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024B1 - 틸트및좌우조절부 및 지게차용 조이스틱 - Google Patents

틸트및좌우조절부 및 지게차용 조이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024B1
KR101305024B1 KR1020130048167A KR20130048167A KR101305024B1 KR 101305024 B1 KR101305024 B1 KR 101305024B1 KR 1020130048167 A KR1020130048167 A KR 1020130048167A KR 20130048167 A KR20130048167 A KR 20130048167A KR 101305024 B1 KR101305024 B1 KR 101305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adjustment
control
elastic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주
Original Assignee
동서콘트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콘트롤(주) filed Critical 동서콘트롤(주)
Priority to KR1020130048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홀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무접점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게차용 조이스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조이스틱은 제1홀센서를 이용하여 상하조절자석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포크의 수직으로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상하조절부; 전후진조절홀센서를 이용하여 전후진조절자석의 좌우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지게차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는 전후진조절부; 제3홀센서를 이용하여 틸트및좌우조절부자석의 편심된 방향을 감지하여 포크의 틸트 및 포크의 좌우이동을 제어하는 틸트및좌우조절부; 상기 상하조절부, 상기 전후진조절부 및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부를 지지하며 결합하는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틸트및좌우조절부 및 지게차용 조이스틱 { Tilt-left and right hand side control and joystick for forklift truck }
본 발명은 틸트및좌우조절부 및 지게차용 조이스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는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게차는 화물을 지지하는 포크를 갖는 보드조립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보드조립체의 후방에는 차체에 설치된 캐리지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보드조립체는 그 상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보드조립체의 회동, 즉, 틸트(tilt)는 차체 또는 캐리지조립체에 연설된 틸트실린더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지게차는 포크를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포크를 앞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뒤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포크를 수직으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지게차를 자체적으로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지게차 내부에 조이스틱이 설치될 수 있다.
종래의 조이스틱은 굴착기나 크레인 및 지게차와 같은 건설기계를 조작하는 장치로서 사용되어 왔다. 조이스틱 장치는 유압 굴착기나 크레인 및 지게차와 같은 건설장비에 구비되어 각종 액추에이더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한편, 홀센서는 인접배치된 자석이 가까워지면 자장이 증가하여 온(ON)상태가 되고, 자석이 멀어져 자장이 감소하면 오프(OFF)상태가 되는 자석의 가까짐과 멀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일종의 전압센서이다.
종래의 지게차용 조이스틱은 금속 등의 직접 접촉하는 접점방식에 의해서 원하는 기능들의 신호를 받아 들였으나 이럴 경우 접촉에 의해서 스파크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인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았다.
또한, 작동 소음이 발생하고 먼지등이 이물질이 쌓이게 되어 접점간 접점이상이 발생하게 되어 오동작이 발생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홀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무접점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게차용 조이스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홀센서를 이용하여 상하조절자석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포크의 수직으로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상하조절부; 전후진조절홀센서를 이용하여 전후진조절자석의 좌우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지게차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는 전후진조절부; 제3홀센서를 이용하여 틸트및좌우조절부자석의 편심된 방향을 감지하여 포크의 틸트 및 포크의 좌우이동을 제어하는 틸트및좌우조절부; 상기 상하조절부, 상기 전후진조절부 및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부를 지지하며 결합하는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포함하는 지게차용 조이스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조절부는 상기 상하조절자석이 일측에 삽입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상하조절회전부; 상기 상하조절회전부의 상부의 일측에 결합하는 상하조절용캡; 상기 상하조절회전부의 제1스프링제1결합봉의 일측에 삽입되며 양단이 상하조절용회전부몸체의 내부원주방향의 일측에 형성된 제1스프링걸림턱에 겹합되며 상기 상하회전조절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상하조절자석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상기 제1홀센서가 상부에 형성된 상하조절PCB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상하조절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제2몸체의 제1스프링이동부에 의해서 제1스프링에 외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눌려지며 지게차의 포크의 좌우로의 이동을 표시한 좌우방향표시 및 지게차 포크의 상하로의 틸트방향을 표시한 틸트방향표시가 표시된 조절버튼; 상기 조절버튼이 중공부에 삽입되며 틸트좌우조절몸체의 상부와 결합하는 틸트및좌우조절캡; 중앙에 조절버튼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버튼이 관통하며 상기 조절버튼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이동제한부; 상기 조절버튼이 네가지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압축되며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조절버튼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공급부; 상기 조절버튼의 하부의 중앙에 삽입되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틸트및좌우조절부자석;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부자석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편심된 방향을 감지하여 조절버튼의 네가지 방향 중 특정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3홀센서를 포함하는 틸트및좌우조절부PCB 및 상기 이동제한부, 상기 탄성공급부를 삽입하여 지지하며 상부에 상기 틸트및좌우조절캡이 결합하고, 하부 일측에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부PCB가 결합하는 틸트및좌우조절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부는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몸체의 하부에 결합하는 틸트및좌우조절몸체 하부결합부; 상기 틸트및좌우조절캡의 하부 및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몸체의 상부 사이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결합링; 상기 이동제한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에 원주방향을 중심으로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버튼이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를 통하여 관통하는 틸트및좌우조절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제한부는 이동제한부의 회전축삽입홀에 이동제한부회전축이 삽입되어 관통되며, 상기 이동제한부의 이동제한봉삽입홀에 이동제한봉이 삽입되고, 상기 이동제한부의 상기 이동제한부회전축은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이동제한부 회전축 삽입홀에 삽입지지되며, 상기 이동제한봉은 상기 조절버튼에 형성된 상기 회전봉삽입홀에 삽입관통되며, 포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조절버튼을 포크의 좌우표시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조절버튼은 상기 이동제한부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제한부는 이동제한부의 회전축삽입홀에 이동제한부회전축이 삽입되어 관통되며, 상기 이동제한부의 이동제한봉삽입홀에 이동제한봉이 삽입되고, 상기 이동제한부의 상기 이동제한부회전축은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이동제한부 회전축 삽입홀에 삽입지지되며, 상기 이동제한봉은 상기 조절버튼에 형성된 상기 회전봉삽입홀에 삽입관통되며, 포크를 한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틸트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조절버튼을 포크의 틸트표시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조절버튼은 상기 이동제한봉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공급부는 탄성지지부의 중앙에 탄성공급부 조절버튼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버튼이 관통하며, 상기 탄성지지부 내부에 상기 탄성삽입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각각 대응하여 제1탄성이동부, 제2탄성이동부, 제3탄성이동부 및 제4탄성이동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탄성이동부의 일측에는 제1탄성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제2탄성이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2탄성스프링이 결합되며, 상기 제3탄성이동부의 일측에는 제3탄성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제4탄성이동부의 일측에는 제4탄성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진조절부는 결합부몸체의 일측에 제1결합부가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몸체의 타측에 제2결합부가 결합하며, 상기 결합부몸체의 각각 일측에 제1토션스프링 이동제한부 및 제2토션스프링 이동제한부가 형성된 전후진조절부 몸체; 상기 전후진조절부 몸체의 상기 제1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1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토션스프링결합체; 상기 전후진조절부 몸체의 상기 제2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2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제2토션스프링결합체; 상기 전후진조절부 몸체의 제2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전후진조절자석이 삽입된 전후진조절자석지지부 및 상부에 상기 전후진조절홀센서가 형성된 전후진조절PC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진조절부는 상기 전후진조절부 몸체의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하는 제1지지베어링 및 상기 전후진조절부 몸체의 상기 제2결합부에 결합하는 제2지지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서 눌려지며 지게차의 포크의 좌우로의 이동을 표시한 좌우표시 및 지게차 포크의 상하로의 틸트방향을 표시한 틸트방향표시가 표시된 조절버튼; 상기 조절버튼이 중공부에 삽입되며 틸트좌우조절몸체의 상부와 결합하는 틸트및좌우조절캡; 중앙에 조절버튼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버튼이 관통하며 상기 조절버튼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이동제한부; 상기 조절버튼이 네가지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압축되며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조절버튼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공급부; 상기 조절버튼의 하부의 중앙에 삽입되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틸트및좌우조절부자석;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부자석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편심된 방향을 감지하여 조절버튼의 네가지 방향 중 특정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3홀센서를 포함하는 틸트및좌우조절부PCB 및 상기 이동제한부, 상기 탄성공급부를 삽입하여 지지하며 상부에 상기 틸트및좌우조절캡이 결합하고, 하부 일측에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부PCB가 결합하는 틸트및좌우조절몸체를 포함하는 틸트및좌우조절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조이스틱은 홀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무접점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조이스틱은 접점방식에 비하여 소리발생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조이스틱은 스파크발생을 제거할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조이스틱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조이스틱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몸체 및 제2몸체가 결합된 결합체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하부에서 바라본 상하조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측면에서 바라본 상하조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상하조절용 회전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조이스틱에서 제2몸체가 분해된 전체사시도이다.
도 8은 제1몸체에 결합된 전후진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전후진조절PCB에 대한 전체사시도이다.
도 11은 틸트및좌우조절부에 대한 전체사시도이다.
도 12는 틸트및좌우조절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탄성삽입홈에 제1탄성이동부, 제2탄성이동부, 제3탄성이동부 및 제4탄성이동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틸트및좌우조절몸체에 틸트및좌우조절몸체 하부결합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는 틸트및좌우조절몸체에 틸트및좌우조절부PCB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틸트및좌우조절부PCB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조이스틱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조이스틱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몸체 및 제2몸체가 결합된 결합체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하부에서 바라본 상하조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측면에서 바라본 상하조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상하조절용 회전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조이스틱에서 제2몸체가 분해된 전체사시도이다. 도 8은 제1몸체에 결합된 전후진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전후진조절PCB에 대한 전체사시도이다. 도 11은 틸트및좌우조절부에 대한 전체사시도이다. 도 12는 틸트및좌우조절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탄성삽입홈에 제1탄성이동부, 제2탄성이동부, 제3탄성이동부 및 제4탄성이동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틸트및좌우조절몸체에 틸트및좌우조절몸체 하부결합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는 틸트및좌우조절몸체에 틸트및좌우조절부PCB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도 16은 틸트및좌우조절부PCB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조이스틱은 포크의 수직으로의 상하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포크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상하조절부(100), 지게차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는 전후진조절부(200), 포크의 틸트 및 포크의 좌우이동을 제어하는 틸트및좌우조절부(300)와 상하조절부(100), 전후진조절부(200) 및 틸트및좌우조절부(300)를 지지하며 결합하는 제1몸체(400) 및 제2몸체(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조절부(100)는 포크의 상하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하조절부(100)의 일측은 제1몸체(400)의 상하조절부 삽입부(460)의 일측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하조절부(100)의 상하조절용회전부(120)는 상하조절용캡 결합부 삽입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호조절용캡 결합부 삽입홀(121)에 제2몸체(500)의 상하조절용캡 결합부(510)가 관통될 수 있다. 상하조절용 회전부 몸체(127)의 일측에는 제1스프링제1결합봉(1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프링제1결합봉(124)에 제1스프링(140)이 삽입될 수 있다. 제1스프링(140)의 양측 일단은 상하조절용회전부몸체(127)의 내부원주방향의 일측에 형성된 제1스프링걸림턱(128)에 접촉지지될 수 있다. 상하조절용 회전부 몸체(127)의 일측에는 상하조절이동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에서 사용자가 상하조절이동부(122)에 외력을 가하여 상하조절이동부(122)를 회전시킬 경우, 상하조절용 회전부(120)는 제2몸체(500)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몸체(500)의 제1스프링이동부(520)는 제1스프링(140)의 양단과 제1스프링걸림턱(128)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하조절용 회전부(120)가 회전함에 따라서 제2몸체(500)의 제1스프링이동부(520)가 제1스프링(140)의 일단에 접촉하여 제1스프링(140)의 일단을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제1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하조절이동부(122)의 위치는 원상복귀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프링결합봉(124)의 일측에는 상하조절자석결합부지지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하조절자석결합부지지부(125)에 상하조절자석결합부(150)가 결합할 수 있다. 상하조절자석결합부지지부(125)의 일측에는 상하조절자석삽입홀(126)이 형성되어 상하조절자석(170)이 삽입될 수 있다. 상하조절자석결합부(150)에 상하조절자석(170)이 삽입되는 상하조절자석결합부결합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하조절PCB(110)는 제2몸체(500)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고, 상하조절PCB(110)의 일측에는 제1홀센서(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홀센서(111)는 상하조절용회전부(120)에 결합된 상하조절자석(170)의 회전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상하조절용캡(130)은 상하조절용회전부(12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홀삽입부(160)는 상하조절용캡(130)의 상하조절부결합홀(132)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홀삽입부(160)의 내부에는 결합홀삽입부관통홀(161)이 형성되어 상하조절용회전부(120)의 조절캡결합돌기(123)가 삽입될 수 있다.
상하조절용캡(130)은 볼트 등이 삽입되어 제2몸체(500)의 상하조절용캡 결합부(510)에 볼트결합될 수 있다. 상하조절용회전부(120)의 상하조절이동부(122)의 일측은 상하조절용캡(130)의 상하조절용회전부이동홀(131)에 삽입되어 상하조절용회전부이동홀(131) 사이의 공간에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전후진조절부(200)의 일측은 제1몸체(400)의 일측 하부에 결합하며 타측은 제2몸체(500)의 일측하부와 결합할 수 있다. 전후진조절부(200)의 전후진조절부 몸체(240)는 결합부몸체(243)의 일측에 제1결합부(242)가 결합하고, 결합부몸체(243)의 타측에 제2결합부(241)가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몸체(243)의 양측에는 각각 제1토션스프링 이동제한부(245) 및 제2토션스프링 이동제한부(24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전후진조절부 몸체(240)의 제1결합부(242)에는 제1토션스프링결합체(230)가 결합될 수 있다. 전후진조절부 몸체(240)의 제2결합부(241)에는 제2토션스프링결합체(26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토션스프링결합체(230)는 제1토션스프링 제1지지부(231) 및 제1토션스프링 제2지지부(233)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토션스프링 제1지지부(231) 및 제1토션스프링 제2지지부(233)의 원통형 외부에 제1토션스프링(232)이 결합될 수 있다.
제1토션스프링(232)의 일측은 제1토션스프링 제1지지부(231)의 일측에 형성된 제1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31a)에 걸리게 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1토션스프링(232)의 타측은 제1토션스프링 제2지지부(233)의 일측에 형성된 제1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33a)에 걸리게 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1토션스프링결합체(230)가 전후진조절부 몸체(240)의 제1결합부(242)에 결합될 때, 제1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31a)의 일측은 제1토션스프링이동제한부(245)의 일측과 접촉할 수 있다. 제1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33a)의 일측은 제1토션스프링이동제한부(245)의 타측과 접촉할 수 있다.
제1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31a)의 일측이 제1토션스프링이동제한부(245)의 일측과 접촉하고, 제1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33a)의 일측이 제1토션스프링이동제한부(245)의 타측과 접촉함에 따라서, 제1토션스프링(232)에 의해서 제공되는 탄성력이 제한되어, 제1토션스프링결합체(230)가 전후진조절부 몸체(240)의 제1결합부(242)에 결합될 때, 제1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31a)과 제1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33a) 사이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제1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31a)과 제1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33a)사이의 공간에 제2몸체(5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제1토션스프링걸림턱(54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몸체(400) 및 제2몸체(500)의 결합체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 제1몸체(400)쪽으로 전후진조절부 몸체(240)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1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31a)은 제1토션스프링 이동제한부(245)에 의해서 이동이 제한되고, 제1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33a)은 제1토션스프링걸림턱(540)에 의해서 외력이 전달되어 제1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33a)은 제1몸체(400)쪽으로 전후진조절부 몸체(24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제1토션스프링(232)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1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33a)은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몸체(400) 및 제2몸체(500)의 결합체도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제1몸체(400) 및 제2몸체(500)의 결합체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 제2몸체(500)쪽으로 전후진조절부 몸체(240)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1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33a)은 제1토션스프링 이동제한부(245)에 의해서 이동이 제한되고, 제1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31a)은 제1토션스프링걸림턱(540)에 의해서 외력이 전달되어 제1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31a)은 제2몸체(500)쪽으로 전후진조절부 몸체(24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제1토션스프링(232)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1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31a)은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몸체(400) 및 제2몸체(500)의 결합체도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제2토션스프링결합체(260)는 제2토션스프링 제1지지부(261) 및 제2토션스프링 제2지지부(263)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토션스프링 제1지지부(261) 및 제2토션스프링 제2지지부(263)의 원통형 외부에 제2토션스프링(262)이 결합될 수 있다.
제2토션스프링(262)의 일측은 제2토션스프링 제1지지부(261)의 일측에 형성된 제2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61a)에 걸리게 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2토션스프링(262)의 타측은 제2토션스프링 제2지지부(263)의 일측에 형성된 제2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63a)에 걸리게 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2토션스프링결합체(260)가 전후진조절부 몸체(240)의 제2결합부(241)에 결합될 때, 제2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61a)의 일측은 제2토션스프링이동제한부(244)의 일측과 접촉할 수 있다. 제2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63a)의 일측은 제2토션스프링이동제한부(244)의 타측과 접촉할 수 있다.
제2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61a)의 일측이 제2토션스프링이동제한부(245)의 일측과 접촉하고, 제2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63a)의 일측이 제2토션스프링이동제한부(244)의 타측과 접촉함에 따라서, 제2토션스프링(262)에 의해서 제공되는 탄성력이 제한되어, 제2토션스프링결합체(260)가 전후진조절부 몸체(240)의 제2결합부(241)에 결합될 때, 제2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61a)과 제2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63a) 사이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제2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61a)과 제2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63a) 사이의 공간에 제2몸체(5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제2토션스프링걸림턱(55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몸체(400) 및 제2몸체(500)의 결합체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 제1몸체(400)쪽으로 전후진조절부 몸체(240)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2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61a)은 제2토션스프링 이동제한부(244)에 의해서 이동이 제한되고, 제2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63a)은 제2토션스프링걸림턱(550)에 의해서 외력이 전달되어 제2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63a)은 제1몸체(400)쪽으로 전후진조절부 몸체(24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제2토션스프링(262)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2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63a)은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몸체(400) 및 제2몸체(500)의 결합체도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제1몸체(400) 및 제2몸체(500)의 결합체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 제2몸체(500)쪽으로 전후진조절부 몸체(240)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2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263a)은 제2토션스프링 이동제한부(244)에 의해서 이동이 제한되고, 제2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61a)은 제2토션스프링걸림턱(550)에 의해서 외력이 전달되어 제2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61a)은 제2몸체(500)쪽으로 전후진조절부 몸체(24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제2토션스프링(262)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2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261a)은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몸체(400) 및 제2몸체(500)의 결합체도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제1지지베어링(220)은 전후진조절부 몸체(240)의 제1결합부(24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지지베어링(250)은 전후진조절부 몸체(240)의 제2결합부(24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베어링(220) 및 제2지지베어링(250)은 전후진조절부 몸체(240)가 제1몸체(400) 및 제2몸체(500)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전후진조절부 몸체(240)가 제1몸체(400) 및 제2몸체(50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후진조절자석지지부(270)는 제2지지베어링(250) 및 제2토션스프링결합체(260)사이에 위치하며, 전후진조절부 몸체(240)의 제2결합부(24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전후진조절자석지지부(270)의 원통형 외부 표면 일측에는 전후진조절자석(271)이 삽입되어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링(210)은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침입을 막기 위해서 전후진조절부 몸체(240)의 제1결합부(242)에 삽입결합될 수 있다.
전후진조절PCB(280)는 제1몸체(4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전후진조절 PCB삽입부(410)에 삽입될 수 있다. 전후진조절PCB(280)의 상부에는 전후진조절자석(271)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1몸체(400) 및 제2몸체(500)의 회전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전후진조절홀센서(28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400) 및 제2몸체(500)가 전후진조절부몸체(240)를 중심으로 좌우로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함에 따라서, 제1몸체(400)의 전후진조절 PCB삽입부(410)에 삽입된 전후진조절PCB(280)가 전후진조절부몸체(240)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전후진조절PCB(280)가 좌우로 회전함에 따라서 전후진조절홀센서(281)에서 전후진조절자석(271)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틸트및좌우조절부(300)는 제2몸체(500)의 틸트및좌우조절부 관통홀(530)을 관통하여 제1몸체(400)의 틸트및좌우조절부 삽입부(440)의 일측에 삽입되어 제1몸체(400) 및 제2몸체(50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틸트및좌우조절부(300)는 사용자에 의해서 눌려지며 지게차의 포크의 좌우로의 이동을 표시한 좌우방향표시 및 지게차 포크의 상하로의 틸트방향을 표시한 틸트방향표시가 표시된 조절버튼(310), 조절버튼(310)이 중공부에 삽입되며 틸트좌우조절몸체(320)의 상부와 결합하는 틸트및좌우조절캡(330), 틸트및좌우조절캡(330)의 하부 및 틸트및좌우조절몸체(320)의 상부 사이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결합링(340), 이동제한부(360)의 상부에 위치하고 고무와 같은 연질재료로 만들어지며 상부에 원주방향을 중심으로 주름이 형성되며 조절버튼(310)이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를 통하여 관통하며 틸트및좌우조절캡(330)의 하부 및 틸트및좌우조절몸체(320)의 상부 사이에 삽입되는 틸트및좌우조절덮개(350)를 포함할 수 있다.
틸트및좌우조절캡(330)의 일측에는 틸트및좌우조절캡 결합부(331)가 형성되어 틸트및좌우조절몸체(20)의 일측에 형성된 조절캡결합돌기(322)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틸트및좌우조절부(300)는 중앙에 조절버튼관통홀(365)이 형성되어 조절버튼(310)이 관통하며 조절버튼(31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이동제한부(360), 조절버튼(310)이 네가지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압축되며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조절버튼(310)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공급부(370), 조절버튼(310)의 하부의 중앙에 삽입되며 S극와 N극이 상하로 결합하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틸트및좌우조절부자석(380), 틸트및좌우조절몸체(320)의 하부에 결합하는 틸트및좌우조절몸체 하부결합부(390), 틸트및좌우조절부자석(38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편심된 방향을 감지하여 조절버튼(310)의 네가지 방향 중 특정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3홀센서(391a)를 포함하는 틸트및좌우조절부PCB(391)를 포함할 수 있다. 틸트및좌우조절부PCB(391)는 틸트및좌우조절몸체 하부결합부(390)의 하부에 위치하며 틸트및좌우조절부PCB(391)는 볼트 결합에 의해서 틸트및좌우조절몸체 하부결합부(390)와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이동제한부(360)의 회전축삽입홀(364)에 이동제한부회전축(361)이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다. 이동제한부(360)의 이동제한봉삽입홀(363)에 이동제한봉(362)이 삽입될 수 있다. 이동제한부(360)의 이동제한부 회전축(361)은 틸트및좌우조절몸체(320)의 상부에 형성된 이동제한부 회전축 삽입홀(321)에 삽입지지될 수 있다. 이동제한봉(362)은 조절버튼(310)에 형성된 회전봉삽입홀(311)에 삽입관통될 수 있다. 포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절버튼(310)을 포크의 좌우표시방향으로 이동할 때, 조절버튼(310)은 이동제한부회전축(36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이동제한봉(362)은 틸트및좌우조절몸체(320)의 측면에 접촉하여 조절버튼(310)의 좌우표시방향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포크를 한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틸트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절버튼(310)을 포크의 틸트표시방향으로 이동할 때, 조절버튼(310)은 이동제한봉(36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조절버튼(310)은 이동제한부 몸체(366)에 형성된 조절버튼관통홀(365)에 삽입되므로, 조절버튼(310)은 이동제한부 몸체(366)의 측면에 접촉하여 조절버튼(310)의 틸트표시방향으로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탄성공급부(370)는 탄성지지부(379)의 중앙에 탄성공급부 조절버튼 관통홀(379b)이 형성되어 조절버튼(310)이 관통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379) 내부에 탄성삽입홈(379a)이 복수개 형성되어 각각 대응하여 제1탄성이동부(371), 제2탄성이동부(373), 제3탄성이동부(373) 및 제4탄성이동부(374)가 삽입될 수 있다. 제1탄성이동부(371)의 일측에는 제1탄성스프링(375)가 결합될 수 있다. 제2탄성이동부(372)의 일측에는 제2탄성스프링(376)이 결합될 수 있다. 제3탄성이동부(373)의 일측에는 제3탄성스프링(377)이 결합될 수 있다. 제4탄성이동부(374)의 일측에는 제4탄성스프링(378)이 결합될 수 있다.
제1탄성이동부(371), 제2탄성이동부(372), 제3탄성이동부(373) 및 제4탄성이동부(374) 각각은 일측에 제1탄성스프링(375), 제2탄성스프링(376), 제3탄성스프링(377) 및 제4탄성스프링(378)에 의해서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 조절버튼(310)에 외력이 작용하여 제1탄성이동부(371), 제2탄성이동부(372), 제3탄성이동부(373) 및 제4탄성이동부(374)가 이동하여 제1탄성스프링(375), 제2탄성스프링(376), 제3탄성스프링(377) 및 제4탄성스프링(378)이 압축된 후 조절버튼(310)에 외력이 제거되면 제1탄성스프링(375), 제2탄성스프링(376), 제3탄성스프링(377) 및 제4탄성스프링(378)의 복원력에 의해서 각각 제1탄성이동부(371), 제2탄성이동부(372), 제3탄성이동부(373) 및 제4탄성이동부(374)가 이동하여 조절버튼(310)의 위치를 원상복구시킬 수 있다.
한편, 또한, 지게차용 조이스틱은 경적을 울리기 위한 경적버튼(600), 포크를 뒤로 이동시키기 위한 포크인버튼(700) 및 지게차의 포트를 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포크아웃버튼(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적버튼(600)은 제1몸체(400)의 경적버튼 삽입부(450)에 삽입되어 제1몸체(400)에 결합될 수 있다. 포크인버튼(700)은 제1몸체(400)의 포크인버튼 삽입부(400)에 삽입되어 제1몸체 및 제2몸체(500)와 결합될 수 있다. 포크아웃버튼(800)은 포크아웃버튼 삽입부(430)에 삽입되어 제1몸체 및 제2몸체(5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지게차용 조이스틱 100 : 상하조절부
110 : 상하조절PCB 111 : 제1홀센서
120 : 상하조절용회전부 121 : 상하조절용캡 결합부 삽입홀
122 : 상하조절이동부 123 : 조절캡결합돌기
124 : 제1스프링제1결합봉 125 : 상하조절자석결합부 지지부
126 : 상하조절자석 삽입홀 127 : 상하조절용 회전부 몸체
128 : 제1스프링 걸림턱 130 : 상하조절용캡
131 : 상하조절용회전부 이동홀 132 : 상하조절부 결합홀
140 : 제1스프링 150 : 상하조절자석결합부
151 : 상하조절자석결합부결합홀 160 : 결합홀 삽입부
161 : 결합홀 삽입부 관통홀 170 : 상하조절자석
200 : 전후진조절부 210 : 결합링
220 : 제1지지베어링 230 : 제1토션스프링 결합체
231 : 제1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231a : 제1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
232 : 제1토션스프링 233 : 제1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233a : 제1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 234 : 제1토션스프링 관통홀
240 : 전후진조절부 몸체 241 : 제2결합부
242 : 제1결합부 243 : 결합부몸체
244 : 제2토션스프링 이동제한부 245 : 제1토션스프링 이동제한부
250 : 제2지지베어링 260 : 제2토션스프링 결합체
261 : 제2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261a : 제2토션스프링 제1지지부 걸림턱
262 : 제2토션스프링 263 : 제2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263a : 제2토션스프링 제2지지부 걸림턱 264 : 제2토션스프링 관통홀
270 : 전후진조절자석지지부 271 : 전후진조절자석
280 : 전후진조절PCB 281 : 전후진조절홀센서
300 : 틸트및좌우조절부 310 : 조절버튼
311 : 회전봉삽입홀 320 : 틸트및좌우조절몸체
321 : 이동제한부 회전축 삽입홀 322 : 조절캡 결합돌기
330 : 틸트및좌우조절캡 331 : 틸트및좌우조절캡 결합부
340 : 결합링 350 : 틸트및좌우조절덮개
360 : 이동제한부 361 : 이동제한부회전축
362 : 이동제한봉 363 : 이동제한봉삽입홀
364 : 회전축삽입홀 365 : 조절버튼관통홀
366 : 이동제한부 몸체 370 : 탄성공급부
371 : 제1탄성이동부 372 : 제2탄성이동부
373 : 제3탄성이동부 374 : 제4탄성이동부
375 : 제1탄성스프링 376 : 제2탄성스프링
377 : 제3탄성스프링 378 : 제4탄성스프링
379 : 탄성지지부 379a : 탄성삽입홈
379b : 탄성공급부 조절버튼 관통홀 380 : 틸트및좌우조절부자석
390 : 틸트및좌우조절몸체 하부결합부 391 : 틸트및좌우조절부PCB
391a : 제3홀센서 400 : 제1몸체
410 : 전후진조절PCB 삽입부 420 : 포크인버튼 삽입부
430 : 포크아웃버튼 삽입부 440 : 틸트및좌우조절부 삽입부
450 : 경적버튼 삽입부 460 : 상하조절부 삽입부
500 : 제2몸체 510 : 상하조절용캡 결합부
520 : 제1스프링 이동부 530 : 틸트및좌우조절부관통홀
540 : 제1토션스프링 걸림턱 550 : 제2토션스프링 걸림턱
600 : 경적버튼 700 : 포크인버튼
800 : 포크아웃버튼

Claims (10)

  1. 제1홀센서를 이용하여 상하조절자석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포크의 수직으로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상하조절부;
    전후진조절홀센서를 이용하여 전후진조절자석의 좌우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지게차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는 전후진조절부;
    제3홀센서를 이용하여 틸트및좌우조절부자석의 편심된 방향을 감지하여 포크의 틸트 및 포크의 좌우이동을 제어하는 틸트및좌우조절부;
    상기 상하조절부, 상기 전후진조절부 및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부를 지지하며 결합하는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진조절부는,
    결합부몸체의 일측에 제1결합부가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몸체의 타측에 제2결합부가 결합하며, 상기 결합부몸체의 각각 일측에 제1토션스프링 이동제한부 및 제2토션스프링 이동제한부가 형성된 전후진조절부 몸체;
    상기 전후진조절부 몸체의 상기 제1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1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토션스프링결합체;
    상기 전후진조절부 몸체의 상기 제2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2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제2토션스프링결합체;
    상기 전후진조절부 몸체의 제2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전후진조절자석이 삽입된 전후진조절자석지지부 및
    상부에 상기 전후진조절홀센서가 형성된 전후진조절PCB를 포함하는 지게차용 조이스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조절부는,
    상기 상하조절자석이 일측에 삽입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상하조절회전부;
    상기 상하조절회전부의 상부의 일측에 결합하는 상하조절용캡;
    상기 상하조절회전부의 제1스프링제1결합봉의 일측에 삽입되며 양단이 상하조절용회전부몸체의 내부원주방향의 일측에 형성된 제1스프링걸림턱에 겹합되며 상기 상하조절회전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상하조절자석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상기 제1홀센서가 상부에 형성된 상하조절PCB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상하조절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제2몸체의 제1스프링이동부에 의해서 제1스프링에 외력이 전달되는 지게차용 조이스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눌려지며 지게차의 포크의 좌우로의 이동을 표시한 좌우방향표시 및 지게차 포크의 상하로의 틸트방향을 표시한 틸트방향표시가 표시된 조절버튼;
    상기 조절버튼이 중공부에 삽입되며 틸트좌우조절몸체의 상부와 결합하는 틸트및좌우조절캡;
    중앙에 조절버튼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버튼이 관통하며 상기 조절버튼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이동제한부;
    상기 조절버튼이 네가지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압축되며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조절버튼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공급부;
    상기 조절버튼의 하부의 중앙에 삽입되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틸트및좌우조절부자석;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부자석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편심된 방향을 감지하여 조절버튼의 네가지 방향 중 특정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3홀센서를 포함하는 틸트및좌우조절부PCB 및
    상기 이동제한부, 상기 탄성공급부를 삽입하여 지지하며 상부에 상기 틸트및좌우조절캡이 결합하고, 하부 일측에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부PCB가 결합하는 틸트및좌우조절몸체를 포함하는 지게차용 조이스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부는,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몸체의 하부에 결합하는 틸트및좌우조절몸체 하부결합부;
    상기 틸트및좌우조절캡의 하부 및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몸체의 상부 사이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결합링;
    상기 이동제한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에 원주방향을 중심으로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버튼이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를 통하여 관통하는 틸트및좌우조절덮개를 더 포함하는 지게차용 조이스틱.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이동제한부의 회전축삽입홀에 이동제한부회전축이 삽입되어 관통되며, 상기 이동제한부의 이동제한봉삽입홀에 이동제한봉이 삽입되고, 상기 이동제한부의 상기 이동제한부회전축은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이동제한부 회전축 삽입홀에 삽입지지되며, 상기 이동제한봉은 상기 조절버튼에 형성된 회전봉삽입홀에 삽입관통되며,
    포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조절버튼을 포크의 좌우표시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조절버튼은 상기 이동제한부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게차용 조이스틱.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이동제한부의 회전축삽입홀에 이동제한부회전축이 삽입되어 관통되며, 상기 이동제한부의 이동제한봉삽입홀에 이동제한봉이 삽입되고, 상기 이동제한부의 상기 이동제한부회전축은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이동제한부 회전축 삽입홀에 삽입지지되며, 상기 이동제한봉은 상기 조절버튼에 형성된 회전봉삽입홀에 삽입관통되며,
    포크를 한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틸트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조절버튼을 포크의 틸트표시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조절버튼은 상기 이동제한봉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게차용 조이스틱.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공급부는 탄성지지부의 중앙에 탄성공급부 조절버튼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버튼이 관통하며,
    상기 탄성지지부 내부에 탄성삽입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각각 대응하여 제1탄성이동부, 제2탄성이동부, 제3탄성이동부 및 제4탄성이동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탄성이동부의 일측에는 제1탄성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제2탄성이동부의 일측에는 제2탄성스프링이 결합되며, 상기 제3탄성이동부의 일측에는 제3탄성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제4탄성이동부의 일측에는 제4탄성스프링이 결합되는 지게차용 조이스틱.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조절부는,
    상기 전후진조절부 몸체의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하는 제1지지베어링 및
    상기 전후진조절부 몸체의 상기 제2결합부에 결합하는 제2지지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지게차용 조이스틱.
  10. 사용자에 의해서 눌려지며 지게차의 포크의 좌우로의 이동을 표시한 좌우표시 및 지게차 포크의 상하로의 틸트방향을 표시한 틸트방향표시가 표시된 조절버튼;
    상기 조절버튼이 중공부에 삽입되며 틸트좌우조절몸체의 상부와 결합하는 틸트및좌우조절캡;
    중앙에 조절버튼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버튼이 관통하며 상기 조절버튼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이동제한부;
    상기 조절버튼이 네가지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압축되며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조절버튼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공급부;
    상기 조절버튼의 하부의 중앙에 삽입되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틸트및좌우조절부자석;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부자석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편심된 방향을 감지하여 조절버튼의 네가지 방향 중 특정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3홀센서를 포함하는 틸트및좌우조절부PCB 및
    상기 이동제한부, 상기 탄성공급부를 삽입하여 지지하며 상부에 상기 틸트및좌우조절캡이 결합하고, 하부 일측에 상기 틸트및좌우조절부PCB가 결합하는 틸트및좌우조절몸체를 포함하는 틸트및좌우조절부
KR1020130048167A 2013-04-30 2013-04-30 틸트및좌우조절부 및 지게차용 조이스틱 KR101305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167A KR101305024B1 (ko) 2013-04-30 2013-04-30 틸트및좌우조절부 및 지게차용 조이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167A KR101305024B1 (ko) 2013-04-30 2013-04-30 틸트및좌우조절부 및 지게차용 조이스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024B1 true KR101305024B1 (ko) 2013-09-06

Family

ID=4945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167A KR101305024B1 (ko) 2013-04-30 2013-04-30 틸트및좌우조절부 및 지게차용 조이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94809A1 (en) * 2019-10-01 2021-04-01 Toyota Industrial Equipment Mfg., Inc. Multi-function user interface for a forklif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240A (ko) * 2001-06-01 2002-12-11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조이스틱 장치
KR20100046756A (ko) * 2008-10-28 2010-05-07 동서콘트롤(주) 비접촉식 각도센서가 내장된 다이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240A (ko) * 2001-06-01 2002-12-11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조이스틱 장치
KR20100046756A (ko) * 2008-10-28 2010-05-07 동서콘트롤(주) 비접촉식 각도센서가 내장된 다이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94809A1 (en) * 2019-10-01 2021-04-01 Toyota Industrial Equipment Mfg., Inc. Multi-function user interface for a forklif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5043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EP3446952B1 (en) General-purpose six-legged walking robot, and main structure thereof
JP5936255B2 (ja) 入力装置
CN104412195B (zh) 多功能操作装置,尤其对于交通工具组件
US9793076B2 (en) Switching operating arrangement
JP2007052792A (ja) 磁気制御装置
CN104106020B (zh) 操作元件及具有该操作元件的机动车
KR102331623B1 (ko) 배전선로 안정화 시스템
US20120260760A1 (en) Joystick device
KR101305024B1 (ko) 틸트및좌우조절부 및 지게차용 조이스틱
JP2007107696A (ja) レバー位置検出機能付パイロットバルブ
CN103878752A (zh) 具有开关装置的工具机
CN210691142U (zh) 杆输入装置
EP1801686B2 (en) Working vehicle including a control lever unit
JP2014092898A (ja) 作業機の操作レバー装置
WO2017217322A1 (ja) 電気レバー装置
KR20130097480A (ko) 회전 조향이 가능한 차량용 선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5941276B2 (ja) 多方向入力装置
CN207382122U (zh) 位置记忆电机及座椅总成
KR101777946B1 (ko) 로봇의 관절 구조물
KR101837442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101459322B1 (ko) 조작레버의 제한장치
JP2005254442A (ja) 工具折損検出装置
JP2020161419A (ja) 建設機械用ペダルスイッチ及び建設機械
CN108632517B (zh) 一种稳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