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901B1 - 도어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901B1
KR101306901B1 KR1020120047140A KR20120047140A KR101306901B1 KR 101306901 B1 KR101306901 B1 KR 101306901B1 KR 1020120047140 A KR1020120047140 A KR 1020120047140A KR 20120047140 A KR20120047140 A KR 20120047140A KR 101306901 B1 KR101306901 B1 KR 101306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reinforcement
pack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용주
이상희
최영일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7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05B65/008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with additional locking responsive to attack, e.g. to heat, explosion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도어의 잠금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도어용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대상체의 보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잠금장치는,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도어를 대상체에 구속하기 위한 록킹수단, 및 록킹수단에 인접하도록 도어 내부에 제공되며 내부에는 액상의 보강수지가 충진된 보강팩을 포함하고, 강제적인 침입으로부터 기인한 보강팩의 손상에 대응하여, 보강수지가 경화되며 록킹수단의 작동이나 록킹수단으로의 접근을 제한한다.

Description

도어용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금고 및 금융자동화기기와 같이 보호가 필요한 대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고는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식의 사용자 외에 제3자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금고 관련 기술이 발전하는 만큼, 불법적으로 금고를 열기 위한 기술도 지속적으로 개량되고 있어 좀더 안전하면서 도난 등의 가능성이 적은 금고가 필요되고 있다. 특히, 현금인출기와 같이 고액의 현금을 보관하고 있는 금융자동화기기가 대중적인 장소에 사용됨으로써, 금고에 대한 보안의 필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금고의 1차적인 목적은 제3자가 어떠한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금고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며, 2차적인 목적은 개방이 되더라도 최대한의 시간을 경과하게 함으로써 경찰 또는 사설 경비 기관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때까지 개방을 늦추도록 하는 것일 것이다. 요즘과 같이, 각종 절삭장비 및 용접장치가 개발된 시점에서는 오히려 아예 금고를 못 열도록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이라 할 것이며, 금고가 개방되는 시간을 최대한 늦추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참고로, 미국의 안전 관련 규정인 UL(Underwriters Laboratory) 인증 관련 내용을 살피면, 안전규정 레벨1에 속하기 위해서 금고 전문가가 약 30분간 해당 금고를 열지 못하여야 하는 것을 규정으로 하고 있다. 즉, 현금인출기와 같이, 기기 전체를 이송하는 것이 어려운 장치에 있어서 금고를 최대 시간 동안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금고 및 금융자동화기기와 같이 보호가 필요한 대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도어의 내면으로 강제적인 공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도어의 잠금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의 보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잠금장치는,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도어를 대상체에 구속하기 위한 록킹수단, 및 록킹수단에 인접하도록 도어 내부에 제공되며 내부에는 액상의 보강수지가 충진된 보강팩을 포함하고, 강제적인 침입으로부터 기인한 보강팩의 손상에 대응하여, 보강수지가 경화되며 록킹수단의 작동이나 록킹수단으로의 접근을 제한한다.
여기서 대상체라 함은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로서 일반적인 금고나 금융자동화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어의 내면에는 선택적으로 도어를 금고에 구속하기 위한 록킹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록킹수단이라 함은 직접적으로 도어와 금고를 구속하는 구속요소, 또는 구속요소와 연동(또는 연계) 가능하게 제공되어 간접적으로 도어를 대상체에 구속하는 연동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록킹수단은 도어의 내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재,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연동되며 선택적으로 도어를 대상체에 구속시키는 도어록킹부, 및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록킹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보강팩이 터진 후 흘러내린 보강수지가 경화됨에 따라, 슬라이딩부재, 도어록킹부 및 록킹조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이 구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내면에는 록킹수단과 같은 각종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보호커버부재는 록킹수단을 덮도록 제공되는 커버본체, 및 커버본체의 단부에 절곡되며 록킹수단의 측면을 보호하는 측면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강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강팩은 외부로부터 강제적인 충격(예를 들어, 드릴 및 정 등에 의한 공격에 의한 충격) 또는 열(예를 들어, 산소절단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팩의 재질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강수지로서는 열 또는 공기에 노출될 시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통상의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보강수지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강수지가 보강팩의 외부로 노출될 시 별도의 경화제가 함께 누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경화제에 의해 보강수지가 경화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보강팩은 전술한 보호커버부재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는 바, 보강팩은 커버본체에 대응하는 팩본체, 및 측면커버부에 대응하는 측면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강팩이 록킹수단의 측면 공간 또는 여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강팩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보강팩이 손상될 시 보강수지가 록킹수단측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보강수지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위치 및 부품에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금고 및 금융자동화기기와 같이 보호가 필요한 대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내면으로 강제적인 공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도어의 잠금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내부에 보강팩을 구비하고, 도어의 내면을 통한 강제적인 침입에 의해 보강팩이 손상될 경우에는 보강수지가 경화되며 록킹수단의 작동이나 록킹수단으로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의 잠금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자에 의해 금고가 개방되는 시간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내면에 배치되는 록킹수단과 같은 각종 부품이 보강팩에 의해 보호될 수 있기 때문에, 도어의 내면을 통한 침투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팩이 손상된 후 보강수지는 가이드부재에 의해 특정 록킹수단측으로 집중적으로 흘러갈 수 있기 때문에, 특정 록킹수단은 보강수지에 의해 보다 빨리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가 적용된 금고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로서, 보강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가 적용된 금고를 강제로 개방시키기 위한 침입자의 침입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가 적용된 금고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로서, 보강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가 적용된 금고를 강제로 개방시키기 위한 침입자의 침입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는 대상체의 보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10)를 선택적으로 록킹하기 위해 제공되며, 록킹수단 및 보강팩을 포함한다.
참고로, 대상체라 함은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로서 일반적인 금고나 금융자동화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금융자동화기기라 함은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 등과 같이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가 금고(100)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금고(100)는 전면이 개구된 보관공간을 가지며, 상기 보관공간의 전면 개구는 금고(100)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1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어(110)의 닫힘 상태는 도어용 잠금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110)의 내면에는 선택적으로 도어(110)를 금고(100)에 구속하기 위한 록킹수단이 제공되며, 록킹수단의 구조 및 특성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록킹수단이라 함은 직접적으로 도어(110)와 금고(100)를 구속하는 구속요소, 또는 구속요소와 연동(또는 연계) 가능하게 제공되어 간접적으로 도어(110)를 대상체에 구속하는 연동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록킹수단은 슬라이딩부재(220), 도어록킹부(230) 및 록킹조립체(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220)는 도어(110)의 내면에 평행하게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110)의 내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2)가 일체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부재(2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2)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220)에는 가이드슬롯(2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연동돌기(232a)는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시 가이드슬롯(2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연동돌기(232a)가 이동함에 따라 직선링크부재(232)가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슬롯(222)은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경사진 곡선 구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시 연동돌기(232a)가 상기 가이드슬롯(222)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직선링크부재(232)가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슬롯이 직선 구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슬롯의 형태 및 각도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도어(110)의 외면에는 회전 조작 가능하게 도어핸들(21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부재(220)는 도어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연동되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핸들(210)과 슬라이딩부재(220) 간의 연동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110)의 내면에는 도어핸들(210)의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편(214)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편(214)에는 가이드슬롯(214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재(220)에는 가이드슬롯(214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안내돌기(220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핸들(210)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편(214)이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슬롯(214a)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돌기(220a)에 의해 슬라이딩부재(220)가 연동되며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핸들(210)이 회전 조작 가능하게 제공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어핸들이 슬라이딩 조작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도어핸들의 슬라이딩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부재가 연동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부재(220)의 측단에는 구속홈(2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록킹저널(244)이 구속위치에서 구속홈(221)에 구속됨에 따라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구속홈(221)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속홈(221)은 도어(110)의 내측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부재(22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속홈(221)은 록킹저널(244)에 구속 가능한 개방된 홈 또는 턱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속홈(221)이 슬라이딩부재(220)의 측단부 선단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도어(110)의 내측 방향이라 함은 도어(110)의 판면에 수직한 방향(또는 도어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홈(221)은 록킹저널(244)에 접촉되는 구속벽(221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속벽(221a)은 슬라이딩부재(220)의 측단 일부를 절곡함으로써 슬라이딩부재(2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속홈(221)은 개방된 홈 또는 턱 형태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할 록킹저널(244)이 구속홈(221)으로 진입될 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구속홈(221)이 개방된 홈 또는 턱 형태로 제공될 경우에는, 사방이 막힌 홀 형태를 갖는 구속홈과 달리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구속홈 주변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속홈이 단순히 록킹저널에 대해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개방된 홈 또는 턱 형태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구속홈 자체를 록킹저널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일종의 홀(hole) 또는 굴(cave)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어록킹부(230)는 도어(110)의 내면에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연동되며 선택적으로 도어(110)를 금고(100)에 구속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도어록킹부(230)는 가이드슬롯(222)을 따라 이동하는 연동돌기(232a)를 구비하며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연동되며 직선 이동하는 직선링크부재(232), 및 상기 직선링크부재(232)에 일체로 연결되어 직선링크부재(232)와 함께 직선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도어(110)를 금고(100)에 구속시키는 록킹핀(23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금고(100)에는 돌출된 록킹핀(234)의 자유단이 수용되기 위한 결속홈(미도시)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슬라이딩부재(220)의 상하부에 각각 직선링크부재(232)가 구비되고,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연동되며 각 직선링크부재(232)가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슬라이딩부재 상에 복수개의 가이드슬롯을 형성하고, 각 가이드슬롯을 따라 복수개의 직선링크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직선링크부재의 개수 및 배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어록킹부(230)는 슬라이딩부재(220)의 말단에 직접 연결되어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어(11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측면록킹핀(236)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금고(100)에는 돌출된 측면록킹핀(236)이 수용되기 위한 측면결속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조립체(240)는 도어(110)의 내면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 예로, 상기 록킹조립체(240)는 베이스 플레이트(112)에 고정되는 록킹바디(242), 및 상기 구속홈(221)에 구속되는 구속위치와 구속홈(221)으로부터 해제되는 해제위치로 록킹바디(242)에 대해 직선 이동하는 록킹저널(244)을 포함한다. 즉, 상기 록킹저널(244)은 슬라이딩부재(220)의 전방에서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바, 상기 록킹저널(244)이 해제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이 허용될 수 있고, 상기 록킹저널(244)이 구속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부재(220)의 구속홈(221)이 록킹저널(244)에 구속됨으로써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록킹저널(244)이 구속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부재(220)의 해제 방향 슬라이드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부재(220)의 해제 방향 슬라이드 이동이 구속된다 함은, 전술한 도어록킹부(230)에 의한 도어(110)의 록킹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어(110)의 내면에는 록킹바디(242)를 커버하도록 보강커버부재(246)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강커버부재(246)는 베이스 플레이트(112)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록킹바디에 대해 록킹저널이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 방식과 같은 여타 다른 방식으로 록킹저널이 해제위치에서 구속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록킹저널(244)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록킹저널(244)은 사각 단면 형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록킹저널이 원형 또는 비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록킹저널의 단면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록킹바디(242)는 도어(110)의 외면에 설치되는 잠금모듈(미도시)과 기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잠금모듈의 작동에 의해 록킹저널(244)이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잠금모듈로서는 허가된 특정 사용자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금고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키(key) 잠금모듈, 다이얼(dial)식 잠금모듈 또는 키패드(key-pad)식 잠금모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10)의 내면에는 록킹저널(244)을 덮도록 커버부재(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의 측면에는 록킹저널(244)이 통과되는 관통부(미도시)가 형성되는 바, 상기 관통부에 의해 도어(110)의 내측 방향을 따른 록킹저널(244)의 유동이 구속될 수 있다.
참고로, 도어(110)의 내측 방향을 따른 록킹저널(244)의 유동이라 함은, 도어(110)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강제적인 충격에 의해 록킹조립체(240)가 도어(110)로부터 들려지는 유동 또는 분리되는 유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110)의 내면에는 외부로부터의 강제적인 충격이 감지될 시 파괴될 수 있는 안전플레이트(270)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안전플레이트(270)는 도어(110)의 내면과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일정 이상의 강제적인 충격이 가해질 시 파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안전플레이트(270)가 일정 이상의 충격에 의해 파괴될 수 있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안전플레이트가 일정 이상의 충격에 의해 파괴될 수 있는 여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전플레이트의 재질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도어(11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일정 이상의 강제적인 충격에 의해 안전플레이트(270)가 파괴될 시 도어(110)를 금고(100)에 구속하기 위한 보조록킹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록킹부는 외부로부터 일정 이상의 강제적인 충격이 감지될 시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도어(110)의 록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조록킹부가 상기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위치와 허용하는 해제위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도어(110)의 내면에 제공되는 록킹로드(262), 일단은 상기 안전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록킹로드(262)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미도시), 및 상기 록킹로드(262)가 구속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킹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220)의 측단에는 구속홀(22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록킹로드(262)가 구속위치에서 배치된 상태에서는 록킹로드(262)가 구속홀(226)에 구속될 수 있다.
상기 록킹로드(262)는 베이스 플레이트(112) 상에서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위치와 허용하는 해제위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바, 상기 해제위치에 배치된 록킹로드(262)는 연결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강제적인 충격에 의해 안전플레이트(270)가 파괴되면 록킹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로드(262)가 구속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록킹로드(262)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한쌍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각 록킹로드(262)는 연결부재에 의해 안전플레이트(27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록킹스프링은 각 록킹로드(262)가 구속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지만, 안전플레이트(270)가 파괴되기 전에는 연결부재에 의해 각 록킹로드(262)가 해제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안전플레이트(270)가 파괴되면, 각 록킹로드(262)의 구속 상태(해제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속된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록킹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각 록킹로드(262)가 구속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10)의 내면에는 전술한 록킹수단과 같은 각종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부재(290)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커버부재(290)는 베이스플레이트(112) 상에 장착된 부품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크기 및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호커버부재(290)는 커버본체(292) 및 측면커버부(29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292)는 대략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어의 내면을 덮도록 도어의 내면에 대략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버본체(292)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을 거의 전면적으로 덮도록 제공될 수 있는 바, 상기 슬라이딩부재(220), 록킹조립체(240)는 커버본체(292)에 의해 전체적으로 덮혀질 수 있고, 상기 도어록킹부(230)는 일부(예를 들어, 직선링크부재)를 제외하고 커버본체(292)에 의해 거의 전체적으로 덮혀질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부(294)는 커버본체(292)의 측단부에 절곡되며 록킹조립체의 측면을 보호하도록 제공된다. 일 예로, 상기 측면커버부(294)는 커버본체(292)의 측단부를 부분적으로 절곡시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측면커버부가 커버본체와 별도로 제작된 후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측면커버부(294)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측면커버부(294)는 록킹조립체(240)의 측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측면커버부가 록킹조립체의 측면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측면커버부(294)가 록킹조립체(240)의 측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도어(110)의 측면을 통해 드릴이나 정에 의한 공격이 이루어질 시, 드릴이나 정이 측면커버부(294)의 경사를 따라 빗나갈 수 있게 함으로써 침투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측면커버부(294)의 배치 각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측면커버부(294)가 대략 45°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부(294)는 록킹조립체(240)의 상하면을 보호하기 위해 커버본체(292)의 상하단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도어(11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강제적인 침입에 대응하여 끊어질 수 있도록 감지와이어(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감지와이어가 끊어질 시 도어를 금고에 구속하는 비상록킹부(미도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비상록킹부는 외부로부터 강제적인 침입에 의해 감지와이어가 끊어질 시 도어록킹부(230)를 구속함으로써, 도어(110)가 금고(100)에 구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서는 감지와이어가 끊어질 시 비상록킹부가 슬라이딩부재 또는 록킹조립체를 구속함으로써 도어가 금고에 구속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팩(300)은 외부로부터 강제적인 침입에 대응하여 손상될 수 있도록 전술한 록킹수단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상기 보강팩(300)의 내부에는 액상의 보강수지가 충진되는 바, 외부로부터 강제적인 침입에 의한 보강팩(300)이 손상(예를 들어, 용융, 찢김, 관통 등)에 대응하여, 상기 보강수지가 경화되며 록킹수단의 작동을 구속하거나 록킹수단으로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강수지가 경화되면, 전술한 슬라이딩부재(220), 도어(110)록킹부(230) 및 록킹조립체(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이 구속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강수지에 의해 여타 다른 록킹수단의 작동이 구속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팩(30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팩(300)은 외부로부터 강제적인 충격(예를 들어, 드릴 및 정 등에 의한 공격에 의한 충격) 또는 열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팩(300)의 재질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보강팩(300)은 도어(110)의 내면측으로 산소절단기가 침투될 시 산소절단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녹을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수지는 보강팩(300)이 손상될 시 경화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강수지로서는 열 또는 공기에 노출될 시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강수지가 보강팩의 외부로 노출될 시 별도의 경화제가 함께 누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경화제에 의해 보강수지가 경화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팩(30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강팩(300)은 전술한 보호커버부재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강팩(300)이 전술한 커버본체(292)에 대응하는 팩본체(310), 및 상기 측면커버부(294)에 대응하는 측면팩(320)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강팩이 전술한 록킹수단의 측면 공간 또는 여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팩본체(310)및 측면팩(320)은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팩본체및 측면팩이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게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팩본체역시 특정 록킹수단에 대응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복수개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금고(100)와 같은 대상체를 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금고(100)의 내면 공격을 통해 록킹조립체와 슬라이딩부재가 구속되는 부위를 파괴하는 방법이 예상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금고(100)의 도어(110)를 강제적으로 일부만 개방하거나 금고(100)의 측면 외벽을 드릴로 뚫은 후, 산소절단기를 이용하여 록킹조립체(240)가 구속되는 슬라이딩부재(220)의 구속 부위를 절단하는 방법이 예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록킹조립체(240)가 구속되는 슬라이딩부재(220)의 구속 부위가 절단될 경우에는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이 허용될 수 있기 때문에 조작핸들(210)을 조작하여 도어록킹부(230)에 의한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도어(110)의 내부에 보강팩(300)이 구비된 구조에서는, 외부로부터 강제적인 침입이 가해져도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딩 구속상태를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10)의 내면을 통해 산소절단기에 의한 공격이 이루어질 시, 산소절단기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보강팩(300)이 손상될 수 있고, 보강팩(300)이 손상됨과 동시에 보강팩(30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던 보강수지가 록킹조립체(240)가 구속되는 슬라이딩부재(220)의 구속 부위를 감싸도록 흘러내린 후 경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강수지가 슬라이딩부재(220)를 감싸도록 경화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부재(220)의 작동이 구속될 수 있기 때문에, 침입자는 보강수지를 제거하거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또 다른 해체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따라서, 그만큼 금고(100)의 개방에 필요한 시간이 늦춰지게 되고 침입자는 의도한 대로 단시간에 금고(100)를 개방할 수 없다.
참고로,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강팩이 손상되면 보강수지가 흘러내린 후 경화됨에 따라 특정 록킹수단의 작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보강팩이 손상된 후 곧바로 보강수지가 경화되며, 보강팩 자체가 일종의 보강벽을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특정 록킹수단을 향한 침입 공구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르게는 침입 공구가 보강팩을 관통할 시 순간적으로 보강수지가 경화될 수 있게 함으로써, 경화된 보강수지에 의해 침입 공구가 더 이상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구속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드릴과 같은 침입 공구에 의해 침입이 이루어질 시, 보강수지가 드릴의 선단에 들러붙은 상태로 경화될 경우에는, 드릴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침투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는 록킹수단 및 보강팩(300)과 함께, 보강팩(300)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보강팩(300)이 손상될 시 보강수지가 록킹수단측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보강수지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2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95')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위치 및 부품에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부재(295')는 보강팩(300)의 하부에 인접하도록 보호커버부재(290')의 내면에 경사진 돌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95')는 보강팩(300)이 손상된 후 보강수지가 특정 록킹수단측으로 집중적으로 흘러갈 수 있게 함으로써, 특정 록킹수단이 보강수지에 의해 보다 빨리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금고 110 : 도어
220 : 슬라이딩부재 230 : 도어록킹부
240 : 록킹조립체 290 : 보호커버부재
295' : 가이드부재 300 : 보강팩
310 : 팩본체 320 : 측면팩

Claims (7)

  1. 대상체의 보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를 상기 대상체에 구속하기 위한 록킹수단; 및
    상기 록킹수단에 인접하도록 상기 도어 내부에 제공되며, 내부에는 액상의 보강수지가 충진된 보강팩;을 포함하고,
    강제적인 침입으로부터 기인한 상기 보강팩의 손상에 대응하여, 상기 보강수지가 경화되며 상기 록킹수단의 작동이나 상기 록킹수단으로의 접근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팩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상기 보강팩이 손상될 시 상기 보강수지를 상기 록킹수단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지는 열 또는 공기에 노출될 시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팩은 외부로부터 강제적인 충격 또는 열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을 덮도록 제공되는 보호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팩은 상기 보호커버부재의 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부재는 상기 록킹수단을 덮도록 제공되는 커버본체, 및 상기 커버본체의 단부에 절곡되며 상기 록킹수단의 측면을 보호하는 측면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팩은 상기 커버본체에 대응하는 팩본체, 및 상기 측면커버부에 대응하는 측면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도어의 내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연동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를 상기 대상체에 구속시키는 도어록킹부; 및
    상기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록킹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수지가 경화되면, 상기 슬라이딩부재, 상기 도어록킹부 및 상기 록킹조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KR1020120047140A 2012-05-03 2012-05-03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06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140A KR101306901B1 (ko) 2012-05-03 2012-05-03 도어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140A KR101306901B1 (ko) 2012-05-03 2012-05-03 도어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6901B1 true KR101306901B1 (ko) 2013-09-10

Family

ID=4945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140A KR101306901B1 (ko) 2012-05-03 2012-05-03 도어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131A (ko) * 2017-12-29 2019-07-09 (주) 군장조선 선박 침몰 방지를 위한 에어백 보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149A (ja) * 1994-09-19 1996-04-02 Kichinosuke Nagashio 金 庫
JP2000080860A (ja) * 1998-09-03 2000-03-21 Kongo Co Ltd 収納庫の防御システム
JP2000265745A (ja) * 1999-03-16 2000-09-26 Kongo Co Ltd 収納庫
JP2009019380A (ja) * 2007-07-11 2009-01-29 Oki Electric Ind Co Ltd 金庫筐体の閂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149A (ja) * 1994-09-19 1996-04-02 Kichinosuke Nagashio 金 庫
JP2000080860A (ja) * 1998-09-03 2000-03-21 Kongo Co Ltd 収納庫の防御システム
JP2000265745A (ja) * 1999-03-16 2000-09-26 Kongo Co Ltd 収納庫
JP2009019380A (ja) * 2007-07-11 2009-01-29 Oki Electric Ind Co Ltd 金庫筐体の閂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131A (ko) * 2017-12-29 2019-07-09 (주) 군장조선 선박 침몰 방지를 위한 에어백 보관장치
KR102073203B1 (ko) * 2017-12-29 2020-02-04 (주)군장조선 선박 침몰 방지를 위한 에어백 보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899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0726008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06902B1 (ko) 도어용 잠금장치
EP2313581A1 (en) Electronic lock box with mechanism immobilizer features
US20070261450A1 (en) Door lock structure
KR101306900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06901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130113111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1810694B1 (ko) 금고용 도어
KR101325682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130113105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130035505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120101256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0869609B1 (ko) 도어 잠금구조
KR20090002449A (ko) 도어 잠금구조
US20160060906A1 (en) Bolt Retention System for a Safe
KR100726004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0633108B1 (ko) 이중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
KR20140086422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140086427A (ko) 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KR20110132707A (ko) 도어 잠금 장치
US20200248485A1 (en) Cargo Door Protective Handle and Hasp Cover
KR20120094808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도어 잠금 장치
EP4390033A1 (en) Safe door and safe comprising same
KR100716755B1 (ko) 도어 잠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