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030B1 - 주차지역 내 차량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지역 내 차량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030B1
KR101305030B1 KR1020110125472A KR20110125472A KR101305030B1 KR 101305030 B1 KR101305030 B1 KR 101305030B1 KR 1020110125472 A KR1020110125472 A KR 1020110125472A KR 20110125472 A KR20110125472 A KR 20110125472A KR 101305030 B1 KR101305030 B1 KR 101305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information provid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9481A (ko
Inventor
이재관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25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030B1/ko
Publication of KR2013005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 B60Q9/004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using wave sensors
    • B60Q9/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using wave sensors using a distance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 B60Q9/004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using wave sensors
    • B60Q9/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using wave sensors using a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전용 인디게이터 또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노매딕 장치와 연동하여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위하여,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외부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및 상기 정보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차량외부 정보를 처리하여 무선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차량 외부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인 노매딕 장치(nomadic device)로 상기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전자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차지역 내 차량 경보 시스템{Vehicle Alarm system in parking lot}
본 발명은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주차지역 내 차량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은 초음파 또는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운행을 할 때 보행자 또는 장애물을 인식하고 상대거리에 따른 위험도에 맞추어 경보음과 영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차량에 미리 장착되어 제공되고, 차량경보시스템이 인식한 정보는 운전자의 시각 또는 청각에 의해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은 차량에 고정되어 장착되므로 차량 운전자가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나아가, 주차지역 내 차량 경보시스템의 제작업체에 의해 미리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므로, 주차지역 내 차량 경보시스템을 사용하는 차량 운전자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전용 인디게이터 또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노매딕 장치(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와 연동하여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외부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및 상기 정보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차량외부 정보를 처리하여 무선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차량 외부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인 노매딕 장치(nomadic device)로 상기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전자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무선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 및 상기 무선신호를 상기 노매딕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정보제공부 및 상기 마이콤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송부는 통신방식으로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및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정보제공부의 구동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정보제공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부는 2 와이어 또는 3 와이어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부는 보행자 또는 사물을 인식할 때 디지털 방식의 신호처리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부는 차량용 네트워크 규격인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차량 외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차량 외부의 보행자 또는 사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외부정보를 제공하는 초음파 센서부; 및 상기 초음파 센서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차량 외부정보를 처리하여 무선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전자제어부; 상기 차량 외부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로서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노매딕 장치(nomadic device);를 포함하는,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전용 인디게이터 또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노매딕 장치(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와 연동하여 경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노매딕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개방형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 앱 등)를 이용한 다양한 그래픽 및 음원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언급되는 마이콤이란 대부분의 전자제품에 채용되 전자제품의 두뇌 역할을 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말하며, 롬(ROM) 또는 램(RAM) 회로까지 내장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콤은 초소형컴퓨터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원칩(One Chip) 컴퓨터로 불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언급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s) 모듈이란 그래픽을 통해 인간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 적절한 조치를 바로 취할 수 있도록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술을 말하며, 이러한 그래픽을 통한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에 의해 프로세스를 간편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경보시스템(100)의 개략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경보시스템(100)은 정보제공부(110) 및 전자제어부(120)를 포함하며, 정보제공부(110)는 초음파센서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제어부(120)는 정보제공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외부 정보를 처리하여 무선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무선신호는 상기 차량외부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인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과 같은 노매딕 장치(nomadic device)로 보내질 수 있다.
이때 노매딕 장치(190)로 무선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전자제어부(120)는 무선전송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송부(130)는 통신방식으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는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 및 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뜻하며 차량 내 노매딕 장치(190)와 차량경보시스템(100)과의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일 수 있다. 지그비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를 말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NFC)은 기기들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단거리 고대역폭 통신 기술로서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둘은 블루투스와 마찬가지로 노매딕 장치(190)와 차량경보 시스템(100)과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무선전송부(130)의 통신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노매딕 장치(190)로 무선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통신방식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전자제어부(120)는 무선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마이콤(140)을 구비할 수 있다. 마이콤(140)은 위에서 설명한 무선전송부(1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통신방식을 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마이콤(150)은 정보제공부(110)가 제공하는 보행자 및 장애물의 유무에 따라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펄스생성부(160)가 구동 펄스를 발생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상황에서만 초음파센서부(115)가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전자제어부(120)는 정보제공부(110) 및 상기 마이콤(140)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150) 전자제어부(120)에 포함되지 않고 정보제공부(11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정보제공부(110) 또는 전자제어부(120)의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제어부(120)는, 정보제공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70) 및 증폭부(170)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18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마이콤(140)에서 정보제공부(110)를 구동시키기 위해 펄스생성부(160)에 제어신호를 보내고 나면, 펄스생성부(160)에서는 구동 펄스가 발생하게 되고, 정보제공부(110)에 포함된 초음파센서부(115)에서는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초음파는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오게 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를 증폭부(170)를 통해 증폭시킬 수 있다. 증폭된 초음파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필터링부(180)를 거쳐 마이콤(140)에 전달될 수 있고, 마이콤(140)은 무선전송부(130)를 통해 무선신호를 발생시켜 차량외부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HMI 모듈인 노매딕 장치(190)로 상기 무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초음파센서부(115)를 포함하는 정보제공부(110)는 2 와이어 또는 3 와이어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110)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초음파센서(115)가 오프(off) 상태라고 해도 최소 운영 전류를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전류는 잔류 전류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 전류는 센서가 다른 부하에 직접 연결되어있는 경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온(On) 상태를 유지하여 전력을 낭비할 수 있다. 따라서 2 와이어 또는 3 와이어 방식의 센서를 사용하게 되면 초음파센서(115)의 오작동을 막을 수 있고, 낭비되는 전력 또한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정보제공부(110)는 보행자 또는 사물을 인식할 때 디지털 방식의 신호처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식의 신호처리를 이용하는 초음파센서(115)의 경우 아날로그 방식의 신호처리를 하는 센서와 달리 증폭부(170) 또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부와의 결선이 제거되어 기존에 문제가 되었던 노이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센서(115)와 증폭부(170)가 한 모듈안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확장성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정보제공부(110)는 차량용 네트워크 규격인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LIN은 차량에서의 분산된 전자 시스템을 위한 저비용의 직렬 통신 시스템으로 현존하는 자동 다중화 네트워크를 보완할 수 있다. 이 규격에는 프로토콜과 물리 계층의 정의와 더불어 개발도구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대한 인터페이스 정의도 들어있다. 따라서 정보제공부(110)에 포함된 초음파센서(115)의 비용절감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형성된 차량경보시스템(100)은 전자제어부(120)와 정보제공부(110)가 멀리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빠르게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연산부담을 덜어주어 효과적으로 다른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별도의 전용 인디게이터 또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친숙한 스마트폰 및 테블릿 PC 등과 같은 노매딕 장치(190)와 연동하여 경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노매딕 장치(190)를 사용함으로써 개개인에 취향에 맞는 개방형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하면서도 안전한 그래픽 및 음원을 구현할 수 있다.
노매딕 장치(19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노매딕 장치(190)는 스마트폰 및 테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HMI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물의 유무는 물론이고, 단계별로 장애물과의 거리를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원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를 표시해줄 수도 있다.
이러한 노매딕 장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서 그 동작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각자의 개성에 맞게 설정된 디스플레이와 음원을 통해 사용자가 차량접근 및 보행자의 유무 등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청각 장애인의 경우 자기에게 알맞게 설정된 문자 또는 그래픽을 통해서 더욱더 안전하게 주행이 가능하며, 개개인에게 꼭 맞는 주차안전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경보시스템(102)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경보시스템(102)은 정보제공부(110) 및 전자제어부(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110)는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센서부(115)외에 카메라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센서부(115)와 카메라부(116)는 전자제어부(120)에 포함되어 있는 펄스생성부(16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밖에 전자제어부(120)는 무선전송부(130), 마이콤(140), 전원공급부(150), 증폭부(170) 및 필터링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16)를 제외한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제공부(110)는 카메라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16)는 차량에 장착되어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은 직접 또는 영상신호로 가공하는 단계를 거쳐 무선전송부(130)에 의해 노매딕 장치(190)로 전송될 수 있다. 무선 전송부의 통신방식으로는 블루투스, 지그비 및 근거리 무선 통신(NF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가공된 영상신호 등을 노매딕 장치(190)로 보낼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차량경보시스템은 차량이 주차지역 내에 주차하는 과정에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차량이 도로상에서 이동을 목적으로 주행하는 과정에서도 작동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2: 차량경보시스템 110: 정보제공부
115: 초음파 센서부 116: 카메라부
120: 전자제어부 130: 무선전송부
140: 마이콤 150: 전원공급부
160: 펄스생성부 170: 증폭부
180: 필터링부 190: 노매딕 장치

Claims (12)

  1.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외부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및
    상기 정보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차량외부 정보를 처리하여 무선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차량 외부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인 노매딕 장치(nomadic device)로 상기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전자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정보제공부의 구동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생성부를 포함하는,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무선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 및
    상기 무선신호를 상기 노매딕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전송부;
    를 포함하는,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정보제공부 및 상기 마이콤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송부는 통신방식으로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및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
  5.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외부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및
    상기 정보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차량외부 정보를 처리하여 무선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차량 외부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인 노매딕 장치(nomadic device)로 상기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전자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정보제공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정보제공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를 더 포함하는,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는 2 와이어 또는 3 와이어 방식을 포함하는,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는 보행자 또는 사물을 인식할 때 디지털 방식의 신호처리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는 차량용 네트워크 규격인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차량 외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차량 외부의 보행자 또는 사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
  11.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외부정보를 제공하는 초음파 센서부; 및
    상기 초음파 센서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차량 외부정보를 처리하여 무선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전자제어부;
    상기 차량 외부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로서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노매딕 장치(nomadic device);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부의 구동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생성부를 포함하는,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
  12.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외부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및
    상기 정보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차량외부 정보를 처리하여 무선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차량 외부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인 노매딕 장치(nomadic device)로 상기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전자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제공부는 2 와이어 또는 3 와이어 방식을 포함하는, 주차지역 내 차량경보시스템.
KR1020110125472A 2011-11-29 2011-11-29 주차지역 내 차량 경보 시스템 KR101305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472A KR101305030B1 (ko) 2011-11-29 2011-11-29 주차지역 내 차량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472A KR101305030B1 (ko) 2011-11-29 2011-11-29 주차지역 내 차량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481A KR20130059481A (ko) 2013-06-07
KR101305030B1 true KR101305030B1 (ko) 2013-09-06

Family

ID=4885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472A KR101305030B1 (ko) 2011-11-29 2011-11-29 주차지역 내 차량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0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803A (ko) * 2006-12-13 2008-06-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후방 차량 알림 방법 및 시스템
KR101010124B1 (ko) * 2010-07-13 2011-01-24 주식회사 하이홈티비 스마트 에코 하이브리드 통신을 이용한 차량운행 블랙박스 및 이를 통한 멀티모드 구동방법
KR20120117442A (ko) * 2011-04-15 2012-10-2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휴대용 운행상태 판단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803A (ko) * 2006-12-13 2008-06-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후방 차량 알림 방법 및 시스템
KR101010124B1 (ko) * 2010-07-13 2011-01-24 주식회사 하이홈티비 스마트 에코 하이브리드 통신을 이용한 차량운행 블랙박스 및 이를 통한 멀티모드 구동방법
KR20120117442A (ko) * 2011-04-15 2012-10-2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휴대용 운행상태 판단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481A (ko) 201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3381B2 (en) Phone docking station mounted on a vehicle for enhanced driving safety
AU2014377550B2 (en) Vehicle control system
KR101478951B1 (ko) 비가청 근접 경고 신호 발생을 통한 보행자 안전 알림 방법 및 시스템
CN104508720A (zh) 驾驶辅助装置
EP2546813A1 (en) Home surveillance device
RU2018126632A (ru) Система для централь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одним или несколькими кранами
TWI452542B (zh) 可即時發送警告資訊的電子裝置、方法及防盜監控系統
CN203698211U (zh) 一种基于zigbee通信的车载监控防盗装置
US9640076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a vehicle
KR20160011342A (ko)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KR20140007051A (ko) 휴대단말기 도난방지 시스템 및 도난방지장치
CN104118394A (zh) 利用汽车导航拍照防盗的方法
KR101305030B1 (ko) 주차지역 내 차량 경보 시스템
CN202389340U (zh) 一种无线警示灯
TWI586569B (zh) 車載(行車)資訊整合界面
CN103593885A (zh) 行车辅助装置及其事故通报方法
KR101874123B1 (ko) 차량 및 이와 통신하는 휴대 단말기
KR20170074102A (ko) 차량용 스마트 키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00819A (ko) 자동차 정지선 지킴이 시스템
CN204442568U (zh) 一种可视门铃对讲机
KR101440353B1 (ko) 거치대 및 유선으로 외장형모뎀과 연결되는 블랙박스를 갖는 블랙박스장치
KR2017008815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조 신호 송신이 가능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KR101850250B1 (ko)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56092B1 (ko) 애플리케이션 연동 차량용 초음파 센서 모듈 및 그에 의한 차량 탐지 방법
CN202014334U (zh) 远程无线监控视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