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188B1 - 기포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기포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188B1
KR101307188B1 KR1020120078440A KR20120078440A KR101307188B1 KR 101307188 B1 KR101307188 B1 KR 101307188B1 KR 1020120078440 A KR1020120078440 A KR 1020120078440A KR 20120078440 A KR20120078440 A KR 20120078440A KR 101307188 B1 KR101307188 B1 KR 101307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generating
rotating
bubble
generating plate
rotating dis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경
윤주민
Original Assignee
윤주민
김학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민, 김학경 filed Critical 윤주민
Priority to KR1020120078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6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 B01F23/231262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having disc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1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8Mixing water in water-taps with other ingredients, e.g. air, detergents or disinfe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기포 발생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장치는 배관 상에 설치되어 송액되는 유체에 기포를 발생시키며, 내부에 유체가 송액되는 메인 유로가 형성된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 상기 메인 유로 상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적층되어 상기 메인 유로보다 좁은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회전 디스크들; 상기 회전 디스크들의 중심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회전 디스크들의 회전 중심으로 제공되는 회전축; 인접한 상기 회전 디스크들 사이에 각각 위치하며, 내측에 상기 회전축이 위치하는 공간이 형성된 기포 발생판; 및 상기 기포 발생판에 대해 상기 회전 디스크들이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포 발생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BUBBLES}
본 발명은 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을 따라 송액되는 유체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염된 물의 수질을 정화하거나 수질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물속에 산소나 공기 또는 기타 필요한 기체를 녹이기 위한 기포 발생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이와 같은 기포 발생장치는 식품공정 등의 오폐수 처리, 재활용 등 외에도, 반도체 및 LED 공정 중 Wet Station의 세정(rinse) 공정 등에서 활용할 수 있다. 기포발생장치는 수중 용존산소량을 늘려 오염물질이 생물학적으로 분해되는 것을 돕거나 기포를 발생시켜 오염물질을 부상시켜 제거하는 것에 응용할 수 있으며, 기포 자체에 의한 세정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 반도체 공정 등에서는 필요시 공기 또는 산소 대신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로 기포 발생시킬 수도 있다. 물에 기체를 효과적으로 녹이기 위해서는 기포를 되도록 작게 형성하여 물과 기체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야 하고 또한 기포의 직경을 일정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미세기포를 만드는 방법으로 산기관(酸氣管)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산기관방식은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를 물속에 설치하고 상기 파이프에 기체를 공급하여 기체가 상기 구멍을 통해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기포를 형성한다. 이러한 산기관방식은 기포를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오염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구멍을 막으므로, 기포 발생 효율이 떨어진다. 때문에 구멍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반복적으로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2307호 2003.12.31
본 발명은 기포 발생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포 발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생되는 기포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포 발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전술한 과제에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 사항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포 발생장치는 배관 상에 설치되어 송액되는 유체에 기포를 발생시키며, 내부에 유체가 송액되는 메인 유로가 형성된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 상기 메인 유로 상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적층되어 상기 메인 유로보다 좁은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회전 디스크들; 상기 회전 디스크들의 중심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회전 디스크들의 회전 중심으로 제공되는 회전축; 인접한 상기 회전 디스크들 사이에 각각 위치하며, 내측에 상기 회전축이 위치하는 공간이 형성된 기포 발생판; 및 상기 기포 발생판에 대해 상기 회전 디스크들이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 디스크들의 측면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만입부는 상기 회전 디스크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기포 발생판 또는 상기 회전 디스크들 사이에 걸리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입부는 상기 회전 디스크들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만입부; 및 상기 회전 디스크들의 타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만입부와 대칭되는 제2만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포 발생판은 말굽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유로의 내측면과 상기 기포 발생판의 선단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기포 발생판을 직선 이동시키는 기포 발생판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유로의 내측면에 인접한 상기 기포 발생판의 선단 외측면에는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디스크들 사이 또는 기포 발생판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기포 발생량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유로의 내측면과 기판 발생판의 선단 사이 간격이 조절되므로, 발생되는 기포 입자의 크기가 조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장치가 배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포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포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장치에서 기포 발생판이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장치에서 기포가 발생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장치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기포 입자가 발생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장치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장치가 배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기포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기포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기포 발생장치(100)는 배관(10)에 설치된다. 배관(10)은 일 방향으로 유체를 송액한다. 배관(10)은 모터펌프(20)와 연결되며, 모터펌프(20) 구동으로 유체가 송액된다. 송액되는 유체에는 기체가 함유된다. 기체는 공기를 포함한다. 공기는 모터펌프(20)가 가동될 때, 회전 교반 수단(미도시)에 의해 모터펌프(20) 쪽으로 강제 흡입되어 유체에 교반된다. 또한, 기체는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모터펌프(20)의 흡입쪽으로 질소 가스를 인위적으로 공급하여 유체와 질소 가스를 교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소와 같은 가스가 공급되어서는 안 되고,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가스를 공급하여야 하는 공정, 예를 들어 반도체 및 LED 공정 중 Wet Station의 세정(rinse) 공정 등에도 기포 발생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질소가스 기포가 세정 공정에서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제품의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기포 발생장치(100)는 송액되는 유체에 용해 또는 혼입된 기체를 기포 상태로 형성한다. 형성되는 기포 입자의 크기는 마이크로 또는 나노 단위일 수 있다. 발생된 기포는 유체에 섞인 이물질을 수면위로 부양하는 작용을 하여 이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발생된 기포는 용존 기체 함량을 증가시킨다. 이하, 기포 발생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 발생장치(100)는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 회전 디스크(120), 회전축(130), 기포 발생판(140), 디스크 구동기(150), 기포 발생판 이동부(160)를 포함한다.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은 원통 블록으로, 내부에 메인 유로(111)가 형성된다. 메인 유로(111)는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의 선단과 후단을 관통하며, 유체가 송액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의 선단에는 입수관(114)이 연결되고, 후단에는 출수관(115)이 연결된다. 입수관(114)은 배관(10')과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의 선단을 연결하고, 출수관(115)은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의 후단과 배관(10')을 연결한다. 배관(10')을 통해 일 방향으로 송액된 유체는 입수관(114),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의 메인 유로(111), 그리고 출수관(115)을 따라 순차적으로 흐른다.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의 메인 유로(111) 상에는 회전 디스크(120)가 수용되어 제공된다. 회전 디스크(120)는 원형 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회전 디스크(120)의 측면에는 만입부(121, 122)가 형성된다. 만입부(121, 122)는 회전 디스크(12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된다. 만입부(121, 122)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만입부는 제1만입부(121)와 제2만입부(122)를 포함한다. 제1만입부(121)는 회전 디스크(120)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제2만입부(122)는 회전 디스크(120)의 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만입부(122)는 회전 디스크(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만입부(121)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만입부(121, 122)의 양 말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 디스크(120)의 회전운동에 의해 기포 발생판(140) 또는 회전 디스크(120)들 사이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크 구동기(150)는 일단에 구동축(151)이 형성된 모터 등의 구동기일 수 있으며, 디스크 구동기(150)는 구동기 케이스(155)에 내장되어 방수될 수 있다. 구동기 케이스(155)는 디스크 구동기(150)를 수용한 상태에서 디스크 구동기 지지판(153)에 결합된 후, 커버 판(172)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기 케이스(155)와 디스크 구동기 지지판(153)간의 결합 및 디스크 구동기 지지판(153)과 커버 판(172)간의 각각은 나사(미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구동축(151)은 디스크 구동기 지지판(153)의 대응부를 관통한 후, 커버 판(172) 대응부 및 회전 디스크 고정판(157)의 대응부 각각을 관통하여 회전축(13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 디스크 고정판(157)은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을 관통하는 고정 핀(113)에 의해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에 고정되고,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 내측에 회전 디스크(120)를 수용하게 된다. 이 때 회전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회전축(130)의 상부가 회전 디스크 고정판(157)의 대응부를 관통 결합하여 지지된다. 회전 디스크 고정판(157)은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30) 상부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에 실링홈이 형성 되고 실링부재(135)가 삽입되어 방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도 4 참조).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1을 참조하면, 상술한 형상을 갖는 회전 디스크(120)는 메인 유로(111) 상에 복수 개 제공되며, 서로 이격하여 적층된다. 인접한 회전 디스크(120)들의 사이 공간은 메인 유로(111)보다 좁은 유로(125)로 제공된다.
회전 디스크(120)들의 중심에는 회전축(130)이 삽입 고정된다. 회전축(130)은 회전 디스크(120)들의 회전 중심으로 제공된다. 회전 디스크(120)들은 회전축(130)에 의해 지지되고, 사이 간격을 유지한다.
인접한 회전 디스크(120)들 사이에는 기포 발생판(140)이 각각 위치한다. 또한, 도 4와 도 1을 참조하면, 기포 발생판(140)은 두께가 얇은 판으로 제공되며, 내측에는 회전축(130)이 위치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포 발생판(140)은 말굽 형상을 가진다. 기포 발생판(140)의 선단 외측면에는 톱니(141)가 형성된다. 톱니(141)는 기포 발생을 원활하게 한다.
디스크 구동기(150)는 구동축(151)이 회전축(130) 상부의 요홈에 삽입 결합하여, 회전축(130)을 회전시킨다. 회전축(130)의 회전으로 회전 디스크(120)들이 기포 발생판(140)들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회전축(130)의 하부에는 회전블록(110)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회전축 삽입돌기(117)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회전축(13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장치에서 기포 발생판이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기포 발생판 이동부(160)는 기포 발생판(140)들을 직선 이동시킨다. 기포 발생판 이동부(160)에 의하여 메인 유로(111)의 내측면과 기포 발생판(140)의 선단 사이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기포 발생판 이동부(160)는 회전 바(161), 기포 발생판 연결부(162), 및 연결볼트(163)를 포함한다.
기포 발생판 연결부(162)는 기포 발생판(140)의 일 단에 연결되어 있다(도 1 참조). 기포 발생판 연결부(162)는 기포발생판(140)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고, 연결볼트(163)에 의해 회전 바(161)에 타 단이 연결될 수 있다.
회전 바(161)는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의 측벽에 삽입된다. 회전 바(161)의 외측면에는 실링홈(161a)과 회전홈(161b)이 형성된다. 실링홈(161a)에는 실링 부재(165)가 삽입된다. 실링 부재(165)는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과 회전 스크류(161)의 사이를 실링한다. 실링 부재(165)는 회전 스크류(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실링 부재(165)는 오 링(O-Ring)을 포함한다. 실링부재에 의해 회전 바의 측면을 통해 외부에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회전홈(161b)은 회전 스크류(161)의 둘레를 따라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홈(161b)에는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에 삽입 고정된 지지핀(166)이 위치한다. 회전 바(161)가 회전되는 경우, 지지핀(166)은 회전 바(161)를 지지하여 고정하고, 그에 따라 회전바(161) 말단의 연결볼트(163)에 나사결합 된 기포발생판 연결부(162)가 직선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기포발생연결부(162)에 연결된 기포발생판(140)이 도 5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점선으로 표시)한다.
커버 본체(171)와 커버판(172)은 서로 결합하여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을 감싼다. 커버 본체(171)와 커버판(172)은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상술한 기포 발생장치에서 기포가 발생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장치에서 기포가 발생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장치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기포 입자가 발생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배관(10')을 통해 일 방향으로 송액된 유체는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의 메인 유로(111)로 유입된다. 유체는 회전 디스크(120)들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되어 지체된다. 유체는 회전 디스크(120)의 측면을 따라 메인 유로(111)의 내측면에 인접한 방향으로 흐른다. 유체는 회전 디스크(120)들 사이 공간과 기포 발생판(140)의 선단을 통과하면서 와류를 형성한다. 와류는 회전 디스크(120)들 사이 공간과 기포 발생판(140)의 선단을 빠져나오면서 유체에 기포를 발생시킨다. 기포 발생판(140)의 선단에 형성된 톱니(141)는 기포 발생을 활발하게 한다.
발생되는 기포 입자의 크기는 조절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메인 유로(111)의 내측면과 기포 발생판(140)의 선단 사이 간격(A)이 좁은 경우, 발생되는 기포 입자(B1)는 상대적으로 작다. 반면, 도 8과 같이 기포 발생판(140) 후방으로 후퇴하여 메인 유로(111)의 내측면과 기포 발생판(140)의 선단 사이 간격(C)이 넓혀지는 경우 발생되는 기포 입자(B2)는 도 7에 비하여 커진다. 이와 같이, 메인 유로(111)의 내측면과 기포 발생판(140)의 선단 사이 간격 조절로 발생되는 기포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은 기포 발생판(140) 또는 회전 디스크(120)들 사이 공간에 걸리거나 쌓인다. 이러한 이물질은 기포 발생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므로 제거가 요구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장치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물질(P)은 회전 디스크(120)들의 사이 공간(도 4 참조)과 기포 발생판(140)에 걸리거나 축적된다(도 9의 (a) 참조). 구동기의 구동으로 회전축(130)과 회전 디스크(120)들이 회전되면, 회전 디스크(120)들의 전방 영역에 축적된 이물질(P)들은 제1만입부(121)에 걸리고, 제1만입부(121)와 함께 이동한다(도 9의 (b) 참조). 제1만입부(121)를 따라 회전 디스크(120)의 후방 영역으로 이동한 이물질(P)은 유체를 따라 흘러간다(도 9의 (c) 참조). 제1만입부(121)가 회전 디스크(120)의 후방에 위치하면, 회전 디스크(120)의 전방에는 제2만입부(122)가 위치한다. 제2만입부(122)는 상술한 제1만입부(121)에 이물질(P)이 걸리고 제거되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이물질이 걸리고 제거된다.
유체가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110)의 메인 유로(111)를 따라 흐르는 동안, 구동기의 구동은 유지되며, 이물질(P)의 제거가 지속되므로 이물질에 의해 방해되지 않고 유체에는 기포가 일정량 발생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배관 100: 기포 발생장치
110: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 114: 입수관
115: 출수관 120: 회전 디스크
130: 회전축 140: 기포 발생판
150: 디스크 구동기 160: 기포 발생판 이동부
161: 회전 바 162: 연결 볼트
171: 커버 본체 172: 커버 판

Claims (6)

  1. 배관 상에 설치되어 송액되는 유체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유체가 송액되는 메인 유로가 형성된 회전 디스크 수용 블록;
    상기 메인 유로 상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적층되어 상기 메인 유로보다 좁은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회전 디스크들;
    상기 회전 디스크들의 중심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회전 디스크들의 회전 중심으로 제공되는 회전축;
    인접한 상기 회전 디스크들 사이에 각각 위치하며, 내측에 상기 회전축이 위치하는 공간이 형성된 기포 발생판; 및
    상기 기포 발생판에 대해 상기 회전 디스크들이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기포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디스크들의 측면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만입부는 상기 회전 디스크들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기포 발생판 또는 상기 회전 디스크들 사이에 걸리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포 발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는
    상기 회전 디스크들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만입부; 및
    상기 회전 디스크들의 타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만입부와 대칭되는 제2만입부를 포함하는 기포 발생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발생판은 말굽형상을 가지는 기포 발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로의 내측면과 상기 기포 발생판의 선단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기포 발생판을 직선 이동시키는 기포 발생판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기포 발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로의 내측면에 인접한 상기 기포 발생판의 선단 외측면에는 톱니가 형성되는 기포 발생장치.
KR1020120078440A 2012-07-18 2012-07-18 기포 발생장치 KR101307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440A KR101307188B1 (ko) 2012-07-18 2012-07-18 기포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440A KR101307188B1 (ko) 2012-07-18 2012-07-18 기포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188B1 true KR101307188B1 (ko) 2013-09-11

Family

ID=4945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440A KR101307188B1 (ko) 2012-07-18 2012-07-18 기포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1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135A (ko) * 2019-11-18 2021-05-26 김찬규 다용도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KR20210099984A (ko) 2020-03-05 2021-08-13 주식회사 매봉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307B1 (ko) * 2001-05-23 2003-12-31 주식회사두합크린텍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발생방법
KR100816487B1 (ko) * 2007-05-29 2008-03-24 (주)지앤지코리아 미세기포 발생장치용 밸브
JP2008119567A (ja) * 2006-11-08 2008-05-29 Yokota Seisakusho:Kk 微細気泡発生装置
KR20110003164A (ko) * 2009-07-03 2011-01-11 (주)에스유엔지에이치오 나노버블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307B1 (ko) * 2001-05-23 2003-12-31 주식회사두합크린텍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발생방법
JP2008119567A (ja) * 2006-11-08 2008-05-29 Yokota Seisakusho:Kk 微細気泡発生装置
KR100816487B1 (ko) * 2007-05-29 2008-03-24 (주)지앤지코리아 미세기포 발생장치용 밸브
KR20110003164A (ko) * 2009-07-03 2011-01-11 (주)에스유엔지에이치오 나노버블 발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135A (ko) * 2019-11-18 2021-05-26 김찬규 다용도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KR102322009B1 (ko) * 2019-11-18 2021-11-04 김찬규 다용도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KR20210099984A (ko) 2020-03-05 2021-08-13 주식회사 매봉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643B1 (ko) 가스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2210987A (zh) 气体溶解液生成装置及生成方法
US20090162258A1 (en) Liquid treatment system
JP6671683B2 (ja) 液状物質の殺菌方法及び装置
JP4458536B2 (ja) 粉体混合ポンプ
US10093566B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KR101307188B1 (ko) 기포 발생장치
JP2008184380A (ja) 共振を利用した超音波洗浄装置
JP2007253120A (ja) 超音波洗浄方法
JP6178722B2 (ja) 散気ノズル
JP5287857B2 (ja) 調湿装置
JP2006281031A (ja) 膜ろ過装置に用いられる平膜エレメントの洗浄方法及び膜ろ過装置
JP4909789B2 (ja) 基板処理装置
KR101001545B1 (ko) 기판 세정장치 및 방법
JP4359580B2 (ja) 処理液供給装置
JP2006297345A (ja) 微細気泡発生ノズル
JP2007038089A5 (ko)
JPH11226572A (ja) 浸漬型膜処理システム
KR100523039B1 (ko) 기판이송장치
JP2003088740A (ja) 気泡発生装置
JP2008142640A (ja) 下水処理装置
JP2008029969A (ja) ガスを含有している液体内にてオンラインで光を放射するための装置
CN1405851A (zh) 湿式处理装置
JP4310321B2 (ja) 空気清浄装置
KR20210026167A (ko)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