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541B1 - 철도차량용 블라인더의 스크린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블라인더의 스크린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541B1
KR101305541B1 KR1020120018451A KR20120018451A KR101305541B1 KR 101305541 B1 KR101305541 B1 KR 101305541B1 KR 1020120018451 A KR1020120018451 A KR 1020120018451A KR 20120018451 A KR20120018451 A KR 20120018451A KR 101305541 B1 KR101305541 B1 KR 101305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en
hinge
wir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894A (ko
Inventor
장복규
송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하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하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하마
Priority to KR1020120018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5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60J1/2083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for side windows, e.g. quarte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5/00Window arrangements peculiar to 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7/00Other furniture or furnish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블라인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라인더의 스크린을 착탈하기에 용이하고 불필요한 자재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구조의 철도차량용 블라인더의 스크린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스크린과 그 하단에 하단프레임을 갖추고, 측부에는 측프레임(21)을 하부에는 하프레임(49)을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에서, 측프레임(21) 상단에는 와이어고정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와이어하고정부가 형성되어 와이어의 작동으로 승하강하는 롤스크린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의 블라인더에 있어서, 상기 하단프레임은, 측단면상으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ㄱ"자 형상의 선단부에는 힌지(52)가 형성되고, 그 절곡부에는 단면이 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봉부(54)를 갖는 구조이며, 상기 하단프레임에는 상기 힌지(52)와 결합되는 고정프레임(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강시 고정봉부(54)에는 상방으로 삽입공(51)이 형성되어 스크린(5)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프레임(50)은 상기 힌지(52)를 수용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구조의 고리부(64)를 갖추어, 힌지(52)를 선회시킬 경우 힌지를 고리부(64)에서 제거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단프레임(20)과 고정프레임(50)은 그 하단 및 측단부에 하단볼트공(58)과 볼트공(56)을 형성하여, 볼트로 체결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블라인더의 스크린 착탈구조{detachable structure of blinder screen for a railroad car}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블라인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라인더의 스크린을 착탈하기에 용이하고 불필요한 자재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구조의 철도차량용 블라인더의 스크린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문헌1] 실용신안등록 20-0169348 호(1999. 11. 18), 명칭 "롤스크린"
본 발명의 종래 기술인 상기 문헌1은, 기차 등의 유리창 측면에 설치되어 햇빛가리개로 사용되는 롤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도 10 및 도 11 및 도 12 에서 보듯이, 유리창(101)의 창틀(102)중 상단 창틀에 설치된 롤 지지대(105)에 스크린을 감아두고 양측 창틀(102)에 설치된 안내레일(103)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대(110)에 의해 햇빛을 차폐하는 롤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5)의 양단부에 설치된 좌우 스프링(120a, 120b); 상기 안내대(110)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주상으로 2개의 홈(132a,132b)이 형성된 좌우 풀리(130a, 130b); 및 상기 좌 스프링(120a)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풀리(130a)의 홈(132a)의 하단과 상기 나머지 풀리(130b)의 홈(132a)의 상단을 거쳐 안내레일(103)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트링(140a); 및 상기 우 스프링(120b)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풀리(130b)의 홈(132b)의 하단과 상기 다른 풀리(130a)의 홈(132b)의 상단을 거쳐 안내레일(103)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트링(140b);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스트링(140a,140b)이 상기 풀리(130a,130b) 각각에 교차결합하면서 상기 안내대(110)의 승강이 자유로운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문헌1의 종래 기술은 롤스크린을 분리시 창틀 장치 전체를 모두 분해해야하는 단점이 있어, 스크린 교체작업 및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롤스크린의 교체작업이 신속 용이하고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불필요한 자재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구조의 철도차량용 블라인더의 스크린착탈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스크린과 그 하단에 하단프레임을 갖추고, 측부에는 측프레임(21)을 하부에는 하프레임(49)을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에서, 측프레임(21) 상단에는 와이어고정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와이어하고정부가 형성되어 와이어의 작동으로 승하강하는 롤스크린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의 블라인더에 있어서, 상기 하단프레임은, 측단면상으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ㄱ"자 형상의 선단부에는 힌지(52)가 형성되고, 그 절곡부에는 단면이 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봉부(54)를 갖는 구조이며, 상기 하단프레임에는 상기 힌지(52)와 결합되는 고정프레임(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강시 고정봉부(54)에는 상방으로 삽입공(51)이 형성되어 스크린(5)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프레임(50)은 상기 힌지(52)를 수용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구조의 고리부(64)를 갖추어, 힌지(52)를 선회시킬 경우 힌지를 고리부(64)에서 제거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단프레임(20)과 고정프레임(50)은 그 하단 및 측단부에 하단볼트공(58)과 볼트공(56)을 형성하여, 볼트로 체결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스크린의 교체작업이 신속 용이하고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불필요한 자재의 낭비를 줄일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블라인더를 설명하기 위한 종래 구조의 블라인더를 예시하는 도면
도 2 는 봉파이프(3)와 봉축(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봉축(1)에 끼워지는 텐션스프링(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커버(4)의 구조와 봉축(1)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롤러(22)에 의한 롤스크린의 승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 은 와이어의 장력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 는 스크린 하단에서 스크린의 교체를 위한 착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종래 롤스크린 구조에 대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참고로,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는 내용은 본 출원인이 개선한 부분 전체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권리 범위로 하는 것은 청구범위에 한정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롤스크린을 예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봉축(1)에는 롤 스크린(5)이 감겨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2 에서 보듯이, 봉축(1)의 양단부에는 커버(4)가 끼워져 형성되고 그 외주를 둘러 감싸는 봉케이싱(3)이 형성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도 1 에 도시한 스크린(5)을 고정하기 위한 스크린홈(6)을 상하로 2 개 형성시킨다. 스크림홈(6)을 비록 상하로 2 개 형성시켜도 사용하는 것은 단지 하나의 스크린홈(6)에만 스크린(5) 선단부를 고정한다
이렇게 2 곳에 스크린홈(6)을 형성시키는 가장 큰 이유는 봉의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종래와 같은 처짐방지를 위한 이중봉(봉 안에 봉이 있는 형상으로 2개의 봉을 중첩되게 형성함)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부수적으로 압출 성형시 대칭성으로 인해 그 성형상의 편의와, 2 곳 중 어느 곳을 사용하여도 가능한 편리성과 또한 한곳에 이상이 생기거나 불량이 있어도 선택하여 다른 위치에 있는 스크린홈(6)을 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 에서 보듯이, 스크린롤에 텐션을 주기 위해 롤텐션 스프링을 장착하는데 이 경우, 텐션스프링(10)을 봉축(1)에 감아 고정하되, 측단부는 봉축(1)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내경을 갖는 스프링 구조로 조인 상태로 감아두어 스프링고정부(11)가 형성되게 한다
스프링고정부(11) 외는 봉축(1) 외경보다 큰 여유있는 내경을 갖는 텐션스프링(10)으로 구성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프링고정부(11)와 반대편인 텐션스프링(10)의 타단부는 봉축(1)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스크린이 하방으로 당김에 따라 스크린 상단에 고정된 봉케이싱(3)이 회전하면 조립된 커버(4)도 회전하고 커버(4)에 끼워진 봉축(1)도 회전한다. 그러면 봉축(1)에 감겨진 텐션부(13)가 감겨 조여진다. 즉, 텐션부(13)가 감기면 그 내경이 좁혀진다
이와 같은 식의 작동으로 만들면, 종래와 같이 봉축(1)에 텐션스프링(10)을 고정하기 위한 템플레이트 제작 및 고정작업과 이 템플레이트에의 스프링의 고정을 위한 용접작업이 불필요하여 그 장착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간단하며 소요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참고로 도 4 는 커버(4) 부분과 봉축(1)과의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4)는 봉케이싱(3) 안으로 끼워져 들어간다
그리고 커버(4)에는 봉축(1)을 수용하기 우한 봉수용부(15)가 형성되어 이곳에 봉축(1)이 끼워진다. 그리고 봉축(1) 외주에는 링(16)이 끼워져 커버(4)와 봉케이싱(3)과 봉축(1)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봉축(1)의 회전을 위한 결합 구조에서, 종래와 같이 봉축(1)에 별도의 코킹 가공을 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5 는 도 1 에 도시한 하단프레임(20)의 승하강을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5)의 하단프레임(20) 양측부에는 회전 가능한 롤러(22)가 상하로 설치된다. 그리하여 롤러(22)가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여 이 롤러(22)가 측프레임(21)을 타고 승하강시 면마찰을 하되, 롤러(22)가 회전 가능하므로 끌리지 않고 회전하면서 승하강 하므로, 스크린의 승하강시 소음이 거의 나지 않고 정숙하게 승하강 작동될 수 있다
도 6 은 도 1 에 도시한 롤스크린의 상단 좌우 상측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고정부(30)는 와이어(35)를 고정하는 캡(34)과 캡(34) 아래에 설치되어 회전 조절로 와이어(35)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너트(33)와, 그리고 와이어(35)를 수용하고 외주에 나사를 형성하는 나사봉(36)과 나사봉(36) 외주에 설치하는 너트(31)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캡(34)은 와이어(35)의 단부와 일체로 와이어 인서트 성형으로 만든다. 조절너트(33)는 브라켓(37) 위에 설치되어 조절너트(33)를 회전시키면 와이어(35)가 인장되거나 이완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너트(31)와 조절너트(33)의 회전 조절로 와이어(35)의 인장과 이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와이어의 장력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상단부에서의 와이어 고정 구조가 매우 견고하다. 종래의 경우엔 그 고정구조가 매우 불안한 상태로 되어 있으며 또한 와이어의 고정 구조가 복잡하고 가공이 어렵고 장력조절 작업시 그 조절부가 불안정하였다
도 7 은 도 1 에 도시한 와이어하고정부(40)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 고정되는 와이어(35)는 고정체(47)에 의해 고정처리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조절캡(42)이 나사체(44)에서 회전하면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위에는 스프링(41)이 장착되고 하프레임(49) 위에는 고정너트(45)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절캡(42)의 조절로 스프링(41)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므로 그에 따라 와이어(35)를 물고 있는 고정체(47)의 승하강으로 와이어(35)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다. 종래의 경우인 이 와이어고정부(40)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와이어(35)의 이완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곳에서 와이어(35)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항상 와이어(35)가 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롤스크린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도 8 은 도 1 의 스크린(5)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단프레임(20) 부분에 대한 요부 측단면구조이다
단면 구조 좌측에 연장되어 도시한 그림은, 단면에 대한 좌측면 쪽을 단순히 이해가 쉽게 연장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5)의 하단에는 하단프레임(20)이 연결되는데, 하단프레임(20)은 삽입홈(51)이 형성되어 고정봉부(54)에 스크린(5) 하단이 고정된다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하단프레임(20)은 선단에 단면이 둥근 형상의 힌지(52)가 형성되어 고정프레임(50)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프레임(50)은 일부분이 개방된 구조의 고리부(64)를 형성하여 힌지(52)를 수용한다. 고정프레임(50)과 하단프레임(20)은 하단에서 볼트공(56) 및 하단볼트공(58)이 형성되어 볼트가 체결되어 일체로 고정된다
도 9 는 도 8 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50)과 체결한 볼트(57)를 풀고 하단프레임(20)을 약 60도 이상 선회시키면 하단프레임(20)을 고정프레임(50)에서 부터 해체 가능하다. 그러면 하단프레임(20)에 고정된 스크린(5)을 포함하는 플라인더 세트를 해체하여 스크린(5)을 교체 가능하다. 그러면 불필요하게 스크린 하단 부분의 전체 부품을 교체하여야 하는 불필요한 자재 낭비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블라인더 교체 및 보수 유지가 편리하고 신속하다
참고로 종래의 경우, 스크린을 교체 위해 블라인더 전체 조립을 해체하여야 하고 좌우 밸런스 장력 조절한 것도 다시 교체 후 좌우 밸런스를 잡어 주어야하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었다
1 봉축 3 봉케이싱
4 커버 6 스크린홈
10 텐션스프링 11 스프링고정부
15 봉수용부 16 링
20 하단프레임 21 프레임
22 롤러 23 회전축
31 너트 33 조절너트
34 캡 37 브라켓
41 스프링 42 조절캡
44 나사체 45 고정너트
50 고정프레임 51 삽입공
52 힌지 54 고정봉부
56 볼트공 57 볼트
58 하단볼트공 64 고리부

Claims (4)

  1. 스크린과 그 하단에 하단프레임을 갖추고, 측부에는 측프레임(21)을 하부에는 하프레임(49)을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에서, 측프레임(21) 상단에는 와이어고정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와이어하고정부가 형성되어 와이어의 작동으로 승하강하는 롤스크린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의 블라인더에 있어서,
    상기 하단프레임은,
    측단면상으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ㄱ"자 형상의 선단부에는 힌지(52)가 형성되고, 그 절곡부에는 단면이 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봉부(54)를 갖는 구조이며, 상기 하단프레임에는 상기 힌지(52)와 결합되는 고정프레임(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라인더의 스크린 착탈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강시 고정봉부(54)에는 상방으로 삽입공(51)이 형성되어 스크린(5)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라인더의 스크린 착탈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50)은 상기 힌지(52)를 수용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구조의 고리부(64)를 갖추어, 힌지(52)를 선회시킬 경우 힌지를 고리부(64)에서 제거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라인더의 스크린 착탈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프레임(20)과 고정프레임(50)은 그 하단 및 측단부에 하단볼트공(58)과 볼트공(56)을 형성하여, 볼트로 체결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라인더의 스크린 착탈구조
KR1020120018451A 2012-02-23 2012-02-23 철도차량용 블라인더의 스크린 착탈구조 KR101305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451A KR101305541B1 (ko) 2012-02-23 2012-02-23 철도차량용 블라인더의 스크린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451A KR101305541B1 (ko) 2012-02-23 2012-02-23 철도차량용 블라인더의 스크린 착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894A KR20130096894A (ko) 2013-09-02
KR101305541B1 true KR101305541B1 (ko) 2013-09-06

Family

ID=4944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451A KR101305541B1 (ko) 2012-02-23 2012-02-23 철도차량용 블라인더의 스크린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5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234Y2 (ja) * 1989-04-03 1996-03-06 株式会社協和興業 サン・ルームなどの日よけスクリーン
KR200215957Y1 (ko) 2000-10-09 2001-03-15 황선덕 롤러 블라인드
KR200249676Y1 (ko) 2001-07-02 2001-11-16 정장훈 건물 창문용 스크린 장치
KR200322706Y1 (ko) 2003-05-26 2003-08-14 정태철 실ㆍ내외 겸용 다목적 롤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234Y2 (ja) * 1989-04-03 1996-03-06 株式会社協和興業 サン・ルームなどの日よけスクリーン
KR200215957Y1 (ko) 2000-10-09 2001-03-15 황선덕 롤러 블라인드
KR200249676Y1 (ko) 2001-07-02 2001-11-16 정장훈 건물 창문용 스크린 장치
KR200322706Y1 (ko) 2003-05-26 2003-08-14 정태철 실ㆍ내외 겸용 다목적 롤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894A (ko) 201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26635B2 (en) Roller blind assembly
AU2005203064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DK2894287T3 (en) HOLY GLASS SUN SHADING DEVICE
US20130032300A1 (en) Window Shade Having a Resistance Balancing Mechanism
CN1699722A (zh) 具有螺旋弹簧驱动器的卷帘
KR101305540B1 (ko) 철도차량용 블라인더
CN206972128U (zh) 船用遮光卷帘
CN108643810B (zh) 一种受牵引展开的外遮阳平面卷帘系统
KR100713129B1 (ko) 전동 롤 스크린 장치
KR101305541B1 (ko) 철도차량용 블라인더의 스크린 착탈구조
KR101813882B1 (ko)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JP5343635B2 (ja) 電動昇降ボード装置
KR200469122Y1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CN111119923B (zh) 一种双轨道幕布自动升降系统
IL299081B1 (en) Cone and clamp assembly for screen mounting
KR101983745B1 (ko) 스크린 교체가 용이한 승하강식 롤블라인드
JP6473313B2 (ja) 遮蔽装置
CN106193974B (zh) 百叶窗的升降装置
KR100822176B1 (ko) 2중 창호 내의 블라인드 설치구조
CN208380477U (zh) 一种可正面调节的隐形纱窗
JP6727694B2 (ja) 遮蔽装置
KR20160000027U (ko) 블라인드 차광조절줄의 꼬임방지 및 방향지시용 애드온장치
CN212454196U (zh) 一种列车用静音车窗卷帘装置
CN219733264U (zh) 一种门窗的遮挡机构
CN219034579U (zh) 一种透光可调的卷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