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996B1 -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복합 수지를 이용한 고투과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복합 수지를 이용한 고투과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8996B1 KR101308996B1 KR1020110105509A KR20110105509A KR101308996B1 KR 101308996 B1 KR101308996 B1 KR 101308996B1 KR 1020110105509 A KR1020110105509 A KR 1020110105509A KR 20110105509 A KR20110105509 A KR 20110105509A KR 101308996 B1 KR101308996 B1 KR 1013089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vinylidene fluoride
- hollow fiber
- fiber membrane
- weight
- water treat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9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ZMXDDKWLCZADIW-UHFFFAOYSA-N N,N-Dimeth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N(C)C=O ZMXDDKWLCZADI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KWGKDLIKAYFUFQ-UHFFFAOYSA-M lith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Li+].[Cl-] KWGKDLIKAYFUFQ-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6259 organic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KWYUFKZDYYNOTN-UHFFFAOYSA-M Potass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K+] KWYUFKZDYYNOTN-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FXHOOIRPVKKKFG-UHFFFAOYSA-N N,N-Dimeth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CN(C)C(C)=O FXHOOIRPVKKKF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CSNNHWWHGAXBCP-UHFFFAOYSA-L Magnes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Mg+2].[O-][S+2]([O-])([O-])[O-] CSNNHWWHGAXBCP-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112 coagul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05 composite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000 metal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50000004692 metal hydrox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
- JIAARYAFYJHUJI-UHFFFAOYSA-L zinc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Zn+2] JIAARYAFYJHUJI-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307 Dextra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TWRXJAOTZQYOKJ-UHFFFAOYSA-L Magne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689 polyvinyl acet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118 poly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GRYLNZFGIOXLOG-UHFFFAOYSA-N N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N+]([O-])=O GRYLNZFGIOXLO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335 hydrothermal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943 magnes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341 magnesium sulph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17604 nitric aci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592 zinc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5074 zinc chlor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1
- 229910001629 magnes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5000011147 magnesium chloride Nutrition 0.000 claims 1
- OTYBMLCTZGSZBG-UHFFFAOYSA-L potass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K+].[K+].[O-]S([O-])(=O)=O OTYBMLCTZGSZBG-UHFFFAOYSA-L 0.000 claims 1
- 229910052939 potass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5000011151 potassium sulphates Nutrition 0.000 claims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ZAMLGGRVTAXBHI-UHFFFAOYSA-N 3-(4-bromophenyl)-3-[(2-methylpropan-2-yl)oxycarbonylamino]prop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C(=O)NC(CC(O)=O)C1=CC=C(Br)C=C1 ZAMLGGRVTAXB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284 Cellulose tri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NNLVGZFZQQXQNW-ADJNRHBOSA-N [(2r,3r,4s,5r,6s)-4,5-diacetyloxy-3-[(2s,3r,4s,5r,6r)-3,4,5-triacetyloxy-6-(acetyloxymethyl)oxan-2-yl]oxy-6-[(2r,3r,4s,5r,6s)-4,5,6-triacetyloxy-2-(acetyloxymethyl)oxan-3-yl]oxyoxan-2-yl]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C(C)=O)[C@H]1OC(C)=O)O[C@H]1[C@@H]([C@@H](OC(C)=O)[C@H](OC(C)=O)[C@@H](COC(C)=O)O1)OC(C)=O)COC(=O)C)[C@@H]1[C@@H](COC(C)=O)O[C@@H](OC(C)=O)[C@H](OC(C)=O)[C@H]1OC(C)=O NNLVGZFZQQXQNW-ADJNRHBOSA-N 0.000 description 4
- 229940081735 acetyl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IYWCBYFJFZCCGV-UHFFFAOYSA-N formam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C=O IYWCBYFJFZCCG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543 intermedi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21 nan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78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98 spheric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20 Nitro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12266 Poly(ether sulfone) PE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306 acid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10 cooling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77 hydrophil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471 micro-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0 nitrocellulo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1 phase sepa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20 polyvinyl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27 regenerated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642 ultra pure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98 ultrapur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IFKPLJWIEQBPGG-QGZVFWFLSA-N (5s)-6-(dimethylamino)-5-methyl-4,4-diphenylhexan-3-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C@H](C)CN(C)C)(C(=O)CC)C1=CC=CC=C1 IFKPLJWIEQBPGG-QGZVFWFLSA-N 0.000 description 1
- STGNLGBPLOVYMA-TZKOHIRVSA-N (z)-but-2-e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OC(=O)\C=C/C(O)=O STGNLGBPLOVYMA-TZKOHIRVSA-N 0.000 description 1
- BCNBMSZKALBQEF-UHFFFAOYSA-N 1,3-dimethylpyrrolidin-2-one Chemical compound CC1CCN(C)C1=O BCNBMSZKALBQE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JWGYAHXMCUOOM-QHOUIDNNSA-N [(2s,3r,4s,5r,6r)-2-[(2r,3r,4s,5r,6s)-4,5-dinitrooxy-2-(nitrooxymethyl)-6-[(2r,3r,4s,5r,6s)-4,5,6-trinitrooxy-2-(nitrooxymethyl)oxan-3-yl]oxyoxan-3-yl]oxy-3,5-dinitrooxy-6-(nitrooxymethyl)oxan-4-yl] nitr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N+]([O-])=O)[C@H]1O[N+]([O-])=O)O[C@H]1[C@@H]([C@@H](O[N+]([O-])=O)[C@H](O[N+]([O-])=O)[C@@H](CO[N+]([O-])=O)O1)O[N+]([O-])=O)CO[N+](=O)[O-])[C@@H]1[C@@H](CO[N+]([O-])=O)O[C@@H](O[N+]([O-])=O)[C@H](O[N+]([O-])=O)[C@H]1O[N+]([O-])=O FJWGYAHXMCUOOM-QHOUIDNN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3 alk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68 am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AXCZMVOFGPJBDE-UHFFFAOYSA-L calcium 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Ca+2] AXCZMVOFGPJBD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20 calc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61 calc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32 epoxy adhesiv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700 ep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85 est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59 graft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71 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65 ionizing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THJTEIRLNZDEV-UHFFFAOYSA-L magnesium 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Mg+2] VTHJTEIRLNZDEV-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7 magnes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62 magnes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74 membrane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14 nanocompos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73 per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01 polyether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NJBEVLQSNELDL-UHFFFAOYSA-N pyrrolidin-2-one Chemical compound O=C1CCCN1 HNJBEVLQSNEL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57 suspens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66 wet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4—Polyvinylidene fluor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6—Coag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3—Thermal after-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01D69/087—Details relating to the spinning proces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2—Hydrophiliz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 B01D2323/081—He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 B01D2323/082—Coo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5—Use of additives
- B01D2323/218—Additive materials
- B01D2323/2181—Inorganic additives
- B01D2323/21817—Sa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5—Use of additives
- B01D2323/218—Additive materials
- B01D2323/2182—Organic additives
- B01D2323/21839—Polymeric addi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219—Specific solvent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48—Influencing the p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4—Mechanical properties, e.g. streng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불화비닐리덴 (Polyvinylidenefluoride, PVDF) 수지를 이용한 고투과 유속을 갖는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에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알칼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개질하여 친수화하고,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계 수지와 미개질 폴리불화비닐리덴계 수지를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방사하여 고투과유속을 갖는 수처리용 중공사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고투과 유속을 갖는 수처리용 중공사막은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의 친수화에 의한 내구성 약화를 방지함은 물론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가 가지고 있는 소수성으로 인한 저투과 유속과 취약한 내오염성을 극복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수처리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친수화 개질 후 미개질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와 혼합하여 고투과도를 갖는 수처리용 중공사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알칼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친수화 개질하고, 이를 미개질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와 혼합한 후 무기첨가제 및 유기첨가제를 첨가한 후 이를 용매에 용해시켜 방사용액을 제조한 다음, 이를 이중 구금을 통해 외부 응고조로 방사하여 고투과도를 갖는 수처리용 중공사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외여과 또는 정밀여과 중공사막을 제조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고분자 소재로서 폴리설폰 (Polysulfone; PSf), 폴리이서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fluoride; PVDF),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PVC), 셀룰로오즈나이트레이트(Cellulose nitrate), 재생셀룰로오즈(Regenerated Cellulose), 셀룰로오즈아세테이트(Celluloseacetate; CA), 셀룰로오즈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triacetate; CTA),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olyacrylonitrile; PAN) 등이 사용된다. 폴리설폰 (Polysulfone; PSf), 폴리이서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fluoride; PVDF)은 소수성 소재로서 일반적으로 상전이법을 이용하여 한외여과막이나 정밀여과 중공사막을 제조한다. 폴리설폰이나 폴리이서설폰은 폴리불화비닐리덴보다 상전이 속도가 훨씬 빠르고 점도가 낮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중공사막을 제조할 수 있으나, 기계적 강도가 약하여 쉽게 막 표면이 손상되거나 절단되고, 낮은 내화학성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시 분리막의 급속한 열화를 초래하며, 상대적으로 막의 공극이 커서 막오염으로 인한 장기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투과속도는 크지만 막의 오염 현상이 심하고 미세 유기물질의 통과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은 대표적인 결정성 고분자로서 주로 고분자를 용융하여 압출방사한 후 연신에 의해 결정과 결정 사이에 존재하는 비결정 영역을 찢음으로서 공극을 형성시켜 매우 높은 공극율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공사막은 높은 투과유속을 가지게 되지만, 공극이 슬릿모양을 띠고, 상대적으로 큰 공극과 공극분포를 가지게 되어 막오염 제어가 어렵고, 분리성능에 한계를 가지므로 하폐수 처리 등에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에스터 소재는 소재의 특성상 트랙에칭법을 사용하여 분리막으로 제조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균일한 공극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공극율이 극히 적고, 공극이 큰 정밀여과막에 한정되며, 대규모 분리막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을 지닌다. 셀룰로오즈나이트레이트(Cellulosenitrate), 재생셀룰로오즈(Regenerated Cellulose), 셀룰로오즈아세테이트(Celluloseacetate; CA), 셀룰로오즈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triacetate; CTA),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olyacrylonitrile; PAN)등의 고분자는 상대적으로 친수성의 고분자로서 용매유도상전이법을 이용하여 분리막을 제조하고, 높은 투과유속을 가지지만, 내화학성과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중공사막으로 성형시 쉽게 파단되거나 손상으로 장기 사용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18624호에서는 삼차원 메쉬상 구조와 구상구조를 모두 갖는 다공질막의 제조 및 이의 응용을 개시하고 있다. 본 특허에서는 상기 다공질막의 달성을 위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용매에 용해시키고, 상기 수지용액을 방사 노즐로부터 냉각 액체 중에 토출함으로써 고화시켜 다공질막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막의 한쪽 면과 다른 쪽 면에서 냉각 액체의 조성을 변화시켜 삼차원 메쉬상 구조와 구상구조를 모두 갖는 방법, 구상구조로 이루어진 다공질막의 적어도 한쪽 측에 수지 용액을 도포한 후 응고액에 침지함으로써 삼차원 메쉬상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삼차원 메쉬상 구조 형성용 수지 용액과 구상 구조 형성용 수지용액을 3중 방사 노즐로부터 동시에 토출한 후 고화시킨 삼차원 메쉬상 구조와 구상구조를 모두 갖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공사막 제조방법은 공정이 지나치게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상승할 수 없고, 또한 각 층간의 이질적인 공정과 제조공정으로 계면간 접착 불량으로 인한 박리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불테 등은 1996년 출간된 문헌 [A.M.W. Bulte, M.H.V. Mulder, C.A. Smolders, H. Strathmann, Diffusion induced separation with crystallizable nylons. II. Relation to final membrane morphology, Journal of membrane science, 121, 51-58(1996)]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분리막을 제조할 경우 고온에서 용해시킨 후 낮은 온도의 응고조에 침지함에 의해 구상구조를 갖는 분리막의 제조를 개시하고 있다. 1994년 출간된 리 등의 문헌 [S.-G. Li, G.H. Koops, M.H.V. Mulder, T. van den Boomgaard, C.A. Smolders, Wet spinning of integrally skinned hollow fiber membranes by a modified dual-bath coagulation method using a triple orifice spinneret, Journal of membrane science, 94, 329-340 (1994)], 2005년 출간된 알브레츠 등의 문헌 [W. Albrecht, K. Kneifel, Th. Weigel, R. Hilke, R. Just, M. Schossig, K. Ebert, A. Lendlein, Preparation of highly asymmetric hollow fiber membranes from poly(ether imide) by a modified dry-wet phase inversion techniquie using a triple spinneret, Journal of membrane science, 262, 69-80 (2005)] 등에서 3중 방사 노즐을 이용하여 투과증발용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7-102012호에서는 평균입경이 5 마이크론 내외이고, 길이가 5 마이크론 이상의 다수의 막대형 입자 및 평균입경이 5 마이크론 이하의 다수의 구형입자를 포함하는 친수성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다공성 중공사막의 제조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2007-113374에서는 중공사막의 중공 중심부로부터 외부 쪽으로, 분리막 내부에 위치하고 평균직경 500 나노미터 이하의 다수의 고분자 나노섬유가 막단면상에 노출되어 있고, 동시에 평균입경 1 내지 5 마이크론 이하의 다수의 미세구형입자를 포함하는 내부층, 상기 내부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평균직경 500 나노미터 이하의 다수의 고분자 나노섬유가 막단면에 노출되어 있고, 동시에 평균입경 5 마이크론 초과 10 마이크론의 다수의 중간구형입자를 포함하는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평균직경 500 나노미터 이하의 다수의 고분자 나노섬유가 막단면상에 노출되어 있고, 동시에 평균입경 1 내지 5 마이크론 이하의 다수의 미세구형입자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폴리불화비닐리덴게 다공성 중공사막의 제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7-113375에서는 중공사막의 중공 중심부로부터 구형 입자의 입경을 달리하는 네 개의 층을 갖는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다공성 중공사막의 제조를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2007-103187에서는 중공사막의 중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내부층은 다수의 구형입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표면층은 다수의 구형 섬유상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다공성 중공사막의 제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내부의 두꺼운 층을 형성하고 있는 지지층의 구상구조로 인하여 입자와 입자 사이의 공극이 작아 거대 공극 형성이 어려우므로 수투과를 제한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공성막의 표면에 분리활성층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미세입자나 병원성 세균, 미생물 등의 제거 효율이 높지 않은 결점을 지닌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0056245호에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미다공막에 전리성 방사선의 조사를 이용하여 친수성 비닐 단량체의 라디칼생성을 유도한 뒤 막표면에 이들 라디칼들을 그래프트 중합시키는 방법을 통해 친수화된 막의 형성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0003347호에서는 에폭시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에스테르기, 아미드기를 함유한 친수성 단량체를 현탁중합을 통해 폴리불화비닐리덴 단량체와 공중합하여 제조된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다공막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0078747호에서는 친수화된 유기점토를 함유한 나노복합체 중공사막의 제조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외에, 알칼리, 산화제를 이용한 화학적 처리를 통한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다공성막의 제조예가 또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는 중합과 같은 부가적인 공정, 방사선의 사용 같은 고비용 공정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화학적 처리방법은 흔히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고유의 기계적 강도를 손상시킬 수 있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문헌1] A.M.W. Bulte, M.H.V. Mulder, C.A. Smolder, H. Strathmann, Journal of Membrane Science, 1996, Vol 121, 51-58쪽
[문헌2] S.-G. Li, G.H. Koops, M.H.V. Mulder, T.van den Boomgaard, C.A. Smolders, Journal of Membrane Science, 1994, Vol 94, 329-240쪽
[문헌3] W. Albrecht, K. Kneifel, Th. Weigel, R. Hilke, R. Just, M. Schossig, K. Ebert, A. Lendlein, Journal of membrane science, 2005, Vol 262, 69-80쪽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알칼리 수용액에 함침 교반함으로써 친수화하고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와 미개질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혼합한 혼성수지에 무기첨가제와 유기첨가제를 첨가한 후, 용매에 용해시켜 방사용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방사용액을 외부응고조로 방사하여 고투과도의 수처리용 중공사막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이용한 고투과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1)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어진 수산화금속을 순수에 용해시켜 30 내지 100 중량%가 되도록 알칼리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알칼리 수용액에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혼합한 후 50℃ 내지 95℃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알칼리 수용액으로부터 분리하여 산으로 세정하면서 중화한 후 여과하여 70℃ 내지 150℃에서 건조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제조된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와 미개질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혼합한 후 무기첨가제와 유기첨가제, 용매를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방사용액과 내부 응고제를 이중 구금을 통해 외부 응고조로 방사함으로써 중공사막을 제조하는 단계;
6) 상기 중공사막을 열수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복합 수지를 이용한 고투과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소수성인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알칼리 수용액을 이용해 친수화 개질을 이루어 높은 투과유속을 갖게 하면서, 친수화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인 낮은 기계적 특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친수화되지 않은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용액과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여 용매유도 상분리법(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 NIPS) 혹은 확산유도 상분리법(Diffusion induced phase separation; DIPS)을 통해 중공사막을 제조함으로써 수처리 분야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고투과도를 갖는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의 친수화
소수성의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에 수산화기(-OH)를 도입함으로써 친수화를 증가시켜 제조된 중공사막의 투과유속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산화기를 가지고 있는 수산화금속이 주로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수산화나트륨(NaOH)과 수산화칼륨(KOH)을 사용한다. 수산화금속을 순수한 물에 용해시켜 사용하되 30 내지 10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화칼슘이나 수산화마그네슘은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물에 녹인 수용액을 사용하더라도 물이 폴리불화비닐리덴 고분자에 대해 비용매이므로 극히 제한적으로 상호 접촉할 수 있어 본 친수화 개질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알칼리 수용액에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10 내지 50 중량%를 넣고 50℃ 내지 95℃의 온도에서 격렬하게 교반한다.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 100,000 달톤 내지 600,000 달톤인 것이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한다.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달톤 미만일 경우 친수화 후 미개질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와 혼합하여 중공사막으로 성형할 경우 투과유속은 높게 나타나지만, 기계적 강도가 작아서 수처리 공정에 적용하면 쉽게 파단되거나 손상을 받게 되어 장기간 사용시 문제된다.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가 600,000 달톤을 초과하는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게 되면, 친수화 효과가 급격히 감소하여 본 발명의 친수화 개질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없다.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는 물에 불용이고 혼합이 어려우므로 친수화 개질을 위해서는 가능하면 수지의 표면과 알칼리 수용액이 최대한 많이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하므로 온도를 높이고, 교반을 매우 강력하게 해야 한다. 상기 알칼리 수용액의 온도가 50℃ 미만이면 반응속도가 너무 늦어 장시간의 제조시간을 요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95℃를 초과할 경우에는 증발이 일어나 본 친수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의 반응 여부는 변색 정도로 가늠할 수 있으며, 반응이 일어나면 갈색으로 변색되므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가 갈색으로 변색되어 변색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 때 알칼리 수용액으로부터 분리한 후 황산이나 질산, 염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에 남아 있는 알칼리 수용액을 중화시킨다. 중화가 완료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다시 여과공정을 거친 후 70℃ 내지 150℃의 고온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건조가 완료된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단독으로 중공사막을 제조할 경우 높은 투과유속을 확보할 수는 있으나 매우 낮은 기계적 강도로 인해 수처리 공정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건조 온도가 70℃ 이하에서는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고 150℃ 이상에서는 2차 변형이 발생한다.
2) 방사 용액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5 내지 30 중량%와 미개질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70 내지 95 중량%를 혼합하여 혼성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제조한다.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가 5 중량% 미만이면 성형된 중공사막이 높은 소수성을 띄게 되어 낮은 투과유속을 나타낸다.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가 3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투과유속은 높게 나타나지만 낮은 기계적 강도로 수처리용 중공사막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혼성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10 내지 25 중량%로서 중량평균 분자량 200,000 달톤 내지 700,000달톤으로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물로 구성하되,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250,000 달톤 내지 700,000 달톤의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종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할 경우에는 200,000달톤 내지 400,000달톤의 저분자량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와 400,000달톤 내지 700,000달톤의 고분자량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가 10 중량%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가 약하여 중공사막으로 성형하여 수처리용으로 사용할 경우 쉽게 절단되어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고, 2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높은 점도로 인하여 성형이 어렵고, 공극이 작아서 투과유속이 낮아 수처리용 중공사막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고분자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0 달톤 이하가 되면 기계적 강도가 약하여 수처리용 중공사막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0 달톤 이상일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 방사하기 어렵거나 형성되는 공극이 작아서 낮은 투과유속을 가지므로 목적하는 수처리용 중공사막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는 소수성이므로 물과의 친화성이 약하기 때문에 상전이 속도를 높이고, 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무기첨가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들 무기첨가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중공사막의 공극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염화리튬(LiCl), 염화아연(ZnCl2), 염화마그네슘(MgCl2), 황산마그네슘(MgSO4)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무기첨가제가 1 내지 10 중량%가 사용된다. 무기첨가제가 1 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여 공극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불용 첨가제의 존재와 분산성이 나빠져서 불규칙한 거대공극의 형성과 제조시 불량 중공사막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유기첨가제는 친수성 고분자나 물질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glycol; PEG), 덱스트란(Dextran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PVA),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PEO),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PVAc), 말레인산(Maleic acid)에서 하나이상 선택하여 1 내지 10 중량%를 혼합한다. 친수성 유기첨가제가 1 중량% 미만일 경우 친수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미미하여 중공사막으로 성형시 낮은 투과유속을 나타내며, 10 중량%를 넘을 경우 높은 투과유속을 나타내지만, 기계적 강도가 약하여 쉽게 막손상이 발생하거나 낮은 내화학성으로 장기 사용시 문제점이 있다.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N,N-Dimethylacetamide; DMAc), 노말메틸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 디메틸설퍼옥사이드(Dimethylsulfoxide; DMSO)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55 내지 88 중량%를 사용하는데, 양용매가 55 중량% 미만일 경우 폴리불화비닐리덴 복합 수지의 용해가 잘 일어나지 않고, 매우 높은 점도로 인하여 중공사막으로의 형성이 어려우며, 제조된 중공사막도 매우 낮은 투과유속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방사 용액은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의 온도에서 완전한 용액상태로 이루어지며, 20℃ 미만에서는 고점도로 인해 중공사막으로 성형하기 어렵고, 100℃ 이상에서는 부분적인 용융이 발생할 수 있고 열손실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조된 방사용액은 감압장치 등을 이용하여 탈포하고 내부에 존재하는 불순물이나 비용해 잔존물을 제거하기 위해 금속망을 이용하여 여과한다.
3) 응고제 제조
응고제는 내부응고제 즉, 중공형성제(Bore solution)와 외부응고제(Coagulation bath) 또는 상전이조로 나타내는데, 내부응고제는 중공사막의 중공을 형성하는데 필요하고 외부응고제는 방사된 고분자를 상전이 및 고화시키는데 필요한 용액이다. 내부응고제는 비용매로서 물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주로 사용하고, 혼합시 양용매로서 디메틸피롤리돈 혹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퍼옥사이드 등을 제어되지 않은 실온에서 비용매에 대한 양용매의 비를 2대 8 내지 8대 2로 제조하여 탈포하여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방사용액에 혼합된 양용매와 동일한 양용매를 사용한다. 외부 응고제는 비용매로서 물 혹은 에틸렌글리콜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양용매와 혼합하여 사용하되 양용매는 방사용액에 사용한 용매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10 중량%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만약 양용매의 함유율이 1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분리막의 고화 속도가 느려지고, 기계적 강도가 약화되며 거대공극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중공사막 성형체에 남아있는 용매와 유기 첨가제의 추출에도 불리하게 작용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온도는 30℃ 내지 50℃로서 30℃ 미만에서는 공극의 크기가 감소하여 투과유속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50℃ 이상에서는 표면공극이 커서 투과유속은 증가하지만 기계적 강도가 낮아 수처리용 중공사막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4) 중공사막의 제조
상기 2) 단계에서 제조된 방사용액을 이중구금의 바깥 관으로 흘려보내고, 상기 3)단계에서 제조된 내부 응고제는 이중구금의 중심관으로 흘려서 외부응고조로 방사하여 방사용액을 고화시켜 중공사막을 제조하고 제조된 중공사막은 세정조에서 남아있는 용매와 유기첨가제가 제거된 후 권취된다. 이중구금의 온도는 20℃ 내지 100℃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이다. 이중구금의 온도가 20℃ 미만에서는 방사용액의 점도가 너무 높아 방사가 어렵고, 100℃를 초과하면 방사용액의 낮은 점도로 관경과 중공사막의 두께가 작아져서 기계적 강도가 낮아져 쉽게 절단되므로 중공사막이 연속 성형되지 못한다. 내부응고제는 구금의 중심부에 존재하는 가늘고 좁은 관을 통과하는데 이때 내부응고제의 온도는 1℃ 내지 90℃이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이다. 세정조는 물이 단독으로 사용되며 장기 사용시 추출된 용매가 증가하므로 일정량을 지속적으로 교환하여 추출된 용매의 증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5) 세척과정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세정조로부터 권취기로 이송된 중공사막의 내외에 잔존하는 용매를 포함한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과정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세척액으로 물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세척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적어도 4시간 이상 2일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이용한 고투과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은 복합 고분자 수지를 용매에 용해시켜 방사하는 용매유도분리법을 이용하여 중공사막으로 성형함으로써 친수화 개질을 통해서 친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투과속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미개질 폴리불화비닌리덴과 혼합하여 복합고분자 수지로 중공사막을 성형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고투과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분리막 단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분리막 외부 표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분리막 내부 표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분리막 외부 표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분리막 내부 표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수산화나트륨을 역삼투막을 거친 초순수에 용해시켜 50 중량%의 알칼리 수용액을 제조한 후, 중량평균 분자량 520,000 달톤인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30 중량%가 되도록 알칼리 수용액에 함침시킨 다음 50℃에서 5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한다. 만약 5시간 동안 교반하여도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의 변색정도가 약하거나 변색이 발생하지 않으면 더 많은 시간을 들여 교반하여 수지가 갈변할 때까지 지속한다. 갈변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여과지나 거름망을 이용하여 걸러서 알칼리 수용액을 충분히 제거한 다음, 35%의 염산처리를 수행하면서 중화시켰다. 산처리를 통해 중화가 완료되면 친수화 개질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100℃ 오븐에 넣고 건조시켰다. 이렇게 제조된 분말상태의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와 중량평균 분자량 520,000 달톤의 미개질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각각 15 중량%와 85 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혼성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조성하였다. 혼성수지 15 중량%에 기공을 형성시키기 위한 무기첨가제인 염화리튬 8 중량%, 친수화 고분자인 폴리에틸렌글리콜 3 중량%와 폴리비닐피롤리돈 3 중량%, 양용매인 디메틸포름아미드 71 중량%를 혼합하여 30에서 교반하여 방사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방사용액은 30℃를 유지하면서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용액 중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였다. 내부응고제는 물과 디메틸포름아미드의 비를 6 대 4로 하여 실온에서 제조한 후 역시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탈포하였고 방사시 25 온도로 유지하였다. 외부 응고제는 물과 디메틸포름아미드를 각각 99 중량%와 1 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40℃가 되도록 약간 가온하였다. 방사용액은 30℃를 유지하고 있는 이중구금의 바깥 관으로 펄스가 없는 정량 기어펌프에 의해 이송되고, 내부응고제 역시 정량 기어펌프를 이용하여 이중구금의 중심관으로 이송되어 외부응고조로 방사하였다. 방사된 고분자용액은 외부응고제로 유입되면서 상전이가 발생하면서 고화되어 중공사막으로 성형되고 성형된 중공사막은 세정조를 거쳐 권취되었다. 권취된 중공사막은 남아있는 용매 제거를 위해 순수에 4시간 정도 침지하였다. 침지된 중공사막을 꺼내어 건조한 후 실험용 미니모듈을 제작하여 순수투과도와 배제율을 측정하였다. [도 1]에 본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중공사막의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2]에는 중공사막의 표면 활성층을, [도 3]은 내부 표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5 중량%에 대해 미개질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95 중량%를 혼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혼성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25 중량%에 염화리튬을 5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3중량%, 폴리비닐피롤리돈 3 중량%를 각각 첨가하여 혼합하고 이를 디메틸포름아미드 64 중량%에 용해시켜 실시예 1과 같이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수산화나트륨을 수산화칼륨으로 교체하여 알칼리 수용액을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같이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수산화나트륨을 역삼투막으로 제조한 초순수에 용해시켜 90 중량%가 되도록 알칼리 수용액을 제조하여 중량평균 분자량 520,000 달톤인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50 중량%를 침지하여 실시예 1과 같이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친수화 개질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황산 35%로 중화시킨 후 130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30 중량%와 미개질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70 중량%를 혼합한 혼성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20 중량%에 염화리튬 8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3중량%, 폴리비닐피롤리돈 3 중량%를 각각 첨가하고 이를 디메틸포름아미드 66 중량%로 용해시켜 방사용액으로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같이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알칼리 수용액에 중량평균 분자량 520,000 달톤인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10 중량%를 침지하여 90℃에서 격렬하게 교반하여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친수화한 후 미개질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와 각각 15 중량%와 85 중량%가 되도록 혼합한 혼성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조성하고 이렇게 조성된 혼성 수지 20 중량%에 염화리튬 8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8 중량%를 첨가하여 이를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켜 방사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이 때 전체 용액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는 64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방사용액의 온도를 60℃, 방사 온도를 60℃로 하여 실시예 1과 같이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방사용액의 온도를 60℃, 방사 온도를 60℃로 유지하고, 내부응고제의 물과 디메틸포름아미드의 중량비를 3:7로 하고, 온도를 60℃로 유지하면서 실시예 1과 같이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1에서 외부 응고조를 물과 디메틸포름아미드의 중량비를 9:1로 조제하고 온도를 50℃로 조정한 후 실시예 1과 같이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1에서 혼성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20 중량%에 염화리튬 8 중량%와 덱스트란 8 중량%를 첨가한 후 노말메틸피롤리돈 66 중량%에 용해시켜 방사용액으로 제조하고 80℃ 유지하였으며, 이를 80℃의 방사온도에서 실시예 1과 같이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수산화나트륨을 역삼투막으로 제조한 순수에 1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알칼리 수용액을 제조한 후 중량평균 분자량 520,000 달톤의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30 중량%를 침지하여 실시예 1과 같이 친수화 후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방사용액으로 미개질된 폴리불화비닐 수지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같이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혼성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60 중량%에 염화리튬 8 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3중량%, 폴리비닐피롤리돈 3 중량%를 첨가한 후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켜 실시예 1과 같이 중공사막으로 제조하였으나 일부 수지가 용해되지 않고 점도가 너무 높아서 방사를 할 수 없었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혼성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20 중량%에 염화리튬 8 중량%만 첨가하고 이를 디메틸포름아미드가 72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방사용액을 조제한 후 실시예 1과 같이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혼성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20 중량%에 폴리에틸렌글리콜 8 중량%를 첨가한 후 디메틸포름아미드가 72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방사용액을 조제한 후 실시예 1과 같이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혼성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20 중량%에 염화리튬 5 중량%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5 중량%를 첨가한 후 디메틸포름아미드가 70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방사용액을 조제하고, 내부응고제를 순수한 물로서 25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실시예 1과 같이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중공사막들을 모듈로 제조하여 순수투과도, 배제율 (폴리스티렌 단분산 입자; 직경 100 나노미터) 및 인장강도, 신도를 하기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순수투과도의 측정;
제조된 중공사막 50가닥을 30cm의 폴리카보네이트 투명관에 장입하고 양쪽 끝을 폴리우레탄이나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하여 포팅하여 유효막면적 0.0651㎡인 실험용 미니모듈을 제조하였다. 20℃ 순수를 50kPa 하에 십자흐름 방식의 외압형으로 모듈의 한 측면으로 공급하여 투과된 물의 양을 측정한 뒤, 단위시간, 단위막면적당 투과량으로 환산하였다.
배제율의 측정;
100 나노미터 크기인 단분산 폴리스티렌 입자 수용액을 20℃의 순수에 분산시켜 500 피피엠 입자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중공사막 2가닥을 20cm의 투명관에 삽입하고 양측을 포팅하여 배제율 측정용 미니 모듈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된 모듈의 일측면으로 입자수용액을 50kPa의 압력으로 공급하여 투과된 수용액 및 초기 공급된 원수에 분산된 폴리스티렌 농도를 자외선 분광기 (Shimadzu사, UV-1601P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후, 240 나노미터의 파장에서 측정된 흡수피크의 상대적인 비를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백분율로 환산하여 배제율을 결정하였다.
배제율(퍼센트) = (공급수 농도-투과수 농도) ÷ 공급수 농도 X 100
인장강도 신도의 측정;
인장강도 및 신도는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파지거리 60 밀리미터의 시료를 크로스헤드 스피드를 분당 50 밀리미터의 속도로 5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하였다.
각각의 투과실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순수투과플럭스 (L/㎡-hr) at 20℃, 50kPa |
배제율(%) at 20℃, 50kPa |
파단강도(N) | |
실시예 1 | 532 | 92.1 | 3.1 |
실시예 2 | 382 | 89.4 | 3.7 |
실시예 3 | 352 | 93.1 | 4.1 |
실시예 4 | 492 | 88.7 | 3.5 |
실시예 5 | 552 | 82.5 | 3.0 |
실시예 6 | 501 | 95.2 | 3.3 |
실시예 7 | 457 | 91.6 | 3.4 |
실시예 8 | 503 | 89.9 | 3.0 |
실시예 9 | 576 | 87.1 | 2.6 |
실시예 10 | 449 | 95.2 | 3.3 |
비교예 1 | 166 | 93.1 | 3.5 |
비교예 2 | 118 | 95.1 | 4.0 |
비교예 3 | - | - | - |
비교예 4 | 135 | 92.1 | 3.1 |
비교예 5 | 113 | 95.5 | 4.1 |
비교예 6 | 128 | 96.1 | 4.3 |
상기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의 경우 순수투과플럭스는 순수의 온도 20℃ 및 50kPa의 막여과 압력에서 352 내지 576 L/㎡-hr를 나타내고, 배제율은 순수투과플럭스 측정과 같은 조건에서 평균 입자크기 0.1 의 폴리스티렌 입자 500 ppm 농도의 수용액 기준 82% 이상을 나타내었고 파단강도는 2.6 내지 4.1 N을 나타내어 높은 수투과도와 입자 배제율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과 비교예 2와 같이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사용한 효과가 거의 없거나 사용하지 않은 경우 파단강도가 3.5 N, 4.0N, 용질 배제율이 93.1%, 95.1%로 약간 상화하는 반면 순수투과플럭스는 166 및 118 L/㎡-hr로 매우 낮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비교예 4와 비교예 5에서는 각각 혼성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에 무기첨가제와 친수성 유기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을 경우 순수투과유속이 각각 135와 113 L/㎡-hr로 매우 낮게 나타나기 때문에 수처리용 중공사막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6과 같이 내부응고제를 순수한 물로 사용할 경우에도 분리막의 내부에 거대기공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낮은 투과유속을 보이고 있다.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이용한 고투과도 중공사막을 모듈로 제조하여 정수처리, 하수처리, 하수 재이용, 해수담수화 전처리 공정 등에 사용할 경우 높은 투과유속으로 낮은 운전비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차세대 고효율 수처리용 중공사막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1)
-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복합 수지를 이용한 고투과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어진 수산화금속을 순수에 용해시켜 30 내지 100 중량%가 되도록 알칼리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알칼리 수용액에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혼합한 후 50℃ 내지 95℃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상기 알칼리 수용액으로부터 분리하여 산으로 세정하면서 중화한 후 여과하여 70℃ 내지 150℃에서 건조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제조된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와 미개질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혼합하여 혼성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제조한 후 무기첨가제와 유기첨가제, 용매를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방사용액과 내부 응고제를 이중 구금을 통해 외부 응고조로 방사함으로써 중공사막을 제조하는 단계;
6) 상기 중공사막을 열수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복합 수지를 이용한 고투과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10 내지 50 중량%, 알칼리 수용액 50 내지 90 중량%를 혼합한 후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과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 있어서 세정 및 중화에 사용하는 산은 황산, 염산, 질산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과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에 있어서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미개질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에 5 내지 30 중량 %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과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에 있어서 무기 첨가제는 염화리튬, 염화아연, 황산마그네슘, 황산칼륨, 염화마그네슘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유기첨가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덱스트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서 하나이상 선택되고, 용매는 노말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에서 하나 이상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과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에 있어서 혼성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10 내지 25 중량%, 무기 첨가제 1 내지 10 중량%, 유기첨가제 1 내지 10 중량%, 용매 55 내지 88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과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에 있어서 방사 용액의 온도는 2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과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5) 단계에 있어서 방사노즐은 이중구금으로 구성되어 중심관으로는 내부 응고액을 토출시키고, 외부관으로는 4)단계에서 제조된 방사 용액을 토출시켜 중심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내부 응고액은 물 20 내지 80 중량%와 노말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서 선택되어진 하나 이상의 용매가 20 내지 80 중량%가 혼합된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과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내부 응고액의 온도는 1℃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과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제 5단계에 있어서 외부 응고조는 물 80 내지 99 중량%와 노말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서 선택되어진 하나 이상의 용매가 1 내지 20 중량%가 혼합되고 온도가 20℃ 내지 70℃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과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5509A KR101308996B1 (ko) | 2011-10-14 | 2011-10-14 |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복합 수지를 이용한 고투과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5509A KR101308996B1 (ko) | 2011-10-14 | 2011-10-14 |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복합 수지를 이용한 고투과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0623A KR20130040623A (ko) | 2013-04-24 |
KR101308996B1 true KR101308996B1 (ko) | 2013-09-16 |
Family
ID=4844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5509A KR101308996B1 (ko) | 2011-10-14 | 2011-10-14 |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복합 수지를 이용한 고투과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899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521093B (zh) * | 2013-09-30 | 2016-03-02 | 广州超禹膜分离技术有限公司 | 一种大通量抗污聚偏氟乙烯中空纤维微滤膜及其制备方法 |
CN107362698B (zh) * | 2017-07-31 | 2020-12-15 | 苏州苏净环保新材料有限公司 | 一种持久亲水性聚偏氟乙烯膜的制备方法及其应用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700632A (ko) * | 1987-01-12 | 1989-04-26 | 친수성 폴리불화비닐리덴 다공질막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446211B1 (ko) * | 2001-08-29 | 2004-08-30 | 박기용 | 수소이온 전도성 불소수지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
KR20080089476A (ko) * | 2006-04-19 | 2008-10-06 |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 고내구성 pvdf 다공질 막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정 방법 및 여과 방법 |
KR20090011655A (ko) * | 2007-07-27 | 2009-02-02 | 한국화학연구원 |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JP2009543675A (ja) * | 2006-07-14 | 2009-12-10 | シーメンス・ウォーター・テクノロジーズ・コーポレーション | 向上した、膜のモノ過硫酸塩処理 |
KR20090133100A (ko) * | 2008-06-23 | 2009-12-31 | (주)엘지하우시스 | 수처리막의 친수화 방법 및 수처리막 |
KR20100078570A (ko) * | 2008-12-30 | 2010-07-08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투수도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다공성 pvdf 막 및 그 제조방법 |
KR20100114808A (ko) * | 2009-04-16 | 2010-10-26 | 주식회사 파라 | 비대칭 다공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 방법 |
KR20110064520A (ko) * | 2009-12-08 | 2011-06-15 | 이영호 | 친수성 pvdf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1
- 2011-10-14 KR KR1020110105509A patent/KR1013089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700632A (ko) * | 1987-01-12 | 1989-04-26 | 친수성 폴리불화비닐리덴 다공질막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446211B1 (ko) * | 2001-08-29 | 2004-08-30 | 박기용 | 수소이온 전도성 불소수지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
KR20080089476A (ko) * | 2006-04-19 | 2008-10-06 |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 고내구성 pvdf 다공질 막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정 방법 및 여과 방법 |
JP2009543675A (ja) * | 2006-07-14 | 2009-12-10 | シーメンス・ウォーター・テクノロジーズ・コーポレーション | 向上した、膜のモノ過硫酸塩処理 |
KR20090011655A (ko) * | 2007-07-27 | 2009-02-02 | 한국화학연구원 |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KR20090133100A (ko) * | 2008-06-23 | 2009-12-31 | (주)엘지하우시스 | 수처리막의 친수화 방법 및 수처리막 |
KR20100078570A (ko) * | 2008-12-30 | 2010-07-08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투수도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다공성 pvdf 막 및 그 제조방법 |
KR20100114808A (ko) * | 2009-04-16 | 2010-10-26 | 주식회사 파라 | 비대칭 다공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 방법 |
KR20110064520A (ko) * | 2009-12-08 | 2011-06-15 | 이영호 | 친수성 pvdf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0623A (ko) | 2013-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746593C (en) | Highly durable porous pvdf fil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washing method and filtering method using the same | |
AU2002338039B2 (en) | Hollow fiber film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 |
KR101539608B1 (ko) |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중공사 분리막과 그 제조방법 | |
KR101026690B1 (ko) | 고다공성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CA2727673A1 (en) | Preparation of high performance ultra filtration hollow fiber membrane | |
KR20070113375A (ko) | 비대칭 폴리불화비닐리덴계 다공성 중공사막 및 이의제조방법 | |
KR20100114808A (ko) | 비대칭 다공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 방법 | |
KR101738976B1 (ko) | 폴리비닐덴플루오라이드(pvdf)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WO2007125709A1 (ja) | 低汚染性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多孔水処理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140046638A (ko) | 비대칭성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비대칭성 중공사막 | |
KR101308998B1 (ko) |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이용한 고강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
KR20130040620A (ko) | 친수화 개질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이용한 고강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
JP4864707B2 (ja) |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多孔水処理膜の製造方法 | |
KR101939328B1 (ko) | 신규한 구조를 가지는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036312B1 (ko) | 비대칭 중공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08996B1 (ko) |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복합 수지를 이용한 고투과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
KR20070113374A (ko) | 고분자 나노섬유를 함유한 구형입자로 구성된폴리불화비닐리덴계 다공성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331066B1 (ko) | 폴리에테르술폰 중공사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20077011A (ko) | Ectfe 수처리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30040622A (ko) | 고투과도를 갖는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이용한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
KR20070103187A (ko) | 폴리불화비닐리덴계 다공성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070102011A (ko) | 고수투과성 폴리불화비닐리덴계 다공성 중공사막 및 이의제조방법 | |
KR20130040625A (ko) | 이차저지층을 갖는 수처리용 폴리불화비닐리덴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 |
CN113195082A (zh) | 用于高压过滤的多孔膜 | |
CN113195081A (zh) | 用于高压过滤的多孔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