또한 처리 후의 강우, 토양 수분 등의 환경요인에 의한 방제 효과의 변동이 억제되어, 소량의 약제량으로도 효과 완성까지의 날짜가 저감 된다. 또한, 물로 희석하지 않고 직접 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약액을 조제하는 수고나, 전용의 살포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수리(水利)가 나쁜 장소에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부」 및 「%」는 중량 기준이다.
(제제예 1) 플루설파마이드 0.3% 분입제제의 조제
KENMIX chef(주식회사 아이코샤공업소 제)에, 광물 담체로서 탄산칼슘(A탄칼, 입경: 500㎛ 이상 0%, 150㎛ 이하 10.0% 이하, 아사히코마츠주식회사 제) 1334.25g 및 탄산칼슘(K-250, 입경:425㎛ 이상 1.0% 이하, 45㎛ 이하 19% 이하, 아사히코마츠주식회사 제) 150g을 투입하고, 2분간 혼합하여, 탄산칼슘 혼합물을 얻었다.
폴리옥시에틸렌 로진산에스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15, 토호화학공업주식회사 제) 35.81g, 폴리에틸렌 글리콜(PEG-400, 산요화성공업주식회사 제) 62.56g 및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드릴레스 AA, 일본유화제주식회사제) 1.63g을 혼합하여 결합제 프리믹스를 조제하였다.
상기 탄산칼슘 혼합물에 결합제 프리믹스 6.45g을 가하고, 또한 15분간 혼합하여, 결합제 함유 광물 담체를 얻었다.
2',4-디클로로-α,α,α-트리플루오로-4'-니트로-m-톨루엔술폰아닐리드(플루설파마이드, 순도 98%, 미츠이화학주식회사 제) 51.01g, 탄산칼슘(미크론칼 ST-130, 아사히코마츠주식회사 제) 41.75g, 함수(含水) 비정질 이산화 규소(카프렉스#80D, 데구사재팬주식회사 제) 7.24g을 혼합 후, 에어 밀로 분쇄하여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 프리믹스를 조제하였다.
상기 결합제 함유 광물 담체에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 프리믹스 9.3g을 가하고, 또한 15분간 혼합하여, 구하는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1500g을 얻었다.
(제제예 2) 플루설파마이드 0.3% 분입제제의 조제
제제예 1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 로진산에스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15, 토호화학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하는 대신에, 폴리옥시에틸렌 로진산에스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3, 토호화학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제예 1과 같은 조작을 실시하여,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얻었다.
(제제예 3) 플루설파마이드 0.3% 분입제제의 조제
제제예 1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 로진산에스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15, 토호화학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하는 대신에, 폴리옥시에틸렌 로진산에스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12, 토호화학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제예 1과 같은 조작을 실시하여,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얻었다.
(제제예 4) 플루설파마이드 0.3% 분입제제의 조제
제제예 1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 로진산에스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15, 토호화학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하는 대신에,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로진산에스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12,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몰수 6, 토호화학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제예 1과 같은 조작을 실시하여,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얻었다.
(제제예 5) 플루설파마이드 0.3% 분입제제의 조제
제제예 1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 로진산에스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15, 토호화학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하는 대신에,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로진산에스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3,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몰수 3, 토호화학공업주식회사 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제예 1과 같은 조작을 실시하여,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얻었다.
(제제예 6) 플루아지남 0.5% 분입제제의 조제
KENMIX chef(주식회사 아이코샤공업소 제)에 광물 담체로서 탄산칼슘(A탄칼, 입경: 500㎛ 이상 0%, 150㎛ 이하 10.0% 이하, 아사히코마츠주식회사 제) 1428.55g 및 탄산칼슘(K-250, 입경: 425 이상 1.0% 이하, 45 이하 19% 이하, 아사히코마츠주식회사제) 50.00g을 투입하여, 2분간 혼합하였다.
폴리옥시에틸렌 로진산에스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15, 토호화학공업주식회사 제) 37.44g, 폴리에틸렌 글리콜(PEG-400, 산요화성공업주식회사 제품) 62.56g을 혼합하여 결합제 프리믹스를 조제하였다.
상기 탄산칼슘 혼합물에 결합제 프리믹스 6.45g을 가하고, 또한 15분간 혼합하여, 결합제 함유 광물 담체를 얻었다.
3-클로로-N-(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α,α,α-트리플루오로-2,6-디니트로-p-톨루이딘(플루아지남, 순도 99%, 합성품) 50.51g, 탄산칼슘(미크로칼 ST-130, 아사히코마츠주식회사 제) 42.49g, 함수 비정질 이산화규소(카프렉스#80D, 데구사재팬주식회사 제) 7.00 g을 혼합 후, 에어 밀로 분쇄하여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 프리믹스를 조정하였다.
상기 결합제 함유 광물 담체에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 프리믹스 15.00 g을 가하고, 또한 15분간 혼합하여, 구하는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1500g을 얻었다.
(제제예 7) 아미설브롬 0.5% 분입제제의 조제
제제예 6에 있어서, 3-클로로-N-(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α,α,α-트리플루오로-2,6-디니트로-p-톨루이딘(플루아지남, 순도 99%, 합성품)을 사용하는 대신에, 3-(3-브로모-6-플루오로-2-메틸인돌-1-일술포닐)-N,N-디메틸-1, 2,4-트리아졸-1-술폰아미드(아미설브롬, 순도 99%, 합성품)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제예 6과 같은 조작을 실시하여,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얻었다.
(제제예 8)
제제예 1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 로진산에스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15, 토호화학공업주식회사 제)를 함유하는 결합제 프리믹스를 첨가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제제예 1과 같은 조작을 실시하여,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얻었다.
(제제예 9)
KENMIX chef(주식회사 아이코샤공업소 제)에 광물 담체로서 탄산칼슘(A탄칼, 입경: 500㎛ 이상 0%, 150㎛ 이하 10.0% 이하, 아사히코마츠주식회사 제) 1334.25g 및 탄산칼슘(K-250, 입경: 425㎛ 이상 1.0% 이하, 45㎛ 이하 19% 이하, 아사히코마츠주식회사 제) 150g을 투입하여, 2분간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미리 조제해 둔 폴리비닐 알코올 20% 수용액(고세놀 GL-05, 니혼고세이화학공업주식회사 제) 6.45g을 가하고, 또한 15분간 혼합하여, 폴리비닐 알코올이 부착한 탄산칼슘을 얻었다.
2',4-디클로로-α,α,α-트리플루오로-4'-니트로-m-톨루엔술폰아닐리드(플루설파마이드, 순도 98%, 미츠이화학주식회사 제) 51.01g, 탄산칼슘(미크로칼 ST-130, 아사히코마츠주식회사제) 41.75g, 함수 비정질 이산화규소(카프렉스 #80D, 데구사재팬주식회사 제) 7.24g을 혼합 후, 에어 밀로 분쇄하여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 프리믹스를 조정하였다.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이 부착한 탄산칼슘에,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 프리믹스 9.3g을 가하고, 또한 15분간 혼합 후, 1주야 풍건하여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1495g을 얻었다.
<평가>
상기 제제예 1~9, 및 대조 약제로서 네비진 분제(플루설파마이드 0.3% 함유 시판 토양병해 방제제, 미쓰이카가쿠아그로주식회사 제), 프론사이드 분제(플루아지남 0.5% 함유 시판 토양병해 방제제, 이시하라산업주식회사제)의 부유성 지수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식물에 대한 방제 효과를 포트로 비교 검토하였다.
(시험예 1) 부유성 지수 측정
제제예 1~9에서 조제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 및 시판 대조 약제(시판 토양병해 방제제)로서 네비진 분제 및 프론사이드 분제를 이용하여, 부유성 지수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부유성 지수의 측정은, 「평성14년 1월 10일자 13 생산 제3987호 생산국장 통지」에 의한 방법에 준해 3회 실시하여, 그 산술 평균치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부유성 지수란, 농약 제재의 드리프트성(분립성(粉立性))을 판단하는 지표로서 이용되며, 수치가 클수록 분립(비산)이 큰 것을 의미한다.
[표 1]
Figure 112010084348169-pat00001
표 1에서도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인 제제예 1~제제예 7은,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결합제 프리믹스를 첨가하지 않았던 제제예 8, 및 분제인 시판 대조 약제(네비진 분제, 프론사이드 분제)와 비교하여, 분립(비산)이 크게 억제된 분입제제인 것이 분명하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을 결합제로서 이용한 제제예 9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와 동등하게 분립이 억제되고 있다.
(시험예 2) 토양병해 방제 효과 시험(포트 시험)
-코마츠나(시금치 보다 조금 질긴 야채) 뿌리혹병 방제 시험-
시험에 이용한 십자화과 채소의 뿌리혹병균(Plasmodiophora brassicae)은 다음과 같이 해서 조제하였다. -20℃의 냉동고에서 보존의 이병(罹病) 뿌리에 등배 이상의 살균수를 가하고, 믹서로 5분간 분쇄하여 얻은 마쇄액을 4중 가제로 여과하였다. 액을 2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부를 버리고, 침강 찌꺼기에 재차 살균수를 가하여, 믹서로 균일화하였다. 원심분리하는 조작을 2~3회 실시하여, 휴면 포자를 세정한 후, 얻어진 침강 휴면 포자를 1×106개/g 토양의 포자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조제한 뿌리혹병균 휴면 포자를 토양 3kg에 적하하고, 잘 혼화하였다. 제제예 1~9에서 조제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소정량을 첨가하여, 더욱 충분히 혼합한 후, 직경 15cm의 오지 포트(unglazed pot) 3개에 채우고, 코마츠나(품종: 흑엽만생) 종자 20 알갱이를 파종하여, 온실 내에서 생육시켰다. 파종 후 2주간무렵까지의 사이에 생육이 갖추어진 10개를 남기고, 그 외는 솎아냈다. 파종 6주일 후에 뿌리부를 파내어 물로 씻고, 뿌리혹 착생의 유무와 그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효과의 판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발병 정도는 이하에 나타내는 0~4의 5단계 평가의 발병 지수로 실시하여, 발병도 및 방제값을 이하의 식 1, 식 2에 의해 각각 구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2,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표 2와 표 3은 시험일이 다르다.
또한 시험중에, 지상부에 나타나는 약해의 유무를 육안 관찰로 실시함과 함께 처리 후 6주일 후의 키에 의해, 약해의 발생을 판단하였으나, 어느 제재도 약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발병 지수-
0: 혹형성은 없었다.
1: 원뿌리의 말단, 곁뿌리에 작은 혹이 형성되었다.
2: 원뿌리의 1/3 이하 미만이 이병하였다.
3: 원뿌리의 1/3이상 2/3 미만이 이병하였다.
4: 원뿌리의 2/3이상이 이병하여, 가는뿌리가 거의 없었다.
발병도 = ∑(발병 지수×지수별 포기수)/(4×모든 포기수)×100 :(식 1)
방제값 = (무처리의 발병도-약제 처리의 발병도)/(무처리의 발병도)×100 : (식 2)
[표 2]
Figure 112010084348169-pat00002
[표 3]
Figure 112010084348169-pat00003
 
표 2 및 3에 나타내는 대로, 본 발명과 관련되는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제제예 1, 2, 3 및 5)는 코마츠나 뿌리혹병에 대해서, 종래의 분제와 동등한 효과인 것은 분명하다.
또한, 제제예 9는, 코마츠나 뿌리혹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불충분하다.
이상의 시험예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는, 약액을 조제할 필요가 없이, 간편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비산(드리프트)이 억제된다. 또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토양과 혼화했을 때에는, 광물 담체로부터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이 박리하여, 토양 중에 균일하게 분산함으로써, 약제의 농도에 불균형을 일으키는 일 없이, 안정된 방제 효과를 발현한다.

Claims (11)

  1.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과, 광물 담체와,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를 함유하고,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가, 폴리옥시에틸렌 로진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로진산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전중량에 대한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의 함유율이 0.01~1중량%인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 담체에 대한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의 함유 비율이, 0.01~1.11중량%인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6.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양병해가, 뿌리혹병, 입고병 또는 역병인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이, 2',4-디클로로-α,α,α-트리플루오로-4'-니트로-m-톨루엔술폰아닐리드, 3-클로로-N-(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α,α,α-트리플루오로-2,6-디니트로-p-톨루이딘, 및 3-(3-브로모-6-플루오로-2-메틸인돌-1-일술포닐)-N, N-디메틸-1, 2, 4-트리아졸-1-술폰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8. 제1항에 있어서,
    또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전중량에 대한 상기 광물 담체의 함유율이, 90~99.5중량%인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10. 제1항에 기재된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토양에 시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토양병해 방제 방법.
  11. 광물 담체 및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를 혼합하여, 결합제 함유 광물 담체를 얻는 제1의 공정과,
    상기 결합제 함유 광물 담체 및 토양병해 방제용 활성 성분을 혼합하여,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를 얻는 제2의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가, 폴리옥시에틸렌 로진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로진산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의 제조 방법.
KR1020100131419A 2010-01-20 2010-12-21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및 토양병해 방제 방법 KR101310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10471A JP5511404B2 (ja) 2010-01-20 2010-01-20 土壌病害防除用粉粒製剤および土壌病害防除方法
JPJP-P-2010-010471 2010-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866A KR20110085866A (ko) 2011-07-27
KR101310030B1 true KR101310030B1 (ko) 2013-09-24

Family

ID=4453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419A KR101310030B1 (ko) 2010-01-20 2010-12-21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및 토양병해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511404B2 (ko)
KR (1) KR101310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62379A1 (en) 2013-10-21 2016-09-15 Hicap Formulations Ltd.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of herbicid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052A (ko) * 2006-11-08 2009-07-14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능을 갖는 미생물 및 그 미생물을 사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제
KR20090089390A (ko) * 2006-11-21 2009-08-21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식물 병해의 예방 방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3383B2 (ko) * 1972-01-14 1978-07-14
JPS55141402A (en) * 1979-04-23 1980-11-05 Sanyo Chem Ind Ltd Drift preventive for agricultural dust preparation
JPH02108605A (ja) * 1988-10-19 1990-04-20 Toho Chem Ind Co Ltd 結晶性を抑制された農薬固形製剤
JP3126399B2 (ja) * 1991-03-08 2001-01-22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農薬粉剤
JP3193595B2 (ja) * 1995-06-26 2001-07-30 北興化学工業株式会社 ドリフト防止剤および改良された農薬粉剤
WO1997007676A1 (en) * 1995-08-29 1997-03-0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rop protection composition comprising a crop protection solid particle coated with a water-insoluble coating material and a crop protection mixture comprising the same
TWI281852B (en) * 2003-07-18 2007-06-01 Mitsui Chemicals Inc Fungicidal aqueous suspension formulation for foliage application
JP5285388B2 (ja) * 2008-10-24 2013-09-11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微粒状農薬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052A (ko) * 2006-11-08 2009-07-14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능을 갖는 미생물 및 그 미생물을 사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제
KR20090089390A (ko) * 2006-11-21 2009-08-21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식물 병해의 예방 방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48723A (ja) 2011-08-04
KR20110085866A (ko) 2011-07-27
JP5511404B2 (ja) 201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1643B2 (ja) イネ科及びアブラナ科作物用の選択的除草剤としての3−イソオキサゾリジノン誘導体の使用
TWI524844B (zh) 除害組成物
US9023762B2 (en) Plant growth regulator compositions,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US11980193B2 (en) Natural oil pesticidal compositions
JP2007077044A (ja) 水中懸濁性農薬製剤
CN106962381A (zh) 具有增效作用的植物生长调节剂组合物
CN102037963B (zh) 补骨脂查尔酮类化合物与补骨脂二氢黄酮防治植物病害混合制剂
CN106922714A (zh) 具有增效作用的植物生长调节剂组合物
WO2012040802A2 (en) Synergistic combination of abamectin and bifenthrin,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and uses, and method using the same
WO2014034155A1 (ja) マクロライド系化合物を含有する土壌線虫防除用薬剤
JP5030476B2 (ja) 混合除草組成物
KR101310030B1 (ko) 토양병해 방제용 분입제제 및 토양병해 방제 방법
CN107853320A (zh) 一种复配棉花脱叶组合物
CN1167572A (zh) 稻田除草组合物
JP7223869B2 (ja) 植物における維管束組織の疾患の制御および/または治療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農業用組成物
JP2007520432A (ja) 殺菌効果増進剤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殺菌剤組成物
JP2007039370A (ja) 殺菌効果の向上した農園芸用水性懸濁状農薬製剤
JP3270820B2 (ja) 湛水下水田の直接散布用水性懸濁製剤
KR101915411B1 (ko) 병충해 방제용 살균 조성물
JP2012006849A (ja) そうか病防除用硫黄懸濁液
KR101784513B1 (ko) 희토류를 포함하는 원예 작물의 병충해 방제용 살균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4212194B2 (ja) 効力が増強された5−メチルイソオキサゾール組成物
CA3096451A1 (en) Improved natural oil pesticidal compositions
KR20140088527A (ko) 수성 농약 현탁 조성물 및 수성 농약 현탁 제제
CN110214783B (zh) 一种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