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983B1 -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증강 방법 - Google Patents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증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983B1
KR101304983B1 KR1020110093386A KR20110093386A KR101304983B1 KR 101304983 B1 KR101304983 B1 KR 101304983B1 KR 1020110093386 A KR1020110093386 A KR 1020110093386A KR 20110093386 A KR20110093386 A KR 20110093386A KR 101304983 B1 KR101304983 B1 KR 101304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immune
vaccine
immunity
immune enhan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946A (ko
Inventor
김종만
강보규
문형준
황정민
염민주
손동현
한상윤
이윤진
선보현
Original Assignee
녹십자수의약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녹십자수의약품(주) filed Critical 녹십자수의약품(주)
Priority to KR1020110093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983B1/ko
Publication of KR20130029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 증강 활성이 있는 균체 및 분비단백을 이용하여 동물의 면역능을 비특이적으로 향상시키며, 불활화백신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백신의 면역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한 동물용 면역증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증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약독화생백신보다 면역원성이 낮은 불활화백신의 효능을 향상시켜 동물의 질병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증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양축농가의 가축질병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증강 방법{COMPOSITION FOR IMMUNE ENHANCEMENT AND IMMUNITY ENHANC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면역 증강 활성이 있는 균체 및 분비단백을 이용하여 동물의 면역능을 비특이적으로 향상시키며, 불활화백신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백신의 면역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한 동물용 면역증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증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물의 병원체 감염에 대한 저항성 즉, 면역능은 동물 체내에 있는 각종 면역세포의 활성과 특정 병원체에 대한 면역 상태에 따라 좌우된다. 면역세포 중에서 호중구, 대식구, 수지상세포 등의 탐식세포들은 외부에서 침입하는 병원체를 비특이적으로 탐식, 제거하는 면역의 1차 방어선 역할을 하며, T 세포, B 세포 등은 체액성 면역 반응과 세포성 면역 반응인 특이면역반응을 담당하면서 1차방어선에서 저지하지 못한 병원체를 면역반응을 통하여 제어하는 면역의 2차방어선을 담당한다. 따라서, 비특이적인 면역을 담당하는 탐식세포와 특이면역을 담당하는 림프구 등이 면역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되며 이들이 최적의 조화를 이룰 때 동물 건강도 최상으로 유지하게 된다.
동물용 면역증강 조성물은 국내, 외에서 여러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원료로 사용하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면역증강 활성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동물에 적용하는데 있어서도 면역증강을 통한 질병치료, 예방용보다는 젖소의 체세포수 감소제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의 다국적 기업에서는 백신의 효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회사의 비방으로 면역 증강제용 조성물은 항원보강제(adjuvant)에 첨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면역 증강용 조성물의 종류, 백신항원의 종류, 항원보강제 종류, 목적동물에 따라 효과가 다양하고 오히려 백신의 면역효과를 감소시키거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백신보강제에 첨가하여 모든 불활화백신에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불활화백신에 널리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면역 증강 효과가 우수한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증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르데텔라 퍼투시스(Bordetella pertussis) 및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코완 Ⅰ(Staphylococcus aureus Cowan Ⅰ)으로부터 제조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면역 증강용 조성물에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보르데텔라 퍼투시스(Bordetella pertussis)는 보르데텔라 퍼투시스(Bordetella pertussis)의 분비독소단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코완 Ⅰ(Staphylococcus aureus Cowan Ⅰ)은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코완 Ⅰ(Staphylococcus aureus Cowan Ⅰ)의 균체 및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코완 Ⅰ의 분비단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은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의 용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의 용균체는 0.01~10mg/ml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불활화백신에 본 발명의 상기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첨가한 후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면역 증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면역 증강용 조성물은 불활화백신 100중량부 당 5~15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약독화생백신보다 면역원성이 낮은 불활화백신의 효능을 향상시켜 동물의 질병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증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양축농가의 가축질병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 처리로 인한 면역세포의 TNF-alpha 생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1은 배지 단독 처리군, #2는 NP 1.0mg/ml 처리군, #3은 NP 2.0mg/ml 처리군, #4는 NP 1.5mg/ml 처리군, #5는 NP 3mg/ml 처리군, #6은 본 발명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 처리군, #7은 시판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처리군, #8은 LPS 10ng 처리군, 및 #9는 LPS 100ng 처리군을 각각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보르데텔라 퍼투시스(Bordetella pertussis) 및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코완 Ⅰ(Staphylococcus aureus Cowan Ⅰ)으로부터 제조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면역 증강용 조성물에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보르데텔라 퍼투시스(Bordetella pertussis)는 보르데텔라 퍼투시스(Bordetella pertussis)의 분비독소단백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로서, 보르데텔라 퍼투시스(Bordetella pertussis)의 분비독소단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BHI 브로스(broth)에서 배양하여 포르말린을 첨가하함으로써 균주와 분비독소단백을 불활화시킨다. 공지된 배양시험 등을 통하여 균주와 분비독소단백의 불활화를 확인한 후,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을 수집하고, 암모늄 설페이트(ammonium sulfate)를 과포화가 진행될 때까지 첨가한다. 그 후 저온에서 정치하여 형성된 단백질 성분을 다시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수집하고, PBS로 부유시킨다. 상기 부유물은 단백질 정제용 투석막을 이용하여 증류수에서 투석하여 순수한 분비독소단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코완 Ⅰ(Staphylococcus aureus Cowan Ⅰ)은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코완 Ⅰ(Staphylococcus aureus Cowan Ⅰ)의 균체 및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코완 Ⅰ의 분비단백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로서,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코완 Ⅰ(Staphylococcus aureus Cowan Ⅰ)의 균체 및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코완 Ⅰ의 분비단백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코완 Ⅰ(Staphylococcus aureus Cowan Ⅰ)의 균체는 BHI 브로스에서 배양한 균체 배양액을 열처리하고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인 균체의 무게를 측정하고 적당량의 PBS에 부유시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코완 Ⅰ의 분비단백은 BHI 브로스에서 배양한 균체 배양액을 열처리하고 원심분리한 원심 상층액에 암모늄 설페이트(ammonium sulfate)를 과포화가 될 때까지 첨가한다. 그 후 저온에서 정치하여 형성된 단백질 성분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수집하고, 적당량의 PBS로 부유시킨 후, 부유물을 단백질 정제용 투석막을 이용하여 증류수에서 투석하여 순수한 분비단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은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의 용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의 용균체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BHI 브로스에서 배양한 균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인 균체를 적당량의 멸균 증류수에 부유시키고, 소니캐이터(sonicator, Branson Digital Sonifier)로 용균처리한다. 현미경으로 용균상태를 확인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 용균체를 수집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적당량의 PBS에 부유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의 각 성분 함량은 보르데텔라 퍼투시스(Bordetella pertussis)의 분비독소단백 0.01~40mcg/ml,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코완 Ⅰ(Staphylococcus aureus Cowan Ⅰ)의 균체 0.01~10mg/ml,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코완 Ⅰ(Staphylococcus aureus Cowan Ⅰ)의 분비단백 0.01~40mcg/ml 및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의 용균체 0.01~10mg/ml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불활화백신에 본 발명의 상기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첨가한 후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면역 증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면역 증강용 조성물은 불활화백신 100중량부 당 5~15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로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 신규한 면역 증강 조성물 제조
가) Bordetella pertussis 분비독소단백의 제조
Bordetella pertussis 균을 BHI broth에서 48시간 배양하여 0.5% 되도록 formalin을 첨가하고 37℃에서 48시간 균과 독소를 불활화시켜, 독소를 toxoid화 하였다. 배양시험 등을 실시하여 불활화를 확인한 후, 8,000 x 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을 수집하였다. 상층액에 ammonium sulfate를 magnetic stirrer를 이용하여 용해하면서 과포화가 될 때까지 첨가하였다. 그 후 냉장실에서 하룻밤 정치하고 형성된 단백질 성분을 10,000 x g에서 1시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수집하고 적당량의 PBS로 부유시켰다. PBS로 부유시킨 toxoid를 단백질 정제용 투석막을 이용하여 증류수에서 투석하여 순수한 Bordetella pertussis toxoid를 정제하였다.
나) Staphylococcus aureus 균체 및 분비단백의 제조
BHI broth에서 48시간 배양한 균 배양액을 80℃에서 10분간 열처리하고 8,000 x 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인 균체의 무게를 측정하고 적당량의 PBS에 부유시켜 시험 및 분병전까지 냉장실에 보관하였다. 또한, 원심 상층액에 ammonium sulfate를 magnetic stirrer를 이용하여 용해하면서 과포화가 될 때까지 첨가하였다. 그 후 냉장실에서 하룻밤 정치하고 형성된 단백질 성분을 10,000 x g에서 1시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수집하고 적당량의 PBS로 부유시켰다. PBS로 부유시킨 toxoid를 단백질 정제용 투석막을 이용하여 증류수에서 투석하여 순수한 Staphylococcus aureus toxoid를 정제하였다.
다) Bacillus megaterium 용균체의 제조
BHI broth에서 48시간 배양한 균 배양액을 8,000 x 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인 균체를 적당량의 멸균 증류수에 부유시키고, sonicator(Branson Digital Sonifier)로 5℃, 5분, 30cycles로 용균처리하였다. 현미경으로 용균상태를 확인한 후 10,000 x 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 용균체를 수집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적당량의 PBS에 부유시켜 시험 및 분병전까지 냉장실에 보관하였다.
라) 면역 증강용 조성물 조제
상기 가) 항목의 Bordetella pertussis 분비독소 단백(20mcg/ml), 상기 나) 항목의 Staphylococcus aureus Cowan I의 균체(1mg/ml) 및 Staphylococcus aureus Cowan I 분비단백(20mcg/ml) 그리고 상기 다) 항목의 Bacillus megaterium 용균체(1mg/ml)를 혼합한 후, 보호제(LPGG)를 20%가 되도록 첨가하고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B. megaterium 용균체의 면역세포 기능 활성화
가) B. megaterium 용균체의 호중구에 대한 유주능 시험
B. megaterium 용균체가 탐식세포인 호중구의 random과 directional 유주능을 향상시키는지를 시험하기 위하여, 산양 혈중 호중구를 분리하여 B. megaterium 용균체로 처리하고 agarose gel plate를 이용하여 유주면적(random migration)과 chemotactic difference(directional migration)를 시험한 결과, B. megaterium 용균체는 호중구의 Random과 Directional 유주능을 무처리 대조군보다 현저히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
시료 R- migration(mm2) 시료 D- migration(mm)
B. megaterium 용균체 77.74±5.92 B. megaterium 용균체 1.10±0.36
대조군 40.70±13.77 대조군 0.65±0.16
나) B. megaterium 용균체의 호중구 Respiratory burst 활성화에 의한superoxide(O 2- ) 생성양 증가 측정
B. megaterium 용균체가 탐식세포인 호중구의 Respiratory burst 활성화에 의한 superoxide(O2-) 생성양을 증가시키는지를 시험하기 위하여, 산양 혈중 호중구를 분리하여 B. megaterium 용균체로 처리하고 microplate를 이용하여 nitroblue tetrazolium(NBT) 색소에 의한 발색정도를 ELISA reader로 판독하여 시험한 결과, B. megaterium 용균체로 처리한 호중구의 O.D가 0.4250으로 무처리 호중구의 O.D인 0.3486보다 월등히 많음을 알 수 있었다(표 2).
시료 유효농도 Optical density(O.D)
B. megaterium 용균체 10mcg/ml 0.4250 ± 0.05
대 조 군 - 0.3486 ± 0.09
다) B. megaterium 용균체의 비특이적인 마우스 방어능 향상
B. megaterium 용균체의 비특이적인 마우스 방어능 향상을 시험하기 위하여 마우스(ICR, 20g) 복강으로 용균체(1mg/ml) 0.2ml를 접종하고 24시간 후에 병원성 포도상구균 0.2ml(10MLD/0.2ml)를 복강으로 공격접종하고 1주일간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 마우스는 모두 폐사하였으나 B. megaterium 용균체 접종 마우스는 100% 방어율을 보여 월등한 비특이적 방어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3).
시료 마우스 방어가(S. aureus 공격, %)
B. megaterium 용균체 4/4(100)
대조군 0/4(0)
실시예 3 : 면역 증강용 조성물( S. aureus, B. pertussis, B. megaterium 혼합)의 비특이적 방어능
가) 비특이적 방어능 향상효과 실험
실시예 1의 라) 항목에 따라 제조된 면역 증강용 조성물에 의한 비특이적 방어능 향상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마우스(ICR, 20g) 복강으로 면역 증강용 조성물(1mg/ml) 및 다른 대조군 물질들을 각 0.2ml를 접종하고 24시간 후에 병원성 포도상구균 0.2ml(10MLD/0.2ml)를 복강으로 공격접종하고 1주일간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으로서 S. aureus, B. pertussis 2종 복합제는 50%, B. megaterium 용균체는 75%의 방어효과를 보인 반면에, S. aureus, B. pertussis, B. megaterium 3종 복합제를 접종한 마우스의 방어효과는 100%로 나타나 본 발명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S. aureus, B. pertussis, B. megaterium 3종 복합제)의 비특이적 방어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표 4).
시료 방어효과(%)
B. megaterium 용균체
S. aureus, B. pertussis 복합제
S. aureus, B. pertussis, B. megaterium 복합제
3/4(75)
2/4(50)
4/4(100)
나) 면역 증강용 조성물(S. aureus, B. pertussis, B. megaterium)의 세포성면역 향상능
본 발명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의 세포성 면역 향상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종양세포괴사인자(TNF-alpha) 생성능을 시험하였다. 즉, L929 cell(100 μl, 1×105 cells/well)에 면역 증강용 조성물(50 μl)과 Actinomycin D solution 10 μl를 첨가하고 37℃에서 20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 후, 배양 상층액을 TNF-alpha 검사용 ELISA kit를 이용하여 생성양을 조사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6번 lane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의 TNF-alpha 생성양이 타사제품 면역 증강용 조성물(7번 lane), 면역증강활성 단백(NP, 1.0, 1.5, 2.0 및 3mg/ml) 및 LPS(10 또는 100ng) 보다 월등히 많은 TNF-alpha 생성을 자극함을 알 수 있었다(도 1).
실시예 4 : 면역 증강용 조성물 첨가에 따른 백신효능 향상
가) 돈단독 불활화 겔백신의 마우스 면역원성
돈단독 불활화 겔백신을 10배로 희석한 후, 시험할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백신 양의 10%가 되도록 첨가하여 마우스 피하로 0.2ml 접종하고 2주 후에 안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항체가를 growt agglutination test(GAT)로 조사하였으며, 동시에 돈단독 강독주(T2 strain, 100MLD/0.2ml)로 공격접종하여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면역 증강용 조성물 무첨가군의 마우스는 모두 페사하였으며 항체가도 4배 이하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 첨가 마우스는 50%의 방어율과 16배의 양호한 항체가를 보였다(표 5).
백 신 백신접종 방 어 효 과(%) (100MLD/0.2ml, S.C) 항 체 가/GAT
(1차접종 2주 후)
백신(면역 증강용 조성물 무첨가)
백신+ 면역 증강용 조성물
0.2ml, S.C 0/4(0)
2/4(50)
<4
16
나) 뉴캣슬 불활화 겔 및 오일백신의 닭에 대한 면역원성
뉴캣슬 불활화 겔 및 오일백신에 본 발명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첨가하고 6주령 닭에 근육으로 1ml를 접종하고 3주 후에 채혈하여 혈중 HI 항체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첨가한 겔백신의 HI 항체가(log 2)가 5.6으로 첨가하지 않은 백신보다 우수하였으며, 오일백신의 경우 본 발명의 면역증강 조성물을 첨가한 오일백신의 HI 항체가 8.1로 무첨가 오일백신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병원성 뉴캣슬 바이러스(pathogenic Newcastle disease virus) 공격 9일에 항체가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본 발명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이 첨가된 백신이 안정적인 항체가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6).
백 신 HI titer(log 2)
접종 전후 접종 3주 후 공격 9일
무첨가 겔백신
무첨가 오일백신
겔백신+ 면역 증강용 조성물
오일백신 + 면역 증강용 조성물
대조군
<1
<1
<1
<1
<1
5.0
7.3
5.6
8.1
<1
6.1
7.8
6.8
8.3
-
다) 돼지파보, 돈단독복합 불활화백신(세파백, 녹십자) 접종 마우스의 돈단독 공격접종에 대한 방어효과
돼지파보, 돈단독복합 불활화백신을 10배로 희석한 후에 본 발명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첨가하고 2주간격으로 2회 0.2ml를 피하로 접종한 2주 후에 돈단독균으로 공격접종(100MLD(8.2x108cfu/head))하고 방어효과를 시험한 결과, 면역 증강용 조성물 첨가군이 33.3%로 우수하였으며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첨가하지 않은 백신은 8.3%의 방어효과를 보여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표 7).
백 신 방어효과(%)
세파백
세파백+면역 증강용 조성물
대조군
1/12(8.3)
5/15(33.3)
0/15(0)
라) 본 발명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첨가 구제역 불활화백신의 돼지에서 면역원성
본 발명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구제역불활화백신에 첨가할 경우 면역원성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기 위하여 구제역불활화백신(메리알 사, Lot No. 0-160)에 본 발명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10%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고 10주령의 돼지에 4주간격으로 2회 2ml를 근육접종하고 주기별 항체가를 구제역 항체검사용 ELISA kit(PrioCHECK,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신규한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첨가한 구제역백신의 평균 항체가는 1차접종 4주 후와 2차접종 4주 후에 각 72.5와 92.0으로 무첨가 백신의 55.5와 47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타사에서 제조한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첨가한 경우는 39.5와 36으로 오히려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낮았다(표 8).
동물 면역증강제 백신접종 공시두수 주기별 ELISA 항체가(평균)
접종전 1차접종 4주 후 2차접종 4주 후
돼지 면역 증강용 조성물 2ml, I.M 2 16 80 92
19 65 92
(17.5) (72.5) (92)
타사
면역 증가용 조성물
2ml, I.M 2 20 45 41
14 34 31
(17) (39.5) (36)
무첨가 2ml, I.M 2 21 58 53
9 53 41
(15) (55.5) (47)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보르데텔라 퍼투시스(Bordetella pertussis)의 분비독소단백;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코완 Ⅰ(Staphylococcus aureus Cowan Ⅰ)의 균체;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코완 Ⅰ의 분비단백; 및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의 용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의 용균체는 0.01~10mg/ml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불활화백신에 첨가한 후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강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증강용 조성물은 불활화백신 100중량부 당 5~15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0093386A 2011-09-16 2011-09-16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증강 방법 KR101304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386A KR101304983B1 (ko) 2011-09-16 2011-09-16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증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386A KR101304983B1 (ko) 2011-09-16 2011-09-16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증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946A KR20130029946A (ko) 2013-03-26
KR101304983B1 true KR101304983B1 (ko) 2013-09-05

Family

ID=4817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386A KR101304983B1 (ko) 2011-09-16 2011-09-16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증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9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9338B1 (ko) * 1995-12-11 1999-03-20 이관용 가축질병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면역증강제
US20030194412A1 (en) * 2001-06-05 2003-10-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Nanoemulsion vaccin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9338B1 (ko) * 1995-12-11 1999-03-20 이관용 가축질병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면역증강제
US20030194412A1 (en) * 2001-06-05 2003-10-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Nanoemulsion vacc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946A (ko) 201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34565C (en) Specific antibodies for use in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eful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gastritis, gastric ulcers and duodenal ulcers
US9072694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microbial infections
US20180161414A1 (en) Vaccine comprising lactobacillus strains for treating prostate inflammation and benign prostate hyperplasias
WO2009028867A2 (en) Bacteria lysates prepared by bacteriolytic lysin enzyme, and vaccine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imal disease comprising the same
SA519401232B1 (ar) تركيب اقتراني من السكر المتعدد لكبسولة بكتيريا المكورات الرئوية وبروتين حامل واستخداماته
US20220267419A1 (en) Human Immunoglobulin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RU2554812C2 (ru) Вакцина, направленная против актинобациллезной плевропневмонии,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акой вакцины
KR101304983B1 (ko)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역 증강 방법
JPS62502839A (ja) 乳腺炎ワクチン
EP0595188B1 (en) Process for producing vaccine for a bacterial toxin belonging to the RTX toxin family
JP2023517684A (ja) ストレプトコッカス・スイス血清型9、配列型16に対する防御のためのワクチン
US20040170652A1 (en) Saponin inactivated mycoplasma vaccine
Langermans et al. Safety evaluation of a polymerized hemoglobin solution in a murine infection model
KR20070104720A (ko) 장출혈성대장균(ehec) 감염증 예방용 톡소이드 백신
JP2010516279A (ja) 表皮ブドウ球菌に対する防御免疫応答を誘導するためのポリペプチド
Michael et al. Factors involved in the induction of non-specific resistance to streptococcal infection in mice by endotoxin
CN114805554B (zh) 抗猪链球菌和副猪嗜血杆菌的精制卵黄抗体注射剂及其制备方法
Havas et al. The effect of a bacterial vaccine on tumors and the immune response of ICR/Ha mice
KR101588297B1 (ko) 액티노바실루스 플로르뉴모니애, 파스튜렐라 멀토시다 및 써코바이러스에 의한 돼지의 감염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다가 백신 조성물
CN101636493A (zh) 用于诱导针对表皮葡萄球菌的保护性免疫反应的多肽
KR100787830B1 (ko) 돈단독균 불활화항원에 돈단독균 특이정제단백 항원을 첨가한 돈단독균 불활화백신의 제조방법
KR0179338B1 (ko) 가축질병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면역증강제
KR100753674B1 (ko) 겔 또는 면역증강물질을 흡착시킨 겔첨가 희석액을 사용하는 생균백신의 제조방법
KR20190120111A (ko) 개선된 고스트 살모넬라 갈리나룸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 티푸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Rozalska et al. Role of antibodies against fibronectin-, collagen-binding proteins and alphatoxin in experimental Staphylococcus aureus peritonitis and septicaemia in neutropenic m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