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302B1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302B1
KR101306302B1 KR1020110107826A KR20110107826A KR101306302B1 KR 101306302 B1 KR101306302 B1 KR 101306302B1 KR 1020110107826 A KR1020110107826 A KR 1020110107826A KR 20110107826 A KR20110107826 A KR 20110107826A KR 101306302 B1 KR101306302 B1 KR 101306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over
waterproof cloth
folded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3754A (ko
Inventor
김지윤
Original Assignee
김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윤 filed Critical 김지윤
Priority to KR1020110107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3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43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45B19/12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in the form of lazy-to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2019/002Umbrellas stored inside the stick when closed, e.g. collapsible into the handl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은 막대기형의 지주; 상기 지주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손잡이; 상기 승강손잡이와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손잡이의 이동에 따라 접히고 펴지는 복수의 우산살; 상기 우산살의 외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방수천;을 포함하며, 상기 우산살 중 가장 외곽의 끝살은 바깥쪽으로 접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끝살이 바깥쪽으로 접히면 상기 방수천의 젖지 않는 안 쪽이 바깥쪽으로 드러나고, 상기 방수천의 젖은 바깥 쪽이 은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산{AN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에 젖은 우산에서 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우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75812호(1998. 3. 2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5-13104호(1995. 6. 1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7999호(2005. 10. 12)"에 개시되어 있다.
우산은 비가 올 때 펴서 사용자의 머리 위를 가려 사용자가 비를 맞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의 상면에는 방수천이 덮혀 있어 비가 오면 방수천의 상면은 비를 맞고 방수천의 하면은 비에 젖지 않는다.
실외에서 비를 피하기 위해 우산을 사용한 후 실내로 들어가는 경우 방수천에 묻어있는 잔여 빗물이 실내에 떨어져 바닥이 오염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바닥에 묻은 물에 의해 바닥이 미끄러워져서 사람이 지나가다가 미끄러질 수 있는 위험성도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큰 건물의 입구나 지하철 입구 등 유동인구가 많고 바닥이 미끄러워지기 쉬운 곳에 우산 비닐 포장대를 두어, 빗물에 젖은 우산에서 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 각각이 자기의 우산에 비닐을 씌우도록 하고 있다.
우산 비닐 포장대는 여러개의 얇은 비닐 봉투가 탑재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우산을 우산 비닐 포장대에 집어넣으면 자동으로 우산의 외면에 얇은 비닐 봉투가 씌워지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우산 비닐 포장대를 두어 사용함으로써 바닥이 오염되고 미끄러워지는 것은 방지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수많은 사람이 우산 비닐 포장대를 사용하므로 그에 대응되는 수많은 비닐이 사용되는데, 이 비닐 봉투들은 일반적으로 일회용이다.
따라서, 일회용인 비닐 봉투들이 한번 사용되고 버려져 쓰레기로 처리되며, 또한, 비가 올 때마다 매번 수많은 비닐 봉투들이 쓰레기가 되므로 이들을 재활용한다고 하더라도 많은 에너지가 사용될 수밖에 없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빗물에 젖은 우산에서 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우산 자체에 설치하여 일회용 비닐 봉투를 사용하지 않고도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우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은 막대기형의 지주; 상기 지주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손잡이; 상기 승강손잡이와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손잡이의 이동에 따라 접히고 펴지는 복수의 우산살; 상기 우산살의 외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방수천;을 포함하며, 상기 우산살 중 가장 외곽의 끝살은 바깥쪽으로 접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끝살이 바깥쪽으로 접히면 상기 방수천의 젖지 않는 안 쪽이 바깥쪽으로 드러나고, 상기 방수천의 젖은 바깥 쪽이 은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은, 상기 방수천의 안 쪽에 설치되며, 상기 끝살이 바깥쪽으로 접힌 상태에서 우산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은, 상기 덮개를 상기 방수천의 안 쪽에 지지하는 지지끈; 한 쪽 끝은 방수천의 안 쪽에 설치되며, 다른 쪽 끝은 상기 덮개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끈;을 더 포함하여, 상기 끝살이 바깥 쪽으로 접힌 상태일 때, 상기 연결끈과 상기 덮개를 연결하여 우산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은, 상기 끝살은, 다른 우산살들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손잡이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는 제1끝살; 상기 제1끝살의 바깥 쪽 단부에 설치되며, 바깥 쪽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제1끝살과 연결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끝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은, 상기 제2끝살의 연결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끝살이 삽입지지될 수 있는 삽입부를 갖는 덧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에 의하면, 우산 자체에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설치되므로, 매번 비가 올 때마다 일회용 비닐 봉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서 자원 낭비 및 환경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의 우산살이 작동하는 방식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의 제5연결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의 제5연결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의 제5연결부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우산의 제5연결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우산의 제5연결부에 사용되는 덧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우산의 제5연결부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의 덮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의 덮개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이 접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이 접히고, 덮개로 덮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의 우산살이 작동하는 방식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를 포함한다. 지주(1)는 우산의 척추를 이루는 것으로 사용자는 지주(1)의 하부를 잡고 우산을 사용한다. 지주(1)에는 승강손잡이(2)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지주(1)를 따라 승강손잡이(2)를 승강시키면 우산살이 펴지고 접히는 작용이 일어난다.
우산살은 윗살(3), 아랫살(4), 보조살(5), 제1끝살(6), 제2끝살(7)을 포함하여, 승강손잡이(2)가 지주(1)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 우산살이 펴지고, 승강손잡이(2)가 지주(1)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 우산살이 접혀진다.
윗살(3)의 한쪽 끝은 지주(1)의 상단과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아랫살(4)의 중앙에 제1연결부(34)로 연결된다. 아랫살(4)의 한 쪽 끝은 승강손잡이(2)와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1끝살(6)과 제4연결부(64)로 연결된다. 보조살(5)의 한 쪽 끝은 제2연결부(53)로 윗살(3)과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3연결부(56)로 제1끝살(6)의 상단과 연결된다. 제1끝살(6)은 한 쪽 끝이 제3연결부(56)로 보조살(5)과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5연결부(10)로 제2끝살(7)과 연결된다. 제2끝살(7)은 한 쪽 끝이 제5연결부(10)로 제1끝살(6)과 연결되고 다른 쪽 끝에는 연결부가 없다.
윗살(3), 아랫살(4), 보조살(5), 제1끝살(6)은 4절링크의 구조를 가져,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우산이 펼쳐진 상태에서 승강손잡이(2)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살이 지주(1) 쪽으로 이동하면서 우산살이 접히게 된다. 펼쳐진 상태에서 접히는 상태로 이동하면서 윗살(3), 제1끝살(6), 제2끝살(7)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아랫살(4)과 보조살(5)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윗살(3), 아랫살(4), 보조살(5), 제1끝살(6), 제2끝살(7)을 포함하여 한 셋트로 이루어지는 우산살은 지주(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여러 셋트가 설치되어 승강손잡이(2)의 조작에 따라 동시에 접히고 펼쳐진다. 우산살의 상부에는 방수천(40, 도 12 참조)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이 접힌 상태에서 제5연결부(10)를 통해 제1끝살(6)의 단부와 연결된 제2끝살(7)을 바깥 쪽으로 접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끝살(7)의 저면이 바깥쪽으로 드러나게 할 수 있다. 비가 오면 우산살에 설치되는 방수천(40)의 상면은 비에 젖지만 방수천(40)의 하면은 비에 젖지 않는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끝살(7)이 접힌 상태에서는 비에 젖지 않은 방수천(4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빗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의 제5연결부(10)를 보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의 제5연결부(10)는 제1끝살(6)과 제2끝살(7)이 연결되는 부위로서, 제1끝살(6)과 제2끝살(7)이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1끝살(6)의 단부에는 두개의 연결돌기(61)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두 연결돌기(61)를 각각 수용하는 연결공(75)이 제2끝살(7)에 형성된다. 제2끝살(7)은 저면벽(73)과 이 저면벽(73)의 양단에서 돌출되는 두개의 측벽(71)을 포함하여 단면이 'ㄷ' 자형으로 형성된다. 제2끝살(7)의 단부는 측벽(71) 사이의 폭이 다른 부위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제1끝살(6)의 단부가 수용되며 이 폭이 넓은 부위의 측벽(71)에 연결공(7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2끝살(7)의 회전반경이 제한된다. 즉, 제2끝살(7)이 도 5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끝살(6)과 저면벽(73)의 단부가 접하게 되어 회전운동이 제한되고, 제2끝살(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끝살(6)과 측벽(71)이 접하게 될 때 까지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제한된다. 따라서, 제2끝살(7)의 회전범위는 일정 각도(d)로 제한을 받게 된다. 그에 따라 제2끝살(7)의 회전으로 제2끝살(7) 및 방수천(40)의 저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지만, 반대로 제2끝살(7)이 지주(1) 쪽으로 회전하여 접히는 것은 방지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우산의 제5연결부(10) 및 이에 사용되는 덧대(20)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덧대(20)를 포함하며, 다른 구성은 앞의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이하에서는, 덧대(20)의 구조 및 앞의 실시예와 다른 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우산의 제5연결부(10)는 제2끝살(7)의 외면에 설치되는 덧대(20)를 포함한다. 덧대(20)는 금속편을 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제2끝살(7)의 외면에 고정되는 밀착부(25)와 제1끝살(6)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21)를 포함한다.
밀착부(25)와 삽입부(21)는 반원을 이루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밀착부(25)의 직경이 삽입부(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밀착부(25)의 내면은 제2끝살(7)의 외면에 접하여 고정 설치된다. 밀착부(25)의 양측면에는 고정공(27)이 형성된다. 한편, 제2끝살(7)의 측벽(71) 외면에는 고정돌기(73)가 형성되어 고정돌기(73)가 고정공(27)에 삽입된다. 따라서, 덧대(20)는 제2끝살(7)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삽입부(21)는 제2끝살(7)과 접하지 않고 외부로 돌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삽입부(21)에 제1끝살(6)이 수용되면 제1끝살(6)과 제2끝살(7)이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2끝살(7)의 제1끝살(6)에 대한 상대회전 범위가 삽입부(21)에 의해 확실하게 제한되며, 앞의 실시예에서처럼 저면벽(73)과 제1끝살(6)이 접함으로써 제2끝살(7)의 회전이 제한되는 경우에 비하여, 구성요소들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므로 부품들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덧대(20)는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제2끝살과 함께 일체로 형성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의 덮개(41)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이 접히고, 덮개(41)로 덮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끝살(7)이 바깥쪽으로 회전되어 방수천(40)의 저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천(40)에 덮개(41)를 설치하면 방수천(40)의 상면에 젖은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은 덮개(41)를 포함한다. 덮개(41)의 일측에는 지지끈(45)이 고정된다. 지지끈(45)의 일단은 방수천(40)의 저면에 타단은 덮개(41)에 고정된다. 또한, 덮개(41)는 탈착부(47)를 통해 연결끈(43)과 탈착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탈착부(47)는 벨크로 또는 스냅단추를 사용할 수 있다. 연결끈(43)의 일단은 방수천(40)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탈착부(47)가 설치된다.
도 3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이 접힌 상태에서 제2끝살(7)을 바깥쪽으로 접어 방수천(40)의 저면이 바깥쪽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41)로 우산의 상부를 덮고 연결끈(43)의 탈착부(47)를 덮개(4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우산의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부위는 방수천(40)의 저면과 덮개(41)의 외면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방수천(40)의 상면에 젖어있던 빗물은 방수천(40)의 저면과 덮개(41)의 외면 사이에 갇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은 방수천(40)의 상면에 젖어있는 빗물을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우산 내부에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우산에 젖어있는 빗물에 의해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우산을 비닐 봉투로 포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닐 봉투의 남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과 에너지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1 지주 3 윗살
4 아랫살 5 보조살
6 제1끝살 7 제2끝살
10 제5연결부 20 덧대
21 삽입부 25 밀착부
40 방수천 41 덮개
43 연결끈 45 지지끈
47 탈착부

Claims (5)

  1. 막대기형의 지주;
    상기 지주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손잡이;
    상기 승강손잡이와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손잡이의 이동에 따라 접히고 펴지는 복수의 우산살;
    상기 우산살의 외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방수천;을 포함하며,
    상기 우산살 중 가장 외곽의 끝살은 바깥쪽으로 접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끝살이 바깥쪽으로 접히면 상기 방수천의 젖지 않는 안 쪽이 바깥쪽으로 드러나고, 상기 방수천의 젖은 바깥 쪽이 은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으로,
    상기 방수천의 안 쪽에 설치되며, 상기 끝살이 바깥쪽으로 접힌 상태에서 우산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상기 방수천의 안 쪽에 지지하는 지지끈;
    한 쪽 끝은 방수천의 안 쪽에 설치되며, 다른 쪽 끝은 상기 덮개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끈;을 더 포함하여,
    상기 끝살이 바깥 쪽으로 접힌 상태일 때, 상기 연결끈과 상기 덮개를 연결하여 우산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끝살은,
    다른 우산살들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손잡이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는 제1끝살;
    상기 제1끝살의 바깥 쪽 단부에 설치되며, 바깥 쪽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제1끝살과 연결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끝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끝살의 연결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끝살이 삽입지지될 수 있는 삽입부를 갖는 덧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KR1020110107826A 2011-10-21 2011-10-21 우산 KR101306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826A KR101306302B1 (ko) 2011-10-21 2011-10-21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826A KR101306302B1 (ko) 2011-10-21 2011-10-21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754A KR20130043754A (ko) 2013-05-02
KR101306302B1 true KR101306302B1 (ko) 2013-09-12

Family

ID=4865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826A KR101306302B1 (ko) 2011-10-21 2011-10-21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3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3454A (en) * 1975-08-09 1977-02-22 Kortenbach & Rauh Kg Shrinkable umbrella
JPS62186804A (ja) * 1986-02-10 1987-08-15 金子 正一
KR950013104U (ko) * 1993-11-02 1995-06-15 탁인준 보강재가 개재된 우산살대
JPH1075812A (ja) * 1996-09-02 1998-03-24 Shusuke Matsushima 閉じたときに濡れた面が外に出ない構造の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3454A (en) * 1975-08-09 1977-02-22 Kortenbach & Rauh Kg Shrinkable umbrella
JPS62186804A (ja) * 1986-02-10 1987-08-15 金子 正一
KR950013104U (ko) * 1993-11-02 1995-06-15 탁인준 보강재가 개재된 우산살대
JPH1075812A (ja) * 1996-09-02 1998-03-24 Shusuke Matsushima 閉じたときに濡れた面が外に出ない構造の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754A (ko)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4184U (ja) 折り畳み式多機能ペット用トローリーバッグ
KR20160018778A (ko) 차량 루프탑텐트
WO2004106618A1 (en) Apparatus for drying and storage of diving garment and accessories
KR101306302B1 (ko) 우산
JP6644382B2 (ja) 折りたたみ傘収納袋
KR101724131B1 (ko) 휴대용 우산보관케이스
US6915933B2 (en) Portable apparatus for carrying a stroller
KR101121118B1 (ko) 우산끈
JP4712131B1 (ja) 使い捨て式防水靴・裾カバー
KR200165045Y1 (ko) 여행용가방의방수커버
JP2008237103A (ja) ペット用カート
JP3243661U (ja) ハンドル用カバー
JP3139807U (ja) エコ傘ケース
CN209376902U (zh) 一种雨伞存放结构
JPH0756049Y2 (ja) 雨天時におけるゴルフバック被覆用カバー
KR20150002429U (ko) 우산 끈이 두 개인 우산
JP3179352U (ja) 傘用の雨漏れ防止ガード
CN2409821Y (zh) 改进的伞
KR20240000808U (ko) 휴대가 용이한 비닐 텐트
JPS583564Y2 (ja) カバ−付きルックザック
JP2001190314A (ja) 雨 傘
KR900004019Y1 (ko) 절첩식 애완동물집
CN104941136A (zh) 一种便携健腹轮装置
AU2004243337B2 (en) Apparatus for drying and storage of diving garment and accessories
KR20140002499U (ko)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