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222B1 - 마루 운동 매트 - Google Patents

마루 운동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222B1
KR101307222B1 KR1020110127439A KR20110127439A KR101307222B1 KR 101307222 B1 KR101307222 B1 KR 101307222B1 KR 1020110127439 A KR1020110127439 A KR 1020110127439A KR 20110127439 A KR20110127439 A KR 20110127439A KR 101307222 B1 KR101307222 B1 KR 101307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ard
lower elastic
unit pieces
cushion
exercise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1237A (ko
Inventor
신광식
Original Assignee
현대체육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체육산업(주) filed Critical 현대체육산업(주)
Priority to KR1020110127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22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1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루 운동 매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종래 지지대에 의해 발생된 높이차를 제거하여 보다 안전한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마루 운동 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마루 운동 매트는 다수 개의 제1 단위조각체로 이루어진 하부 탄성보드; 상기 제1 단위조각체의 하부에서 제1 단위조각체에 고정되어 하부 탄성보드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고무 스프링; 상기 하부 탄성보드의 상부에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위조각체와 벨크로 테이프를 매개로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2 단위조각체로 이루어진 상부 탄성보드; 상기 상부 탄성보드의 상부에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제3 단위조각체로 이루어진 쿠션판; 상기 쿠션판의 상면을 커버하는 카페트; 및 상기 하부 탄성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하부 탄성보드를 지지하되, 상기 하부 탄성보드와 상부 탄성보드 및 쿠션판이 안착되는 지지턱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면이 쿠션판의 상면과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다수 개의 쿠션블록으로 이루어진 마감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마루 운동 매트{Athletic mat}
본 발명은 마루 운동 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루 운동 매트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마루 운동 매트의 유효사용면적을 넓히고, 사용자의 부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마루 운동 매트에 관한 것이다.
체조경기의 일환인 마루운동은 선수가 도약, 점프, 구르기, 착지 등의 동작을 연속적으로 하는 것으로, 경기 중 발생되는 충격이 운동선수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기장의 바닥에는 탄력적은 구조를 갖는 마루 운동 매트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마루 운동 매트의 일례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1276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마루 운동 매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 2는 종래 마루 운동 매트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마루 운동 매트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것으로, 하부 탄성보드(10)와, 상기 하부 탄성보드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고무 스프링(20)과, 상기 하부 탄성보드의 상면에 적층되는 상부 탄성보드(30)와, 상기 상부 탄성보드의 상면에 적층된 쿠션판(50)과, 마루 운동 매트의 둘레에 배치되는 지지대(60)와, 상기 쿠션판과 지지대를 커버하는 카페트(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마루 운동 매트는 하부 탄성보드(10)를 구성하는 하부단위 조각체(11)와 상부 탄성보드(30)를 구성하는 상부단위 조각체(31)가 벨크로 테이프를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카페트(70)와 지지대(60)가 벨크로 테이프를 매개로 결합되어 선수의 연속된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고, 마루 운동 매트를 구성하는 부품들 간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매트가 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 및 분해 작업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루 운동 매트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마루 운동 매트에 사용된 상기 지지대는 마루 운동 매트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탄성고무 스프링을 비롯한 나머지 부품들(하부 탄성보드, 상부 탄성보드, 쿠션판)이 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카페트와 결합되며, 마루 운동 매트상에 형성된 경기영역으로부터 선수가 벗어나는 경우, 추가적인 완충지대를 제공함으로써 선수의 부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는 마루 운동 매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쿠션판과 높이를 달리함에 따라 지지대의 표면과 마루 운동 매트의 표면 사이에는 높이차가 발생되며, 선수가 경기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지지대의 높이차를 모르는 선수는 착지순간을 잘못 인식하여 심각한 부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지대는 실질적인 경기영역을 제공하는 부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많은 면적을 차지하여 마루 운동 매트의 공간사용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지지대에 의해 발생된 높이차를 제거하여 보다 안전한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마루 운동 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루 운동 매트의 공간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마루 운동 매트들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대 간의 결속력을 높여 더욱 견고한 구조를 갖는 마루 운동 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마루 운동 매트는 다수 개의 제1 단위조각체로 이루어진 하부 탄성보드; 상기 제1 단위조각체의 하부에서 제1 단위조각체에 고정되어 하부 탄성보드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고무 스프링; 상기 하부 탄성보드의 상부에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위조각체와 벨크로 테이프를 매개로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2 단위조각체로 이루어진 상부 탄성보드; 상기 상부 탄성보드의 상부에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제3 단위조각체로 이루어진 쿠션판; 상기 쿠션판의 상면을 커버하는 카페트; 및 상기 하부 탄성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하부 탄성보드를 지지하되, 상기 하부 탄성보드와 상부 탄성보드 및 쿠션판이 안착되는 지지턱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면이 쿠션판의 상면과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다수 개의 쿠션블록으로 이루어진 마감틀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탄성보드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1 단위조각체와 상기 쿠션블록은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하여 상호 결속되고, 상기 각각의 쿠션블록에는 쿠션블록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쿠션블록들은 체결공을 관통하는 체결봉에 의하여 상호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마루 운동 매트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마감틀이 쿠션판과 동일 수평면상에 형성되어 마감틀과 쿠션판의 사이에 높이차가 발생되지 않아 보다 안전한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마감틀이 점유하는 면적을 축소시킴으로써 마루 운동 매트의 공간사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틀과 하부 탄성보드의 결속력을 높이고, 더불어 쿠션블록간의 결속력을 높여 더욱 안정적인 마루 운동 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마루 운동 매트의 일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마루 운동 매트의 단면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루 운동 매트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제1 단위조각체와 탄성고무 스프링의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쿠션판의 상세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7 은 도 6의 'A'부 확대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루 운동 매트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루 운동 매트는 마루 운동 매트를 구성하는 부품들 간의 결속을 높여 보다 안정된 구조를 가지며, 특히 마루 운동 매트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마감틀(160)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안전한 사용환경과 마루 운동 매트의 공간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하부 탄성보드(110)와, 탄성고무 스프링(120)과, 상부 탄성보드(130)와, 쿠션판(140)과, 카페트(150)와, 마감틀(16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탄성보드(110)는 다수 개의 제1 단위조각체(111)를 정사각형의 구조를 갖도록 배열한 것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다수 개의 제1 단위조각체(111)를 정사각형의 구조로 배열함에 있어서, 하부 탄성보드(110)가 마루 운동 매트에서 요구되는 가로 세로 각 12m를 형성하도록 다수 개의 제1 단위조각체(111)를 배열하게 되며, 제1 단위조각체(111)는 합판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제1 단위조각체와 탄성고무 스프링의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탄성고무 스프링(120)은 하단부가 바닥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하부 탄성보드(110)를 구성하는 제1 단위조각체(111)에 고정되며, 탄성고무 스프링(120)은 꺽쇠(121)에 의하여 제1 단위조각체(111)에 고정된다. 이러한 탄성고무 스프링(120)은 하부 탄성보드(110)를 하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제1 단위조각체(1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제공된다.
상기 상부 탄성보드(130)는 다수 개의 제2 단위조각체(131)를 하부 탄성보드(110)상에 정사각형의 구조를 갖도록 배열한 것으로 구성되며, 이때 제2 단위조각체(131)는 두 개 이상의 제1 단위조각체(111)에 걸쳐지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 탄성보드(110)와 상부 탄성보드(130)의 견고한 결속을 위하여 제1 단위조각체(111)와 제2 단위조각체(131)는 벨크로 테이프를 매개로 결합된다.
도 5는 쿠션판의 상세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쿠션판(140)은 다수 개의 제3 단위조각체(141)를 상부 탄성보드(130)상에 정사각형의 구조를 갖도록 배열한 것으로 구성되며, 이때 제3 단위조각체(141)들은 요철(141a,141b)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일체형의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카페트(150)는 쿠션판(140)의 상부에 적층되며, 쿠션판(140)과 마감틀(160)을 함께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하부 탄성보드(110), 탄성고무 스프링(120), 상부 탄성보드(130), 쿠션판(140) 및 카페트(150)는 종래 기술에서 언급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12768호에 개시된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마감틀(160)은 마루 운동 매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하부 탄성보드(110)와 상부 탄성보드(130) 및 쿠션판(140)을 지지하며, 쿠션판(140)의 상부에 적층되는 카페트(150)와 결합되어 마루 운동 매트를 완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마감틀(160)은 하부 탄성보드(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다수 개의 쿠션블록(161)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쿠션블록(161)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탄성을 갖도록 제작된 블록으로써, 상단부 일측에는 하부 탄성보드(110)와 상부 탄성보드(130) 및 쿠션판(140)이 안착되는 지지턱(1611)이 형성되며, 이러한 쿠션블록(161)의 상면(161a)은 지지턱(1611)에 안착된 쿠션판(140)의 상면(140a)과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쿠션블록(161)의 상면(161a)과 쿠션판(140)의 상면(140a)을 일치시킴으로써 경기영역과 그 외 영역의 사이에 높이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부 탄성보드(110)와 쿠션블록(161)의 견고한 결속을 위하여 하부 탄성보드(110)와 쿠션블록(161)을 볼트(B1)와 너트(N1)로써 결속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쿠션블록(161)의 제작시, 지지턱(1611)의 수직 하부에 너트(N1)가 위치하도록 너트(N1)를 매입시킨 상태에서 쿠션블록(161)을 제작하는 한편, 하부 탄성보드(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각각 제1 단위조각체(111)에는 상기 너트(N1)와 체결되는 볼트(B1)의 삽입을 위한 구멍(111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너트(N1)가 매입된 쿠션블록(161)과, 볼트(B1)의 삽입을 위한 제1 단위조각체(111)를 이용하여 마루 운동 매트를 구성할 경우, 쿠션블록(161)의 지지턱(1611)에 제1 단위조각체(111)의 가장자리가 거치되도록 배치한 뒤, 제1 단위조각체(111)에 형성된 구멍(1111)을 통해 볼트(B1)를 삽입하여 쿠션블록(161)에 매입된 너트(N1)와 체결시킴으로써 제1 단위조각체(111)와 쿠션블록(161)을 결속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경우, 볼트(B1)의 두부가 하부 탄성보드(110)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단위조각체(111)의 상면에는 볼트의 두부가 삽입되는 홈(1112)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감틀(160)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쿠션블록(161)이 상호 결속되게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마루 운동 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각 쿠션블록(161)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공(1612)이 형성되며, 물론 각각의 쿠션블록(161)에 형성되는 체결공(1612)은 이웃하게 배치된 또 다른 쿠션블록(161)에 형성된 체결공(1612)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모서리에 위치하는 쿠션블록(161)의 경우,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체결공(1612)이 형성되며, 이때 2개의 체결공(1612)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의 체결공(1612)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공(1612)이 형성된 쿠션블록(161)의 경우, 마루 운동 매트의 일측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동일선상에 배치된 다수 개의 쿠션블록(161)을 관통하도록 체결봉(1613)을 배치하고, 체결봉(1613)의 양끝단에 너트(N2)를 체결하여 조임으로써 동일선상에 배치된 쿠션블록(161)들을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쿠션판(140)과 쿠션블록(161)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카페트(150)의 가장자리를 마감틀(160)의 측면에 부착시킴으로써 보다 견고한 마루 운동 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쿠션블록(161)의 바깥쪽 측면(마루 운동 매트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측면)에는 암,수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고, 카페트(150)의 가장자리에는 쿠션블록(161)에 마련된 벨크로 테이프에 부착되는 나머지 벨크로 테이프가 설치되어 카페트(150)와 쿠션블록(161)을 벨크로 테이프(151)를 이용하여 상호 결속시키게 된다.
한편 충분하지 못한 카페트(150)의 유연성에 의하여 카페트(150)를 쿠션블록(161)의 윤곽에 맞추어 직각으로 구부리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 쿠션블록(161)의 바깥쪽 측면에 대응하는 카페트(150)의 가장자리에 별도의 카페트(150`)를 봉제하여 봉제된 부분이 직각으로 꺾어지도록 카페트(150)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카페트(150)와 쿠션블록(161)의 보다 견고한 결속을 위하여 쿠션블록(161)의 상면에 벨크로 테이프를 더 설치하여 카페트와 쿠션블록을 추가적으로 결속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마루 운동 매트가 갖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마루 운동 매트의 경우, 제1 단위조각체(111)의 하부에 꺾쇠(121)를 매개로 하여 탄성고무 스프링(120)을 고정시키고, 이처럼 탄성고무 스프링(120)과 결합된 제1 단위조각체(111)를 정사각형의 구조로 배열하여 하부 탄성보드(110)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 탄성보드(110)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하부 탄성보드(110)가 형성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쿠션블록(161)을 배치하여 마감틀(160)을 구성하게 되며, 이때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쿠션블록(161)들에 형성된 체결공(1612)을 관통하도록 체결봉(1613)을 삽입한 뒤, 체결봉(1613)의 양끝단에 너트(N2)를 체결하여 쿠션블록(161)들을 양측에서 가압시킴으로써 쿠션블록(161)들을 상호 결속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하부 탄성보드(110)와 마감틀(160)의 형성과정에서 하부 탄성보드(110)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1 단위조각체(111)들은 쿠션블록(161)에 형성된 지지턱(1611)에 거치되며, 이후 제1 단위조각체(111)에 형성된 구멍(1111)을 통해 볼트(B1)를 삽입하여 쿠션블록(161)내에 마련된 너트(N1)와 체결함으로써 제1 단위조각체(111)와 쿠션블록(161)을 결속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하부 탄성보드(110)와 마감틀(160)이 형성되면, 하부 탄성보드(110)상에 다수 개의 제2 단위조각체(131)를 정사각형의 구조로 배열하여 상부 탄성보드(130)를 구성하게 되며, 이때 각각의 제2 단위조각체(131)가 2개 이상의 제1 단위조각체(111)에 걸쳐지며, 또한 벨크로 테이프를 매개로 제1 단위조각체(111)와 결합되어지도록 제2 단위조각체(131)를 배치하여 상부 탄성보드(130)를 형성하게 된다.
이후, 상기 상부 탄성보드(130)의 상부에 다수 개의 제3 단위조각체(141)를 정사각형의 구조로 배열함으로써 쿠션판(140)을 형성하게 되며, 이때 제3 단위조각체(141)들은 요철(141a,141b)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부 탄성보드(130)와 쿠션판(140)은 하부 탄성보드(110)와 마찬가지로 쿠션블록(161)에 형성된 지지턱(1611)에 거치되며, 쿠션판(140)의 상면(140a)은 쿠션블록(161)의 상면(116a) 즉, 마감틀(160)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후 쿠션판(140)과 마감틀(160)을 커버하도록 카페트(150)를 설치함으로써 마루 운동 매트의 구성하게 되며, 카페트(150)의 경우, 쿠션블록(161)의 외측면과 벨크로 테이프(151a)를 매개로 결속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루 운동 매트는 마감틀(160)과 하부 탄성보드(110)의 결속구조, 마감틀(160)을 이용한 상부 탄성보드(130)와 쿠션판(140)의 지지구조 그리고 마감틀(160)을 구성하는 쿠션블록(161)들의 견고한 결속구조를 통해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된 마루 운동 매트를 제공할 수 있고, 쿠션판(140)과 마감틀(160) 사이에 높이차가 발생되지 않아 보다 안전한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마감틀(160)의 점유하는 면적을 줄여 마루 운동 매트의 공간사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하부 탄성보드 (111) : 제1 단위조각체
(120) : 탄성고무 스프링 (130) : 상부 탄성보드
(131) : 제2 단위조각체 (140) : 쿠션판
(141) : 제3 단위조각체 (150) : 카페트
(160) : 마감틀 (161) : 쿠션블록
(1611) : 지지턱 (1612) : 체결공
(1613) : 체결봉

Claims (4)

  1. 다수 개의 제1 단위조각체(111)로 이루어진 하부 탄성보드(110);
    상기 제1 단위조각체(111)의 하부에서 제1 단위조각체(111)에 고정되어 하부 탄성보드(110)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고무 스프링(120);
    상기 하부 탄성보드(110)의 상부에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위조각체(111)와 벨크로 테이프를 매개로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2 단위조각체(131)로 이루어진 상부 탄성보드(130);
    상기 상부 탄성보드(130)의 상부에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제3 단위조각체(141)로 이루어진 쿠션판(140);
    상기 쿠션판(140)의 상면을 커버하는 카페트(150); 및
    상기 하부 탄성보드(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하부 탄성보드(110)를 지지하되, 상기 하부 탄성보드(110)와 상부 탄성보드(130) 및 쿠션판(140)이 안착되는 지지턱(1611)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면(160a)이 쿠션판(140)의 상면(140a)과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다수 개의 쿠션블록(161)으로 이루어진 마감틀(160)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탄성보드(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1 단위조각체(111)와 상기 쿠션블록(161)은 볼트(B1)와 너트(N1)의 결합에 의하여 상호 결속되고,
    상기 각각의 쿠션블록(161)에는 쿠션블록(161)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공(1612)이 형성되어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쿠션블록(161)들은 체결공(1612)을 관통하는 체결봉(1613)에 의하여 상호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운동 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127439A 2011-12-01 2011-12-01 마루 운동 매트 KR101307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439A KR101307222B1 (ko) 2011-12-01 2011-12-01 마루 운동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439A KR101307222B1 (ko) 2011-12-01 2011-12-01 마루 운동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237A KR20130061237A (ko) 2013-06-11
KR101307222B1 true KR101307222B1 (ko) 2013-09-11

Family

ID=4885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439A KR101307222B1 (ko) 2011-12-01 2011-12-01 마루 운동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2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096B1 (ko) 2015-05-22 2016-03-14 현대체육산업(주) 개선된 탄성층을 갖는 마루운동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1355A1 (en) 1988-08-03 1990-02-22 Leif Erik Sundqvist Multipurpose mat for sporting
JPH03242162A (ja) * 1990-02-17 1991-10-29 Moon Star Co 柔道場用畳の滑り防止法
KR200212768Y1 (ko) * 1998-08-28 2001-04-02 신광식 마루운동매트
KR20070102873A (ko) * 2006-04-17 2007-10-22 김덕린 침대용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1355A1 (en) 1988-08-03 1990-02-22 Leif Erik Sundqvist Multipurpose mat for sporting
JPH03242162A (ja) * 1990-02-17 1991-10-29 Moon Star Co 柔道場用畳の滑り防止法
KR200212768Y1 (ko) * 1998-08-28 2001-04-02 신광식 마루운동매트
KR20070102873A (ko) * 2006-04-17 2007-10-22 김덕린 침대용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237A (ko)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8592A (en) Gymnastic floor structure having vertical elasticity
US20160184625A1 (en) Buffer board structure of a treadmill
US20160199681A1 (en) Trampolines and trampoline parks
KR101603096B1 (ko) 개선된 탄성층을 갖는 마루운동매트
CA2845343A1 (en) Conductive exercise or sleep mat for grounding a user
CN102325948A (zh) 用于运动地板底层地板系统的带凹穴的组件
KR101307222B1 (ko) 마루 운동 매트
US20180353790A1 (en) Trampolines and Mat Connectors for Trampolines
EP2572064A1 (en) Base flooring and flooring system
EP1611930B1 (en) Gymnastics exercise floor
CA2795537C (en) Substructure for supporting a flooring and flo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0212768Y1 (ko) 마루운동매트
KR100720809B1 (ko) 마루 구조
RU2705137C1 (ru) Мебель для лежания и сидения с мягким основанием
JP6088136B2 (ja) 移動式道場床
CA3129148A1 (en) Progressive stage load distribution and absorption underlayment system
CN104196209B (zh) 一种多层三维弹性拼装地板
CN201453959U (zh) 一种仰卧起坐鞋及仰卧起坐运动辅助器械
JPS5825078Y2 (ja) 体育館用表面床材
KR200466175Y1 (ko)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
KR101309892B1 (ko) 런닝머신
US20150020469A1 (en) Base Unit and Flooring System
CA1259083A (en) Gymnastic floor structure
JP3115618U (ja) ダブルクッションベッド
JPH061725Y2 (ja) 体操用ゆか若しくはタンブリングゆか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