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612B1 -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 - Google Patents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612B1
KR101308612B1 KR1020120120468A KR20120120468A KR101308612B1 KR 101308612 B1 KR101308612 B1 KR 101308612B1 KR 1020120120468 A KR1020120120468 A KR 1020120120468A KR 20120120468 A KR20120120468 A KR 20120120468A KR 101308612 B1 KR101308612 B1 KR 101308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urved
width
length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서사무용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서사무용가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서사무용가구
Priority to KR1020120120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6Underframes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부재에 복수의 곡면 절곡부를 형성하고 이 곡면 절곡부를 중심으로 길이부재를 절곡시켜서 융착고정시켜 쉽고 정확하게 레그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누구든지 쉽고 빠르게 조립 과정을 마스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레그 프레임은 하나의 길이부재에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 부분이 모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비숙련자라도 레그의 오조립의 염려없이 쉽고 정확하게 레그 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은, 중공의 사각바로 이루어진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두 개의 곡면 절곡부가 일측면으로부터 그 마주보는 면까지 관통되게 형성되어 각 곡면 절곡부를 기준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2088268313-pat00006
"자 형태로 절곡형성되는 프레임로서, 상기 각 곡면 절곡부는 프레임의 일면의 폭에서 그 프레임 두께를 뺀 절개폭과, 길이 "L=(πT)/2"로 정의되는 직각 사각형 ABCD에 대하여, 직선 CD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 이등변 삼각형만큼 절개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각 점 C와 D를 기준으로 반경을 절개폭으로 하는 원호와 중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LEG FRAME FOR STEEL FURNITURE}
본 발명은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곡면 절곡부를 형성하고 이 곡면 절곡부를 기준으로 접음에 따라 상판 등을 지지하는 레그 부분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쉽게 라운드지게 하여 조립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재 가구, 예를 들어서, 책상과 받침대 등에는 인테리어 기능과 상판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ㅁ"자 형상이나 "
Figure 112012088268313-pat00001
" 등의 형상으로 레그 프레임을 제작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프레임은 길이 부재를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절단하고, 그 모서리 부분에 별도의 연결부재(엘보우)를 제작한 다음, 이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절단된 프레임을 체결 방식이나 융착 방식 등을 통해 연결하여 레그 프레임을 완성한다. 그 외에도, 미리 정해진 길이로 프레임을 절단한 다음 절단된 프레임의 단부를 융착하여 조립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레그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연결부재를 플라스틱이나 프레임과 같은 금속 재질 등으로 별도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와 레그 프레임을 다시 조립해야 하므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2) 제작하고자 하는 철재 가구의 크기, 예를 들어서, 성인용 책상과 어린이용 책상과 같이, 프레임의 길이가 다른 경우 각각 다른 길이로 별도로 제작한 다음 연결부재로 연결해야 한다. 이 경우 프레임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 그 가로와 세로 그리고 높이마다 다른 프레임이 사용되므로 조립자가 길이가 다른 프레임으로 오조립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3) 연결부재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프레임이 서로 맞닿는 각 모서리 부분마다 융착이나 체결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립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4) 또한, 이처럼 연결부재가 없는 경우 그 모서리 부분이 직각인 형태가 되어 이용자가 부딛힘에 따라 상처가 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부딛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조 안전 장비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길이부재에 복수의 곡면 절곡부를 형성하고 이 곡면 절곡부를 중심으로 길이부재를 절곡시켜서 융착고정시켜 쉽고 정확하게 레그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누구든지 쉽고 빠르게 조립 과정을 마스터할 수 있도록 한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레그 프레임은 하나의 길이부재에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 부분이 모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비숙련자라도 레그의 오조립의 염려없이 쉽고 정확하게 레그 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은, 중공의 사각바로 이루어진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두 개의 곡면 절곡부가 일측면으로부터 그 마주보는 면까지 관통되게 형성되어 각 곡면 절곡부를 기준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2088268313-pat00002
"자 형태로 절곡형성되는 프레임로서, 상기 각 곡면 절곡부는 프레임의 일면의 폭에서 그 프레임 두께를 뺀 절개폭과, 길이 "L=(πT)/2"로 정의되는 직각 사각형 ABCD에 대하여, 직선 CD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 이등변 삼각형만큼 절개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각 점 C와 D를 기준으로 반경을 절개폭으로 하는 원호와 중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한다.
특히, 상기 곡면 절곡부는 그 사이가 미리 정해진 폭길이(X)만큼 이격되게 형성되고, 각 곡면 절곡부로부터 단부까지의 레그 길이(Y)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은, 중공의 사각바로 이루어진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네 개의 곡면 절곡부가 일측면으로부터 그 마주보는 면까지 관통되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ㅁ"자 형태로 절곡형성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각 곡면 절곡부(111~114)는 프레임의 일면의 폭에서 그 프레임 두께(t)를 뺀 절개폭(T)과, 길이 "L=(πT)/2"로 정의되는 직각 사각형 ABCD에 대하여, 직선 CD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 이등변 삼각형만큼 절개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각 점 C와 D를 기준으로 반경을 절개폭(T)으로 하는 원호와 중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중앙에 구비된 2개의 곡면 절곡부 사이의 폭 길이(X')는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이격되게 형성되고, 양측의 인접한 곡면 절곡부와 다른 인접한 곡면 절곡부 사이의 레그 길이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와 각 곡면 절곡부 사이의 각 폭 길이거리의 합은 상기 폭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연결부재 없이 바로 프레임 레그를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공정의 단순화로 조립 성능의 향상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하나의 레그 프레임을 구성하는 구성 부분들이 하나의 길이 부재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오조립의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3)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곡면 절곡부를 중심으로 절곡시켜 융착고정시킴에 따라 레그 프레임 제작이 완성되기 때문에 누구나가 쉽고 빠르게 조립 과정을 마스터할 수 있다.
(4) 절곡된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진 형태가 되기 때문에 모나지 않아서 모서리 부분에 부딛힘에 따라 생길 수 있는 부상을 미연에 방지해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레그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여주기 위하여 곡면 절곡부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레그 프레임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곡면 절곡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레그 프레임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레그 프레임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 따른 레그 프레임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레그 프레임을 이용하여 책상용의 레그를 제작한 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내부가 빈 중공의 사각빔 형태로 이루어진 길이부재로서, 일측면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2개의 곡면 절곡부(11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곡면 절개부(110)는 여기를 중심으로 그 양측을 절곡시킴에 따라 직각으로 절곡되게 되어 이러한 절곡 동작후 절곡 부분에 융착 등으로 통하여 "
Figure 112012088268313-pat00003
"자 형태의 프레임(100)을 쉽게 제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100)에는 2개의 곡면 절곡부(110)가 형성된다. 이때, 이들 곡면 절곡부(110) 사이의 폭길이(X)는, 도 2와 같이, 책상의 경우 상판 등의 하부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철재 가구의 지지되는 부분의 폭이나 길이 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는 책상의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각 단부로부터 인접한 곡면 절곡부(110)까지의 레그 길이(Y)는 실질적으로 상술한 상판을 지지해 주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높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길이(Y)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여 곡면 절곡부(110)를 중심으로 폭길이(X)과 수직으로 절곡되게 하여 상판이 평편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상기 곡면 절곡부(110)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 3과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직각 사각형 ABCD을 기준으로 하여 필요없는 부분을 없애는 방식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직각 사각형 ABCD는 그 높이가 프레임(100)의 일측면 폭 전체에서 그 두께(t)를 뺀 절개폭(T)을 가지며, 그 가로변의 길이(L)는 상기 절개폭(T)을 이용하여 "L=(πT)/2"로 정의된다.
우선, 첫번째 단계로 도 3의 (a)와 같이, 상기 직각 사각형 ABCD에서, 직각 이등변 사각형 CDO의 크기만큼 절개한다. 이때, 직각 삼각형 CDO는, 도면과 같이 CD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 삼각형의 크기만큼 절개한다.
이어, 도 3의 (b)와 같이, 상기 두 점 "C"와 "D"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지름 "T"인 원을 그리고, 상기 직각 삼각형을 절개하고 남은 부분과 중첩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을 삭제한다.
이와 같이 삭제함에 따라 프레임(100)에는 도 3의 (c)와 같은 곡면 절곡부(11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곡면 절곡부(110)는 도면과 같이, 일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걸쳐 절개함으로써 그 사이를 통해 절곡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레그 프레임은, 도 4와 같이, 곡면 절곡부(110)를 기준으로 절곡시킴에 따라 절곡 부분이 라운드진 형태로 프레임(100)이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2088268313-pat00004
"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도 3과 같이, 반지름이 "T"인 원주가 "2πT"이므로 이를 4로 나누면 4분원의 원호, 즉 직각 사각형 ABCD의 길이(L)와 같고, 이 길이(L)는 호 AE와 호BF를 합친 것과 같다. 그리고, 선분 CF와 선분 DE가 수직이기 때문에 곡면 절곡부(110)를 절곡시키게 되면 틈새가 없이 직각으로 접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직으로 곡면 절곡된 부분은 그 안쪽이나 측면 부분에 융착하여 제조를 마무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프레임(100')에 형성된 곡면 절곡부(111~114)의 형성위치 및 그 갯수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곡면 절곡부(111~114)의 형상은 상술한 곡면 절곡부(110)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2에 따른 곡면 절곡부(111~114)는, 우선 가운데 2개의 곡면 절곡부(112,113) 사이의 폭 길이(X')을 미리 정해놓는다. 이때 그 폭 길이(X')는 철재 가구의 크기와 폭 등에 따라서 미리 임의로 결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책상의 상판의 경우, 이 상판의 전체 폭길이 만큼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레그 프레임이 상판의 전체 폭길이 보다 짧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각 프레임(100')의 각 단부로부터 각 곡면 절곡부(111,114)의 폭 길이(Xa,Xb)는 그 합이 항상 상기 폭 길이(X')와 같게 한다. 이는 도 6과 같이, 상부의 폭 길이(X')와 하부의 폭 길이(Xa,Xb)가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각 폭 길이(Xa,Xb)는 서로 같은 길이로 제작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길이로 제작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양측의 인접한 곡면 절곡부(111,112)와 다른 인접한 곡면 절곡부(113,114) 사이의 각 레그 길이(Y')는 동일하게 형성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판 부분이 평면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프레임(10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한 쌍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 연결바를 연결하여 격자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하게 된다.
100 : 프레임
110 : 곡면 절곡부

Claims (4)

  1. 중공의 사각바로 이루어진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두 개의 곡면 절곡부(110)가 일측면으로부터 그 마주보는 면까지 관통되게 형성되어 각 곡면 절곡부(110)를 기준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3078531800-pat00005
    "자 형태로 절곡형성되는 프레임(100)로서,
    상기 각 곡면 절곡부(110)는 프레임(100)의 일면의 폭에서 그 프레임 두께(t)를 뺀 절개폭(T)과, 길이 "L=(πT)/2"로 정의되는 직각 사각형 ABCD에 대하여, 직선 CD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 이등변 삼각형만큼 절개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각 점 C와 D를 기준으로 반경을 절개폭(T)으로 하는 원호와 중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되며,
    상기 곡면 절곡부(110)는 그 사이가 미리 정해진 폭길이(X)만큼 이격되게 형성되고, 각 곡면 절곡부(110)로부터 단부까지의 레그 길이(Y)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
  2. 삭제
  3. 중공의 사각바로 이루어진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네 개의 곡면 절곡부(111~114)가 일측면으로부터 그 마주보는 면까지 관통되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ㅁ"자 형태로 절곡형성되는 프레임(100')으로서,
    상기 각 곡면 절곡부(111~114)는 프레임(100')의 일면의 폭에서 그 프레임 두께(t)를 뺀 절개폭(T)과, 길이 "L=(πT)/2"로 정의되는 직각 사각형 ABCD에 대하여, 직선 CD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 이등변 삼각형만큼 절개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각 점 C와 D를 기준으로 반경을 절개폭(T)으로 하는 원호와 중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되며,
    상기 중앙에 구비된 2개의 곡면 절곡부(112,113) 사이의 폭 길이(X')는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이격되게 형성되고, 양측의 인접한 곡면 절곡부(111,112)와 다른 인접한 곡면 절곡부(113,114) 사이의 각 레그 길이(Y')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와 각 곡면 절곡부(111,114) 사이의 각 폭 길이(Xa,Xb)거리의 합은 상기 폭 길이(X')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
  4. 삭제
KR1020120120468A 2012-10-29 2012-10-29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 KR101308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468A KR101308612B1 (ko) 2012-10-29 2012-10-29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468A KR101308612B1 (ko) 2012-10-29 2012-10-29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612B1 true KR101308612B1 (ko) 2013-09-23

Family

ID=4945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468A KR101308612B1 (ko) 2012-10-29 2012-10-29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6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5995A (ja) 2000-01-26 2001-07-31 Nihon Funen Co Ltd 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8161506A (ja) 2006-12-28 2008-07-17 Tohma Co Ltd 棚板部材
KR20110002854U (ko) * 2009-09-15 2011-03-23 장용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5995A (ja) 2000-01-26 2001-07-31 Nihon Funen Co Ltd 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8161506A (ja) 2006-12-28 2008-07-17 Tohma Co Ltd 棚板部材
KR20110002854U (ko) * 2009-09-15 2011-03-23 장용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4906B1 (en) Shelving structure
EP2497390B1 (en) A chair with tilting backrest
JP3171399U (ja) スライドレールの補強及び調整構造
KR101308612B1 (ko) 철재 가구용 레그 프레임
CA153868S (en) Insulating structural stud
JP2011021460A (ja) 日除け用部材成形品および日除け
JP2015203223A (ja) 枠組足場用高さ調整用支柱
CN209090536U (zh) 一种能够调节床位的婴儿床
KR200474399Y1 (ko) 의자용 조립 키트
KR101440035B1 (ko) 접이식 테이블
KR200440439Y1 (ko) 조립식 의자
KR101348225B1 (ko) 가구용 모서리 연결구
KR101308647B1 (ko) 가구용 프레임 다리구조
KR102503473B1 (ko) 조립용 테이블
JP5581513B2 (ja)
JP6275966B2 (ja) 畳敷設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用いる見切り材
KR200479878Y1 (ko) 블록 지지대를 갖는 블록완구
KR200472102Y1 (ko) 그레이팅
RU150744U1 (ru) Профиль перфорированный для быстросбор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EP2762399A3 (en) Floating platform
EP3960033B1 (en) Chair
JP3144444U (ja) 高低変更可能テーブル
TWM459785U (zh) 可擴充式架體結構
JP3176188U (ja) 手すりと脚部を備えた竹製座面
KR102562669B1 (ko) 레고형 조립식 책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