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140B1 - 곡물국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곡물국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140B1
KR101305140B1 KR1020110076178A KR20110076178A KR101305140B1 KR 101305140 B1 KR101305140 B1 KR 101305140B1 KR 1020110076178 A KR1020110076178 A KR 1020110076178A KR 20110076178 A KR20110076178 A KR 20110076178A KR 101305140 B1 KR101305140 B1 KR 10130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grain powder
frictional resistance
coupled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207A (ko
Inventor
몽 필 김
Original Assignee
몽 필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몽 필 김 filed Critical 몽 필 김
Priority to KR1020110076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1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4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20Extruding machines with w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 곡물국수 제조장치에 의하면, 결합돌기에 결합된 마찰저항 감소부재의 제어편이 압착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압착이송되는 곡물가루를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압착스크류의 회전으로 상승한 곡물가루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편의 제어에 의해 곡물가루가 회전되지 않으면서 성형판 측에 그대로 이송됨으로써 더욱더 향상된 양질의 면발을 제조할 수 있는 곡물국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국수 제조장치{Device manufacturing grain noodles}
본 발명은 곡물국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돌기에 결합된 마찰저항 감소부재의 제어편이 압착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압착이송되는 곡물가루를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곡물가루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며 제어편의 제어에 의해 곡물가루가 회전되지 않으면서 성형판 측에 그대로 이송됨으로써 더욱더 향상된 양질의 면발을 제조할 수 있는 곡물국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는 밀가루를 반죽하여 증숙시킨 후 가느다란 형상의 면발로 성형한 다음 끓는 물에 일정시간 가열하여 국물에 말거나 비벼먹는 음식이다.
국수는 밀가루를 주원료로 하며 국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면발이 만들어지지만 다양한 현대인의 기호에 부응하기 위해 새로운 원료를 사용하여 국수를 제조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 되어 왔으며, 그 결과 현재에는 다양한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각종 국수가 선보이고 있다.
밀가루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을 겨냥하여 다양한 쌀국수 또한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웰빙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밀가루와 쌀 이외에 보리나 메밀 등과 같은 곡물류를 주원료로 한 국수의 소비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국수 제조장치는, 본건 출원인이 10-2011-16466호로 출원하여 제10-1049275호로 곡물국수 제조장치 및 방법이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발명은 투입부를 통해 곡물가루가 압착성형부로 투입되고, 압착성형부로 투입된 곡물가루는 압착스크류에 의해 압착이송되어 성형판을 통과하면서 국수 면발로 성형되며, 성형된 국수 면발은 냉각부에서 공기를 공급하여 면발을 냉각시키고, 냉각된 국수 면발은 코팅부를 통해 밀가루를 1차 및 2차로 코팅시켜 국수 면발을 제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 등록발명은 압착스크류의 회전으로 곡물가루가 이송되면 강한 압착력이 발생하면서 마찰저항이 상승하게 되는데 압착스크류에 결합된 프로펠러형상의 안내부재는 압착스크류와 동일하게 회전하면서 곡물가루를 회전이송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마찰저항을 감소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안내부재를 통해 회전이송되는 곡물가루가 성형판을 직접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성형판이 그 힘을 견디지 못하고 파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압착스크류에 의해 곡물가루가 회전하면서 성형판을 통해 면발이 성형되므로 양질의 면발을 제조할 수 없어 제품의 상품성 및 소비자의 신뢰성을 현저하게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결합돌기에 결합된 마찰저항 감소부재의 제어편이 압착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압착이송되는 곡물가루를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압착스크류의 회전으로 상승한 곡물가루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곡물국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어편의 제어에 의해 곡물가루가 회전되지 않으면서 성형판 측에 그대로 이송됨으로써 더욱더 향상된 양질의 면발을 제조할 수 있어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곡물국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곡물국수 제조장치는,
외주면에 냉각관로가 형성되며 압착부재가 면접촉되도록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 내측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압착부재에 의해 압착되는 곡물가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결합되어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이송관 내부에 투입된 곡물가루를 압착스크류의 회전으로 압착시키면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압착부재와;
상기 압착부재의 전방에 돌출되어 중앙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어 압착스크류에 의해 회전하면서 압착이송되는 곡물가루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곡물가루가 회전하면서 상승한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마찰저항 감소부재와;
상기 이송관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압착부재에 의해 압착된 곡물가루를 다수의 면발로 성형하는 성형판과;
상기 이송관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송관을 폐쇄시키는 커버가 구비되는 압착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결합돌기에 결합된 마찰저항 감소부재의 제어편이 압착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압착이송되는 곡물가루를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압착스크류의 회전으로 상승한 곡물가루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제어편의 제어에 의해 곡물가루가 회전되지 않으면서 성형판 측에 그대로 이송됨으로써 양질의 면발을 제조할 수 있어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곡물국수 제조장치의 측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마찰저항 감소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마찰저항 감소부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압착성형부가 작용된 곡물국수 제조장치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곡물국수 제조장치에 곡물가루를 투입한 상태의 측면구성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 압착성형부의 작동상태도
도 9 내지 도 13은 개폐부의 작동상태도
도 14는 냉각부의 평단면도
도 15 내지 도 16은 코팅부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곡물국수 제조장치의 측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마찰저항 감소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마찰저항 감소부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압착성형부가 작용된 곡물국수 제조장치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 곡물국수 제조장치(100)는, 외주면에 냉각관로(191a)가 형성되며 압착부재(194)가 면접촉되도록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이송관(191)이 구성되고, 상기 이송관(191) 내측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압착부재(194)에 의해 압착되는 곡물가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192)가 구성되며, 상기 이송관(191)의 일측에 결합되어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193)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193)에 결합되어 이송관(191) 내부에 투입된 곡물가루를 압착스크류(194a)의 회전으로 압착시키면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압착부재(194)가 구성되며, 상기 압착부재(194)의 전방에 돌출되어 중앙에 결합홈(195a)이 형성되는 결합돌기(195)가 구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95)에 결합되어 압착스크류(194a)에 의해 회전하면서 압착이송되는 곡물가루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곡물가루가 회전하면서 상승한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마찰저항 감소부재(196)가 구성되며, 상기 이송관(191)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압착부재(194)에 의해 압착된 곡물가루를 다수의 면발로 성형하는 성형판(197)이 구성되고, 상기 이송관(191)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송관(191)을 폐쇄시키는 커버(198)가 구성되는 압착성형부(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마찰저항 감소부재(196)는, 일측이 내측으로 요입되어 결합돌기(195)에 결합되는 몸체(196a)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96a)의 일측에 돌출되어 결합홈(195a)에 결합되는 안내축(196b)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196a)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압착스크류(194a)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송되는 곡물가루를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제어편(196c)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몸체(196a)의 직경은 곡물가루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압착스크류(194a)의 골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편(196c)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저항 감소부재(196)는 압착스크류(194a)에 의해 곡물가루가 압착되면서 이송되면 그 압착력에 의해 제어편(196c)을 가압하여 몸체(196a)와 결합돌기(195)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하게 분쇄된 곡물가루를 투입부(110)의 호퍼(111)에 투입하게 되면,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112)가 곡물가루를 이송하여 압착성형부(190)의 이송관(191) 내부로 투입시킨다.
곡물가루가 압착성형부(190)에 투입되면 모터(M1)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압착스크류(194a)가 이송관(191)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며, 이송관(191) 내부의 곡물가루는 압착스크류(194a)에 의해 서서히 압착되면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성형부(190)의 선단은 저장부(160) 측의 하부을 향하며, 후단은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평상태보다 곡물가루의 안내를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스크류(194a)의 회전에 의해 고밀도로 압착되는 곡물가루는 압착스크류(194a)의 나선을 따라 선단 측으로 이송되면서 마찰저항이 급격하게 상승하게 된다.
이때, 곡물가루는 20~90℃의 고열을 발생하게 되며 평균 70℃의 온도로 압착되어 반숙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압착스크류(194a)에 의해 고밀도로 압착되면서 이송되는 곡물가루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저항 감소부재(196) 측으로 회전되면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마찰저항 감소부재(196)의 몸체(196a)는 압착스크류(194a)의 골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압착스크류의 회전시 곡물가루가 부하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마찰저항 감소부재(196)의 몸체(196a)는 제어편(196c)을 가압한 거리만큼 압착스크류(194a)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돌기(195)에서 이격되어 간극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간극에는 압착된 상태의 곡물가루가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압착스크류(194a)에 의해 회전되면서 마찰저항 감소부재(196) 측으로 압착이송되는 곡물가루는 마찰저항 감소부재(196)의 제어편(196c)에 의해 회전력을 상실하게 되며 회전력을 상실한 곡물가루는 회전시보다 마찰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제어편(196c)은 압착스크류(194a)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가루의 양과 압착력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도 있으며, 곡물가루의 양이 많거나 강한 압착력이 발생할 경우에는 제어편(196c)이 회전하지 않고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어편(196c)은 곡물가루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회전상태에서 발생하는 곡물가루의 강한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국수 면발을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어편(196c)의 제어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가루는 이송관(191)의 선단부에 결합된 성형판(197) 측으로 이송되며, 상기 이송관(191) 내주면에는 가이드돌기(192)가 형성되어 있어 반숙상태의 곡물가루를 원활하게 안내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압착되는 반숙상태의 곡물가루에 의해 이송관(191)은 소정온도로 뜨거워지게 된다.
상기 이송관(191)에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이송관(191)의 외주면에 형성된 냉각관로(191a)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이송관(191)에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숙상태의 곡물가루는 성형판(197)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197a)을 통해 면발을 성형하게 되며, 상기 구멍(197a)은 성형판(197)의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두께가 일정한 면발을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곡물가루의 압착과정에서 발생하는 높은 압착력은 이송관(191)과 결합된 커버(198)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이송관(191)과 커버(198)와의 결합력이 중요하며, 상기 이송관(191)의 선단부에는 이송관(191)을 견고하게 폐쇄하도록 개폐부(1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198)의 폐쇄과정을 살펴보면,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레버(133)가 상부를 향하도록 회전시킨 후, 축(198a)을 중심으로 커버(198)를 상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커버(198)에 형성된 작동공(132)에 개폐레버(133)가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개폐레버(133)를 회전시키게 되면 커버(198)의 선단부에 밀착되되 개폐레버(133)의 지지편(133a)이 커버(198)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까지만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커버(198)가 이송관(191)에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베어링(135)에 의해 공회전하는 회전조절부재(134)를 회전시키게 되면 개폐레버(133)는 회전조절부재(134)에 더욱더 긴밀하게 체결되면서 커버(198)를 더욱 견고하게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커버(198)의 개방과정은 폐쇄과정의 역순으로 실시하여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면발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부(150)가 고정된 저장부(160)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냉각부(140)에서는 모터(M2)의 구동으로 블로어팬(142)이 회전하면서 고온의 면발에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여 냉각시키게 되며, 작동레버(143a)를 조작함으로써 공기조절 블레이드(143b)의 회전에 따라 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블로어팬(142)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풍향조절이 가능하며, 조절레버(144a)의 작동으로 풍향조절 블레이드(144b)의 회전에 따라 풍향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냉각된 면발은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부(150)의 일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코팅부(150)의 내측에서 모터(M3)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쉬(152)는 저장몸체(151)의 내주면에 돌출된 돌기(155)에 의해 변형 및 복원되면서 저장몸체(151)에 저장되어 있던 밀가루를 튕겨주게 되고, 이렇게 튕겨지는 밀가루는 통공(153)을 통해 저장몸체(151) 외부로 비산되면서 면발에 1차 코팅하게 된다.
상기 모터(M3)는 분당 회전수를 조절하여 브러쉬(152)가 돌기(155)에 의해 밀가루를 튕겨주는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통공(153)을 통해 비산되는 밀가루의 비산량 및 관통공(154)을 통해 뿌려지는 밀가루의 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1차 코팅된 면발은 계속해서 낙하하게 되고, 저장부(160) 측으로 낙하하는 면발에는 브러쉬(152)의 회전으로 관통공(154)을 통해 뿌려지는 밀가루가 면발의 표면에 묻으면서 2차 코팅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팅부(150)에서 비산되거나 뿌려지는 밀가루 중에 면발에 묻지 않은 밀가루는 저장부(160)에 그대로 떨어져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160)로 떨어져 저장되는 밀가루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저장부(160)의 일측에 구비된 배출부(170)의 배출부재(171)에 밀가루를 담아 슬라이드시켜 외부로 배출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곡물국수 제조장치 110: 투입부
111: 호퍼 112: 이송스크류
130: 개폐부 131: 지지부재
131: 지지부재 132: 작동공
133: 개폐레버 134: 회전조절부재
135: 베어링 140: 냉각부
141: 하우징 142: 블로어팬
143: 공기공급부재 144: 풍향조절부재
150: 코팅부 151: 저장몸체
152: 브러쉬 153: 통공
154: 관통공 155: 돌기
160: 저장부 170: 배출부
171: 배출부재 180: 가이드판
190: 압착성형부 191: 이송관
192: 가이드돌기 193: 회전축
194: 압착부재 195: 결합돌기
196: 마찰저항 감소부재 196a: 몸체
196b: 안내축 196c: 제어편

Claims (5)

  1. 외주면에 냉각관로가 형성되며 압착부재가 면접촉되도록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 내측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압착부재에 의해 압착되는 곡물가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결합되어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이송관 내부에 투입된 곡물가루를 압착스크류의 회전으로 압착시키면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압착부재와;
    상기 압착부재의 전방에 돌출되어 중앙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어 압착스크류에 의해 회전하면서 압착이송되는 곡물가루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곡물가루가 회전하면서 상승한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마찰저항 감소부재와;
    상기 이송관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압착부재에 의해 압착된 곡물가루를 다수의 면발로 성형하는 성형판과;
    상기 이송관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송관을 폐쇄시키는 커버가 구비되는 압착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국수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찰저항 감소부재는,
    일측이 내측으로 요입되어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결합홈에 결합되는 안내축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압착스크류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송되는 곡물가루를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제어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국수 제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직경은 곡물가루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압착스크류의 골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국수 제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편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국수 제조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항 감소부재는 압착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곡물가루가 압착되면서 이송되면 그 압착력에 의해 제어편을 가압하여 몸체와 결합돌기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국수 제조장치.
KR1020110076178A 2011-07-29 2011-07-29 곡물국수 제조장치 KR101305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178A KR101305140B1 (ko) 2011-07-29 2011-07-29 곡물국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178A KR101305140B1 (ko) 2011-07-29 2011-07-29 곡물국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207A KR20130014207A (ko) 2013-02-07
KR101305140B1 true KR101305140B1 (ko) 2013-09-05

Family

ID=4789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178A KR101305140B1 (ko) 2011-07-29 2011-07-29 곡물국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1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746B1 (ko) * 2015-08-11 2016-01-21 이규복 곡물국수용 제면장치
CN110771646A (zh) * 2019-11-20 2020-02-11 谭爱平 一种桃酥绿豆糕自动成型机
EP4201208A1 (fr) * 2021-12-22 2023-06-28 Pastificio della Mamma Procédé de fabrication de pâtes fraiches, précuites ou cuit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8811A (ko) * 2004-12-17 2006-06-21 신대수 제면기의 반죽 압출판
KR101049275B1 (ko) * 2010-12-27 2011-07-14 몽 필 김 곡물국수 제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8811A (ko) * 2004-12-17 2006-06-21 신대수 제면기의 반죽 압출판
KR101049275B1 (ko) * 2010-12-27 2011-07-14 몽 필 김 곡물국수 제조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746B1 (ko) * 2015-08-11 2016-01-21 이규복 곡물국수용 제면장치
CN110771646A (zh) * 2019-11-20 2020-02-11 谭爱平 一种桃酥绿豆糕自动成型机
CN110771646B (zh) * 2019-11-20 2021-10-08 谭爱平 一种桃酥绿豆糕自动成型机
EP4201208A1 (fr) * 2021-12-22 2023-06-28 Pastificio della Mamma Procédé de fabrication de pâtes fraiches, précuites ou cuites
BE1030077B1 (fr) * 2021-12-22 2023-07-19 Pastificio Della Mamma Procédé de fabrication de pâtes fraiches, précuites ou cui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207A (ko)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140B1 (ko) 곡물국수 제조장치
JP2011120511A (ja) 包皮食品製造装置
CN204317473U (zh) 滚筒加料机
CN109602059A (zh) 一种可循环利用裹粉料的食品裹粉装置
KR101049275B1 (ko) 곡물국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159438B1 (ko)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130110405A (ko) 쌀면발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쌀면발
JP2011010553A (ja) 米飯成形装置
KR101225107B1 (ko) 곡물국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379756B1 (ko) 납작한 프레이크 제조장치
CN205756925U (zh) 一种面条自动加工装置的压面机构
KR20120003533A (ko) 메주 성형기
KR100896008B1 (ko) 떡 제조장치
KR101372228B1 (ko) 압출형 제면 방법
CN106311379B (zh) 一种大麦脱壳系统及采用此脱壳系统的脱壳方法
KR101173086B1 (ko) 익힌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JP5815201B2 (ja) 押出式製麺機
KR20160069873A (ko) 만두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0935807B1 (ko) 떡 제조장치
KR20220155751A (ko) 면류 제조장치
KR102271987B1 (ko) 면 또는 떡 제조 장치의 결합 구조
KR20180001258A (ko) 일밥 성형장치
CN207476809U (zh) 一种滚圆机
CN206980663U (zh) 一种新型营养饲料混合机
CN205922836U (zh) 一种饲料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