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433B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433B1
KR101309433B1 KR1020060129248A KR20060129248A KR101309433B1 KR 101309433 B1 KR101309433 B1 KR 101309433B1 KR 1020060129248 A KR1020060129248 A KR 1020060129248A KR 20060129248 A KR20060129248 A KR 20060129248A KR 101309433 B1 KR101309433 B1 KR 101309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broadcasting
digital multimedia
transport packet
transport
refere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398A (ko
Inventor
김봉면
김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9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433B1/ko
Publication of KR20080056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기에서 버퍼링된 트랜스포트 패킷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나 SD 카드 등의 저장매체로 저장하는 과정이 PCR(Program Clock Reference)과 같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규격에서 정해진 특정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이루어지도록 하여, 약 전계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저장하고 시스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버퍼링, 저장매체, 약 전계, 자원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
도 1은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버퍼링하는 개요,
도 2는 종래 버퍼링된 트랜스포트 패킷의 저장이 이루어지는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MB 수신기에서의 녹화 장치에 관한 일 실시예,
도 4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구조,
도 5는 본 발명이 DMB 수신기에 적용되는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MB 수신기에서의 녹화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
도 7은 일정 개수의 정상적인 트랜스포트 패킷을 찾은 후 버퍼링을 시작하는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녹화 장치 31: 버퍼
32: 버퍼제어부 33: 기준신호 검출부
34: PVR 제어부 35: 저장매체
5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51: DMB 수신부 52: 주 제어부
53: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54: A/V 디코더
55: 스피커 56: 디스플레이 모듈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CR(Program Clock Reference)과 같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규격에서 정한 특정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버퍼링된 트랜스포트 패킷을 녹화용 저장매체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약 전계 상황에서의 시스템 오류를 방지하고 자원의 낭비를 줄여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녹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방송의 디지털화는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에도 영향을 주어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시대의 도래를 앞당겼다. 또한, 음성 라디오 방송 서비스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모두 포괄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이 가능해졌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종전의 AM과 FM 라디오 방송의 형태를 넘어 고품질 CD 수준의 음질,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 양방향 통신, 우수한 이동수신 품질 등을 제공하는 차세대 방송 서비스로서, 전송 채널에 발생하는 잡음과 왜곡에 강하고 전송효율이 높은 장점을 갖는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규격은 MPEG-4 데이터를 전송하여 비디오 방송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데이터 전송도 가능하므로, 이동 수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런 점으로 인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대부분 휴대폰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기능을 모두 갖는 복합 제품과 같이 모바일 기기의 형태로 구성된다.
한국에서 채택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유럽의 지상파 라디오 표준으로 채택된 Eureka-147 디지털 라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기반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방송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된 것은 전송 채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집에러(Burst Error)에 강한 특성을 보이는 RS 코드(Reed-Solomon Code)와 길쌈 인터리버(Convolutional Interleaver)이다. 추가된 상기 두 블록은 송신기에서 DAB 앙상블(Ensemble) 입력 신호에 대해 적용하며, 이동 수신 환경에서도 비디오 서비스가 가능할 만큼 충분히 낮은 에러율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전송 채널은 무선 이동수신 채널로써, 수신신호의 크기가 시변(Time-Varying)할 뿐만 아니라, 이동 수신의 영향으로 수신신호 스펙트럼(Spectrum)의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ing)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채널 환경에서의 송수신을 고려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전송 방식은 직교신호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기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 시스템과는 달리 이동 상황에서 서비스되는 것이므로, 수신기가 최상의 수신 성능을 발휘하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녹화 기능이나 타임머신 기능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나 SD(Secure Digital) 카드 등과 같은 각종 대용량 저장매체에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 다시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S: Transport Stream)을 일단 버퍼에 버퍼링하고 주기적으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버퍼링하는 개요를 설명하자면,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형태로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패킷(TP: Transport Packet)은 일단 버퍼(11)에 버퍼링된다. 버퍼(11)에 저장되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위치는 버퍼링 시작주소(DL_BUF_RPTR)와 종료주소(DL_BUF_WPTR)를 지시하는 포인터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버퍼링 공간은 제한될 수 있으며, 이를 'DL_BUF_FULL_LEVEL'로 표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에 버퍼(11)에 버퍼링된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매체(12)로 옮겨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 방법은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할 수 있는 버퍼링 공간(DL_BUF_FULL_LEVEL)이 가득 찼는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조사하여(Periodic Check), 가득 찬 경우에는 버퍼링된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매체(12)로 옮겨 저장한 후 버퍼링 공간을 비우도록 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할 수 있는 버퍼링 공간(DL_BUF_FULL_LEVEL)이 가득 차면 하드웨어 인터럽 트(Interrupt)를 발생시켜 버퍼링된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매체(12)로 옮겨 저장한 후 버퍼(11)를 비우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버퍼(11)의 버퍼링 공간이 가득 찼는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조사하는 첫 번째 방법을 이용할 때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거의 수신되지 않는 약 전계 상황에서는 불필요한 조사 과정이 반복되어 시스템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퍼(11)의 버퍼링 공간이 가득 찼을 때 하드웨어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두 번째 방법을 이용할 때는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오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인터럽트를 잃어 버려 저장매체(12)로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하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PCR(Program Clock Reference) 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규격에서 정한 특정 신호의 존재를 기준으로 하여 버퍼링된 트랜스포트 패킷을 녹화용 저장매체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약 전계 상황에서의 시스템 오류를 방지하고 자원의 낭비를 줄여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녹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장치는, 디지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로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의 각 트랜스포 트 패킷(Transport Packet)을 상기 버퍼에 버퍼링하는 버퍼제어부; 상기 트랜스포트 패킷에서 기 설정된 기준신호를 검출하는 기준신호 검출부; 상기 기준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매체로 옮겨 저장하는 PVR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퍼제어부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일정 개수의 정상적인 트랜스포트 패킷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버퍼링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방법은, 트랜스포트 패킷에 포함될 수 있는 일정 신호를 기준신호로 설정하는 단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로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각 트랜스포트 패킷을 버퍼링하는 단계; 상기 버퍼링되는 트랜스포트 패킷에 상기 기준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버퍼링된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매체로 옮겨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로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각 트랜스포트 패킷을 버퍼링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일정 개수의 정상적인 트랜스포트 패킷을 검출하였을 때 시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신호는 PCR(Program Clock Referenc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장치(30)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한다.
버퍼(31)는 디지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로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S:Transport Stream)의 각 트랜스포트 패킷(TP:Transport Packet)은 버퍼(31)에 버퍼링된 후 PVR 제어부(34)에 의해 저장매체(35)로 옮겨 저장된다. 이러한 버퍼(31)를 구성하는 일 예는 SDRAM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저장매체(35)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나 SD(Secure Digital) 카드 등 대용량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각종 디지털 데이터 저장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버퍼제어부(32)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로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 트랜스포트 패킷을 찾아 트랜스포트 패킷 단위로 버퍼(31)에 버퍼링한다. 이 때, 버퍼제어부(32)는 일정 개수의 정상적인 트랜스포트 패킷이 수신되었을 때 버퍼링을 시작하도록 하여 오류 없는 정확한 트랜스포트 패킷만을 버퍼링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자면,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트랜스포트 패킷이 연속되는 구조이며, 하나의 트랜스포트 패킷은 188 바이트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트랜스포트 패킷은 4 바이트의 헤더(Header) 부분과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헤더 부분의 처음 1 바이트는 동기 바이트(Sync Byte)로서, 트랜스포트 패킷의 시작점을 알려주기 위하여 '0x47'의 고정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은 '0x47' 값은 트랜스포트 패킷의 시작점을 알려주는 값으로 사용되지만, 일반적인 데이터도 '0x47'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오류 없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처리를 위해서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검출이 정확히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버퍼제어부(32)는 '0x47'로부터 시작되는 정상적인 트랜스포트 패킷이 일정 개수(예: 3개) 이상 검출되었을 때 트랜스포트 패킷을 버퍼(31)에 버퍼링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기준신호 검출부(33)는 기 설정된 기준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기준신호란 버퍼(31)에 버퍼링된 트랜스포트 패킷을 언제 저장매체(35)로 저장할 것인지에 관한 표준이 되는 신호를 의미하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규격에 정해지고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중에서 설정할 수 있다. 즉, 트랜스포트 패킷에 포함되어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기준신호로 설정하면, 해당 주기마다 얼마만큼의 트랜스포트 패킷이 수신되는지를 알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이 기준신호를 통해 현재 버퍼(31)에 저장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양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준신호는 버퍼(31)에 버퍼링된 트랜스포트 패킷을 언제 저장매체(35)로 저장할 것인지를 알려주기 위해서만 사용되므로, 트랜스포트 패킷을 버퍼링할 버퍼 공간과 관련하여 적절한 수신 주기를 갖는 신호이면 어떤 신호라도 기준신호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트랜스포트 패킷을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PCR(Program Clock Reference)을 기준신호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오디오와 비디오의 동기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TS)에서 제공되는 동기(Synchronization) 정보와 MPEG-4 SL(Synchronization Layer)에서 제공되는 동기 정보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MPEG-2에서는 송신단 시스템 인코더의 시스템 타임 클록(STC: System Time Clock) 정보를 42 비트로 구성된 프로그램 기준 시간 정보인 PCR에 실어 전송함으로써 수신단 시스템 디코더의 시스템 타임 클록을 인코더의 시스템 타임 클록과 동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PCR은 일반적으로 100ms 주기로 수신되며, 이 PCR을 기준신호로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PVR 제어부(34)는 기준신호 검출부(33)에서 기준신호가 검출되면 버퍼(31)에 저장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매체(35)에 저장한다. 이 때, PVR(34) 제어부는 버퍼(31)에 버퍼링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을 기준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저장매체(35)로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기준신호가 수신되는 주기에 따라 버퍼(31)에 버퍼링되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개수가 결정되므로,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기준신호가 수신될 때 버퍼(31)에 버퍼링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매체(35)로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못하는 약 전계 상황에서는 PCR이 수신되는 주기도 그에 맞는 시간만큼 늘어나므로, 불필요하게 버퍼(31)의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없어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50)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3)는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과 같은 각종 입력수단이나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을 통해 사용자와 인터페이스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50)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각종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 제어부(5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3)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50)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DMB 수신부(51)는 안테나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하고, DMB 수신부(51)에서 출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30)로 입력되어 저장매체(35)에 저장된다. 이 때, 녹화 장치(30)가 DMB 수신부(51)로부터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저장매체(35)에 저장하는 것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50)가 녹화나 타임머신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모드에 있을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PVR 제어부(34)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50)가 단순히 녹화만 실행하거나, 녹화와 시청을 동시에 실행하거나, 또는 타임머신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 모드에 있을 때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여 버퍼(31)에 버퍼링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매체(35)로 저장한다.
그러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50)가 저장매체(35)에 저장된 녹화물을 재생하는 동작 모드에 있을 때는 저장매체(35)에 저장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이 PVR 제어부(34)의 제어에 따라 버퍼(31)에 버퍼링되고, 단순히 현재 방송을 시청하는 동작모드에 있을 때는 DMB 수신부(51)를 통해 입력된 트랜스포트 패킷이 버퍼(31)에 버퍼링된다. 그리고, 버퍼(31)에 버퍼링된 트랜스포트 패킷은 A/V 디코더(54)를 통해 디코딩된 후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56)을 통해 화면에 출력되고,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55)를 통해 출력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신호 중에서 일정 기준신호를 설정한다(S61).
기준신호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퍼링된 트랜스포트 패킷을 언제 저장매체로 저장할 것인지에 관한 표준이 되는 신호를 의미하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규격에 정해지고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중에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신호는 트랜스포트 패킷을 버퍼링할 버퍼 공간과 관련하여 적절한 수신 주기를 갖는 신호이면 어떤 신호라도 기준신호로 설정될 수 있다.
만일 트랜스포트 패킷에 포함되어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기준신호로 설정하면, 해당 주기마다 얼마만큼의 트랜스포트 패킷이 수신되는지를 알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이 기준신호를 통해 현재 버퍼링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개수를 알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트랜스포트 패킷을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PCR(Program Clock Reference)을 기준신호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트랜스포트 패킷을 버퍼에 버퍼링한다(S62).
단계 S62를 진행하면서 현재 버퍼링되는 트랜스포트 패킷에서 기준신호가 검출되면(S63), 버퍼링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매체로 저장하고 버퍼를 비운 후 다시 단계 S62로 진행하여 다음 트랜스포트 패킷에 대한 버퍼링을 계속 수행하며(S64), 기준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대로 단계 S62로 진행하여 다음 트랜스포트 패킷에 대한 버퍼링을 계속 수행한다.
이 때, 저장매체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나 SD(Secure Digital) 카드 등 대용량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각종 디지털 데이터 저장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계 S63과 S64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가 녹화기능을 수반하는 동작모드에 있을 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한편, 단계 S62는 일정 개수의 정상적인 트랜스포트 패킷이 수신되었을 때 버퍼링을 시작하도록 하여 오류 없는 정확한 트랜스포트 패킷만을 버퍼링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이와 관련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먼저 초기에 변수 n=1로 설정한다(S71).
그리고,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 '0x47'을 검출한다(S72).
단계 S72에서 '0x47'이 검출되면 이 값이 트랜스포트 패킷의 시작점을 알리는 것인지 또는 일반 데이터의 일부분인지를 판단한다(S73).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은 '0x47' 값을 갖는 바이트(Byte)로부터 188 바이트 이후의 최초 바이트가 다시 '0x47' 값을 갖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것은 188 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처음 1 바이트는 동기 바이트(Sync Byte)로서, 트랜스포트 패킷의 시작점을 알려주기 위하여 '0x47'의 고정 값을 갖기 때문이다.
단계 S73에서의 판단 결과, 트랜스포트 패킷의 시작점인 경우에는 변수 n=3 인지를 조사하고(S74), 변수 n=3이면 동기를 찾은 것이므로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각 트랜스포트 패킷에 대한 버퍼링을 시작하고(S76), 변수 n값이 3 미만이면 변수 n 값을 1 증가시킨 후 단계 S72로 진행한다(S75).
그러나, 단계 S73에서의 판단 결과 단계 S72에서 검출한 '0x47'이 트랜스포트 패킷의 시작점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71로 진행한다.
이러한 과정은 일정 개수의 트랜스포트 패킷이 검출되었을 때만 트랜스포트 패킷의 동기를 정확히 찾은 것으로 처리하도록 하여, 오류 없는 정확한 트랜스포트 패킷만을 버퍼링하기 위한 것이다. 즉,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MPEG-2 TS(Transport Stream) 시스템을 따르므로, 동기 바이트(0x47)를 기준으로 188 바이트가 확보되는 정상적인 데이터만을 처리하게 된다.
이 때, 변수 n 값으로 참조되는 값인 '3'은 몇 개의 정상적인 트랜스포트 패킷을 검출하였을 때 완전히 동기된 것으로 판단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값으로서, 필요에 따라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수신 환경에서 동작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 신기가 약 전계 상황에 있을 때도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류가 존재하는 스트림이 아닌 정상 스트림만을 저장함으로써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녹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녹화물 재생시 더욱 깨끗한 화면을 볼 수 있게 해 준다.

Claims (6)

  1. 디지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로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의 각 트랜스포트 패킷(Transport Packet)을 상기 버퍼에 버퍼링하는 버퍼제어부;
    상기 트랜스포트 패킷에서 기 설정된 기준신호를 검출하는 기준신호 검출부;
    상기 기준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매체로 옮겨 저장하는 PVR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제어부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일정 개수의 정상적인 트랜스포트 패킷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버퍼링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는 PCR(Program Clock Reference)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장치.
  3. 삭제
  4.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트랜스포트 패킷에 포함될 수 있는 일정 신호를 기준신호로 설정하는 단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로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트랜스포트 패킷을 버퍼링하는 단계;
    상기 버퍼링되는 트랜스포트 패킷에 상기 기준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버퍼링된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매체로 옮겨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트 패킷을 버퍼링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일정 개수의 정상적인 트랜스포트 패킷을 검출하였을 때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는 PCR(Program Clock Reference)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방법.
  6. 삭제
KR1020060129248A 2006-12-18 2006-12-1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장치 및 방법 KR101309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248A KR101309433B1 (ko) 2006-12-18 2006-12-1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248A KR101309433B1 (ko) 2006-12-18 2006-12-1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398A KR20080056398A (ko) 2008-06-23
KR101309433B1 true KR101309433B1 (ko) 2013-09-23

Family

ID=3980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248A KR101309433B1 (ko) 2006-12-18 2006-12-1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1150A2 (en) * 2007-11-09 2009-05-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broadcasting content in dmb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632A (ko) * 1998-10-02 2000-05-25 구자홍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73381A (ko) * 2000-01-14 2001-08-01 윤종용 디지털 티브이 신호의 저장/재생 장치 및 그 방법
JP2001268518A (ja) 2000-03-22 2001-09-28 Sharp Corp 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2002118824A (ja) 2000-10-05 2002-04-19 Sharp Corp 録画装置、再生装置およびそれらの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632A (ko) * 1998-10-02 2000-05-25 구자홍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73381A (ko) * 2000-01-14 2001-08-01 윤종용 디지털 티브이 신호의 저장/재생 장치 및 그 방법
JP2001268518A (ja) 2000-03-22 2001-09-28 Sharp Corp 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2002118824A (ja) 2000-10-05 2002-04-19 Sharp Corp 録画装置、再生装置およびそれら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398A (ko) 2008-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9023B2 (ja) 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70097272A1 (en) Delay-less Channel Switching
US200502105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ervice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KR101045707B1 (ko) 수신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0600634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ervice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KR10130943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장치 및 방법
JP4477056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7929529B2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FI124809B (fi) Digitaalisen yleisradiolähetyksen lähetin, digitaalisen yleisradiolähetyksen vastaanotin ja niiden menetelmät
JP201015798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EP2346238A2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method
JP2005020437A (ja) コンテンツ補正システムおよび受信機器
KR100677388B1 (ko)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연동 장치 및 방법
KR101262949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1304888B1 (ko)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106472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비디오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단말
KR101229896B1 (ko)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87123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영상 재생 방법
KR100767502B1 (ko) 약전계시 비디오 끊김 현상을 방지하는 dmb 재생 시스템
US200700876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receptibility of broadcasting service
JP2008153916A (ja) デジタル放送送受信装置及び方法
US81158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JP2005217474A (ja) デジタルデータ受信機
WO2013132745A1 (ja) 放送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送信機及び受信機、受信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方法
KR20090063010A (ko) 티브이 듀얼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