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471B1 - 철근 콘크리트 기둥 - Google Patents

철근 콘크리트 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471B1
KR101307471B1 KR1020130032731A KR20130032731A KR101307471B1 KR 101307471 B1 KR101307471 B1 KR 101307471B1 KR 1020130032731 A KR1020130032731 A KR 1020130032731A KR 20130032731 A KR20130032731 A KR 20130032731A KR 101307471 B1 KR101307471 B1 KR 101307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d concrete
connecting member
concrete column
nut body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열
이동운
양진국
강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032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배열된 철근의 일단에 수평 철골보와의 연결부재가 미리 결합되어 제작된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높이조절수단을 매개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층간의 간격에 따라 연결부재의 높이를 유동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종래 연결부재가 고정됨에 따른 각종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근 콘크리트 기둥 내부가 저가의 철근만으로 배열됨에 따라 제작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수평 철골보와의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근 콘크리트 기둥{REINFORCED CONCRETE COLUMN}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배열된 철근의 일단에 수평 철골보와의 연결부재가 미리 결합되어 제작된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높이조절수단을 매개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철골철근콘크리트(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SRC)공법은 기둥은 SRC를 사용하고 보는 철골기둥을 사용하는 공법으로서 철골철근콘크리트(SRC)는 철골을 조립한 후 다시 기둥 외부에 철근을 베치하고 거푸짚을 조립한 후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공법이다. 따라서 기둥의 경우는 철골과 철근콘크리트을 혼합한 제작공법이기 때문에 시공이 까다로워 공사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 공법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써, 특허문헌 1에서는 SRC(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구조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H형강, 100)을 중심으로 그 주위를 주철근(160)과 띠철근(170)이 둘러싸고, 상기 철골(100)의 일단에 수평 철골보가 결합될 수 있는 거싯플레이트(150)가 형성되며, 여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일체로 기둥을 형성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은 SRC구조는 공사진행에 맞추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해야함에 따라 공사기간이 많이 소모되고, 수평 철골보와의 조립공정이 매우 어렵고, 그 제작 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2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2)의 내부를 H형강 등의 철골보가 아닌 철근(14)으로만 배열하고, 그 일단에 수평철골보(51)와 결합되는 철골연결부재(32)를 미리 형성시킴으로써, 저가의 철근(14)으로만 구성되어 제작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수평철골보(51)와의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2와 같은 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상기 철골연결부재(32)의 위치 및 간격이 이미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각 층간의 간격에 유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여 해당 공사별로 각각 제작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아울러, 설계 오차 등에 의해 철골연결부재(32)의 위치가 잘못 고정될 경우, 전체를 다시 제작해야함에 따라, 공사기간 및 제작비용 등에 막대한 손실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6264호 "철근이 선조립된 SRC 기둥용 철골기둥 및 이를 이용한철골조 시공방법"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17571호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철골보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배열된 철근의 일단에 수평 철골보와의 연결부재가 미리 결합되어 제작된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높이조절수단을 매개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층간의 간격에 따라 연결부재의 높이를 유동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종래 연결부재가 고정됨에 따른 각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아울러, 철근 콘크리트 기둥 내부가 저가의 철근만으로 배열됨에 따라 제작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수평 철골보와의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철근(10) 및 띠철근(20)이 배열되고, 상기 배열된 철근(10)의 일단에 수평 철골보(200)와의 연결부재(30)가 미리 결합되어 제작된 철근 콘크리트 기둥(10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가 높이조절수단(40)을 매개로 철근(1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40)에 의해 연결부재(30)의 높이(L)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은,
철근(10)을 감싸며 밀착되는 하우징형 볼트체(41);
연결부재(30)를 기준으로, 연결부재(30)의 하측에서 상기 하우징형 볼트체(41)와 체결되는 하부 유동너트체(42); 및
연결부재(30)를 기준으로, 연결부재(30)의 상측에서 상기 하우징형 볼트체(41)와 체결되는 상부 고정너트체(4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부 유동너트체(42)를 회전시켜 연결부재(3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부 고정너트체(43)를 조여 해당 이동상태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형 볼트체(41)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철근(10)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평 철골보와의 연결부재가 높이조절수단을 매개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층간의 간격에 따라 연결부재의 높이를 유동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종래 연결부재가 고정됨에 따른 각종 문제(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해당 공사별로 각각 제작해야하는 번거로움, 연결부재의 위치가 잘못고정될 경우 전체를 다시 제작해야 함에 따른 공사기간 및 제작비용 등에 막대한 손실)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근 콘크리트 기둥 내부가 저가의 철근만으로 배열됨에 따라 제작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수평 철골보와의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따른 철골기둥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특허문헌 2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연결부재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내지 5d는 도 3의 연결부재 결합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상세도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연결부재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5d는 도 3의 연결부재 결합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철근(10) 및 띠철근(20)이 배열되고, 상기 배열된 철근(10)의 일단에 수평 철골보(200)와의 연결부재(30)가 미리 결합되어 제작된 철근 콘크리트 기둥(10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가 높이조절수단(40)을 매개로 철근(10)의 일단에 결합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수단(40)에 의해 연결부재(30)의 높이(L)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30)는 도 5a 내지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철골보(200, 도 3 참조)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결합되어 그 높이(L, 도 4 참조)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30)가 높이조절수단(40)을 매개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층간의 간격에 따라 연결부재(40)의 높이를 유동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종래 연결부재(도 1의 거싯플레이트(150) 및 도 2의 철골연결부재(32) 참조)가 고정됨에 따른 각종 문제(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해당 공사별로 각각 제작해야하는 번거로움, 연결부재의 위치가 잘못고정될 경우 전체를 다시 제작해야 함에 따른 공사기간 및 제작비용 등에 막대한 손실)를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도 3 및 4에서와 같이, 철근 콘크리트 기둥(100) 내부가 저가의 철근(10, 20)만으로 배열됨에 따라 제작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상기 연결부재(30)에 의해 수평 철골보(200)와의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연결부재(30)의 상,하 이동은 높이조절수단(40)에 의해 구현되며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상세도로써, 높이조절수단(40)은 하우징형 볼트체(41)와, 상기 하우징형 볼트체(41)가 체결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 유동너트체(42) 및, 상부 고정너트체(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형 볼트체(41)가 철근(10)을 감싼 상태에서 연결부재(30)의 일단을 관통하고, 연결부재(30)를 기준으로 연결부재(30)의 하측에는 하부 유동너트체(42)가 상기 하우징형 볼트체(41)와 체결되고, 상측에는 상부 고정너트체(43)가 체결된다.
즉, 상기 하부 유동너트체(42)를 회전시켜 연결부재(30)를 상측으로 원하는 만큼 이동시킨 후, 상부 고정너트체(43)를 조여 해당 이동상태를 고정시킨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형 볼트체(41)의 내부 홈에 철근(10)의 리브가 완전히 체결되어 하우징형 볼트체(41)가 철근(10)으로부터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형 볼트체(41)는 분할되어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철근(10)의 굵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철근 콘크리트 기둥 200 : 수평 철골보
10 : 철근 20 : 띠철근
30 : 연결부재 40 : 높이조절수단
41 : 하우징형 볼트체 42 : 하부 유동너트체
43 : 상부 고정너트체

Claims (3)

  1. 내부에 철근(10) 및 띠철근(20)이 배열되고, 상기 배열된 철근(10)의 일단에 수평 철골보(200)와의 연결부재(30)가 미리 결합되어 제작된 철근 콘크리트 기둥(10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가 높이조절수단(40)을 매개로 철근(1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40)에 의해 연결부재(30)의 높이(L)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은,
    철근(10)을 감싸며 밀착되는 하우징형 볼트체(41);
    연결부재(30)를 기준으로, 연결부재(30)의 하측에서 상기 하우징형 볼트체(41)와 체결되는 하부 유동너트체(42); 및
    연결부재(30)를 기준으로, 연결부재(30)의 상측에서 상기 하우징형 볼트체(41)와 체결되는 상부 고정너트체(4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부 유동너트체(42)를 회전시켜 연결부재(3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부 고정너트체(43)를 조여 해당 이동상태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형 볼트체(41)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철근(10)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
KR1020130032731A 2013-03-27 2013-03-27 철근 콘크리트 기둥 KR101307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731A KR101307471B1 (ko) 2013-03-27 2013-03-27 철근 콘크리트 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731A KR101307471B1 (ko) 2013-03-27 2013-03-27 철근 콘크리트 기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471B1 true KR101307471B1 (ko) 2013-09-11

Family

ID=4945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731A KR101307471B1 (ko) 2013-03-27 2013-03-27 철근 콘크리트 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4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350A (ko) 2017-06-16 2018-12-27 기언관 철골 구조물
CN116290347A (zh) * 2023-05-24 2023-06-23 中建六局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钢结构网架及其安装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3020A (ko) * 1974-02-14 1975-09-04
JPH05118142A (ja) * 1991-10-28 1993-05-14 Kazuo Suzuki 鉄筋先組体の組立方法
KR100633313B1 (ko) 2003-09-23 2006-10-12 김용근 철근 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3020A (ko) * 1974-02-14 1975-09-04
JPH05118142A (ja) * 1991-10-28 1993-05-14 Kazuo Suzuki 鉄筋先組体の組立方法
KR100633313B1 (ko) 2003-09-23 2006-10-12 김용근 철근 연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350A (ko) 2017-06-16 2018-12-27 기언관 철골 구조물
CN116290347A (zh) * 2023-05-24 2023-06-23 中建六局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钢结构网架及其安装施工方法
CN116290347B (zh) * 2023-05-24 2023-07-25 中建六局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钢结构网架及其安装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670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KR20060098555A (ko) 헤드철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기둥의 접합부 연결시스템
KR20130109298A (ko) 논-스리브 결합식 구조를 갖는 건축물용 상,하 1조식 피씨기둥의 연결구조
KR20190027230A (ko)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KR101307471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
KR201700328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중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452262Y1 (ko) 시멘트 기둥용 유로폼 고정밴드
JP6484209B2 (ja) 連結部材、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178763B1 (ko) 연결접합 구조물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
KR101402384B1 (ko) 압축력 전달판을 구비하는 철골보 및, 그 시공방법
KR101875015B1 (ko) 선조립 src 기둥 구조체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101438030B1 (ko) 지지보강틀을 이용한 강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JP2005188102A (ja) 建物の構造および施工方法
JP2011202486A (ja) 建物
ITVR20100206A1 (it) Struttura di fondazione particolarmente per edifici prefabbricati
KR101683616B1 (ko) 콘크리트 기초와 견고한 결합을 형성하는 강관말뚝의 두부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기초와 강관말뚝의 결합구조
JP2014206025A (ja) カルバート
CN203939237U (zh) 防水上凸混凝土构件一次成型的支模装置
KR100452968B1 (ko) 관통 연결부가 형성된 기성콘크리트기둥을 이용한 지하건축물의 시공방법
JP6829631B2 (ja) 柱脚の施工方法、既存柱脚の補強方法
KR101296320B1 (ko) 조립성이 개선되고 오차 조정이 가능한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200417368Y1 (ko) 철근 및 배관 부착 형 거푸집
JP2009256983A (ja) 建物の構築方法
JP3890345B2 (ja) 開口部耐震補強構造および開口部耐震補強工法
JP201908578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部材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