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004B1 -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 - Google Patents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004B1
KR101284004B1 KR1020120005115A KR20120005115A KR101284004B1 KR 101284004 B1 KR101284004 B1 KR 101284004B1 KR 1020120005115 A KR1020120005115 A KR 1020120005115A KR 20120005115 A KR20120005115 A KR 20120005115A KR 101284004 B1 KR101284004 B1 KR 101284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ing jaw
loading
carrying box
box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배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20005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97Integral handles formed in the wall(s), e.g. roughenings, cavities or proj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운반상자의 하부에 별도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를 구비하여 운반상자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적재된 운반상자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는, 일면과 타면에 운반상자를 선택적으로 적재하여 운반상자의 하면을 지지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 일면의 외주연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일면에 적재되는 운반상자의 측벽을 지지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적재부 타면의 외주연에 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타면에 적재되는 운반상자의 측벽을 지지하는 제2걸림턱;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적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걸림턱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2걸림턱의 돌출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돌출된 거리가 다른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에 의해 운반상자를 상기 적재부에 선택적으로 적재하는 위치에 따라 운반상자의 높이가 다르게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 { TRAY FOR ADJUSTING HEIGHT OF BOX }
본 발명은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운반상자의 하부에 별도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를 구비하여 운반상자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적재된 운반상자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상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상하로 적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운반상자는 상품을 옮기거나 쌓아놓기 편하기 때문에 행사장, 할인매장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운반상자로는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0961호가 게재되어 있다.
이러한 운반상자는 상품을 담아 진열 또는 전시하여 소비자에게 상품을 판매하는데에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운반상자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소비자가 육안으로 보기 좋게 진열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운반상자의 하부에 벽돌 또는 또 다른 운반상자 등을 배치한 후 그 위에 놓인 운반상자를 진열 또는 전시를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운반상자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품을 전시하게 되면, 다수개의 운반상자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어 전시하기가 곤란하고, 경사지게 전시된 운반상자가 미끄러지면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시 또는 진열되는 운반상자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도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는, 일면과 타면에 운반상자를 선택적으로 적재하여 운반상자의 하면을 지지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 일면의 외주연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일면에 적재되는 운반상자의 측벽을 지지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적재부 타면의 외주연에 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타면에 적재되는 운반상자의 측벽을 지지하는 제2걸림턱;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적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걸림턱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2걸림턱의 돌출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돌출된 거리가 다른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에 의해 운반상자를 상기 적재부에 선택적으로 적재하는 위치에 따라 운반상자의 높이가 다르게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운반상자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리브가 이격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의 타면에는 적재된 운반상자의 리브와 상기 리브 사이에 삽입되어 운반상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턱이 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미끄럼방지턱이 상기 적재부에서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2걸림턱이 상기 적재부에서 돌출된 길이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겹벽;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겹벽은, 상기 제1걸림턱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끝단에서 상기 제2걸림턱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제1걸림턱 및 상기 제2걸림턱의 외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부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측면부의 좌우 양측 또는 전후 양측 중 어느 한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일면이 상방향으로 놓일 때 하방향이 개방된 제1손잡이부와; 상기 측면부의 좌우 양측 또는 전후 양측 중 나머지 한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타면이 상방향으로 놓일 때 하방향이 개방된 제2손잡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부의 일면에서 상기 돌출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적재부의 일면에서 상기 제1걸림턱 끝단까지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적재부가 운반상자의 상부에 배치되어 운반상자의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제1걸림턱의 끝단은 운반상자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운반상자의 측벽의 상단에 배치되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운반상자의 하면을 지지하는 적재부를 기준으로 돌출된 길이가 다른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에 의해 운반상자를 상기 적재부에 선택적으로 적재함으로써, 운반상자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면서 그 높이를 다르게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적재부의 타면에 적재된 운반상자의 리브와 리브 사이에 삽입되는 미끄럼방지턱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적재부의 타면에 적재된 운반상자가 상기 제2걸림턱이 낮아 미끄러질 수 있는 것을 상기 미끄럼방지턱이 상기 리브에 접하여 운반상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의 외측면에 상기 겹벽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는 운반상자의 하중을 상기 제1걸림턱 또는 상기 제2걸림턱과 함께 상기 겹벽이 지지해 주어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에 상기 배수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제1걸림턱 및 상기 제2걸림턱 사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손잡이부가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적재부의 일면과 타면의 위치를 육안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적재부의 위치가 뒤집어져도 손으로 잡기 편하고, 상기 측면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것보다 가공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상기 적재부가 운반상자의 상부에 배치되어 운반상자의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제1걸림턱의 끝단은 운반상자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운반상자의 측벽의 상단에 배치되어 지지함으로써, 상기 적재부의 타측면에는 운반상자를 적층할 수 있어 다수개의 운반상자를 적층할 수 있고, 적층된 운반상자의 내부 용량이 상기 적재부에서 떨어진 상기 돌출부의 길이 차이만큼 증가되어 더 많은 량의 상품을 담아 적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개의 트레이를 상호 적층하여 본관 할 수 있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아 쉬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의 적재부 일면이 상방향으로 놓인 상태를 보인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의 적재부 타면이 상방향으로 놓인 상태를 보인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A-A와 B-B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C-C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의 적재부 일면과 타면에 운반상자를 적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D-D와 E-E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7은 도 5에서 F-F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를 운반상자의 덮개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G-G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인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의 적재부 일면이 상방향으로 놓인 상태를 보인 일방향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의 적재부 타면이 상방향으로 놓인 상태를 보인 타방향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A-A와 B-B를 취해서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C-C를 취해서 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의 적재부 일면과 타면에 운반상자를 적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D-D와 E-E를 취해서 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서 F-F를 취해서 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를 운반상자의 덮개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G-G를 취해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는, 적재부(100), 제1걸림턱(200), 제2걸림턱(300) 및 겹벽(400)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운반상자(B)는 공지의 운반상자(B)로 보아도 무방하다.
상기 적재부(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T)를 뒤집어서 일면과 타면에 운반상자(B)를 선택적으로 적재하여 운반상자(B)의 하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적재부(1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걸림턱(2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100) 일면의 외주연에서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100)의 일면에 적재된 운반상자(B)의 측벽(B1)을 지지한다.
즉 상기 제1걸림턱(200)은 상기 적재부(100)의 일면에 적재된 운반상자(B)의 측면을 지지하여 운반상자(B)가 미끄러지면서 상기 적재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걸림턱(3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100) 타면의 외주연에서 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도 5(b)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100)의 타면에 적재된 운반상자(B)의 측벽(B1)을 지지한다.
즉 상기 제2걸림턱(300)은 상기 적재부(100)의 타면에 적재된 운반상자(B)의 측면을 지지하여 운반상자(B)가 미끄러지면서 상기 적재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이러한 상기 제1걸림턱(200)은 상기 적재부(100)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걸림턱(300)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100)로부터 상기 제1걸림턱(200)의 돌출된 끝단까지의 길이를 L1이라고 하고 상기 제2걸림턱(300)의 돌출된 끝단까지의 길이를 L2라고 할 때, L1은 L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적재부(100)로부터 상기 제1걸림턱(200)의 끝단까지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상자(B)를 상기 적재부(100)의 일면과 타면에 선택적으로 적재하였을 때, 운반상자(B)의 높이를 다르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적재부(100)의 일면에 운반상자(B)가 적재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걸림턱(300)이 바닥에 지지 되면서 운반상자(B)를 바닥에서 상기 제2걸림턱(300)의 돌출된 길이와 상기 적재부(100)의 두께의 합한 높이만큼 올라간 위치에 적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부(100)의 타면에 운반상자(B)가 적재되게 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턱(200)이 바닥에 지지 되면서 운반상자(B)를 바닥에서 상기 제2걸림턱(30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상기 제1걸림턱(200)의 돌출된 길이와 상기 적재부(100)의 두께를 합한 높이만큼 더 올라간 높은 위치에 적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적재부(100)로부터 상기 제1걸림턱(200)의 돌출된 길이와 상기 제2걸림턱(300)의 돌출된 길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기 적재부(100)의 일면과 타면에 운반상자(B)를 적재하였을 때, 적재되는 운반상자(B)의 높이를 다르게 할 수 있다.
한편,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운반상자(B)의 하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보강을 위한 다수개의 리브(B2)가 일정한 간격으로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2,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100) 타면에는 미끄럼방지턱(1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미끄럼방지턱(110)은 상기 적재부(100)의 타면에 적재되는 상기한 운반상자(B)의 리브(B2)와 리브(B2) 사이에 삽입되어 운반상자(B)가 상기 적재부(100) 타면에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만약, 상기 제1걸림턱(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돌출길이를 갖는 상기 제2걸림턱(300)이 상기 적재부(100)의 타면에 적재된 운반상자(B)의 측벽(B1)을 지지하게 될 경우, 상기 제2걸림턱(300)의 돌출된 길이가 짧아 운반상자(B)가 상기 제2걸림턱(300)을 넘어 외부로 미끄러지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끄럼방지턱(110)이 운반상자(B)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리브(B2)와 리브(B2) 사이에 삽입되어 운반상자(B)를 구속하기 때문에 운반상자(B)가 상기 제2걸림턱(300)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이러한 상기 미끄럼방지턱(110)은 운반상자(B) 하부에 형성된 리브(B2)의 형상과 개수에 따라 그 형상과 수를 달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미끄럼방지턱(110)이 상기 적재부(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지만, 분리된 상태의 날개로 짧게 형성하여 운반상자(B)의 하면에 형성된 리브(B2)와 리브(B2) 사이에 삽입되게 하여 운반상자(B)가 미끄러지지 않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턱(110)의 돌출된 길이(L3)는, 상기 제2걸림턱(300)이 돌출된 길이(L2)와 운반상자(B)의 하부에 형성된 리브의 돌출된 길이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히려 상기 미끄럼방지턱(110)이 상기 제2걸림턱(300)보다 길게 형성되면, 상기 적재부(100)의 타면에 적재된 운반상자(B)의 측벽(B1)을 지지하는 상기 제2걸림턱(300)이 운반상자(B)의 측벽(B1)을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턱(110)이 운반상자(B)의 하부에 형성된 리브(B2)의 돌출된 길이보다 보다 길게 형성되면, 상기 적재부(100)의 타면에 적재된 운반상자(B)가 상기 미끄럼방지턱(110)에 의해 떠 있게 되어 운반상자(B)의 하면이 상기 적재부(100)에 닿지 않아 지지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상기 겹벽(400)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턱(200)과 상기 제2걸림턱(30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겹벽(400)은 운반상자(B)를 상기 적재부(100)의 일면과 타면에 선택적으로 적재할 때, 상기 제1걸림턱(200) 및 상기 제2걸림턱(300)이 운반상자(B)의 하부 및/또는 측면을 함께 지지하여 운반상자(B)의 내부에 담긴 상품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1걸림턱(200)과 상기 제2걸림턱(300)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러한 상기 겹벽(4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10), 측면부(420), 연결부(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4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턱(200)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410)를 본 실시예와 달리 제2걸림턱(300)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돌출부(410)를 상기 제1걸림턱(200)에서 돌출 형성되게 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운반상자(B)를 쉽게 적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측면부(4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턱(200)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돌출부(410)의 끝단에서 상기 제2걸림턱(300)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4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420)와 상기 제1걸림턱(200) 및 상기 제2걸림턱(300)의 외측면을 상호 연결한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410), 상기 측면부(420), 상기 연결부(430)로 이루어진 상기 겹벽(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턱(200) 및 상기 제2걸림턱(300)과 함께 상기 적재부(100)의 일면과 타면에 선택적으로 적재되는 운반상자(B)를 보다 완벽하게 지지해 주게 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410)에는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공(411)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411)은 상기 제2걸림턱(300)과 상기 돌출부(410) 끝단에서 상기 제2걸림턱(300)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기 측면부(420)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에 물이 고이지 않게 배출시켜 준다.
이러한 상기 배수공(4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410)와 상기 측면부(420)를 관통되게 다수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배수공(411)을 상기 돌출부(410)에만 관통되게 형성하여 물이 고이지 않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420)에는 도 1, 도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421)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421)는 트레이(T)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부(42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손잡이부(421a), 제2손잡이부(421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손잡이부(421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100)의 일면이 상방향으로 놓여 있을 때, 상기 측면부(420)의 좌우 양측 또는 전후 양측 중 어느 한 측에 하방향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손잡이부(421a)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턱(200)이 상기 적재부(100)의 일면에 적재된 운반상자(B)의 측벽(B1)을 지지할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T)의 좌우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손잡이부(421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100)의 타면이 상방향으로 놓여 있을 때, 상기 측면부(420)의 좌우 양측 또는 전후 양측 중 나머지 한 측에 하방향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손잡이부(421b)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걸림턱(300)이 상기 적재부(100)의 타면에 적재된 운반상자(B)의 측벽(B1)을 지지할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제2손잡이부(421b)가 상기 트레이(T)의 전후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제1손잡이부(421a)와 상기 제2손잡이부(421b)에 위치에 의해 상기 적재부(100)의 타면과 일면 중 어느 면이 상방향에 있는지 알 수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손잡이부(421a)로 상기 트레이(T)를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제1손잡이부(421a)가 하방향이 개방되어 있으면 상기 적재부(100)의 일면이 상방향으로 위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손잡이부(421b)로 상기 트레이(T)를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제2손잡이부(421b)가 하방향이 개방되어 있으면 상기 적재부(100)의 타면이 상방향으로 위치한다는 것을 육안으로 쉽고 빠르게 판단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손잡이부(421a)와 상기 제2손잡이부(421b)의 위치에 따라 하방향이 개방되게 형성됨으로써,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측면부(420)의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여 손잡이부(421)를 형성하는 것에 비해 가공하기 쉬워 재료비 및 가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손잡이부(421)를 상기 제1걸림턱(200)과 상기 제2걸림턱(300)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손잡이부(421a)는 상기 제2걸림턱(3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100)의 일면이 상방향으로 놓였을 때 하방향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손잡이부(421b)는 상기 제1걸림턱(200)의 전후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100)의 타면이 상방향으로 놓였을 때 하방향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T)가 운반상자(B)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하여 운반상자(B)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달리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T)를 운반상자(B)의 덮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T)가 운반상자(B)의 상부를 덮는 덮개로 사용될 때, 즉 상기 적재부(100)가 운반상자(B)의 상부에 배치되어 운반상자(B)의 상부를 덮었을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턱(200)의 끝단은 운반상자(B)의 내부에 배치되어 운반상자(B)의 내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트레이(T)가 운반상자(B)에서 전,후 좌,우 방향으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41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상자(B)의 측벽(B1)의 상단에 배치되어 지지함으로써, 상기 트레이(T)가 운반상자(B)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지지해 준다.
이때, 상기 돌출부(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턱(200)의 외측면으로부터 단차지게, 즉, 상기 적재부(100)의 일면에서 상기 돌출부(410)까지의 길이(L4)가, 상기 적재부(100)의 일면에서 상기 제1걸림턱(200) 끝단까지의 길이(L1)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턱(200)은 트레이(T)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돌출부(410)는 상기 트레이(T)가 운반상자(B)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적재부(100)에서 상기 돌출부(410)까지의 길이(L4)를 상기 적재부(100)에서 상기 제1걸림턱(200)까지의 길이(l1)보다 작게 형성하여 운반상자(B)를 덮는 덮개로 사용함으로써, 운반상자(B)에 담긴 상품에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해 주고, 상기 적재부(100)에서 상기 돌출부(410)까지의 길이(L4) 만큼 운반상자(B) 내부의 용량이 증가 되어 보다 많은 상품을 담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운반상자(B)를 덮고 있는 트레이(T)의 상면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운반상자(B)를 적층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트레이(T)가 운반상자(B)의 덮었을 때, 상기 적재부(100)의 타면은 상방향으로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상기 적재부(100)의 타면에 또 다른 운반상자(B)를 적층하여 쌓을 수 있다.
그리고 안 쓰는 상기 트레이(T)는 서로 적층하여 쌓아서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돌출부(410)에 상기 또 다른 트레이(T)의 상기 제2걸림턱(300)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의 사용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운반상자(B)를 통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높이가 같은 운반상자(B)에 사용될 때에는 이 명세서를 숙지한 당업자라면 어떻게 사용되는지 충분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서로 높이가 다른 운반상자(B)에 상품을 전시 또는 진열할 때에는 서로 다른 운반상자(B)의 높이를 맞추어 주어야 한다.
이때, 높이가 낮은 운반상자(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100)의 타면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적재부(100)의 타면에 도 5(b)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상자(B)를 올려놓게 되면, 적재된 운반상자(B)는 상기 제1걸림턱(200)이 상기 적재부(100)에서 돌출된 길이(L2)만큼 높게 적층된다.
그리고 높이가 높은 운반상자(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100)의 일면이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적재부(100)의 일면에 도 5(a)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상자(B)를 올려놓게 되면, 적재된 운반상자(B)는 상기 제2걸림턱(300)이 상기 적재부(100)에서 돌출된 길이(L2)만큼의 높이에 적층된다.
이렇게 운반상자(B)의 높이는 다르지만, 적재된 높이는 같기 때문에 똑같은 모양으로 똑같은 높이로 운반상자(B)를 전시 및 진열할 수 있어 운반상자(B)에 담기 상품도 깔끔하면서도 정돈된 모습을 소비자에게 보여주어 구매의욕을 유발 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T)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상자(B)의 덮개로 사용할 때에는, 상기 돌출부(410)가 운반상자(B)의 측벽(B1) 상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2걸림턱(300)이 운반상자(B)의 측벽(B1)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트레이(T)는 운반상자(B)의 내부에 삽입되지 않으면서도 미끄러지지 않게 덮개로 사용함과 동시에 상기 적재부(100)에서 상기 돌출부(410)까지의 길이(L4)만큼 운반상자(B)의 내부 용량이 증가 되어 보다 많은 상품을 넣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운반상자(B)의 덮개로 사용되는 상기 트레이(T)의 상면 즉 적재부(100)의 타면에는 또 다른 운반상자(B)를 적층할 수 있다.
이때 운반상자(B)의 하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턱(200)과 상기 미끄럼방지턱(110)에 운반상자(B)의 리브(B2)를 지지되어 미끄러지지 않게 적층 된다.
그리고 트레이(T)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수개의 트레이(T)를 적층 할 수 있어 보관 및 이동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일반적인 운반상자(B)의 측벽(B1)이 상단으로 올라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경상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모양에 대응되게 상기 제1걸림턱(200)이 끝단으로 갈수록 외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운반상자(B)의 측벽(B1)이 직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그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제1걸림턱(20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적재부 110: 미끄럼방지턱 200: 제1걸림턱
300: 제2걸림턱 400: 겹벽 410: 돌출부
411: 배수공 420: 측면부 421: 손잡이부
421a: 제1손잡이부 421b: 제2손잡이부 430: 연결부
T: 트레이 B: 운반상자 B1:측벽
B2: 리브

Claims (6)

  1. 일면과 타면에 운반상자를 선택적으로 적재하여 운반상자의 하면을 지지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 일면의 외주연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일면에 적재되는 운반상자의 측벽을 지지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적재부 타면의 외주연에 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타면에 적재되는 운반상자의 측벽을 지지하는 제2걸림턱;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적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걸림턱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2걸림턱의 돌출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돌출된 길이가 다른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에 의해 운반상자를 상기 적재부에 선택적으로 적재하는 위치에 따라 운반상자의 높이가 다르게 적재되며,
    운반상자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리브가 이격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의 타면에는 적재된 운반상자의 리브와 상기 리브 사이에 삽입되어 운반상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턱이 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방지턱이 상기 적재부에서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2걸림턱이 상기 적재부에서 돌출된 길이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
  2. 삭제
  3. 일면과 타면에 운반상자를 선택적으로 적재하여 운반상자의 하면을 지지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 일면의 외주연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일면에 적재되는 운반상자의 측벽을 지지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적재부 타면의 외주연에 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타면에 적재되는 운반상자의 측벽을 지지하는 제2걸림턱과;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겹벽;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겹벽은,
    상기 제1걸림턱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끝단에서 상기 제2걸림턱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제1걸림턱 및 상기 제2걸림턱의 외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걸림턱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2걸림턱의 돌출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돌출된 길이가 다른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에 의해 운반상자를 상기 적재부에 선택적으로 적재하는 위치에 따라 운반상자의 높이가 다르게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측면부의 좌우 양측 또는 전후 양측 중 어느 한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일면이 상방향으로 놓일 때 하방향이 개방된 제1손잡이부와;
    상기 측면부의 좌우 양측 또는 전후 양측 중 나머지 한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타면이 상방향으로 놓일 때 하방향이 개방된 제2손잡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
  5. 일면과 타면에 운반상자를 선택적으로 적재하여 운반상자의 하면을 지지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 일면의 외주연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일면에 적재되는 운반상자의 측벽을 지지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적재부 타면의 외주연에 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타면에 적재되는 운반상자의 측벽을 지지하는 제2걸림턱;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적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걸림턱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2걸림턱의 돌출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돌출된 길이가 다른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에 의해 운반상자를 상기 적재부에 선택적으로 적재하는 위치에 따라 운반상자의 높이가 다르게 적재되고,
    상기 제1걸림턱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부의 일면에서 상기 돌출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적재부의 일면에서 상기 제1걸림턱 끝단까지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적재부가 운반상자의 상부에 배치되어 운반상자의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제1걸림턱의 끝단은 운반상자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운반상자의 측벽의 상단에 배치되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걸림턱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일면이 상방향으로 놓일 때 하방향이 개방된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1걸림턱의 전후 양측 형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타면이 상방향으로 놓일 때 하방향이 개방된 제2손잡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
KR1020120005115A 2012-01-17 2012-01-17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 KR101284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115A KR101284004B1 (ko) 2012-01-17 2012-01-17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115A KR101284004B1 (ko) 2012-01-17 2012-01-17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004B1 true KR101284004B1 (ko) 2013-07-09

Family

ID=4899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115A KR101284004B1 (ko) 2012-01-17 2012-01-17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0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657Y1 (ko) * 2022-10-06 2023-03-29 김지태 떡볶이떡과 가래떡의 겸용트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025A (ja) * 1995-07-25 1997-02-10 Kanegafuchi Chem Ind Co Ltd 気密容器
KR200254976Y1 (ko) * 1999-04-16 2001-12-13 정완호 적층식 과일상자
JP2004161379A (ja) 2002-11-12 2004-06-10 Tokukan Sai 箱アセンブリ
JP2005522382A (ja) * 2002-04-12 2005-07-28 ソシエテ デ プロデユイ ネツスル ソシエテ アノニム オーブンで加熱可能、積み重ね可能、入れ子状に組み込み可能なトレイ及びこれらのトレイを使用した産業ケータリ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025A (ja) * 1995-07-25 1997-02-10 Kanegafuchi Chem Ind Co Ltd 気密容器
KR200254976Y1 (ko) * 1999-04-16 2001-12-13 정완호 적층식 과일상자
JP2005522382A (ja) * 2002-04-12 2005-07-28 ソシエテ デ プロデユイ ネツスル ソシエテ アノニム オーブンで加熱可能、積み重ね可能、入れ子状に組み込み可能なトレイ及びこれらのトレイを使用した産業ケータリング方法
JP2004161379A (ja) 2002-11-12 2004-06-10 Tokukan Sai 箱アセンブ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657Y1 (ko) * 2022-10-06 2023-03-29 김지태 떡볶이떡과 가래떡의 겸용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9838B2 (en) Three tiered tray
US5372257A (en) Stackable load bearing tray
US10906706B2 (en) Container and storage system
US20180009101A1 (en) Totes or bins and systems & methods for storing products
US7464827B2 (en) Shipping unit
US20170079431A1 (en) Storage System
US20130026060A1 (en) Stackable merchandise trays
US9540140B2 (en) Bakery tray
CA2997074A1 (en) Bakery tray
KR101284004B1 (ko) 운반상자의 높낮이 조절 트레이
US20140231299A1 (en) Bakery delivery and merchandising system
EP2426059B1 (en) Nestable and stackable container
CA2783039C (en) Bakery tray
US7931188B2 (en) Combination pizza box and leveling device
CA2751194A1 (en) Nestable container
KR200441019Y1 (ko) 서랍형 수납장
KR200449586Y1 (ko) 수산물 운반상자
JP5940929B2 (ja) 箱型容器
US20170081077A1 (en) A Lid and a Storage System
KR20090011345U (ko) 미닫이형 포장 상자
AU2015248958A1 (en) Waste bin with an injection molded plastic body
KR101308617B1 (ko)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JP5711051B2 (ja) 箱型容器
KR200466436Y1 (ko) 원형 케이크 상자
US10029846B2 (en) Wire dr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