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175Y1 -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 - Google Patents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175Y1
KR200466175Y1 KR2020110005220U KR20110005220U KR200466175Y1 KR 200466175 Y1 KR200466175 Y1 KR 200466175Y1 KR 2020110005220 U KR2020110005220 U KR 2020110005220U KR 20110005220 U KR20110005220 U KR 20110005220U KR 200466175 Y1 KR200466175 Y1 KR 200466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play
support frame
spr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757U (ko
Inventor
백미정
Original Assignee
백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미정 filed Critical 백미정
Priority to KR2020110005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17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7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7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1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3/00Cradle swings; Rocking-horses; Like devices resting on the ground
    • A63G13/06Rocking-horses
    • A63G13/08Rocking-horses mounted on links or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3/00Rotating or rocking pots, e.g. by moving the who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하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용 홀더를 통해 연결되며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단에 연결용 홀더를 통해 결합되며 사람이 탑승 가능하게 되는 유희물로 구성되는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홀더(300)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유희물에 일측이 각각 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스프링 안착면이 각각 형성된 제1분할체(320)와; 상기 제1분할체의 스프링 안착면과 대응되는 스프링 안착면이 형성되어 체결구의 결합시 상기 제1분할체에 안착된 상기 코일 스프링을 고정하는 제2분할체(340)로 이루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유희물에 탄성력 및 회동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이 유희물 또는 바닥의 지지 프레임에 견고하고 간편하고 결합될 수 있어 고정력 확보는 물론 작업성이 편리한 효과가 있고 또한, 탄성 압축되는 코일 스프링의 틈새를 커버함에 따라 틈새로 인한 상해를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a coil spring join structure for playground}
본 고안은 지면에 세워지는 코일 스프링의 상단에 흔들 의자 또는 흔들 승마 등의 유희물을 결합시켜 탑승자에게 쿠션 및 회동력을 갖도록 하는 유희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 스프링이 유희물 또는 바닥의 지지 프레임에 연결용 홀더를 통해 견고함은 물론 안전하고 간편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더불어 코일 스프링의 상하측 수평이 간편하게 유지되어 작업이 편리하게 되는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희 시설물은 놀이터 등지에서 어린아이 또는 어른들이 유희를 즐길 수 있는 각종 놀이 기구를 포함한다.
최근 놀이터 등지에는 기존의 유희 시설물인 미끄럼틀, 시소, 그네 등으로부터 보다 유희성이 배가되는 기구가 설치되고 있으며, 그 중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흔들 의자, 흔들 승마 등이 다수 설치되고 있다.
이는, 지면으로부터 코일형의 스프링을 수직하게 세우고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어린이들이 앉을 수 있는 유희물이 설치된 형태이다.
즉, 지면에 기초 구조물 형태의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이 지지프레임에 스프링의 하단을 고정시키며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유희물을 연결하여서 된다.
하지만, 상기 스프링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단에 유희물을 결합시키는 경우 코일 스프링의 상단 각도에 의해 유희물이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문제점 및 초기 유희물이 스프링의 상단에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결합되어도 잦은 사용으로 유희물이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상기한 유희물의 경우 사용자들이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들게 되면 스프링이 압축하게 되는데 이때, 스프링의 상측과 하측 부분에서 압축력이 발생하게 되어 유격이 좁아지게 되는데 이 틈새에 외부 물품 또는 손가락 발가락 등이 끼이게 되는 경우 상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바닥의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수직한 코일 스프링을 통해 일정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 유희물의 결합시 코일 스프링의 상하단부가 지지 프레임 및 유희물에 견고하고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코일 스프링에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과 유희물이 연결용 홀더를 통해 수평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탄성 압축되는 코일 스프링의 틈새를 커버하여 상해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에 사람이 탑승 가능하게 되는 유희물을 코일스프링을 통해 결합시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하측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유희물에 연결용 홀더를 통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용 홀더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유희물에 일측이 각각 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측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스프링 안착면이 각각 형성되는 제1분할체와; 상기 제1분할체의 스프링 안착면과 대응되는 스프링 안착면이 형성되어 체결구의 결합시 상기 제1분할체에 안착된 상기 코일 스프링을 고정하는 제2분할체로 이루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으로 된 상기 제1 및 제2분할체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유희물에 각각 양쪽으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분할체의 크기를 달리하며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유희물에 결합되는 상기 제1분할체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측 틈새를 커버하도록 틈새 방지구가 호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틈새 방지구와 상기 틈새의 폭이 1-3mm로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틈새 방지구의 양단이 상기 제1분할체와 다른 제1분할체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성형 함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은, 유희물에 탄성력 및 회동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이 유희물 또는 바닥의 지지 프레임에 견고하고 간편하고 결합될 수 있어 고정력 확보는 물론 작업성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 압축되는 코일 스프링의 틈새를 커버함에 따라 틈새로 인한 상해를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의 설치 상태 정단면 개략도,
도 2는 도 1에서 홀더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스프링이 홀더에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에 의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에 안착부가 형성되는 유희물(200)과, 수직하게 세워지며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가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유희물(200)에 연결용 홀더(300)를 통해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놀이터 등의 유희용 시설물의 지면 또는 지면에 설치된 기초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면에 평활면이 형성된다.
상기 유희물(200)은, 다양한 형상을 취하며, 상면에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400)은,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하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유희물(200)의 저면에 지지된다.
상기 연결용 홀더(300)는, 본 고안의 핵심적인 권리 요소로 상기 코일 스프링(400)의 상단부와 유희물(200)의 저면을 연결 그리고 상기 코일 스프링(400)의 하단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상면을 수평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용 홀더(300)는, 상기 지지프레임(100) 또는 상기 유희물(200)에 일측이 밀착되어 체결구(500)로 결합되는 밀착면(322)과 타측에 상기 코일 스프링(400)이 일측부분이 슬라이드 안착되도록 스프링 안착면(324)이 형성된 제1분할체(320)와, 덮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분할체(320)의 밀착면(322) 및 스프링 안착면(324)과 대응되는 밀착면(342)과 스프링 안착면(344)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분할체(320)에 체결구(500)로 결합되는 제2분할체(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면(322)(342)는 기울기를 갖는 상기 코일 스프링(300)이 통과됨에 따라 경사각을 형성하여서 되며, 상기 밀착면(322)에는 미끄럼 방지홈(328)이 그리고 상기 밀착면(342)에는 미끄럼 방지돌기(348)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시 미끄럼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스프링 안착면(324)(344)은, 상기 코일 스프링(300)의 일측부분이 슬라이드 삽입되는 것으로 호형의 라운드각을 형성하여서 된다.
즉, 상기 스프링 안착면(324)(344)는 상호 밀착시 상기 코일 스프링(300)의 기울기가 안내될 수 있는 기울기를 갖는 원형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용 홀더(300)는, 한 쌍으로 상기 코일 스프링(400)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양쪽으로 위치 되어 결합됨이 바람직 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400)의 나선방향 각도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며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용 홀더(300)의 제1분할체(320)가 상기 코일스프링(400)의 일단부를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유희물(200)에 결합됨에 따라 결합부위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틈새에는 틈새 방지구(600)가 위치되어 틈새를 커버하게 된다.
상기 틈새 방지구(600)는, 일단이 상기 제1분할체(320)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코일스프링(400)의 나선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틈새를 커버하게 되는 것으로 일측 단으로부터 타측단으로 그 폭이 점차적으로 달리하면서 형성된다.
즉, 상기 틈새 방지구(600)는, 상기 코일 스프링(400)의 압축 복원시 발생되는 틈새에 손가락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코일 스프링(400)상기 틈새에 위치되는 상기 틈새 방지구(600)의 유격이 1-3mm 이내를 유지하도록 커버함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틈새 방지구(600)의 양단이 상기 제1분할체(320)와 다른 제1분할체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조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500)은,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510은 상기 제1분할체(320) 및 제2분할체(340)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체결구(500)를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된 안내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치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면에 결합된 지지프레임(100)의 상면 양쪽에 제1분할체(320)를 각각 체결구(500)로 결합시키고 연속해서 코일스프링(400)의 하측을 상기 제1분할체(320)의 상면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면(324)에 올려지도록 한다. 그런다음 제2분할체(340)를 상기 제1분할체(320)에 체결구(500)로 결합시키면 상기 제1분할체(320)와 상기 제2분할체(340)의 대응면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면(324)(344)에 상기 코일스프링(400)의 하측이 결합 고정되게 된다.
이후,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상기 연결용 홀더(300)를 결합시키는 방법과 동일하게 유희물(200)의 저면 양쪽에 제1분할체(320)를 각각 체결구(500)로 결합시키고 연속해서 코일스프링(400)의 상측을 상기 제1분할체(320)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면(324)에 위치시키고 제2분할체(340)를 각각 결합시키면 코일스프링(400)의 하단은 지지프레임(100)에 그리고 코일스프링(400)의 상단은 유희물(200)에 연결용 홀더(300)를 통해 고정되게 된다.
그런다음, 사람이 유희물(200)의 안착부에 탑승한 다음 상하 및 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400)이 압축 복원력을 가지며 상기 유희물(200)을 승하강 또는 좌우 회동력을 가지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400)의 상단 및 하단이 연결용 홀더(300)의 결합에 의해 틈새가 발생되는데 이는, 틈새 방지구(600)가 커버함에 따라 상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100: 지지프레임
200: 유희물
300: 홀더
320: 제1분할체 322: 밀착면
324: 스프링 안착면
340: 제2분할체
344: 스프링 안착면
400: 코일스프링
500: 체결구
600: 틈새방지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0)에 사람이 탑승 가능하게 되는 유희물(200)을 코일스프링(400)을 통해 결합시 상기 코일스프링(400)의 상하측이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유희물(200)에 연결용 홀더(300)를 통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용 홀더(300)가,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유희물(200)에 일측이 각각 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코일 스프링(400)의 양측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400)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스프링 안착면(324)이 각각 형성되는 제1분할체(320)와, 상기 제1분할체(320)의 스프링 안착면(324)과 대응되는 스프링 안착면(344)이 형성되어 체결구(500)의 결합시 상기 제1분할체(320)에 안착된 상기 코일 스프링(400)을 고정하는 제2분할체(340)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한 쌍으로 된 상기 제1 및 제2분할체(320)(340)가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유희물(200)에 각각 양쪽으로 상기 코일 스프링(400)의 일측 양쪽을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분할체(320)의 크기를 달리하며 결합도록 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유희물(200)에 결합되는 상기 제1분할체(320)에 상기 코일 스프링(400)의 양측 틈새를 커버하도록 틈새 방지구(600)가 호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틈새 방지구(600)와 상기 틈새의 폭이 1-3mm로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틈새 방지구(600)의 양단이 상기 제1분할체와 다른 제1분할체에 일체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
KR2020110005220U 2011-06-13 2011-06-13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 KR200466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220U KR200466175Y1 (ko) 2011-06-13 2011-06-13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220U KR200466175Y1 (ko) 2011-06-13 2011-06-13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757U KR20120008757U (ko) 2012-12-24
KR200466175Y1 true KR200466175Y1 (ko) 2013-04-03

Family

ID=5138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220U KR200466175Y1 (ko) 2011-06-13 2011-06-13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1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205A (ko) 2022-06-30 2024-01-08 윤형중 놀이 시설물용 스프링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2640A2 (en) * 1981-12-18 1983-06-29 Kabushiki Kaisha Toshiba Ion implantation method
JP2568820B2 (ja) * 1985-02-07 1997-01-08 コンパン アクチーセルスカブ 遊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2640A2 (en) * 1981-12-18 1983-06-29 Kabushiki Kaisha Toshiba Ion implantation method
JP2568820B2 (ja) * 1985-02-07 1997-01-08 コンパン アクチーセルスカブ 遊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205A (ko) 2022-06-30 2024-01-08 윤형중 놀이 시설물용 스프링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757U (ko) 201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6853B2 (en) Crib having multiple bases
AU2013408730B2 (en) Trampolines
US20150224354A1 (en) Waterfall pit trampoline
KR200466175Y1 (ko)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
CA2912298C (en) Trampolines
US20140366268A1 (en) Integrated Bed and Trampoline Apparatus
KR100977928B1 (ko) 체결 브래킷
KR101503516B1 (ko) 의자 겸용 미끄럼틀
KR101971864B1 (ko) 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US1699065A (en) Child's slide
CA3053134C (en) Multi-user swing set
KR101409255B1 (ko) 시소가 부착된 테이블
JP3202535U (ja) ペット用遊戯具付腰掛家具
CA2488576C (en) Climbing steps for playground structure
KR20240003205A (ko) 놀이 시설물용 스프링 고정장치
KR20160000710A (ko) 놀이기구
JP6047366B2 (ja) 椅子システム
JP7096394B2 (ja) 椅子用背凭れ
KR200273649Y1 (ko) 어린이용 승좌형 놀이구
CN103222746A (zh) 多适应双特性多向转动摆摇椅
KR101428012B1 (ko) 조립식 평행봉
KR101796571B1 (ko) 시소형 미끄럼틀
KR100573911B1 (ko) 정글짐과 미끄럼틀을 연결하는 결합부재
AU2013266983A1 (en) Trampolines
US20150342340A1 (en) In-Vehicle Riding and Viewing Platorm for Do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