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909B1 - 관절운동하는 문합 링 적용장치 - Google Patents

관절운동하는 문합 링 적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909B1
KR101308909B1 KR1020060039952A KR20060039952A KR101308909B1 KR 101308909 B1 KR101308909 B1 KR 101308909B1 KR 1020060039952 A KR1020060039952 A KR 1020060039952A KR 20060039952 A KR20060039952 A KR 20060039952A KR 101308909 B1 KR101308909 B1 KR 101308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urgical instrument
rocker
distal
flexibl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5606A (ko
Inventor
마크 에스. 오르티즈
Original Assignee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15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1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of the digestive tract, e.g. bowels or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5Tourniquet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exible means
    • A61B2017/00309Cut-outs or sl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8Riv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61B2017/1157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applying the staples rad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01Details of shaft
    • A61B2017/2905Details of shaft flexi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문합 링 장치를 적용하기 위한 외과기구는 샤프트에 의해 문합 링 전개기구에 접속된 핸들을 포함한다. 샤프트는 외과기구가 삽입되는 트로카 포트의 불리한 배치를 보정하기 위해 외과의사가 접근하는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한 방향으로 관절운동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절 조인트를 가진다. 관절 조인트는 리브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절 조인트의 관절 운동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R1020060039952
외과기구, 문합 링 장치, 샤프트, 트로카, 관절 조인트, 리브, 케이블.

Description

관절운동하는 문합 링 적용장치{Articulating anastomotic ring applier}
도 1은 문합 링 적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문합 링을 비작동 위치에 유지하는 문합 링 적용장치의 원위부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문합 링을 작동 위치에 보유하는 도 2의 장치의 원위부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작동된 문합 링의 정면도.
도 5는 가요성 조인트가 위로 관절운동되고, 원위 핑거가 작동되는 위치를 도시하는 도 1의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가요성 조인트가 위로 관절운동되고, 근위 핑거 및 원위 핑거가 작동되는 위치를 도시하는 도 1의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장치의 문합 링 전개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좌측 하우징 절반이 생략되어 있는 도 1의 장치의 근위부의 단면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1의 장치의 원위부의 횡단면도.
도 10은 작동위치에 있는 도 1의 장치의 문합 링 전개기구의 횡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장치의 평면 11에서 취한 횡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기구의 평면 12에서 취한 부분 횡단면도.
도 13은 작동위치에 있는 도 1의 장치의 근위부의 부분 횡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장치의 평면 14에서 취한 횡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장치의 평면 15에서 취한 횡단면도.
본 발명은 대체로 외과수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화기 계통에서의 수술 절차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적비만으로 고통받는 세계 인구의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심하게 비만인 사람들은 심장병, 중풍, 당뇨병, 폐질환, 및 사고의 큰 위험을 받기 쉽다. 환자의 생명에 미치는 병적비만의 영향 때문에, 병적비만을 치료하는 방법들은 강렬한 연구의 주제가 되어 있다.
병적비만을 치료하는 하나의 공지된 방법은 문합 링(anastomotic ring)의 사용을 포함한다. 문합 링을 적용하는 장치들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특성의 장치들은 근접한 위장 조직벽들 사이에 형성된 문합 구멍에 압축된 문합 링을 삽입하도록 응용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적용장치(applier device)는, 압축된 링이 일단 문합 구멍내에 배치되면 이 문합 링이 압축된 원통형 위치에서 중공 리벳 형상의 작동위치로 팽창되도록 작용되는 팽창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링 전개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이 장치는 보통 핸들에 부착된 단단한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가 링을 전개시키는데 적절히 응용될 수 있는 반면에, 트로카 포트(trocar port)가 부적절하게 배치되면, 외과의사가 작업할 수 있는 접근 각도를 찾을 수가 없을 정도로 링을 적절하게 전개시키기가 어렵다. 이것은 외과의사가 트로카를 꺼내어서 다시 배치할 것을 요구하므로 수술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서, 외과의사는 어려운 접근 각도에도 불구하고 링을 배치하여 전개시키려고 노력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링을 부정확하게 전개시켜서 문합의 실패 또는 합병증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트로카 포트가 부적절하게 배치되었을 때에는 외과의사가 위장(gastrojejunum) 및 빈창자(jejunum)와 같은 문합부위에서 접근각도를 변경하도록 허용하는 적용장치를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관절운동(articulation)이 가능하므로 외과의사가 트로카 포트를 통해 적용장치의 삽입후에 적용장치의 접근 각도를 개선할 수 있게 하는 문합 링 적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적용장치의 관절식 연결이 가능하게 제공함으로써 복강경에 의해 연결위치의 관찰을 더욱 개선할 수 있게 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문합 링 장치를 적용하기 위한 외과기구가 제공되며, 이 외과기구는 기다란 샤프트(elongated shaft)에 의해 링 전개기구에 접속된 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는 링 전개기구에 작용력을 전달하기에 적합하다. 이 샤프트는 또한 기다란 샤프트가 관절운동이 가능하도록 응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조인트(flexible joint)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외과의사는 링 전개기구의 접근 각도를 변경하거나 및/또는 복강경을 통해 문합의 개선된 관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샤프트를 관절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구(instrument)는 기다란 샤프트에 의해 링 전개기구에 접속된 핸들을 포함한다. 이 샤프트는 푸시/풀 케이블(push/pull cable)을 통해 관절운동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조인트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도 역시 외과의사가 링 전개기구의 접근 각도를 변경하거나 및/또는 복강경을 통해 문합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구는 원통형의 비작동위치에서부터 압축성 작용력에 반응하여 작동된 중공리벳 형성용 형상부(hollow rivet-forming shape)로 문합 링을 전개시키는 작용부재에 연결된 핸들을 포함한다. 이 핸들은 압축성 작용력을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이 기구는 핸들에 작용부재를 접속하기 위한 기다란 샤프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샤프트는 압축성 작용력을 전달하기에 적합하다. 이 샤프트는 샤프트의 관절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응용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조인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외과의사는 샤프트를 관절운동시켜서 작용부재를 더욱 정확하게 배치하여 압축성 작용력을 적용함으로써 문합 링을 작동된 중공리벳 형성용 위치로 전개시키고 및/또는 기다란 샤프트를 관절운동시킴으로써 복강경에 의해 문합의 개선된 관찰을 달성할 수도 있다.
본원의 명세서에 합체되어 본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변경예를 예시하며, 상술한 본 발명의 개략적인 설명과 함께 아래에 주어진 변경예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설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여러 도면을 통해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병적 비만인 환자의 위절제 비만 교정 수술에서와 같이, 문합 목표 부위에서 문합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형성할 수 있는 원형 형상으로부터 중공 리벳, 또는 링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문합 링 장치(도 1에 도시되지 않음)를 전개하고 작동시키는 적용장치(10)를 도시한다. 도 2는 다른 적용장치(12)를 도시한다. 적용장치(10,12)들은 복강경 검사 또는 내시경 검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방법들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적용장치(12)는 전개기구(16) 상의 문합 링(14)과 함께 도 2에 도시된다. 도 2에서, 문합 링(14)은 압축된 원통형 상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3에서, 적용장치(12)의 전개기구(16)는 작동된 중공 리벳형 상태로 이동된 문합 링(14)을 가진다. 도 4는 작동된 위치에 있는 문합 링(14)의 확대된 도면이다. 문합 링(14)은 예의 방식에 의하여 니티놀(nitinol)과 같은 형상 기억 효과(shape memory effect; SME) 재료를 포함하고, 이는 추가적으로 결합하는 중공 리벳 형상으로의 작동을 돕는다. 다른 적절한 문합 링(14) 재료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시적인 문합 링(14)은 파크(Park)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출원 제2003/0032967호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근위(proximal)" 및 "원위(distal)"라는 용어는 적용장치(10)의 핸들을 파지하는 의사를 기준으로 하여 여기에서 사용된다. "우측", "좌측" "수직" 및 "수평"과 같은 공간적인 용어들은 편리함 및 명료함을 위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외과기구들은 많은 방위 및 위치들에서 사용되고, 이들 용어들은 제한 및 절대적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복강경 검사 및 내시경 검사로 수행되는 수술 행위에 대한 적용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개복 수술 또는 다른 수술들에 대한 적용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이들 중 하나 또는 유사한 용어들의 사용은 수술 행위의 단지 한 카테고리로 사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도 5 및 도 6에서, 본 실시예의 적용장치(10)는 핸들(13)과, 근위부(17) 및 원위부(18)로 이루어진 기다란 샤프트(15)를 포함한다. 원위부(18)는 링 전개기구(20) 및 팁(tip: 22)을 포함한다. 팁(22)은 중공로드(23)에 의해 적용장치(10)에 부착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팁(22)은 링 전개기구(20)의 원위부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5)는 또한 이 샤프트(15)의 원위부(18)와, 이 원위부에 수용된 링 전개기구(20)를 외과의사가 관절운동시키도록 허용하는 가요성 조인트(24)를 포함한다. 도 1, 도 5 및 도 6의 실시예가 단 하나의 가요성 조인트(24)를 가지는 샤프트(15)를 도시하고 있지만, 샤프트(15)가 더 많은 관절 운동 능력 또는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가요성 조인트(24)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가요성 조인트(24)는 가요성을 실시할 수 있는 갈비뼈 모양(ribbed: 이하 "리브형"이라 함)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당연히, 가요성 조인트(24)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샤프트(15)의 원위부(18)는 가요성 조인트(24)에서 샤프트(15)를 구부리기에 적합한 작동기 로커(actuator rocker: 26)를 결합함으로써 위 방향으로 관절운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로커(26)는 샤프트(15)에 선회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서, 가요성 조인트(24)를 중립위치로부터 단일 평면에서 위로 또는 아래로 관절운동시키기 위한 두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당연히, 작동기 로커(26)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대안의 수단, 방법 또는 메커니즘의 여러 가지 종류가 샤프트(15)의 관절운동을 조인트(24)에서 또는 그외의 다른 위치에서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덧붙여, 샤프트(15)는 하나의 평면보다 다수의 평면에서 관절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평면 또는 다수 평면의 관절운동(이를 제한하지 않는다)을 포함하여 샤프트(15)의 관절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적절한 대안 형태는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는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제1 링 전개 작동기(28)는 도 5에서 비작동위치에서부터 작동위치로의 운동을 도시하는 화살표 30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작동기(28)를 작동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전개기구(20)의 다수의 원위 핑거(finger: 32)를 작동시켜서 문합 링의 원위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제1 링 전개 작동기(28)는 다수의 근위 핑거(38)를 작동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다.
도 6에서, 제2 링 전개 작동기(34)는 비작동위치에서부터 작동위치로의 운동을 도시하는 화살표 36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작동기(34)를 작동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전개기구(20)의 다수의 근위 핑거(38)를 작동시켜서 문합 링의 근위부를 전개시킬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제2 링 전개 작동기(34)는 다수의 원위 핑거(32)를 작동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는 제1 및 제2 링 전개 작동기(28, 34)가 단순히 예를 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대안의 수단, 방법 또는 메커니즘의 여러 종류가 원위 핑거(32) 및/또는 근위 핑거(38)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7에서, 샤프트(15)의 원위부(18)는 가요성 조인트(24)를 통해 원위 핑거(32) 및 근위 핑거(38)로 운동을 전달하는 작용을 할 수 있는 하나의 실예의 형태를 도시하기 위해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가요성 조인트(24)의 근위부에서 샤프트(15)는 일련의 동심 튜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내부 튜브(40A)는 기본 튜브(ground tube: 86A) 안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기본 튜브(86A)는 외부 튜브(42) 안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기본 튜브(86A)의 원위단부가 가요성 조인트(24)의 근위단부에 접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본 튜브(86A)의 원위 단부가 가요성 조인트(24)의 근위 단부에 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본 튜브(86A)의 원위 단부가 가요성 조인트(24)의 근위 단부에 부착된다.
한 쌍의 근위 케이블(44)이 외부 튜브(42)에서 원위방향으로 연장하며, 이 외부 튜브에 단단히 부착된다. 원위 케이블(23)은 내부 튜브(40A)에서 원위방향으로 연장하며, 이 내부 튜브에 단단히 부착된다. 원위 케이블(23) 및 근위 케이블(44)은 가요성 조인트(24)의 중립 평면을 통과한다. 이 실시예에서, 원위 케이블(23)과 근위 케이블(44)의 상대간의 방향은 가요성 조인트(24)의 관절운동에 의해 변화되지 않는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는 튜브(40A, 86A, 42) 및/또는 케이블(44, 23)의 대안으로서 여러 종류의 다른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푸시/풀 케이블(48, 50)은 가요성 조인트(24)의 관절운동 평면을 통과한다. 푸시/풀 케이블(48, 50)은 앵커 부재(anchor member: 52)에서 끝나며, 이 앵커 부재에 단단히 부착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앵커 부재(52)는 가요성 조인트(24)의 원위 단부에 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앵커 부재(52)는 가요성 조인트(24)의 원위 단부에 부착된다. 다른 적절한 형태들이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근위 케이블(44)은 가요성 조인트(24)의 원위 단부에서 연장하여, 앵커 부재(52)를 통과하며, 근위 튜브(54)에 단단히 접속된다. 근위 튜브(54)의 원위 단부는 근위 핑거(38)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는 근위 링(56)에 단단히 접속된다.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케이블(23)은 가요성 조인트(24)의 원위 단부에서 연장하여 앵커 부재(52)를 통과하며, 팁(22)에 단단히 접속된다. 팁(22)은 원위 핑거(32)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는 원위 링(58)에 접속된다. 추가로, 내부 튜브(40B)는 기본 튜브(86B)내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원위 링(58)에 접속된다. 원위 케이블(23)은 팁(22)에 부착되는 것에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내부 튜브(40B)에 단단히 접속될 수 있다. 당연히, 원위 케이블(23)은 내부 튜브(40B)에 단단히 접속되면, 원위 케이블(23)이 팁(22)까지 완전히 연장될 필요는 없다. 또한 다른 대안적 형태들이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적용장치(10)는 샤프트(15)와 링 전개기구(20)의 작은 직경 사이를 이행하는 천이부재(transition member: 60)(도 12)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앵커 부재(52)는 천이부재(60)에 부착된다. 천이부재가 대체로 절두원추형 모양을 가지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 천이부재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흡입통로(insufflation passage)가 핸들(13)의 공기포트(도시 안됨)로부터 적용장치(10)를 통하여 팁(22)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있다. 원위 케이블(23)은 예를 들어 원위 케이블(23) 및 흡입통로의 이중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중공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흡입통로는 원위 케이블(23)과 동축상에서 정렬되거나 또는 원위 케이블(2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원위 케이블(23)이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흡입통로 및/또는 가변 원위 케이블(23)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형태들이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이제 도 8에서, 원위 핑거(32)와 근위 핑거(38) 및 가요성 조인트(24)에 운동을 전달하는 조작을 할 수 있는 형태를 나타내기 위해 샤프트(15)의 우측 절반이 생략되어 있는 위치로 샤프트(15)의 근위부(17)와 핸들(13)이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및 제2 링 전개 작동기(28, 34)는 각각 핸들(13)의 트랙(track: 64)(도 15)에서 활주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홈(62)을 포함한다. 제1 작동기(28)의 길이방향 범위는 슬롯(66)의 폭만큼 제한될 수 있고, 한편 제2 작동기(34)의 범위는 슬롯(68)의 폭만큼 제한될 수 있다.
로커(26)는 샤프트(15)의 근위부(17)에 핀(70)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다. 샤프트(15)의 근위부(17)는 핀(7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구멍(90)을 포함한다. 푸시/풀 케이블(48, 50)은 각각 샤프트(15) 및 로커(26)에 핀(72)(도 14)에 의해 접속된다. 샤프트(15)의 근위부(17)는 핀(7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반경 슬롯(92)을 포함한다. 도 8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커(26)는 상부(74) 및 하부(76)를 구비한다. 푸시/풀 케이블(48)은 로커(26)의 상부(74)와 대응하고, 반면에 푸시/풀 케이블(50)은 하부(76)와 대응한다. 이 실시예에서, 푸시/풀 케이블(48, 50)은 가요성 조인트(24)의 관절평면에서 이격되어 있어서, 로커(26)의 제1 방향으로의 작용이 푸시/풀 케이블(48)을 근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푸시/풀 케이블(50)을 원위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그 결과 가요성 조인트(24)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구부러진다. 유사한 방법으로서, 로커(26)의 제2 방향으로의 작용은 푸시/풀 케이블(48)을 원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푸시/풀 케이블(50)을 근위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그 결과 가요성 조인트(24)가 아래로 구부러진다.
당연히, 로커(26) 대신에 어떤 적절한 대체물 또는 부가재를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로커(26)는 핸들(13) 또는 다른 장소에 위치된 각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손잡이 또는 다른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손잡이 또는 이와 유사한 부재가 로커(26)의 대체물로서 사용되는 경우, 푸시/풀 케이블(48, 50)이 상기 손잡이 또는 이와 유사한 부재에 접속될 수 있어서, 상기 손잡이 또는 이와 유사한 부재를 회전시키면 관절 조인트(24)에서 관절운동이 일어난다. 또한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는 다른 적절한 대안 형태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링 전개 작동기(28)는 원위 핑거(32)를 제어하는 작용을 하고, 제2 링 전개 작동기(34)는 근위 핑거(38)를 제어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제2 작동기(34)는 트랙(64)의 근위부(78)에 단단히 부착된다. 트랙(64)은 핸들(13)내에서 활주할 수 있다. 트랙(64)의 원위부(80)는 슬라이더(slider: 82)에 단단히 부착된다. 슬라이더(82)는 외부 튜브(42)에 단단히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2 작동기(34)가 길이방향 운동하면 트랙(64)과 슬라이더(82) 및 외부 튜브(42)가 대응하여 길이방향 운동하게 된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외부 튜브(42)는 근위 케이블(44)에 접속되고, 따라서 가요성 조인트(24)를 통해 근위 핑거(38)에 운동을 전달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제1 작동기(28)는 내부 튜브(40A)에 단단히 접속된다. 내부 튜브(40A)는 기본 튜브(86A)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기본 튜브는 외부 튜브(42)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내부 튜브(40A)는 원위 핑거(32)에 운동을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제1 작동기(28)는 원위 핑거(32)를 제어하는 작용을 하고, 제2 작동기(34)는 근위 핑거(38)를 제어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주목해야 할 것은, 제1 작동기(28)가 트랙(64)에서 활주하도록 응용되어 있지만 이 트랙에 정적으로(statically) 부착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제2 작동기(34)의 운동을 통해 트랙(64)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제1 작동기(28)를 전혀 이동시키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기본 튜브(86A)의 근위 단부는 앵커 부재(94)에 단단히 부착된다. 앵커 부재(94)는 핸들(13)의 보스(boss: 96)들과 결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핸들(13)과 기본 튜브(86A)간의 상대운동을 방지하게 된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는 원위 핑거(32) 및/또는 근위 핑거(38)의 작용을 실행하기 위해 여러 가지 대안의 구성부품 및/또는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대안 형태는 제2 작동기(34)가 원위 핑거(32)의 작용을 제어하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과, 제1 작동기(28)가 근위 핑거(38)의 작용을 제어하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변경은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도 9는 링 전개기구(20)가 비작용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은 링 전개기구(20)가 작용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은 원위 링(58)의 근위 운동(원위 케이블 및/또는 내부 튜브(40B)의 근위 운동에 의해 발생됨)이 어떻게 원위 링(58)을 링 전개기구(20)의 고정 중간링(84)을 향해 이동시키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중간링(84)은 기본 튜브(86B)에 단단히 부착된다. 기본 튜브(86B)는 앵커 부재(52)에 단단히 부착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적용장치(10)의 조작중에 기본 튜브(86B)와 샤프트(15) 또는 중간링(84) 사이에 상대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원위 핑거(32)는 중간링(84)과 이중 힌지로 결합된 관계로 되어 있으므로, 원위 링(58)의 근위 운동이 원위 핑거(32)의 팁들을 외부로 관절운동시키며 문합 링의 원위부를 전개시킨다. 원위 핑거(32)는 문합 링의 전개되기 전과 전개되는 도중에 페틀(petal: 51)과 결합함으로써 문합 링의 원위부를 유지하고, 문합 링이 전개되면 페틀(51)을 해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튜브(54)는 근위 링(56)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어서, 근위 튜브(54)의 원위 운동이 근위 링(56)을 중간링(84)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근위 핑거(38) 및 중간링(84)은 이중 힌지로 결합된 관계로 되어 있으므로, 근위 링(58)의 원위 운동이 근위 핑거(38)의 팁들을 외부로 관절운동시키며 문합 링의 근위부를 전개시킨다. 근위 핑거(38)는 문합 링의 전개되기 전과 전개되는 도중에 페틀(51)과 결합함으로써 문합 링의 근위부를 유지하고, 문합 링이 전개되면 페틀(51)을 해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핑거(32, 38)들이 중간링(84)과의 이중 힌지 결합관계를 통해 외부로 관절운동하는 것으로서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지만, 문합 링의 전개를 실행하기 위해 링 전개기구(20)에 대해 여러 가지 다른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대안 형태는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도 11은 가요성 조인트(24)의 전방 횡단면을 도시한다. 관절 푸시/풀 케이블(48, 50)은 로커(26)의 결합이 관절운동 평면에서 가요성 조인트(24)를 구부리도록 허용하는 관절운동 평면에 정렬된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근위 케이블(44)도 역시 내부 튜브(40)의 측면에 접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내부 튜브 안에서 원위 케이블(23)이 지나간다.
도 13은 샤프트(15)의 근위부(17) 및 핸들(13)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3에서, 제2 작동기(34)는 슬롯(68)의 원위 단부를 밀고 있으며, 슬라이더(82) 및 외부 튜브(42)를 원위 방향으로 밀고 있으므로, 근위 핑거(38)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작용시키게 된다. 또한, 도 13은 근위 방향으로 작용한 로커(26)의 상부(74)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푸시/풀 케이블(48)이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만들고, 및/또는 푸시/풀 케이블(50)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만들어서, 가요성 조인트(24)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구부러지게 만든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 및 개념들을 도시하여 설명하였는데, 여기에 설명된 방법 및 시스템의 다른 응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한 적절한 변경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잠재적 대안, 변경 및 변화중 몇개가 설명되어 있는데, 다른 것도 위의 설명에 비추어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내에 들어오는 모든 대안, 변경 및 변화를 포함하며, 명세서 및 도면에 보여주고 설명된 구조 및 작용의 세부를 제한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부가의 장점들은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용이하게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의 문합 링 적용장치는 관절운동(articulation)이 가능하므로 외과의사가 트로카 포트를 통해 적용장치의 삽입후에 적용장치의 접근 각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용장치의 관절식 연결이 가능하게 제공함으로써 복강경에 의해 문합의 관찰을 더욱 개선할 수 있게 한다.

Claims (20)

  1. 문합 링(anastomotic ring) 장치(14)의 이식을 조작할 수 있는 외과기구(10)로서,
    핸들(13);
    문합 링 장치(14)를 수용하여 전개시키도록 구성된 링 전개기구(20);
    상기 핸들을 상기 링 전개기구(20)에 접속하기 위한 기다란 샤프트(15)로서, 상기 기다란 샤프트(15)는 작용력을 상기 핸들(13)로부터 상기 링 전개기구(20)로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이 기다란 샤프트(15)의 관절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기다란 샤프트(elongated shaft)(15);
    가요성 조인트(24)의 관절운동을 제어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조인트 작동기(joint actuator); 및
    상기 가요성 조인트(24)를 관절운동하도록 조작할 수 있는 관절운동 평면에 정렬되고, 상기 조인트 작동기를 상기 가요성 조인트(24)에 접속시키는 한 쌍의 푸시/풀 케이블(push/pull cables)(48, 50)을 포함하는 외과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작동기는 상기 기다란 샤프트에 선회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로커(rocker)(26)를 포함하고;
    상기 로커는 상기 기다란 샤프트를 이 로커를 통해 통과시키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푸시/풀 케이블(48, 50)은 관절운동 평면에 정렬되는 외과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26)는 상기 가요성 조인트(24)를 제1 방향으로 구부리기 위하여 중립 위치에서 제1 작동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외과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26)는 상기 가요성 조인트(24)를 제2 방향으로 구부리기 위하여 중립 위치에서 제2 작동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외과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푸시/풀 케이블(50)은 제1 위치로 이동되는 상기 로커(26)에 반응하여 원위방향으로(distally)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외과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푸시/풀 케이블(48)은 제1 위치로 이동되는 상기 로커(26)에 반응하여 근위방향으로(proximally)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외과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푸시/풀 케이블(48)은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상기 로커(26)에 반응하여 원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외과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푸시/풀 케이블(50)은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상기 로커(26)에 반응하여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외과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조인트(24)는 리브형 부재(ribbed member)를 포함하는 외과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전개기구(20)는 상기 문합 링 장치(14)를 수용하여 전개시키도록 구성된 다수의 링 전개 부재를 포함하는 외과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 전개기구는 상기 문합 링의 원위부를 수용하여 전개시키도록 구성된 다수의 원위 핑거(finger)(32), 및 상기 문합 링의 근위부를 수용하여 전개시키도록 구성된 다수의 근위 핑거(38)를 포함하는 외과기구.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3)은 상기 문합 링 장치(14)를 전개시키도록 상기 링 전개기구(20)를 작동시켜 상기 작용력을 발생하기 위해 작동하는 작동기(28, 34)를 포함하는 외과기구.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60039952A 2005-05-03 2006-05-03 관절운동하는 문합 링 적용장치 KR101308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21,345 US7645287B2 (en) 2005-05-03 2005-05-03 Articulating anastomotic ring applier
US11/121,345 2005-05-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606A KR20060115606A (ko) 2006-11-09
KR101308909B1 true KR101308909B1 (ko) 2013-09-23

Family

ID=3679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952A KR101308909B1 (ko) 2005-05-03 2006-05-03 관절운동하는 문합 링 적용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645287B2 (ko)
EP (1) EP1719451B1 (ko)
JP (1) JP5101036B2 (ko)
KR (1) KR101308909B1 (ko)
CN (1) CN100577115C (ko)
AT (1) ATE531325T1 (ko)
AU (1) AU2006201665B2 (ko)
BR (1) BRPI0601478B8 (ko)
CA (1) CA2544698C (ko)
HK (1) HK1097716A1 (ko)
IL (1) IL175124A0 (ko)
RU (1) RU2426508C2 (ko)
SG (1) SG126904A1 (ko)
TW (1) TWI4010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1759A1 (en) * 2005-07-22 2007-01-25 Ethicon Endo-Surgery, Inc. Flexible endoscopic anastomotic ring applier device
KR20100100278A (ko) * 2009-03-06 2010-09-15 주식회사 이턴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US20120303018A1 (en) * 2011-05-23 2012-11-29 Tyco Healthcare Group Lp Tissue Dissectors
EP2823768B1 (en) * 2012-03-08 2017-11-29 Olympus Corporation Guide sheath and medical system
US8906008B2 (en) 2012-05-22 2014-12-09 Covidien Lp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20180049738A1 (en) * 2015-04-01 2018-02-22 Artack Medical (2013) Ltd. Articulating medical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154A (ko) * 1992-04-08 1993-11-22 알퐁스 아아르 노에 내시경 삽입 장치
US5669918A (en) * 1995-03-16 1997-09-23 Deutsche Forschungsanstalt Fur Luft-Und Raumfahrt E.V. Surgical instrument for preparing an anastomosis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6068636A (en) 1999-04-23 2000-05-30 Chen; Te-Chuan Intra-intestinal bypass gun
JP2005103304A (ja) * 2003-09-30 2005-04-21 Ethicon Endo Surgery Inc 自己配置ファスナーのための単一内腔吻合用アプライヤー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3378A (en) * 1990-02-02 2000-03-07 Ep Technologies, Inc. Catheter steering mechanism
US5282810A (en) * 1992-04-08 1994-02-01 American Cyanamid Company Surgical anastomosis device
JP2003111763A (ja) * 1992-06-04 2003-04-15 Olympus Optical Co Ltd 組織縫合結紮器
DE4332238C1 (de) 1993-09-22 1994-12-22 Stefan Bausch Instrumentarium für die laparoskopische Chirurgie zum Herstellen von Darmanastomosen
JPH07328024A (ja) * 1994-06-14 1995-12-19 Olympus Optical Co Ltd 医療用マニピュレータ装置
US5904697A (en) * 1995-02-24 1999-05-18 Heartport,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vascular anastomosis
US5855312A (en) * 1996-07-25 1999-01-05 Toledano; Haviv Flexible annular stapler for closed surgery of hollow organs
NL1007349C2 (nl) * 1997-10-24 1999-04-27 Suyker Wilhelmus Joseph Leonardus Systeem voor het mechanisch vervaardigen van anastomoses tussen holle structuren; alsmede inrichting en applicator voor gebruik daarbij.
US6517565B1 (en) * 1999-06-02 2003-02-11 Power Medical Interventions, Inc. Carriage assembly for controlling a steering wire steering mechanism within a flexible shaft
US7951071B2 (en) * 1999-06-02 2011-05-31 Tyco Healthcare Group Lp Moisture-detecting shaft for use with an electro-mechanical surgical device
US6451029B1 (en) * 1999-08-23 2002-09-17 University Of South Florida Intestinal stapling device and method
WO2003000142A2 (en) * 2001-06-20 2003-01-03 Park Medical, Llc. Anastomotic device
US20040176751A1 (en) * 2002-08-14 2004-09-09 Endovia Medical, Inc. Robotic medical instrument system
ES2516091T3 (es) * 2003-06-17 2014-10-30 Covidien Lp Dispositivo de grapado quirúrgico
US20050049614A1 (en) * 2003-08-05 2005-03-03 Cendan Juan C. Methods and instrumentation to treat obesity
US7608086B2 (en) * 2003-09-30 2009-10-27 Ethicon Endo-Surgery, Inc. Anastomosis wire ring device
US20050070939A1 (en) * 2003-09-30 2005-03-31 Jean Beaupre Unfolding anastomosis ring device
US7857183B2 (en) * 2004-07-28 2010-12-28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 incorporating an electrically actuated articulation mechanis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154A (ko) * 1992-04-08 1993-11-22 알퐁스 아아르 노에 내시경 삽입 장치
US5669918A (en) * 1995-03-16 1997-09-23 Deutsche Forschungsanstalt Fur Luft-Und Raumfahrt E.V. Surgical instrument for preparing an anastomosis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6068636A (en) 1999-04-23 2000-05-30 Chen; Te-Chuan Intra-intestinal bypass gun
JP2005103304A (ja) * 2003-09-30 2005-04-21 Ethicon Endo Surgery Inc 自己配置ファスナーのための単一内腔吻合用アプライヤ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26508C2 (ru) 2011-08-20
HK1097716A1 (en) 2007-07-06
BRPI0601478A (pt) 2006-12-26
US7645287B2 (en) 2010-01-12
CN1857172A (zh) 2006-11-08
CA2544698C (en) 2014-06-17
BRPI0601478B1 (pt) 2018-03-27
BRPI0601478B8 (pt) 2021-06-22
ATE531325T1 (de) 2011-11-15
AU2006201665B2 (en) 2012-04-05
AU2006201665A1 (en) 2006-11-23
US20060253138A1 (en) 2006-11-09
JP5101036B2 (ja) 2012-12-19
EP1719451A1 (en) 2006-11-08
RU2006114824A (ru) 2007-11-20
TW200701930A (en) 2007-01-16
CA2544698A1 (en) 2006-11-03
JP2006312049A (ja) 2006-11-16
EP1719451B1 (en) 2011-11-02
KR20060115606A (ko) 2006-11-09
CN100577115C (zh) 2010-01-06
TWI401055B (zh) 2013-07-11
SG126904A1 (en) 2006-11-29
IL175124A0 (en) 200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8291B2 (ja) 回収装置
KR101270446B1 (ko) 문합 링 기구를 적출하기 위한 수술 설비
EP1745750B1 (en) Anastomotic ring applier for use in colorectal applications
KR101308909B1 (ko) 관절운동하는 문합 링 적용장치
JP4903011B2 (ja) シースレス吻合リング供給装置
KR101233996B1 (ko) 자동 배출식 수술 장치를 갖는 어플라이어
JP2022542050A (ja) 締結装置
JP5389319B2 (ja) 可撓性内視鏡吻合リングアプライヤー装置
JP2005103278A (ja) 手術手技用のアプライヤー
BRPI0601511B1 (pt) Instrumento cirúrgico para o implante de um dispositivo de anel anastomótico
JP5085051B2 (ja) 吻合リング供給装置用のばね式発射機構
KR20060115608A (ko) 전방 및 후방 시각화를 제공하는 문합 링 적용장치
MXPA06004965A (en) Articulating anastomotic ring applier
MXPA06008305A (en) Anastomotic ring applier for use in colorectal applications
MXPA06008304A (en) Flexible endoscopic anastomotic ring applier device
MXPA06004947A (en) Sheath for enabling insertion and extraction of anastomotic ring appl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