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506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506B1
KR101305506B1 KR1020080068353A KR20080068353A KR101305506B1 KR 101305506 B1 KR101305506 B1 KR 101305506B1 KR 1020080068353 A KR1020080068353 A KR 1020080068353A KR 20080068353 A KR20080068353 A KR 20080068353A KR 101305506 B1 KR101305506 B1 KR 101305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unit
developer
power source
transf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636A (ko
Inventor
이준희
안동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8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506B1/ko
Priority to US12/409,706 priority patent/US7995937B2/en
Publication of KR20100007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7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bias applied in the transfer ni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37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electrical parameter, e.g. volt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029Image density detection
    • G03G2215/00033Image density detection on recording member
    • G03G2215/00037Toner image detection
    • G03G2215/00042Optical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표면에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현상제가 부착되는 상담지체와; 전사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현상제를 피전사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영역을 형성하는 전사유닛과: 상기 전사유닛에 전사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상담지체 표면의 단위구간내의 상기 현상제의 량에 기초하여 제1전사전원 또는 제2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인쇄용지에 형성하는 장치로서, 복사기, 프린터, 스캐너,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일부 또는 전부 통합한 복합기 등이 이에 속한다.
종래 화상형성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담지체(13), 상기 상담지체(13)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1), 대전된 상기 상담지체(13) 표면을 노광시켜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유닛(16), 상기 상담지체(13) 표면의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도포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롤러(12) 및 상기 현상제를 인쇄매체(P)로 전사시키는 전사롤러(14)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 화상형성장치(1)를 이용하여 그레이(gray)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 도 2(A)와 같이 화상 중간에 줄무늬가 생긴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의 이미지 패턴을 단순화 시킨 것으로, 인쇄매체(P)의 선단에 농 도가 짙은 블랙이미지 영역(b)과 그 다음에 농도가 다소 옅은 그레이이미지 영역(g)으로 구성된 이미지 패턴의 경우에도 도 2(A)와 같이 줄무늬가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한 블랙이미지 영역(b)으로부터 대략 75mm 정도 되는 부분에 예상치 못한 줄무늬(j)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 화상형성장치(1)를 이용하여 도 2(B)의 이미지를 인쇄하는 경우, 각각 상기 상담지체(13)의 시간에 따른 표면전위, 전사롤러(14)의 피드백전압 및 전사롤러(14)의 전사전압의 변화를 측정한 실측 그래프이다. 상기 상담지체(13)의 표면전위는 도 1에 도시된 비접촉 방식으로 표면전위를 감지하는 센서(15)에 의해 측정된다.
도 3a에서 c는 인쇄매체 선단의 진한 블랙이미지 영역(b)의 폭(w)에 대응하는 상기 상담지체(13)의 표면 일부가 상기 노광유닛(16)에 의해 전체적으로 노광됨에 따라 표면전위가 -700(V)에서 -150(V) 정도로 가변된 것을 보여준다. 도 3a에서 k는 진한 블랙이미지 영역(b) 다음에 오는 그레이이미지 영역(g)에 대응하여 상기 노광유닛(16)에 의해 상기 상담지체(13)의 표면이 그 표면전위가 -700(V)에서 -350(V) 정도로 가변된 것을 보여준다.
도 3b에서 전사롤러(14)의 피드백전압은 상기 전사롤러(14)에 센싱용 전압을 인가하여 피드백되는 전압을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것이다. 상기 상담지체(13) 및 상기 전사롤러(14)를 각각 하나의 저항으로 하고 상기 센싱용 전압을 전원으로 하는 인가되면 일종의 가상의 폐회로가 구성되는데 상기 가상의 폐회로를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환산한 것이다. 도 3b에서 e는 인쇄매체(P)가 상담지체(13)와 전사롤러(14)의 전사닙(N)으로 진입하는것을 나타낸다. 인쇄매체(P)는 상기 가상의 폐회로에서 새로운 저항이 추가된 것으로 볼 수 있고 이에 따라 피드백 전압이 낮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P)가 진입하는 시점에 맞추어 전사롤러(14)의 전사전압도 승압된다.
한편, 도 3b에서 f는 도 3a의 c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상담지체(13) 표면이 상기 전사닙(N)으로 진입한 경우 피드백 전압이 갑자기 낮아진 것을 보여준다.
또한, 도 3a에서 d는 도 2(B)의 그레이이미지 영역(g)을 인쇄하기 위해 노광된 상기 상담지체(13)의 표면전위가 오버슈트 되어 그 절대값이 주위보다 작아진 것을 보여준다. 이는 도 3a의 c와 같이 상기 상담지체(13)의 표면에 시간 t1을 전후로 급격한 전위차가 발생한 전위차급변구간(m)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전위차급변구간(m)이 상기 대전유닛(11)을 통과하더라도 그 영향이 상존함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전위차급변구간(m)이 상기 상담지체(13)가 1회전하여 상기 그레이이미지 영역(g)을 인쇄하도록 다시 노광유닛(16)에 의해 노광되더라도 도 3a의 d와 같이 그 피크값은 주변부의 표면전위 -350(V) 보다 높은(절대값이 작은) 표면전위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위를 띠는 상담지체(13) 표면(도 3의 t3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음전하로 대전된 현상제가 집중되게 됨으로써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줄무늬(j), 즉 이미지 고스트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간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표면에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현상제가 부착되는 상담지체와; 전사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현상제를 피전사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영역을 형성하는 전사유닛과: 상기 전사유닛에 전사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상담지체 표면의 단위구간내의 상기 현상제의 량에 기초하여 제1전사전원 또는 제2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제1단위구간내의 제1현상제량이 제1기준치이상인 경우, 상기 제1단위구간이 상기 전사영역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제2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현상제량과 제2단위구간내의 제2현상제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갭량 이상인 경우, 상기 전사전원을 제1전사전원에서 제2전사전원 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위구간과 상기 제2단위구간은 서로 인접하거나, 상기 제2단위구간이 상기 상담지체가 1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단위구간과 중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온도, 습도 및 상기 갭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제2전사전원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전사전원이 상기 갭량에 비례하거나 상기 제2전사전원이 상기 온도 또는 상기 습도에 반비례하도록 제2전사전원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1단위구간내의 제1현상제량이 제1기준치 이상이고 제2단위구간내의 제2현상제량이 제2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단위구간이 상기 전사영역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제2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사전원 및 상기 제2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한 후 제3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사전원과 상기 제3전사전원은 그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위구간이 상기 전사영역을 통과한 후, 상기 제1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전사전원의 절대값의 크기가 상기 제1전사전원의 그것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사전원 및 상기 제2전사전원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데이터는 비트맵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트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구간내의 상기 현상제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표면에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현상제가 부착되는 상담지체와, 전사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현상제를 피전사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영역을 형성하는 전사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닛에 제1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상담지체 표면의 단위구간내의 상기 현상제의 량에 기초하여 제2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제1단위구간내의 제1현상제량이 제1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단위구간이 상기 전사영역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제2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1현상제량과 제2단위구간내의 제2현상제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갭량 이상인 경우, 상기 제2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위구간과 상기 제2단위구간은 서로 인접하거나, 상기 제2단위구간이 상기 상담지체가 1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단위구간과 중첩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습도 및 상기 갭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제2전사 전원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사전원은 상기 갭량에 비례하거나 상기 온도 또는 상기 습도에 반비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제1단위구간내의 제1현상제량이 제1기준치 이상이고 제2단위구간내의 제2현상제량이 제2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단위구간이 상기 전사영역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제2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전사전원 및 상기 제2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한 후 제3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사전원과 상기 제3전사전원은 그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위구간이 상기 전사영역을 통과한 후 다시 상기 제1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사전원의 절대값의 크기가 상기 제1전사전원의 그것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전사전원 및 상기 제2전사전원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데이터는 비트맵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비트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구간내의 상기 현상제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 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미지 고스트를 제거 또는 완화시켜 인쇄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공간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
셋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담지체(130), 대전유닛(110), 노광유닛(150), 현상유닛(120), 전사유닛(140), 전압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대전유닛(110)은 상기 전압부(160)로부터 대전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상담지체(130)가 소정표면전위를 갖도록 상기 상담지체(130)를 대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대전유닛(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대전방식의 대전롤러(110)일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비접촉대전 방식의 코로나 대전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표면전위는 대략 -700V 정도 일 수 있다.
상기 노광유닛(150)은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노광신호를 상기 제어부(170)로부터 수령하여 상기 대전된 상담지체(130)를 노광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상담지체(130) 표면에는 상기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노광된 부분은 대략 -150V의 표면전위로 바뀌고, 비노광 부분은 상기 대전유닛(110)에 의해 대전된 표면전위 그대로 -700V가 된다.
여기서, 상기 노광유닛(150)은 레이저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닛(LSU:Laser Scanning Unit) 및 상담지체(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LED가 배열된 LED 어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상유닛(120)은 상기 전압부(160)로부터 현상전압을 인가받아 -150V와 -700V의 사이값인 대략 -500V의 전위를 띠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현상유닛(120) 주위에 있는 음전하를 띤 현상제들은 정전기적 반발력이 최소가 되는 노광부분에 도포되게 되며, 상기 상담지체(130)의 표면은 상기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현상제로 구성된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현상유닛(120)은 도 4에서는 롤러타입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벨트 타입, 기타 다른 공지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전사유닛(140)은 상기 전압부(160)로부터 전사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가시화상을 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P)로 전사시킨다.
상기 가시화상은 상기 전사유닛(140)과 상기 상담지체(130) 사이에 전기장이 작용하는 전사영역(A)에서 상기 인쇄매체(P)로 전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담지체(130)와 상기 전사유닛(140)이 서로 접촉하여 전사가 이루어지는 직접전사방식의 경우에는 전사닙(nip, A)에서 전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사유닛(140)이 롤러 타입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전사유닛(140)은 벨트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시화상은 인쇄매체 대신에 상기 전사유닛(140)의 벨트(전사벨트)로 전사되며, 상기 벨트 상의 가시화상이 다시 인쇄매체로 전사되게 되는 방식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소위 멀티패스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주로 채용된다.
따라서, 인쇄매체 또는 상기 전사벨트가 상기 상담지체(130)의 현상제 가시화상이 상기 전사유닛(140)에 의해 전사되는 피전사체일 수 있다.
인쇄매체(P)로 전사된 현상제로 구성된 가시화상은 정착유닛(180)을 통과하면서 히트롤러(183) 및 프레스롤러(181)의 열과 압력에 의해 인쇄매체(P)에 정착된다.
상기 전압부(160)는 상기 대전유닛(110), 상기 현상유닛(120) 및 상기 전사유닛(140)에 각각 상기 대전전압, 상기 현상전압 및 상기 전사전압을 인가한다. 여기서, 전사전압을 제1전사전압과, 상기 제1전사전압과 다른 크기의 제2전사전압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상담지체(130) 표면의 단위구간내의 상기 현상제의 농도에 기초하여 제1전사전압 또는 제2전사전압을 상기 전사유닛(140)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부(160)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구간은 임의로 선택가능하나, 1mm에서 10mm 정도 범위내에서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단위구간은 대략 5mm 정도로 할 수 있다. 상기 단위구간을 너무 짧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에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고, 너무 넓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전사전압을 인가해야할 시점을 찾아내지 못하게 될 수 있으므로 실험 또는 경험에 의해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상담지체(130) 표면의 단위구간(△s)내의 상기 현상제의 농도 또는 상기 현상제의 량을 계산한다. 이는 인 쇄하고자 하는 화상의 인쇄데이터 또는 상기 노광유닛(150)의 노광신호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과정 중에 상기 상담지체(130)는 정속 회전하고 인쇄매체의 이송속도 또한 일정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상담지체(130)의 단위구간(△s)은 그에 대응하는 단위시간으로 환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단위구간(△s)내의 현상제 농도는 단위시간동안의 현상제 농도의 개념으로 환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쇄데이터는 후술할 스캐닝부(190)에 의해 원고상의 이미지를 독취함으로써 얻어지거나 후술할 인터페이스부(175)를 통해 외부의 호스트 장치(미도시)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인쇄데이터는 제어부(170)에 의해 '0'과 '1'의 2진데이터이 비트맵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거나 호스트장치(미도시)로부터 전송될 때부터 비트맵이미지 데이터가 전송되어 올 수도 있다. 비트맵이미지 데이터는 도트(dot)단위로 공백영역(도트) 및 인쇄영역(도트)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0'은 비노광 영역으로 현상제가 도포되지 않는 공백영역이고 '1'은 노광영역으로 현상제가 도포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그 반대로 정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75)는 외부 호스트 장치(미도시)와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직렬포트, 병렬포트 및 USB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캐닝부(190)는 CCD센서 및 CIS(Contact Image Sens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광신호는 상기 비트맵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170)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로서 상기 노광유닛(150)에 포함되어 있는 LED(미도시)를 ON 또는 OFF 하기 위한 펄스신호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비트맵이미지 데이터 그 자체를 이용하여 상기 상담지체(130)의 단위구간(△s)내에 도포될 현상제 도트의 개수('1'의 개수)를 카운트하거나, 상기 노광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상담지체(130)의 단위구간(△s)내에서 노광된 도트의 개수('ON' 펄스의 개수)를 카운트 함으로써 단위구간(△s) 내의 현상제의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구간내(△s)내의 현상제량은 상기 현상제 도트의 개수를 카운트 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으며, 그 단위는 도트(dot) 또는 그것을 무게(g, 그램)로 환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위구간(△s)내의 현상제 농도는 상기 단위구간(△s)내의 전체도트개수에 대한 상기 단위구간(△s)내의 현상제가 도포될 도트의 개수의 비율로 계산될 수 있다. 즉, 다음의 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식1]
Figure 112008050586118-pat00001
상기 식[1]에서와 같이, 단위구간내의 현상제 농도(%)와 상기 단위구간내의 현상제량(현상제가 도포되는 개수)은 단위만 다를 뿐 서로 비례관계에 있으므로 그 중 어느 하나만을 계산하면 충분하다. 또한, 후술할 현상제 농도와 비교대상이 되는 제1기준치, 제2기준치 및 농도갭은, 현상제 농도 대신에 현상제량이 계산될 경우 상기 제1기준치, 제2기준치 및 농도갭에 상기 단위구간(△s)내의 전체도트의 개수를 곱해주면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농도갭에 상기 단위구간(△s)내의 전체도트의 개수를 곱한 것은 갭량이 되고상기 계산된 현상제량과 대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상기 상담지체(130)의 상기 단위구간(△s)내의 도트가 전체가 노광되어 현상제가 도포되는 경우의 현상제 농도는 100%가 되고, 상기 단위구간(△s)내의 전체 영역이 비노광되어 공백이 되는 경우는 0%가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상담지체(130)의 단위구간(△s) 마다의 현상제 농도(또는 현상제량)를 계산할 수 있다. 계산 결과, 특정단위구간, 즉, 제1단위구간(△Y)내의 제1현상제 농도가 제1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상기 전사영역(A)을 통과하는 동안에 상기 제2전사전압을 상기 전사유닛(140)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부(16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1단위구간(△Y)내의 제1현상제 농도가 제1기준치 이상이라는 말은 상기 제1단위구간(△Y)에서 상대적으로 진한 블랙이미지가 형성된다는 것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기준치는 이론적으로는 51% ~ 99%에 포함되는 값이면 충분하다. 상기 제1기준치는 60% ~ 80 % 범위 내의 값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임의로 선택할 수도 있고, 실험 또는 경험에 의해 각 화상형성장치(100)에 가장 알맞은 값을 찾아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전사전압은 제1전사전압보다 큰 값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2전사전압을 인가하는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전사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대략 (+)1000V의 제1전사전압을 상기 전사유닛(140)에 인가하다가,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상기 전사영역(A)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전사전압을 변경하여 그 보다 높은 1400V의 제2전사전압을 상기 전사유닛(140)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전사전압 및 상기 제2전사전압을 인가한 후 제3전사전압을 추가적으로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전사전압은 상기 제1전사전압과 그 크기가 동일할 수도 있지만, 다를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제어부(170)가 제1단위구간(△Y)내의 제1현상제 농도(또는 제1현상제량)가 제1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2전사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상기 제2전사전압을 인가할 다른 조건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특정단위구간, 제1단위구간(△Y)의 제1현상제 농도(또는 제1현상제량)와, 제1단위구간(△Y)과 다른 위치의 제2단위구간(△X)의 제2현상제 농도(또는 제2현상제량)를 서로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전사전압을 제1전사전압에서 제2전사전압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전압부(1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현상제 농도(또는 상 기 제1현상제량)와 상기 제2현상제 농도(또는 상기 제2현상제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농도갭(또는 갭량) 이상인 경우,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상기 전사영역(A)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제2전사전압을 상기 전사유닛(140)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인쇄 시 상담지체(130)의 회전에 따른 상담지체(130)의 단위구간과 인쇄매체(P)를 서로 대응시켜 놓은 도면이다.
상기 제1단위구간(△Y)과 상기 제2단위구간(△X)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P) 상에서 또는 상담지체(130) 상에서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단위구간(△Y)과 인접한 제2단위구간(△X)의 각 현상제 농도를 서로 비교하여 그 차이가 상기 농도갭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상기 전사영역(A)을 통과하는 동안에 상기 제2전사전압을 상기 전사유닛(140)에 인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줄무늬(j), 즉 이미지 고스트는 전위차급변구간(도 3a의 m)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위차급변구간(도 3a의 m)을 찾아내기 위해 현상제 농도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단위구간(△Y)과 인접한 제2단위구간(△X)의 각 현상제 농도차가 상기 농도갭 이상인 경우 상기 전위차급변구간(도 3a의 m)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단위구간(△Y)의 현상제 농도가 90%이고 제2단위구간(△X)의 현상제 농도가 10%이며 농도갭을 30%라고 가정하면, 그 둘 사이의 현상 제 농도차이가 80%로 농도갭 30%보다 크므로 제2전사전압을 인가할 전위차급변구간(도 3a의 m)으로 판정한다. 여기서, 현상제 농도는 해당 단위구간에서의 상담지체(130)의 평균전위에 대응되는 값으로서, 현상제 농도차이가 80% 라면 그 두 구간에서의 전위차는 대략 470V정도로 이 정도라면 상술한 이미지 고스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상기 전사영역(A)에 진입하는 때에는 기존의 제1전사전압보다 큰 제2전사전압을 상기 전사유닛(140)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위차 불균형을 완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 고스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에서 (1) 및 (2)는 각각 종래 화상형성장치(1)의 전사유닛(14)에 인가되는 전사전압(THV) 및 전사유닛(14)의 피드백 전압(THV_READ)의 타이밍도이고, 도 5b에서 (3) 및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사유닛(140)에 인가되는 전사전압(THV) 및 전사유닛(140)의 피드백 전압(THV_READ)의 타이밍도이다
도 5a의 (2)에서 bb영역 및 cc영역에서 피드백 전압이 낮아지는데, bb영역은 상술한 도 3b의 e에 대응되는 것으로, 인쇄매체(P)가 상담지체(도 1의 13) 및 전사롤러(도 1의 14) 사이, 즉 전사닙(도 1의 N)을 통과하는 시점에 따라 발생한다. 또한, cc영역은 상술한 도 3b의 f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술한 전위차급변구간(도 3a의 m)이 상기 상담지체(도 1의 13) 및 전사롤러(도 1의 14) 사이를 진입함에 따라 발생된 것이다.
종래의 전사전압(THV)은 도 5a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가 진입하는 경우에만 전사전압이 상승(aa)될 뿐, 전위차급변구간(도 3a의 m)이 통과하더라도 전사전압은 변하지 않고 일정함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전위차급변구간(도 3a의 m)이 대전유닛(도 1의 11)을 통과하더라도 그 전위차의 크기가 줄어들 뿐 그 영향이 그대로 남아있어 이미지 고스트(도 2(A) 및 도 2(B)의 j)의 형태로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화상형성장치(100)의 경우, 도 5b의 (3)과 같이, 전사유닛(140)에 인가되는 전사전압은 인쇄매체(P)가 전사닙(도 4의 A)을 진입하는 경우(도 5b의 bb영역) 제1전사전압으로 승압되며 상기 제1전사전압이 유지된다. 그러다가, 상기 제1단위구간(△Y)과 인접한 제2단위구간(△X)의 각 현상제 농도차가 상기 농도갭 이상인 단위구간(△Y, △X)이 존재하는 경우, 즉, 상기 전위차급변구간(도 3a의 m)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상기 전사영역, 즉, 전사닙(도 4의 A)으로 진입하는 때 상기 제1전사전압이 상기 제2전사전압으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제1전사전압보다 큰 제2전사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단위구간(△Y)과 인접한 제2단위구간(△X)간의 급격한 전위차가 상기 제2전사전압에 의해 일부 상쇄되어 상기 전위차가 작아지게 된다. 이는 도 5b의 (4), 전사유닛(140)의 피드백 전압(THV_READ) 타이밍도의 ff영역과 종래의 도 5a의 (2)의 cc영역을 비교해 보면, 종래에 비해 전사전압 피드백 전압의 전압강하량이 상당히 작아졌다는 사실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전사전압에서 상기 제2전사전압으로 변경하는 시점이 반드 시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상기 전사닙(도 4의 A)으로 진입하는 시점과 일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그들 사이에 약간의 시차가 있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제어부(170)가 제1단위구간(△Y)과 제2단위구간(△X)이 서로 인접한 경우에 각각의 제1현상제 농도 및 제2현상제 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2전사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제2단위구간(△X)이 인접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2전사전압이 인가될 수 있는 조건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2단위구간(△Z)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위구간(△Y)에 대해 인쇄매체(P) 상에서는 상담지체(130)의 원주길이만큼 서로 이격된 화상영역으로 표시된다. 즉, 제1단위구간(△Y) 및 제2단위구간(△Z)은 상담지체(130)의 관점에서 보면 상담지체(130)가 1회전하는 시간간격의 차이를 두고 노광되는 동일한, 즉 서로 중첩되는 구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고스트(도 2(A) 및 도 2(B)의 j)는 진한 블랙이미지가 형성된 상담지체(13)의 일영역이 1 Cycle 회전하여 상기 진한 블랙이미지가 형성되었던 상기 상담지체(13)의 상기 일영역에 그레이색상의 이미지가 형성되는 경우에 특히 잘 나타난다.
따라서, 이렇게 이미지 고스트(도 2(A) 및 도 2(B)의 j)가 나타나기 쉬운 조건은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담지체(130) 표면의 제1단위구간(△Y)의 제1현상제 농도가 제1기준치 이상(이는 상담지체(130) 상의 제1단위구간(△Y)만큼 진한 블랙이미지가 형성됨을 의미함)이면서, 상담지체(130)의 원주길이만큼 이 격된 위치에서의 제2단위구간(△Z)의 제2현상제 농도와 상기 제1현상제 농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농도갭 이상인 경우가 상술한 이미지 고스트(도 2(A) 및 도 2(B)의 j)가 나타나기 쉬운 경우가 된다. 보다 정확하게 말해서, 상기 제1현상제 농도에서 상기 제2현상제 농도를 뺀 값이 상기 기설정된 농도갭 이상인 경우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1현상제 농도가 80%, 상기 제2현상제 농도가 20%, 설정된 농도갭이 50%라고 할 때, 상기 제1현상제 농도에서 상기 제2현상제 농도를 뺀 값(60%)이 상기 농도갭(50%)보다 크기 때문에 이 경우 상술한 이미지 고스트(도 2(A) 및 도 2(B)의 j)가 육안으로 식별되기 쉬운 조건에 해당된다.
상기 제어부(170)는, 그러한 조건이 발생한 경우, 즉, 상기 제1현상제 농도와 상기 제2현상제 농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농도갭 이상인 경우,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상기 전사영역(A)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제2전사전압을 상기 전사유닛(140)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부(1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제1현상제 농도와 상기 제2현상제 농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농도갭 이상인지 여부로 상기 제2전사전압을 인가할 지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느나,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현상제 농도가 제1기준치 이상이고 상기 제2현상제 농도가 제2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제2전사전압을 상기 전사유닛(140)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부(1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2전사전압을 인가하는 조건들을 서로 AND 조건으로 조합하여도 된다. 즉,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현상제 농도가 제1기준치 이상이고 상기 제2현상제 농도가 제2기준치 이하이며, 상기 제1현상제 농도와 상기 제2현상제 농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농도갭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전사전압을 상기 전사유닛(140)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부(1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전사전압(V2)과 상기 제1전사전압(V1)간의 변동전압(△V=V2-V1)은 다음의 표 1과 같이 온도, 습도 및 상기 농도갭에 따라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08050586118-pat00002
농도갭(또는 갭량)이 증가할수록, 즉 제1단위구간(△Y) 및 제2단위구간(△X,△Y)에서의 표면전위 차가 클수록 제2전사전압(V2)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표면전위차가 클 수록, 상기 표면전위차를 상쇄시키기 위해서 큰 전사전압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HH, NN, LL은 각각 화상형성장치(100)의 주위환경이 고온(30℃ 이상) 및 다습(80%)한 경우, 상온(10℃~30℃) 및 중간정도의 습도(20 ~ 80%)인 경우, 저온(10℃ 이하) 및 건조(20% 이하)한 경우를 각각 의미한다.
한편, [표 1]과 같이 온도, 습도 및 상기 농도갭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른 제2전사전압을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의 형태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해 둘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감지된 온도, 습도 및 상기 농도갭에 대응하는 제2전사전압의 값을 상기 룩업테이블을 통해 알아낼 수 있다.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환경의 온도 및 습도가 낮은 조건일수록, 즉 HH에서 LL조건으로 갈수록 상기 제2전사전압은 증가한다.
즉, 상기 제2전사전압은 온도, 습도에 반비례한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의 주위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마련할 수도 있으나, 화상형성장치(100)의 내부 부품 중 전사유닛(140)이 가장 온도/습도에 민감하므로 상기 전사유닛(140)에 테스트 전압을 인가하여 그 저항을 측정하여 그 저항값으로부터 온도/습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다음의 [표 2]는 동일한 흑백화상을 종래의 화상형성장치(1) 및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를 이용하여 인쇄한 결과물을 육안으로 비교하여 평가한 목시 평가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LL"인 외부환경에서, 제1단위구간 및 제2단위구간이 서로 인접하고 그들 구간간의 현상제 농도 차이를 0%에서 99%까지가 가변시키면서 그 출력물을 목시 평가한 것이다.
[표 2]
Figure 112008050586118-pat00003
[표 2]에서 이미지 고스트 Rank는 4에서 1까지의 자연수로 Rank 4, 3, 2, 1은 각각 이미지 고스트가 없는 경우, 이미지 고스트가 보통인 경우, 이미지 고스트가 심한 경우, 이미지 고스트가 아주 심한 경우로 평가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Rank 4 및 3은 목시평가에서 양호(OK)로 Rank 2 및 1은 목시평가에서 불량(NG)으로 판정되었다.
상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고스트 Rank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경우 종래와 비교하여 이미지 고스트가 전혀 없거나 심한 이미지 고스트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와 동일한 화상을 상술한 본원발명의 화상형성장치(100)에 따라 인쇄한 경우의 출력결과물은 각각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A) 및 도 2(B)에서는 육안으로 식별되었던 줄무늬(j), 이미지 고스트가 도 7(A) 및 도 7(B)에서는 식별되지 않 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화상형성장치(100)에 의하면 인쇄화질이 향상됨을 동일한 화상의 출력결과물로부터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고스트는 전위차급변구간(도 3a의 m)을 전사 후에상담지체 상에 잔존하는 정전잠상을 제거하기 위해 제전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거될 수 있으나, 본원발명은 제전기를 추가적으로 배치하지 않고도 제전기를 배치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바, 공간효율성이 높아 제품을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제전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도 4 및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전사유닛(도 4의 140)에 전사전압을 변경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유닛(140)에 제1전사전압을 인가한다(S10).
그 다음에, 상담지체(130) 표면의 단위구간마다의 현상제 농도를 계산한다(S20). 여기서, 상기 현상제 농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원(dimension)만 다를 뿐 정비례관계에 있는 현상제량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여기서, S10단계와 S20단계의 선후는 변경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단위구간(△Y)내의 제1현상제 농도가 제1기준치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0). 여기서, 제1기준치는 미리 설정된 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상담지체(130) 상의 상기 제1단위구간(△Y) 내의 상기 제1현상제 농도가 제1기준치 이상인 경우라면 상기 제1단위구간(△Y)은 흑백화상 인쇄 시에 진한 블랙이미지가 형성될 구간이다. 즉, 상기 제1단위구간(△Y)은 노광유닛(150)에 의해 노광되어 그 표면전위가 상당히 높은(절대값으로는 작은, 예를 들어 -200V) 전위를 띠게 되어 대전유닛(110)에 의해 대전된 표면전위(예를 들어, -700V)와 상당한 전위차를 갖게 되는 구간이다. 여기서, 상기 제1현상제 농도 대신에 제1현상제 량과 차원이 동일하도록 수정된 상기 제1기준치가 비교될 수 있다. 즉, 제1단위구간(△Y)내의 제1현상제 량이 상기 제1기준치이상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만약, 제1기준치 미만인 경우(S30의 NO), 제1전사전압을 유지하여 상기 전사유닛(140)에 계속 제1전사전압을 인가한다(S40).
만약, 상기 제1현상제 농도가 상기 제1기준치 이상인 경우(S30의 YES), 상기 상담지체(130) 표면의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전사영역(A)으로 진입하는 지를 판단한다(S50).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상기 전사영역(A)으로 진입하는 경우(S50의 YES)라면, 제1전사전압 대신에 제2전사전압을 상기 전사유닛(140)에 인가한다(S60).
그 다음에,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상기 전사영역(A)을 통과 완료했는 지를 판단한다(S70).
만약, 통과하기 전이라면(S70의 NO) 계속해서 상기 제2전사전압이 계속 상기 전사유닛(140)에 인가되도록 한다(S60).
만약,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상기 전사영역(A)을 통과한 경우(S70의 YES), 다시 상기 제1전사전압을 상기 전사유닛(140)에 인가한다(S80).
이에 따라, 상기 제1현상제 농도가 높아 대전유닛(110)에 의해 대전된 표면전위와 큰 전위차를 갖게되는 제1단위구간이 전사영역(A)을 통과할 때 제1전사전압보다 큰 제2전사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단위구간을 전후로 상기 상담지체(130)의 표면전위가 급변하는 것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미지 고스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과 비교하여, S30단계 및 S50단계 사이에 제2전사전압을 인가할 시점을 판단하기 위해 S90단계가 더 부가되었다.
즉, 상기 제1단위구간(△Y)내의 제1현상제 농도가 상기 제1기준치이상인 경우(S30의 YES), 상기 제1현상제 농도와 제2단위구간내의 제2현상제 농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농도갭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90).
상기 제1현상제 농도와 상기 제2현상제 농도의 차이가 상기 농도갭 이상이고(S90의 YES),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상기 전사영역에 진입하는 경우(S50의 YES)에 상기 제1전사전압 대신에 상기 제2전사전압을 전사유닛에 인가한다(S60). 나머지 단계는 제1실시예에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S30단계 및 S50단계 사이에 S100단계가 부가되고,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S90단계 대신에 S100단계로 대체된다.
즉, 상기 제1단위구간(△Y)내의 제1현상제 농도가 상기 제1기준치이상인 경우(S30의 YES), 제2단위구간(도 6의 △X, △Z)내의 제2현상제 농도가 제2기준치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00).
상기 제2현상제 농도가 상기 제2기준치 이하인 경우(S100의 YES),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상기 전사영역에 진입하는 경우(S50의 YES)에 상기 제1전사전압 대신에 상기 제2전사전압을 전사유닛에 인가한다(S60).
여기서, 상기 제1단위구간(△Y) 및 제2단위구간(도 6의 △X)은 상기 상담지체(130) 또는 인쇄매체(P) 상에서 서로 인접할 수 있다.
또한, 제2단위구간(도 6의 △Z)과 상기 제1단위구간(도 6의 △Y)은 인쇄매체(P)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상담지체(130)의 원주길이만큼 이격되며, 상기 상담지체(130)를 기준으로 보면 제2단위구간(도 6의 △Z)은 상기 상담지체(130)가 1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단위구간(도 6의 △Y)과 중첩되는 구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S30단계 및 S50단계 사이에 S100 및 S110의 2가지 단계가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1단위구간(△Y)내의 제1현상제 농도가 상기 제1기준치이상인 경 우(S30의 YES), 제2단위구간(도 6의 △X, △Z)내의 제2현상제 농도가 제2기준치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00).
상기 제2현상제 농도가 상기 제2기준치 이하인 경우(S100의 YES), 상기 제1현상제 농도와 상기 제2현상제 농도의 차이가 농도갭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10). 상기 농도갭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값일 수도 있다.
상기 농도차가 상기 농도갭 이상인 경우(S110의 YES),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상기 전사영역에 진입하는 경우(S50의 YES)에 상기 제1전사전압 대신에 상기 제2전사전압을 전사유닛에 인가한다(S6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5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S120, S130 및 S140단계가 추가된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주위온도 및/또는 습도를 감지한다(S120). 별도의 온도센서 및/또는 습도센서를 통해서 온도 및/또는 습도를 직접 감지할 수 있다. 필요에상술한 바와 같이, 전사유닛(140)이 온도 및 습도에 민감하므로 전사유닛(140)에 센싱전압을 인가하여 피드백되는 전압값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전사유닛(140)에 제1전사전압을 인가하며(S10), 상담지체(130) 표면의 단위구간마다의 현상제 농도를 계산한다(S20). 여기서, S120, S10단계 및 S20단계는 어느 순서로 수행되더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1단위구간(△Y)내의 제1현상제 농도가 제1기준치이상인지를 판단하여(S30), 제1기준치 미만인 경우(S30의 NO), 제1전사전압을 유지하여 상기 전사유닛(140)에 계속 제1전사전압을 인가한다(S40).
만약, 상기 제1기준치 이상인 경우(S30의 YES), 상기 상담지체(130) 표면의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전사영역(A)으로 진입하는 경우(S50의 YES), 감지한 온도 또는 습도에 대응하는 제2전사전압을 선택하고(S130), 선택된 제2전사전압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한다(S140).
여기서, 상기 제1전사전압 및 상기 제2전사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사전압도 상기 감지된 온도 및 습도에 따라서 다른 크기의 전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전사전압은 상기 온도 또는 상기 습도에 반비례한다. 즉, 온도 또는 습도가 낮을수록 상기 제2전사전압은 더 커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6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S150 및 S160단계가 추가된 것이다.
즉, 상기 제1단위구간(△Y)내의 제1현상제 농도가 상기 제1기준치이상인 경우(S30의 YES), 상기 제1현상제 농도와 제2단위구간내의 제2현상제 농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농도갭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90).
상기 제1현상제 농도와 상기 제2현상제 농도의 차이가 상기 농도갭 이상이 고(S90의 YES), 상기 제1단위구간(△Y)이 상기 전사영역에 진입하는 경우(S50의 YES)에 상기 농도갭에 대응하는 제2전사전압을 선택한다(S150).
그리고, 상기 선택된 제2전사전압을 상기 전사유닛(140)에 인가한다(S160).
이상에 설명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지 고스트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2전사전압을 인가하기 위할 조건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현상제가 (-)극성으로 대전되는 부대전현상제인 경우이고 이에따라 전사전압은 (+)극성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정대전현상제인 경우 즉, 현상제가 (+)극성으로 대전되고 전사전압은 (-)극성을 갖는 경우도 본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사상이 적용된다. 이때는 상기 제1전사전압과 제2전사전압의 절대값의 크기관계는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사유닛(140)의 전사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전류를 제어하는 정전압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외에도 전사유닛(140)의 전사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정전류방식의 경우도 동일하게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전사전압은 전사전류로 대체되고 그 전류인가방법상술한 전압인가방법과 동일하다. 따라서, 전사전압 또는 전사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전사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통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담지체(130)와 전사유닛(140)이 서로 대향하면서 전사전원의 인가로 발생되는 전계로 인해, 전사닙으로 진입하는 인쇄매체상에 상담지체상의 현상제가 전사되는 방식으로 설명하였다. 이외에도, 상기 실시예의 변형실시예로서, 상담지체가 드럼타입의 감광드럼인 경우나 벨트 타입의 상담지 벨트일 수 있고, 상기 전사유닛(140)가 상술한 롤러 타입외에도 벨트 타입의 전사벨트 인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쇄매체의 현상제가 전사되는 전사면을 기준으로 그 상측에 상담지체가 배치되고 그 하측에 전사유닛(140)이 위치하는 구조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그러한 구조에 국한되지 않고 상담지체(130) 또는 상기 전사유닛(140) 중 어느 하나가 벨트타입으로 구성되어 인쇄매체의 현상제 전사면의 일측에 상기 벨트타입의 상담지체와 전사유닛이 위치하는 구조의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도, 상기 전사유닛에 상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한 방식의 전원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사유닛 및 벨트와 대향되는 위치에 백업롤러가 위치하면서 전사유닛,벨트 및 백업롤러간의 일정한 전사닙을 유지하게 하는 구조에서도 본 발명의 사상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1)의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출력한 출력결과물들을 촬영한 사진,
도 3a는, 종래 화상형성장치(1)를 이용하여 도 2(B)의 이미지를 인쇄하는 경우 도 1의 화상형성장치(1)의 상담지체(13)의 시간에 따른 표면전위의 실측 그래 프,
도 3b는, 종래 화상형성장치(1)를 이용하여 도 2(B)의 이미지를 인쇄하는 경우, 시간에 따른 전사롤러(14)의 피드백전압의 실측 그래프,
도 3c는, 종래 화상형성장치(1)를 이용하여 도 2(B)의 이미지를 인쇄하는 경우, 시간에 따른 전사롤러(14)의 전사전압의 실측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
도 5a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1)의 전사유닛에 인가되는 전사전압(THV) 및 전사유닛(14)의 피드백 전압(THV_READ)의 타이밍도,
도 5b는 도 4의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사유닛에 인가되는 전사전압(THV) 및 전사유닛(140)의 피드백 전압(THV_READ)의 타이밍도,
도 6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상담지체의 표면상의 제1단위구간 및 제2단위구간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도 2(A) 및 도 2(B)와 동일한 화상을 도 4의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출력한 출력물들의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상형성장치 110: 대전유닛
120: 현상유닛 130: 상담지체
140: 전사유닛 150: 노광유닛
160: 전압부 170: 제어부
175: 인터페이스부 180: 정착부
190: 스캐닝부

Claims (26)

  1. 표면에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현상제가 부착되는 상담지체와;
    전사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현상제를 피전사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영역을 형성하는 전사유닛과:
    상기 전사유닛에 전사전원을 인가하는 전압부와;
    상기 상담지체 표면의 단위구간내의 상기 현상제의 량에 기초하여 제1전사전원 또는 제2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담지체 표면의 제1단위구간내의 제1현상제량이 제1기준치이상인 경우, 상기 제1단위구간이 상기 전사영역으로 진입하여 상기 전사영역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제2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도록 하며,
    상기 상담지체 표면의 상기 제1현상제량과 상기 제1단위구간과 다른 위치의 제2단위구간내의 제2현상제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갭량 이상인 경우, 상기 제1단위구간이 상기 전사영역으로 진입하여 상기 전사영역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제2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현상제량과 제2단위구간내의 제2현상제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갭량 이상인 경우, 상기 전사전원을 제1전사전원에서 제2전사전원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전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구간과 상기 제2단위구간은 서로 인접하거나, 상기 제2단위구간이 상기 상담지체가 1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단위구간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온도, 습도 및 상기 갭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제2전사전원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전사전원이 상기 갭량에 비례하거나 상기 제2전사전원이 상기 온도 또는 상기 습도에 반비례하도록 제2전사전원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단위구간내의 제1현상제량이 제1기준치 이상이고 제2단위구간내의 제2현상제량이 제2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단위구간이 상기 전사영역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제2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사전원 및 상기 제2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한 후 제3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사전원과 상기 제3전사전원은 그 크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위구간이 상기 전사영역을 통과한 후, 상기 제1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사전원의 절대값의 크기가 상기 제1전사전원의 그것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사전원 및 상기 제2전사전원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데이터는 비트맵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트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구간내의 상기 현상제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표면에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현상제가 부착되는 상담지체와, 전사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현상제를 피전사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영역을 형성하는 전사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닛에 제1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상담지체 표면의 단위구간내의 상기 현상제의 량에 기초하여 제2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상담지체 표면의 제1단위구간내의 제1현상제량이 제1기준치이상인 경우, 상기 제1단위구간이 상기 전사영역으로 진입하여 상기 전사영역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제2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상담지체 표면의 상기 제1현상제량과 상기 제1단위구간과 다른 위치의 제2단위구간내의 제2현상제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갭량 이상인 경우, 상기 제1단위구간이 상기 전사영역으로 진입하여 상기 전사영역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제2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구간과 상기 제2단위구간은 서로 인접하거나, 상기 제2단위구간이 상기 상담지체가 1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단위구간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온도, 습도 및 상기 갭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제2전사전원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사전원은 상기 갭량에 비례하거나 상기 온도 또는 상기 습도에 반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위구간내의 상기 제1현상제량이 제1기준치 이상이고 상기 제2단위구간내의 상기 제2현상제량이 제2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단위구간이 상기 전사영역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제2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1. 제14항,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사전원 및 상기 제2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한 후 제3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사전원과 상기 제3전사전원은 그 크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3. 제14항,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구간이 상기 전사영역을 통과한 후 다시 상기 제1전사전원을 상기 전사유닛에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4. 제14항,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사전원의 절대값의 크기가 상기 제1전사전원의 그것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5. 제14항,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사전원 및 상기 제2전사전원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6. 제14항,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데이터는 비트맵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비트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구간내의 상기 현상제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80068353A 2008-07-14 2008-07-14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05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353A KR101305506B1 (ko) 2008-07-14 2008-07-14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409,706 US7995937B2 (en) 2008-07-14 2009-03-24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353A KR101305506B1 (ko) 2008-07-14 2008-07-14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36A KR20100007636A (ko) 2010-01-22
KR101305506B1 true KR101305506B1 (ko) 2013-09-05

Family

ID=4150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353A KR101305506B1 (ko) 2008-07-14 2008-07-14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95937B2 (ko)
KR (1) KR1013055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7952A1 (ja) * 2011-04-27 2012-11-01 住友化学株式会社 空気二次電池用正極触媒及び空気二次電池
EP3309883B1 (en) * 2015-06-09 2020-09-30 Nissan Motor Co., Ltd. Solid-oxide fuel cell
JP6662734B2 (ja) * 2016-08-02 2020-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US11747754B2 (en) 2021-06-14 2023-09-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0010A (ja) * 2002-08-30 2004-04-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6145950A (ja) * 2004-11-22 2006-06-0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9631B2 (en) * 2002-08-30 2005-02-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0010A (ja) * 2002-08-30 2004-04-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6145950A (ja) * 2004-11-22 2006-06-0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08682A1 (en) 2010-01-14
US7995937B2 (en) 2011-08-09
KR20100007636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0898B1 (en) Transfer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method
JP6286868B2 (ja) 画像形成装置
US7986889B2 (en) Abnormality detection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7263301B2 (en) Inline purge capability (purge while run) to improve system productivity during low area coverage runs
KR101305506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84639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905602B2 (ja) 画像形成装置
US982982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149512B2 (ja) 画像形成装置
US7187875B2 (en) Image forming device determining components replacement time according to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US961887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mage forming units for forming developer images
US1024143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 improved adjustment patch for toner density adjustment
JP201220317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6071315A (ja) 画像形成装置
JP545323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量算出方法
JP6040624B2 (ja) 画像形成装置
US103244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87329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method thereof
JP2020177161A (ja) 画像形成装置
US789934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veloping bias correcting portion that changes a developing density adjustment pattern
US963903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utilizes an adjustable alternately switching voltage
CN103969978B (zh) 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装置中的图像稳定化控制方法
KR100312724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제어방법
JP499560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26127A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