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617B1 -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 Google Patents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617B1
KR101308617B1 KR1020110131414A KR20110131414A KR101308617B1 KR 101308617 B1 KR101308617 B1 KR 101308617B1 KR 1020110131414 A KR1020110131414 A KR 1020110131414A KR 20110131414 A KR20110131414 A KR 20110131414A KR 101308617 B1 KR101308617 B1 KR 101308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box
box
block
seating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843A (ko
Inventor
홍승배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1013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6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4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6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movable or removable shelve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4Display trays 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4Nestable or stackable container parts forming a receptacle when one part is inverted upon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부에 배치되는 운반상자를 하부에 배치되는 운반상자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하여 상기 상부에 배치되는 운반상자 내부에 담겨있는 상품을 소비자가 보기 쉽게 진열 또는 전시할 수 있는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은, 하부에 배치되는 제1운반상자와, 상기 제1운반상자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운반상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상기 제2운반상자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 BLOCK FOR STACKING BOXES AT VARIOUS ANGLES }
본 발명은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부에 배치되는 운반상자를 하부에 배치되는 운반상자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하여 상기 상부에 배치되는 운반상자 내부에 담겨있는 상품을 소비자가 보기 쉽게 진열 또는 전시할 수 있는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상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상하로 적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운반상자는 행사장, 할인매장 등에서 상품을 옮기거나 쌓아놓기 편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야채 등과 같은 것들은 현지에서 바로 운반상자에 담겨 오기 때문에 운반상자에 담겨 있는 상품을 판매시 운반상자 자체를 진열대 위에 올려놓고 소비자에게 판매를 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운반상자에 상품을 담아서 판매할 경우에는 운반상자의 측벽에 의해 내부가 잘 보이지 않아 소비자가 상품을 보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02607호에 게재된 진열대가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진열대의 모습을 보인 측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열대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의 본체(2)와; 앞부분이 상기 본체(2)의 전면 상단에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뒷부분이 상기 본체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된 제 1 진열판(4)과; 상기 제 1 진열판의 후단에 인접한 상태에서 경첩(1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본체(2)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되는 제 2 진열판(6)과; 일단이 상기 제 1 진열판(4)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지지대(8)와; 일단이 상기 제 2 진열판(6)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지지대(9)와; 상기 진열판이 들어 올려진 후, 상기 지지대(8,9)를 회전 조정하여 선택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제 1, 2 진열판(4,6)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설치 고정되며,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홈(16,18,20)이 형성되는 고정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경사진 진열대에 상기 운반상자를 올려서 진열함으로써, 일측방향으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하여 내부에 담겨 있는 상품을 소비자가 보기 쉽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법은 별도로 경사진 진열대를 제작하여야 하기에 제작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진열대를 이전 설치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 하부로 적층되는 운반상자 사이에 블록을 장착하여 진열대 없이 하부에 배치되는 운반상자에 대해 상부에 적층되는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적층하는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은, 하부에 배치되는 제1운반상자와, 상기 제1운반상자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운반상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상기 제2운반상자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은,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 접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 접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홈이 하방향으로 개방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상면에는 상기 제2운반상자의 일측 하부를 지지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 상기 제2운반상자의 일측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제2운반상자가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지지부 상면에 형성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지지부 상면에 형성되는 제2안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안착부는 상기 제2안착부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상호간에 단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연결부의 반대반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안착부의 경사각은 상기 제2안착부의 경사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운반상자의 하면에는 걸림턱이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는 상방향으로 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미끄럼방지돌기에 접하여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기 제2운반상자의 하부가 상기 안착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블록에 의해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2운반상자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시킴으로써, 상기 제2운반상자 내부에 담겨있는 상품을 소비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좋게 진열 또는 전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안착부에 상기 제2운반상자의 일측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제2운반상자가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됨으로써, 상기 고정홈에 의해 상기 블록이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 삽입고정되어 흔들리지 않게 되고, 상기 안착부에 의해 상기 제2운반상자가 상기 제1운반상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가 상호 단이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운반상자를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시킬 때,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2운반상자를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상품에 따라 경사각을 달리하여 적층시킬 수 있어 상기 제2운반상자 내부의 상품을 소비자에게 더 보기 좋게 전시 또는 진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가 상기 연결부의 반대반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경사지게 적층된 상기 제2운반상자의 하부 일측이 상기 제1안착부 또는 상기 제2안착부의 표면에 면접촉하여 상기 블록이 상기 제2운반상자를 보다 잘 지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높이가 낮은 상기 제1안착부의 경사각이 상기 제2안착부의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면이 상기 안착부(500)와 면접촉되어 보다 잘 지지 해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운반상자에 담긴 상품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이 외측으로 휘어질 때, 상기 걸림턱에 상기 미끄럼방지돌기가 접하면서 상기 제1운반상자의 하부 일측이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블록 제작시 제료비를 절감하고, 상기 블록을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서 보다 쉽고 간단하게 삽입고정 및 분리할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리브에 의해 상기 블록의 수직방향 지지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열대의 모습을 보인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 미끄럼방지돌기의 역할을 보인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에 의해 운반상자가 진열된 모습을 보인 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7에서의 블록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 미끄럼방지돌기의 역할을 보인 측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에 의해 운반상자가 진열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은, 제1지지부(100), 제2지지부(200), 연결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부(100)와 상기 제2지지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300)에 의해 서로의 상부가 연결된다.
상기 제1지지부(100), 상기 연결부(300)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양측으로 관통되어 하방향으로 개방된 빈공간은 고정홈(400)으로 규정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블록(B)에서의 상기 고정홈(400)은 제1운반상자(S1)에 끼워져 고정되는 부분이 되는 것이고,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제1지지부(100)가 되는 것이며,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제2지지부(200)가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홈(400)을 통해 제1운반상자(S1)에 끼워지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B)의 상기 제1지지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운반상자(S1)의 측벽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 내측에 접한다.
이러한 상기 제1지지부(100)는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운반상자(S2)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제2운반상자(S2)를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시킨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 외측에 접한다.
이러한 상기 제2지지부(200)는 상기 제1지지부(100)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일방향로 경사지게 적층될 때,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 외측에 접하여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고정홈(400)은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에 삽입고정될 때, 최대한 유동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고정홈(400) 내부에는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에 삽입고정된 후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을 따라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실리콘 등을 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100) 및 또는 상기 제2지지부(200) 상면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일측 하부에 접하여 지지하는 안착부(50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안착부(500)는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일방향을 경사지게 적층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들어올려진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 일부분에 접하여 지지한다.
상기 안착부(500)에는 도 2,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돌기(530)가 형성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돌기(530)는,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면에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Y)에 접하여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되는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가 상기 안착부(500)에서 이탈되지 않게 한다.
즉, 상품을 진열하기 위해서는 상기 블록(B)으로 상기 제2운반상자(S2)를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한 후, 상기 제2운반상자(S2) 내부에 상품을 담아 진열 또는 전시하게 되는데, 이때, 상품은 하중에 의해 상기 블록(B)이 고정삽입된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이 외부로 휘어지면서 벌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이 벌어지게 되면 상기 안착부(500)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가 상기 안착부(500)에 미끄러져 떨어지면서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이 벌어지면서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Y)이 상기 미끄럼방지돌기(530)에 접하여 더이상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 일측은 상기 안착부(500)에서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미끄럼방지돌기(5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이 상기 제2운반상자(S2)에 담긴 상품의 하중에 의해 외측으로 휘어질 때,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Y)에 접하여 상기 안착부(500)에서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안착부(5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착부(510)와 제2안착부(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안착부(510)는 상기 제1지지부(100) 상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안착부(520)는 제2지지부(200) 상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이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착부(510)가 상기 제2안착부(5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호간에 높이 차이에 따른 단이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가 단이지게 형성된 것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B)의 상기 제1지지부(100)와 제2지지부(200)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에 삽입고정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되는 경사각을 달리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2안착부(520)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안착부(510)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안착부(51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 일측이 지지되면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되는 경사각을 작게하여 적층할 수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와 가까운 곳에 상기 제2운반상자(S2)를 진열하여 소비자가 그 안에 담겨있는 상품을 쉽게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안착부(510)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안착부(520)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2안착부(52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 일측이 지지되면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되는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경사각이 상기 제1안착부(510)에 위치할 때 보다 상대적으로 커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 조금 먼 곳에 상기 제2운반상자(S2)를 진열하여도 소비자가 그 안에 담겨있는 상품을 쉽게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품을 진열하는 위치 또는 상품에 종류에 따라 상기 제1안착부(510) 또는 상기 제2안착부(520)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한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적층 경사각을 달리할 수 있어 선택적인 진열 또는 전시가 매우 유리하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착부(51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안착되었을 때에는 경사각이 작기 때문에 소비자와 가까운 앞줄에 배치하고, 상기 제2안착부(52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안착되었을 때에는 경사각이 크기 때문에 소비자와 거리가 있는 뒷줄에 배치하여 소비자가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내부에 담긴 상품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00)의 반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에 지지되는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되는데, 경사지게 적층된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가 상기 안착부(500)에 면접촉하여 보다 잘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가 상기 연결부(300)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지 않고 평평할 경우에는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가 상기 안착부(500)의 모서리부에 의해 선접촉한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접촉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를 상기 연결부(300) 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되는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 일측이 상기 안착부(500)에 면접촉되게하여 접촉력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안착부(510)의 경사각(R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안착부(520)의 경사각(R2)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안착부(510)가 상기 제2안착부(520)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단이지게 형성된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되는데, 이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낮은 상기 제1안착부(51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가 지지될 경우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높은 상기 제2안착부(520)에 제2운반상자(S2)가 지지될 경우에 따라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되는 경사각이 다르기 때문이다.
상기 안착부(500)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경사각이 커지게 되는바, 상기 안착부(500)와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면이 면접촉하기 위해서는 상기 안착부(500)의 경사각이 커져야 한다.
따라서, 높이가 낮은 상기 제1안착부(510)의 경사각(R1)이 높이가 높은 상기 제2안착부(520)의 경사각(R2)보다 작아,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면이 상기 안착부(500)와 면접촉되어 보다 잘 지지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에도 미끄럼방지돌기(530)를 형성하여 전술한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100)와 상기 제2지지부(200)에는 도 2 및 도 3에 상기 고정홈(400) 방향으로 오목한 손잡이홈(60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홈(600)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손으로 블록(B)의 양측을 잡아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에 상기 고정홈(400)을 삽입하여 고정 또는 분리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홈(60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블록(B)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줄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재료비가 상대적으로 적게 들면서 제료비를 절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홈(600)에는 수직방향으로 리브(610)를 형성하다.
수직방향으로 리브(610)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에 고정된 상기 블록(B)이 상기 제2운반상자(S2)를 지지하면서 상기 손잡이홈(600)에 의해 얇아진 상기 제1지지부(100)와 상기 제2지지부(200)가 상기 고정홈(400) 양측방향으로 휘어지지 않게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 사용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의 블록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먼저, 블록(B)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400)을 이용하여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에 블록(B)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되는 경사각을 작게 하는 것이 유리할 때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안착부(520)보다 높이가 낮은 상기 제1안착부(510)가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되는 경사각을 크게 하는 것이 유리할 때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착부(510)보다 높이가 높은 상기 제2안착부(52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가 위치하도록 삽입고정한다.
일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줄에는 상기 제1안착부(51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가까운 곳은 경사각이 작게 하고, 뒷줄에는 상기 제2안착부(52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먼 곳은 경사각을 크게 하여 소비자가 상품을 보기 쉽도록 진열 또는 전시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상기 블록(B)을 고정하고 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에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일측하부가 상기 안착부(500)에 안착되게 하고 타측은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에 위치하게 하여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상기 제2운반상자(S2)를 경사지게 적층한다.
이렇게 경사지게 적층된 상기 제2운반상자(S2)에 상품을 진열 또는 전시하게 되면, 소비자는 경사지게 적층된 상기 제2운반상자(S2)에 담긴 상품을 잘 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안착부(500)에 상기 미끄럼방지돌기(530)가 형성되어 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된 상기 제2운반상자(S2)에 담긴 상품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이 외측으로 휘어지더라도,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Y)이 상기 미끄럼방지돌기(530)에 걸려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이러한 블록(B)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에 두 개 이상을 고정하여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상기 제2운반상자(S2)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할 수도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록(B)을 하나만 설치하여 상기 제2운반상자(S2)를 경사지게 적층시키면 상기 제2운반상자(S2)에 담긴 상품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면서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전시 및 진열이 불균형하게 되고, 상품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게 되면서 상기 제2운반상자(S2)에 담긴 상품이 소비자에게 잘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방지돌기(530)는 하나의 상기 안착부(500)에 한 개씩만 형성하여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의 상기 걸림턱(Y)의 위치에 맞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미끄럼방지돌기(530)가 너무 많게 되면 상기 걸림턱(Y)과 상기 미끄럼방지돌기(530)의 위치가 일치하게 않게 되면서 상기 제2운반상자가(S2)를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될 때, 상기 미끄럼방지돌기(530)에 의해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한쪽이 더 높이 적층되어 기울어지게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1운반상자(S1)와 제2운반상자(S2)는 공지된 운반상자로 이해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제1지지부 200: 제2지지부 300: 연결부
400: 고정홈 500: 안착부 510: 제1안착부
520: 제2안착부 530: 미끄럼방지돌기 600: 손잡이홈
610: 리브 B: 블록 S1: 제1운반상장
S2: 제2운반상자 Y: 걸림턱

Claims (5)

  1. 삭제
  2. 하부에 배치되는 제1운반상자와, 상기 제1운반상자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운반상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상기 제2운반상자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시키는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 접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 접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홈이 하방향으로 개방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상면에는 상기 제2운반상자의 일측 하부를 지지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 상기 제2운반상자의 일측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제2운반상자가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지지부 상면에 형성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지지부 상면에 형성되는 제2안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안착부는 상기 제2안착부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상호간에 단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연결부의 반대반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의 경사각은 상기 제2안착부의 경사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운반상자의 하면에는 걸림턱이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는 상방향으로 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미끄럼방지돌기에 접하여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기 제2운반상자의 하부가 상기 안착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KR1020110131414A 2011-12-09 2011-12-09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KR101308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414A KR101308617B1 (ko) 2011-12-09 2011-12-09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414A KR101308617B1 (ko) 2011-12-09 2011-12-09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843A KR20130064843A (ko) 2013-06-19
KR101308617B1 true KR101308617B1 (ko) 2013-09-23

Family

ID=4886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414A KR101308617B1 (ko) 2011-12-09 2011-12-09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6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921Y1 (ko) * 2001-08-01 2001-11-22 내쇼날푸라스틱 주식회사 상부 적재상자의 요동을 방지 할수 있는 운반상자용손잡이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921Y1 (ko) * 2001-08-01 2001-11-22 내쇼날푸라스틱 주식회사 상부 적재상자의 요동을 방지 할수 있는 운반상자용손잡이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843A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0871B2 (en) Stackable merchandise trays
RU2645668C1 (ru) Ящик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демонстрации товаров
CN102740742B (zh) 用于输送和展示容器的底座设备
US20070057134A1 (en) Structure of an article holder
JP5780873B2 (ja) 収納箱兼用折り畳み陳列台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308617B1 (ko)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CA2526609A1 (en) Expandable display and shipping container
JP3160397U (ja) プラスチック製パレット
KR200441621Y1 (ko) 상품 케이스
JP4723065B2 (ja) 商品陳列装置
KR101284004B1 (ko)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
EP1832207A2 (en) A device for storing stacked shopping baskets
CN204830666U (zh) 搁物架
CN206155975U (zh) 一种物流周转箱
KR101825212B1 (ko) 판매대용 칸막이 및 이를 이용한 판매대
KR101450835B1 (ko) 트랜스미션 적재용 팔레트
CN210503985U (zh) 一种层叠式鸡蛋运输销售一体化包装
JP2012111496A (ja) 魚用簡易トレイ
JP3136505U (ja) 陳列装置
JP4886307B2 (ja) 収納器
CA2915752A1 (fr) Bouteille empilable a goulot sureleve
JP3896346B2 (ja) コンテナ
JP2004283453A (ja) 商品陳列ケース
CN202784060U (zh) 一种插秧机盖板送货架
CA2748198C (en) Stackable merchandise tr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