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879B1 - 편조선 연결 구조를 갖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 - Google Patents

편조선 연결 구조를 갖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879B1
KR101308879B1 KR1020130042734A KR20130042734A KR101308879B1 KR 101308879 B1 KR101308879 B1 KR 101308879B1 KR 1020130042734 A KR1020130042734 A KR 1020130042734A KR 20130042734 A KR20130042734 A KR 20130042734A KR 101308879 B1 KR101308879 B1 KR 101308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nt
brush
plate
housing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천
Original Assignee
이강천
(주)신화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천, (주)신화웰텍 filed Critical 이강천
Priority to KR102013004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6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using roller electrodes
    • B23K11/061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using roller electrodes for welding rectilinear seams
    • B23K11/06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using roller electrodes for welding rectilinear seams for welding longitudinal seams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36Roller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B23K11/362Contact means for supplying welding current to the electrodes
    • B23K11/366Sliding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06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00Metal working
    • Y10S29/013Method or apparatus with 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조선 연결 구조를 갖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심 용접기의 심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접촉되는 브러시를 밀착시키도록 연결해주는 션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션트는 브러시를 샤프트에 밀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양단 전극편이 종전 대비 플렉시블한 편조선으로 형성되어 샤프트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바, 이는 종전의 탄성판 고정방식에 따른 외향 반발력(탄성력)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안정적인 지지 고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결국 브러시가 샤프트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종전의 전식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용접 불량을 크게 개선함은 물론 작업 효율과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Description

편조선 연결 구조를 갖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Shunt of seam welding}
본 발명은 심 용접기의 심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접촉되는 브러시를 밀착시키도록 연결해주는 션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션트는 브러시를 샤프트에 밀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양단 전극편이 종전 대비 플렉시블한 편조선으로 형성되어 샤프트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바, 이는 종전의 탄성판 고정방식에 따른 외향 반발력(탄성력)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안정적인 지지 고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이는 결국 종전의 전식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용접 불량을 크게 개선함은 물론 작업 효율과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선 연결 구조를 갖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 용접(seam welding)은 전기 저항 용접의 일종, 비교적 얇은 금속관의 이음 용접에 사용하는 방법을 일컫는 것으로, 용접부를 겹치거나 맞대어 붙인 다음 이것을 전극(電極)을 이루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삽입하고 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차례로 접합선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용접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심 용접은 일본국 특개소 60-99489호 공보의 기재와 같이 용접기의 고정부재 위에 션트를 여러개의 보울트로서 관통하여 고정하도로 형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금속관의 제조공정은, 일정 폭으로 절단된 띠형 강재를 조관기내의 다수의 성형롤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하여 일정크기의 직경을 갖는 금속관으로서 제조되게 하는 것인데, 이때 상기 제조되는 금속관은 다수의 성형롤을 거치면서 강재가 파이프형태를 갖추게 됨과 동시에 완전한 관형태로 유지되게 하기 위해 이음부인 심부분에 대한 용접 공정을 반드시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조관기를 거치면서 일정크기의 직경형태를 갖춘 파이프의 심부분에 대한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최종 성형롤을 거쳐 이송되는 금속관의 양측으로 금속관의 심부분을 이루는 양단면이 서로 정확하게 맞대지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가압장치가 설치되어 심부분에 대한 용접의 편의성과 함께 정밀성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성형롤에 의해 제조되는 금속관의 심부분을 이루는 양단면을 정확하게 맞대도록 하기 위한 지금까지의 심용접가이드장치는, 제조되어 취출되는 금속관의 양측에 가압롤을 서로 밀접된 상태로 대향 설치한 상태에서 금속관의 양측을 가압하여 이 가압력에 의해 심부분을 이루는 양단부가 서로 맞대지도록 하여 심부분에 대한 용접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이와는 달리 나사봉의 작동에 의해 그 높이 및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직경크기로 제조되는 금속관을 양측에서 가압하여 역시 심부분을 이루는 양단부가 서로 맞대지도록 하여 심부분에 대한 정밀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종래의 심용접가이드장치들은 이미 원형태를 이룬 금속관의 양측에서 그 중심축선 방향으로 금속관을 가압하여 심부분의 양단부로 하여금 서로 접근 방향측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양단부가 접촉된 상태로 금속관이 이송되게 하는 상태에서 심부분에 대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용접기용 션트의 고정수단은 고정부재 및 션트에 여러개의 보울트를 균일하게 조이는 것이 어렵고, 보울트를 조이는 작업이 번잡하며 보울트의 조임이 느슨해지면 션트가 흔들려서 덜컹 거리기도 하고, 또한 일부의 보울트가 빠지면 션트가 고정부재에서 돌아 움직이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션트는 고정 자체에 문제가 있을 뿐더러 제대로 밀착이 유지 되지 못하여 전식이 발생됨으로써, 스파크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화재 위험의 노출로 연결되거나 용접 자체의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로 전식(electrolytic corrosion)은 금속체의 주위가 불순한 물이나 습한 흙과 같은 전해질에 둘러싸인 상태에서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해를 일으켜 부근의 금속체를 부식시키는 것을 일컫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심 용접기의 심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접촉되는 브러시를 밀착시키도록 연결해주는 션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션트는 브러시를 샤프트에 밀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양단 전극편이 종전 대비 플렉시블한 편조선으로 형성되어 샤프트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바, 이는 종전의 탄성판 고정방식에 따른 외향 반발력(탄성력)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안정적인 지지 고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이는 결국 종전의 전식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용접 불량을 크게 개선함은 물론 작업 효율과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선 연결 구조를 갖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성 반발력이 제거되어 안정적인 고정으로 인해 전식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로서, 심 하우징(10)의 하부 통전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결합되도록 중앙에 고정판(1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10)의 일면에는 양단으로 분기되는 전극편(130)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편(130)의 양단에는 브러시(30)가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접속판(140)이 형성되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100)에 있어서, 상기 션트의 전극편(130)은 편조선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션트의 전극편(130)은 설정된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선재들을 직조한 것으로, 상기 직조된 각 선재는 설정된 직경이 0.1~3mm 이고, 재질이 구리(Cu)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션트(100)는 '∪'자 형태를 이루면서, 분기된 양단에 접속판(140)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판(140)에는 다수개의 결합공(141)과 조임공(142)이 형성되어 결합공(141)에 의해 브러시(30)가 체결되면 하우징 외부에서 조임공(142)을 통해 브러시(30)가 샤프트(40)에 밀착시 가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션트의 고정판(110) 및 접속판(140)은 동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션트의 접속판(140)에 결합되는 브러시(30)는 일측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샤프트(40)의 동심원을 기준으로 대칭되면서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심 용접기의 심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접촉되는 브러시를 밀착시키도록 연결해주는 션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션트는 브러시를 샤프트에 밀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양단 전극편이 종전 대비 플렉시블한 편조선으로 형성되어 샤프트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바, 이는 종전의 탄성판 고정방식에 따른 외향 반발력(탄성력)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안정적인 지지 고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이는 결국 종전의 전식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용접 불량을 크게 개선함은 물론 작업 효율과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 용접기의 용접부 일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션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션트의 실 제품 사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렉시블 구조의 션트를 제공함으로써, 샤프트와 브러시의 밀착 회전시 전식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심 용접기의 심 하우징에 형성되는 샤프트는 일측에 전극 휠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극 휠은 상하 1조를 이루면서 용접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심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션트는 별도의 전력원으로부터 통전을 이루도록 중앙에 고정판(1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10)의 일면에는 양단으로 분기되는 전극편(130)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편(130)의 양단에는 브러시(30)가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접속판(140)이 형성되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100)에 있어서, 상기 션트의 전극편(130)은 편조선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심 하우징은 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에 베어링 구조가 결합되고, 회전시 전기적 통전을 이루도록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를 고정하는 접속판 그리고 전극편과 고정판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면서 통전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션트의 전극편(130)은 설정된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선재들을 직조한 것으로, 상기 직조된 각 선재는 설정된 직경이 0.1~3mm 이고, 재질이 구리(Cu)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션트(100)는 '∪'자 형태를 이루면서, 분기된 양단에 접속판(140)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판(140)에는 다수개의 결합공(141)과 조임공(142)이 형성되어 결합공(141)에 의해 브러시(30)가 체결되면 하우징 외부에서 조임공(142)을 통해 브러시(30)가 샤프트(40)에 밀착시 가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션트의 고정판(110) 및 접속판(140)은 동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션트의 접속판(140)에 결합되는 브러시(30)는 일측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샤프트(40)의 동심원을 기준으로 대칭되면서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심 하우징 20 ... 통전판
30 ... 브러시 40 ... 샤프트
100 ... 션트 110 ... 고정판
130 ... 전극편 140 ... 접속판
141 ... 결합공 142 ... 조임공

Claims (5)

  1. 심 하우징(10)의 하부 통전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결합되도록 중앙에 고정판(1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10)의 일면에는 양단으로 분기되는 전극편(130)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편(130)의 양단에는 브러시(30)가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접속판(140)이 형성되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100)에 있어서,
    상기 션트의 전극편(130)은 편조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선 연결 구조를 갖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의 전극편(130)은 설정된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선재들을 직조한 것으로, 상기 직조된 각 선재는 설정된 직경이 0.1~3mm 이고, 재질이 구리(C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선 연결 구조를 갖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100)는 '∪'자 형태를 이루면서, 분기된 양단에 접속판(140)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판(140)에는 다수개의 결합공(141)과 조임공(142)이 형성되어 결합공(141)에 의해 브러시(30)가 체결되면 하우징 외부에서 조임공(142)을 통해 브러시(30)가 샤프트(40)에 밀착시 가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선 연결 구조를 갖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의 고정판(110) 및 접속판(140)은 동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선 연결 구조를 갖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의 접속판(140)에 결합되는 브러시(30)는 일측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샤프트(40)의 동심원을 기준으로 대칭되면서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선 연결 구조를 갖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
KR1020130042734A 2013-04-18 2013-04-18 편조선 연결 구조를 갖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 KR101308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734A KR101308879B1 (ko) 2013-04-18 2013-04-18 편조선 연결 구조를 갖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734A KR101308879B1 (ko) 2013-04-18 2013-04-18 편조선 연결 구조를 갖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879B1 true KR101308879B1 (ko) 2013-09-23

Family

ID=4945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734A KR101308879B1 (ko) 2013-04-18 2013-04-18 편조선 연결 구조를 갖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8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9489A (ja) * 1983-11-02 1985-06-03 Dengensha Mfg Co Ltd スポツト溶接ガン用軸給電方法及び装置
KR100832343B1 (ko) 2007-05-23 2008-05-26 주식회사 포스코 박판 심용접 장치
KR101086002B1 (ko) 2009-06-12 2011-11-23 (주)우성기계공업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금속파이프의 심용접 가이드 장치
KR101159021B1 (ko) 2009-09-16 2012-06-21 주식회사 효성 이동식 심용접기 및 그 용접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9489A (ja) * 1983-11-02 1985-06-03 Dengensha Mfg Co Ltd スポツト溶接ガン用軸給電方法及び装置
KR100832343B1 (ko) 2007-05-23 2008-05-26 주식회사 포스코 박판 심용접 장치
KR101086002B1 (ko) 2009-06-12 2011-11-23 (주)우성기계공업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금속파이프의 심용접 가이드 장치
KR101159021B1 (ko) 2009-09-16 2012-06-21 주식회사 효성 이동식 심용접기 및 그 용접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45425B (zh) 埋弧自动焊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CN105562906A (zh) 圆管直缝焊接工装及圆管直缝焊接变形控制方法
CN104332724B (zh) 一种铜铝对接加叠接导电排
KR101316591B1 (ko) 직결 구동식 전극휠을 갖는 로봇 심 용접기
KR101308879B1 (ko) 편조선 연결 구조를 갖는 심 하우징용 내부 션트
WO2011145506A1 (ja) 塗装鋼板の溶接方法
JP3154968U (ja) 板金修復用治具
CN104051874A (zh) 一种旋转式接地线夹
CN111850646A (zh) 管件内壁均匀流镀装置
CN105543468A (zh) 一种脉冲电流辅助焊管高频焊接后焊缝组织细化的装置
CN204189969U (zh) 一种铜铝对接加叠接导电排
CN201603944U (zh) 海底管道焊接地线连接器
CN203491857U (zh) 一种实心磁极凸极同步电动机阻尼环与极靴的连接结构
CN105965131A (zh) 对接管的管内焊接装置及焊接方法
CN212895030U (zh) 管件内壁均匀流镀装置
KR101553175B1 (ko) 파이프 제조장치
CN207873347U (zh) 铜、铝搭接焊生产工具
KR101734058B1 (ko) 진동 스폿 용접용 전극 유닛
CN215588224U (zh) 一种大型水力发电机定子汇流环焊接夹紧专用装置
CN204975777U (zh) 一种用于管网骨架焊接的焊轮机构
KR200477860Y1 (ko) 접지용 클램프
CN216325770U (zh) 一种汽车发电机调节器圆弧电极
JP7185382B2 (ja) インダイレクトスポット溶接装置のケーブルの検査方法
CN216829450U (zh) 一种耐磨蚀双金属复合管道快速熔焊装置
KR101426436B1 (ko) 슬립링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