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107B1 -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 - Google Patents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107B1
KR101308107B1 KR1020110000231A KR20110000231A KR101308107B1 KR 101308107 B1 KR101308107 B1 KR 101308107B1 KR 1020110000231 A KR1020110000231 A KR 1020110000231A KR 20110000231 A KR20110000231 A KR 20110000231A KR 101308107 B1 KR101308107 B1 KR 101308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tube
blood collection
cup
circumferential groove
flui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8926A (ko
Inventor
이철문
Original Assignee
이철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문 filed Critical 이철문
Priority to KR102011000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107B1/ko
Publication of KR20120078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Abstract

본 발명은 소량의 체액을 보관할 수 있는 체액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채혈관의 상단에 거치하여 사용이 가능한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100)는 채혈관(A)의 내부에 삽입되는 컵부(110)와,
채혈관(A)의 상부에 끼워져 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컵부(110)의 상단을 따라 형성된 둘레홈(120)과,
채혈관(A)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둘레홈(120)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수직돌기(130)와,
상기 둘레홈(120)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미끄럼방지용 수평돌기(140)와,
상기 컵부(110)를 바닥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기 컵부(110)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지지플랜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Support cup for storing body fluids}
본 발명은 진단검사의학 분야의 검체분석을 위한 체액이 소량인 경우 또는 모검체로부터 분리된 검체를 분주하여 체액분석에 사용되는 보조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채혈관의 상단에 거치하여 사용이 가능한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혈액검사로 각종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많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질병을 진단하기 위하여 혈액검사가 빈번히 이용되고 있다. 이 혈액검사는 검사하려는 대상 질병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며 이 혈액검사에는 생화학검사, 면역혈청검사, 그리고 혈액학 검사 등이 있으며 주로 혈청검사가 실시되고 있다.
혈액검사시 피검자로부터 채취한 혈액을 검사하는 일예로서, 원심분리기를 통해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혈청을 분리하는 혈청분리용 겔(gel)이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채혈관 안에 주사기로 채취한 혈액을 주입한 다음 공지의 원심분리기에 넣고 고속회전을 시키면 채혈관에 담겨진 혈액이 혈액성분의 비중에 따라 혈청분리용 겔을 중심으로 무게가 무거운 혈구는 아래쪽으로 가라앉고, 무게가 가벼운 혈청은 혈청분리용 겔의 상부로 분리된다. 검사자는 혈청분리용 겔의 상부로 분리된 혈청을 다른 채혈관에 담아 자동분석기에 넣고 혈청검사를 하면 된다.
이때, 자동분석기에서 혈청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혈청을 흡입하여 검사하기 위한 자동분석기 내부에 장착된 프로브가 일정하게 세팅된 위치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혈청을 흡입하게 되는데, 종래의 채혈관은 채혈관에 분리된 혈청의 양이 적어 자동분석기에서 요구되는 최소 혈청양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정밀한 혈청검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프로브에 흡입되는 혈청양이 기준양보다 부족하게 되면 정확한 혈청검사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분리된 혈청을 다른 채혈관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주입되는 혈청이 소량일 경우, 대부분의 혈청이 채혈관의 바닥에 충돌하여 내측면으로 비산되면서 상당량이 유실되므로 정확한 혈청검사가 이루어지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비에 따라서는 검체량이 부족한 경우 흡입한 검체를 일회용 팁(tip)에 버리게 되므로 부족한 검체를 더욱 부족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동화 검체분석검사장비의 구조에 따라 통일되지 않은 각각의 규격의 보조 컵을 사용하고 있어 미량검체인 경우 다른 종류의 전용컵에 옮겨 검사시마다 용기 벽에 묻어 검체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통상 5ml와 8ml 채혈관이 주로 쓰이고 있는데 이와 같이 채혈관의 종류별로 이에 맞는 보조용기 역시 각각 제작되어야 하는 불합리한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채혈된 양이 적을 경우라도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진단검사의학검사에 사용되는 다양한 자동화검사장비에 통일된 하나의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는 채혈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컵부와, 상기 컵부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컵부의 상단을 따라 형성되어 채혈관의 상부에 끼워지는 둘레홈과, 채혈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둘레홈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수직돌기와, 상기 둘레홈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미끄럼방지용 수평돌기와, 상기 컵부를 바닥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기 컵부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지지프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컵부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컵부의 하단은 아래로 갈수록 내경면이 좁아지는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채혈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컵부의 상단을 따라 채혈관의 상부에 끼워지는 둘레홈을 형성시켜 채혈관의 상단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자동분석기에 채혈관의 종류에 관계없이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량의 체액일지라도 정확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채혈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둘레홈의 내측면에 수직돌기가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유동되지 않고 채혈관과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상기 둘레홈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미끄럼방지용 수평돌기에 의해 컵부를 거치시키거나 거치된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상기 컵부를 바닥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기 컵부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지지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서 컵부를 바닥에 올려놓고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상기 컵부의 하단은 아래로 갈수록 내경면이 좁아지는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보관되는 체액이 미량이라 하더라도 보관 수위가 높아 보관된 체액에 대한 정량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종래와 같이 내부로 주입되는 체액이 바닥에 부딪혀 비산되는 현상이 현저하게 줄어들 뿐만 아니라 설령 주변으로 비산된다 하더라도 원추 경사면을 따라 컵부의 하단으로 자연스럽게 모이게 되므로 유실되는 체액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둘레홈에 외력이 가해져 수직돌기와 채혈관의 외주면과의 밀착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100)는 채혈관(A)에 보관 중인 체액(120)을 별도로 수납할 수 있는 컵부(110)를 갖는다.
상기 컵부(1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컵부(110)는 채혈관(A)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채혈관(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다.
한편, 상기 컵부(110)는 채혈관(A)의 내부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채혈관(A) 내부로의 삽입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컵부(110)의 하단(112)은 아래로 갈수록 내경면이 좁아지는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보관되는 체액이 미량이라 하더라도 보관 수위가 높아 보관된 체액에 대한 정량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내부로 주입되는 체액이 바닥에 부딪혀 비산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설령 체액이 주변으로 비산된다 하더라도 원추 경사면을 따라 컵부(110)의 하단(112)으로 자연스럽게 모이게 되므로 유실되는 체액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컵부(110)의 상단을 따라 형성된 둘레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둘레홈(120)은 컵부(110)의 상단을 따라 수직으로 하향돌출된 플랜지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채혈관(A)의 상단은 컵부(110)와 둘레홈(120) 사이의 틈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컵부(110)는 채혈관(A)의 상부에 거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둘레홈(120)의 내측면에는 채혈관(A)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수직돌기(130)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돌기(130)는 둘레홈(120)이 채혈관(A)의 외측으로 끼워질 때 채혈관(A)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컵부(110)의 거치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컵부(110)를 지지해 준다.
한편, 상기 수직돌기(130)가 형성되지 않은 둘레홈(120)의 일부분의 가압할 경우, 둘레홈(120)이 가압부위를 중심으로 압축 탄성 변형되면서 수직돌기(130)와 채혈관(A)의 외주면과의 밀착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상기 둘레홈(120)의 외측면을 따라 미끄럼방지용 수평돌기(140)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돌기(140)는 상하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컵부(110)의 상단 내측면(111)은 중심을 향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컵부(110)의 내측으로 체액을 주입해 주는 주사기의 단부나 컵부(110)의 내측에 보관된 체액을 채집하는 자동분석기의 프로브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한다.
아울러, 상기 컵부(110)의 하단(112)에는 컵부(110)를 바닥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지지플랜지(150)가 하향 연장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컵부(110)는 독립적인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100)는 채혈된 양이나 보관할 체액의 양이 소량일 경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때, 독립적인 사용도 가능하나 기존의 원심분리기나 자동분석기가 모두 일반적인 채혈관(A)의 규경에 맞추어져 있으므로 독립적인 사용에 한계가 뒤따른다.
이 경우, 사용자는 먼저 둘레홈(120)의 외측면을 손으로 잡고 컵부(110)를 채혈관(A)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채혈관(A)의 상단을 둘레홈(120)의 내측에 끼워 거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때, 컵부(110)의 외경면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채혈과능로의 홈부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둘레홈(120)의 외측면에는 수평돌기(140)가 형성되어 있어 컵부(110)가 거치되는 과정에서 미끄럼이 방지되며, 둘레홈(120)의 내측에는 수직돌기(130)가 형성되어 있어서 일단 컵부(110)의 거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외부의 충격에 유동되지 않고 채혈관(A)의 상단으로부터의 이탈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100)가 상단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채혈관(A)의 전체 높이는 원래 채혈관(A)의 높이보다 단지 둘레홈(120)의 두께만큼만 증가되므로 기존의 원심분리기나 자동분석기에 아무런 문제없이 장착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채혈관(A)으로부터 거치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돌기(130)가 형성되지 않은 둘레홈(120)의 양측을 손가락으로 잡고 힘(F)을 가하면 둘레홈(120)이 압축탄성 변형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돌기(130)와 채혈관(A) 외주면과의 밀착상태가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상방으로 힘(F)을 가하면 컵부(110)가 채혈관(A)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체액 보관용 보조용기 110...컵부
120...둘레홈 130...수직돌기
140...수평돌기 150...지지플랜지
A...채혈관

Claims (3)

  1. 채혈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컵부와,
    상기 컵부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컵부의 상단을 따라 형성되어 채혈관의 상부에 끼워지는 둘레홈과,
    채혈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둘레홈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수직돌기와,
    상기 둘레홈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미끄럼방지용 수평돌기와,
    상기 컵부를 바닥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기 컵부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지지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의 외경면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의 하단은 아래로 갈수록 내경면이 좁아지는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
KR1020110000231A 2011-01-03 2011-01-03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 KR101308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231A KR101308107B1 (ko) 2011-01-03 2011-01-03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231A KR101308107B1 (ko) 2011-01-03 2011-01-03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926A KR20120078926A (ko) 2012-07-11
KR101308107B1 true KR101308107B1 (ko) 2013-09-12

Family

ID=4671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231A KR101308107B1 (ko) 2011-01-03 2011-01-03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1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1352A (ja) * 1994-04-20 1995-11-07 Wako Pure Chem Ind Ltd 微量の試薬等を収容するための容器
JP2000506419A (ja) 1996-11-19 2000-05-30 ザルシュテット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採血のための試料容器
KR20070120700A (ko) * 2006-06-20 2007-12-26 주식회사 에스피엘 의료용 용기
JP2010202237A (ja) 2009-03-02 2010-09-16 Dic Plastics Inc 二剤混合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1352A (ja) * 1994-04-20 1995-11-07 Wako Pure Chem Ind Ltd 微量の試薬等を収容するための容器
JP2000506419A (ja) 1996-11-19 2000-05-30 ザルシュテット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採血のための試料容器
KR20070120700A (ko) * 2006-06-20 2007-12-26 주식회사 에스피엘 의료용 용기
JP2010202237A (ja) 2009-03-02 2010-09-16 Dic Plastics Inc 二剤混合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926A (ko)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0268B2 (en) Oral fluid collector
JP5199398B2 (ja) 毛管作用採集装置および容器アセンブリ
AU2016229837B2 (en) Biological fluid micro-sample management device
US9696242B2 (en) Fixed chamber separator with adjustment withdrawal member
JP4306902B2 (ja) 流体サンプルの成分分離用アセンブリおよび方法
US5560830A (en) Separator float and tubular body for blood collection and separa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EP1106253B1 (en) Device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fluid sample
KR101851188B1 (ko) 체액채취기, 체액용기, 및 체액채취장치
US3933439A (en) Blood collection device
US20120251411A1 (en) Centrifuge tube
US4066414A (en) One piece tube and microscope slide manipulative laboratory device
CN104780848A (zh) 尿收集和分析设备
EP2788755A1 (en)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emolysis
JP2019100858A (ja) 血液検査用容器
KR101308107B1 (ko) 체액 보관용 보조용기
CN207928336U (zh) 一种检验用尿液收集器
CA1219469A (en) Liquid sampling apparatus with retention means
JP4404385B2 (ja) 血液収容容器内にフィルタを自動的に押し込むための方法
JP3185113U (ja) 試料カップ
US201201151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erebrospinal fluid collection
KR200449644Y1 (ko) 혈청검사용 튜브
WO2007044304A2 (en) Blood centrifuge rotor with fill indicator
JP5955477B1 (ja) 体液採取器及び体液採取排出方法
KR200291648Y1 (ko) 혈청검사용 보조 케이스
JP2005300164A (ja) 検体試験容器セット及び検体試験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