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701B1 - 식생주머니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식생주머니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701B1
KR101304701B1 KR1020120109528A KR20120109528A KR101304701B1 KR 101304701 B1 KR101304701 B1 KR 101304701B1 KR 1020120109528 A KR1020120109528 A KR 1020120109528A KR 20120109528 A KR20120109528 A KR 20120109528A KR 101304701 B1 KR101304701 B1 KR 101304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mesh
frame
installation spac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완
이승수
송현숙
정경민
Original Assignee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9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주머니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부를 갖고, 공기와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전면을 향해 다수의 식생공이 형성된 주머니몸체, 상기 주머니몸체의 수납공간부에 식생을 위해 충진되는 식생토양, 및 상기 주머니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주머니몸체의 식생공을 통해 식물이 식생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형태를 유지하면서 식생 환경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식생주머니를 필요한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아웃테리어를 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식생주머니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Enviro soilsack and wall surface afforestation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벽면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생을 위한 환경을 제공 및 유지할 수 있고,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아웃테리어를 할 수 있게 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생주머니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에 도심 내 입체녹화와 관련하여 구조물 시공 시 친환경적 계획, 시공 및 관리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단으로서 생태공원, 인공습지, 인공지반녹화, 구조물의 입면 및 발코니 녹화 등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도심 내의 구조물의 녹화로서 옥상녹화, 아파트와 같은 구조물의 경우 발코니에 화단을 별도로 형성시킨 발코니녹화, 구조물의 벽면에 별도의 식생포트 등을 설치하여 부분적인 벽면녹화방법이 개발되어 도심지의 녹지부족에 의한 거주자의 녹지확보 의지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벽면녹화를 위해 종래에는 공개특허 제10-2004-0016003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식생수단이 구비된 식생블럭을 지지대를 이용하여 벽면에 설치함에 따라 벽면녹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 벽면녹화시스템은 식생수단이 식생블럭의 하단부에만 존재함에 따라 식물이 식생블럭 전체에 식생하기까지 일정 기간이 필요하며, 식생이 잘 안될 경우, 식생블럭 전체를 녹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시공 전에 식생블럭 전체를 미리 녹화시킨 후, 설치할 수 있지만, 사전에 준비해야 되는 과정이 존재함에 따라 별도의 비용과 시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고,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식물을 식생시킬 수 있게 하여 식생 효과 및 아웃테리어의 효과를 증대시킴은 물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전면에 다수의 식생공을 갖고, 내부에 식생토양이 수납되어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식생주머니를 구비하여 용이하게 식물을 기를 수 있다.
이러한 식생주머니를 설치하도록 메시 구조의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설치되어 식생주머니의 하측을 지지하는 식생지지판을 구비하여 간단한 구조로 벽면을 친환경적인 녹화가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생주머니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부를 갖고, 공기와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전면을 향해 다수의 식생공이 형성된 주머니몸체, 상기 주머니 몸체의 수납공간부에 식생을 위해 충진되는 식생토양, 및 상기 주머니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주머니몸체의 식생공을 통해 식물이 식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머니 몸체는 부직포이다.
그리고 상기 식생토양은 인공경량토이다.
또한, 상기 인공경량토는 펄라이트와 코코피트 및 혼합유기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배합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고, 전면과 후면에 상기 설치공간부와 연통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프레임, 수평면을 갖도록 상기 프레임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식생지지판, 상기 각 식생지지판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통공을 통해 식생되는 식물이 위치되는 식생주머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메시형태의 통공을 갖는 제1메시프레임, 상기 제1메시프레임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사이에 설치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메시프레임, 및 상기 제1메시프레임과 제2메시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메시프레임과 제2메시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고정부재에 의해 벽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식생지지판은, 상기 설치공간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수평면, 상기 수평면의 일단부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메시프레임과 제2메시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메시에 걸려 상기 수평면의 일단부를 설치하기 위한 제1걸림턱, 및 상기 수평면의 타단부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턱이 걸려지지 않는 다른 하나의 메시에 걸려 상기 수평면의 타단부를 설치하기 위한 제2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시는 다수의 수평메시와 다수의 수직메시로 구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은, 상기 수평메시에 걸려지며, 상기 수직메시가 삽입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식생지지판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생주머니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에 의하면, 형태를 유지하면서 식생 환경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식생주머니를 필요한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아웃테리어를 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주머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주머니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주머니를 이용한 벽면 녹화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에서 식생주머니와 식생지지판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지지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주머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주머니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주머니를 이용한 벽면 녹화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에서 식생주머니와 식생지지판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지지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식생주머니(100)는 주머니몸체(110)와 식생토양(120) 및 덮개(130)로 구성된다.
주머니몸체(110)는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부(112)를 갖고, 공기와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전면을 향해 다수의 식생공(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식생토양(120)은 주머니몸체(110)의 수납공간부(112)에 식생을 위해 충진되며, 덮개(130)는 주머니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납공간부(112)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식생주머니(100)는 다수의 식생공(114)을 통해 식물을 심거나 씨앗을 심어 식물을 키울 수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하나의 식생공(114)에 하나 이상의 식물을 식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주머니몸체(110)는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으로, 식물의 식생을 위한 수분과 공기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공급된 수분은 식생토양(120)에 일정량 함유하게 된다.
이러한 식생토양(120)은 바람직하게는 인공경량토이며, 이 인공경량토는 펄라이트와 코코피트 및 혼합유기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배합하여 형성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다른 물질들을 더 배합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덮개(130)는 주머니몸체(110)의 수납공간부(112)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식생토양(120)을 충진하거나 제거할 때 개방시켜 작업하며, 식생토양(120)이 충진된 후,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접합부(미 도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합부의 일 실시예로, 벨크로테이프가 사용되거나 단추와 홈 또는 스냅(snap)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덮개(130)를 주머니몸체(110)에 접합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던 사용 가능함이 당연하다.
이와 같은, 식생주머니(100)를 이용한 벽면 녹화시스템을 살펴보면, 도 3 내지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식생주머니(100)를 벽면에 설치하기 위해 벽면에 설치되는 프레임(200)과 식생주머니(100)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다수의 식생지지판(300)이 구비된다.
먼저, 프레임(200)은 벽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부(202)를 갖고, 전면과 후면이 설치공간부(202)와 연통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200)은 제1메시프레임(210)과 제2메시프레임(220) 및 간격프레임(230)으로 구성된다.
제1메시프레임(210)은 메시형태의 통공이 형성되고, 제2메시프레임(220)은 제1메시프레임(21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사이에 설치공간부(202)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간격프레임(230)은 제1메시프레임(210)과 제2메시프레임(22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사이에 다수 개 구비되어 식생주머니(10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부(202)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프레임(200)은 벽면에 고정되어지고, 제1메시프레임(210)과 제2메시프레임(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고정부재(미 도시)에 의해 벽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프레임(200)은 표면이 분체도장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수분에 강하고, 충격에 강하며, 산성 및 알칼리성에 강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식생지지판(300)은 수평면(310)을 갖도록 프레임(200)의 설치공간부(202)에 다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설치위치를 선택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식생지지판(300)은 수평면(310)과 제1걸림턱(320) 및 제2걸림턱(330)으로 구성된다.
수평면(310)은 설치공간부(202)에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다수의 배수공(312)이 형성되어 식생주머니(100)에 공급된 수분이 하측으로 배출되며, 하측으로 배출된 수분은 그 하측에 위치된 다른 식생주머니(100)로 떨어져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걸림턱(320)은 수평면(310)의 일단부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메시프레임(210)과 제2메시프레임(220) 중 어느 하나의 메시에 걸려 수평면(310)의 일단부를 설치하게 된다.
제2걸림턱(330)은 수평면(310)의 타단부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걸림턱(320)이 걸려지지 않는 다른 하나의 메시에 걸려 수평면(310)의 타단부를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제1메시프레임(210)과 제2메시프레임(220)의 메시는 다수의 수평메시와 다수의 수직메시로 구성된다.
이러한 메시 중 동일 위치에 존재하는 제1메시프레임(210)의 수평메시와 제2메시프레임(220)의 수평메시에 제1걸림턱(320)과 제2걸림턱(330)이 걸려지고, 수직메시가 삽입되도록 절개부(322, 332)가 형성되어 해당 수직메시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식생주머니(100)가 설치된 식생지지판(30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식생지지판(300')은 식생주머니(100)의 하측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호 직교되어 일체로 형성된 수평지지판(310')과 수직지지판(32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식생지지판(300')은 제1메시프레임(210)과 제2메시프레임(220)의 각 해당 메시에 관통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1메시프레임(210)의 해당 수평메시와 수직메시가 교차되는 부위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메시프레임(220)의 해당 수평메시와 수직메시가 교차되는 부위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식생주머니(100)를 용이하게 지지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100 : 식생주머니 110 : 주머니몸체
120 : 식생토양 130 : 덮개
200 : 프레임 210 : 제1메시프레임
220 : 제2메시프레임 230 : 간격프레임
300, 300' : 식생지지판 310 : 수평면
320 : 제1걸림턱 330 : 제2걸림턱
322, 332 : 절개부

Claims (8)

  1. 벽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고, 전면과 후면에 상기 설치공간부와 연통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프레임;
    수평면을 갖도록 상기 프레임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식생지지판;
    상기 각 식생지지판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통공을 통해 식생되는 식물이 위치되는 식생주머니;를 포함하되,
    상기 식생주머니는,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부를 갖고, 공기와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전면을 향해 다수의 식생공이 형성된 주머니몸체;
    상기 주머니몸체의 수납공간부에 식생을 위해 충진되는 식생토양; 및
    상기 주머니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주머니몸체의 식생공을 통해 식물이 식생하며,
    상기 프레임은,
    메시형태의 통공을 갖는 제1메시프레임;
    상기 제1메시프레임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사이에 설치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메시프레임; 및
    상기 제1메시프레임과 제2메시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메시프레임과 제2메시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고정부재에 의해 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식생지지판은 프레임의 설치공간부에 설치되는 위치를 선택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주머니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지지판은,
    상기 설치공간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수평면;
    상기 수평면의 일단부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메시프레임과 제2메시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메시에 걸려 상기 수평면의 일단부를 설치하기 위한 제1걸림턱; 및
    상기 수평면의 타단부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턱이 걸려지지 않는 다른 하나의 메시에 걸려 상기 수평면의 타단부를 설치하기 위한 제2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주머니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는 다수의 수평메시와 다수의 수직메시로 구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은,
    상기 수평메시에 걸려지고, 상기 수직메시가 삽입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식생지지판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주머니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109528A 2012-09-28 2012-09-28 식생주머니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 KR101304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528A KR101304701B1 (ko) 2012-09-28 2012-09-28 식생주머니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528A KR101304701B1 (ko) 2012-09-28 2012-09-28 식생주머니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701B1 true KR101304701B1 (ko) 2013-09-06

Family

ID=4945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528A KR101304701B1 (ko) 2012-09-28 2012-09-28 식생주머니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7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130A (ja) 2001-06-06 2002-12-18 Kajima Corp 軽量保水性断熱屋根
JP2008113577A (ja) 2006-11-01 2008-05-22 Toho Leo Co 壁面緑化パネルと、その緑化パネルを用いた壁面の緑化工法
KR100889378B1 (ko) * 2009-01-06 2009-03-19 (주)케이이씨건설 식생주머니가 결합된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하천 곡선부호안의 호안블록 시공방법
KR100906623B1 (ko) * 2008-05-30 2009-07-09 (주)이텍 벽면 녹화용 녹화블록을 이용한 벽면 녹화 구조 및 그 벽면녹화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130A (ja) 2001-06-06 2002-12-18 Kajima Corp 軽量保水性断熱屋根
JP2008113577A (ja) 2006-11-01 2008-05-22 Toho Leo Co 壁面緑化パネルと、その緑化パネルを用いた壁面の緑化工法
KR100906623B1 (ko) * 2008-05-30 2009-07-09 (주)이텍 벽면 녹화용 녹화블록을 이용한 벽면 녹화 구조 및 그 벽면녹화 공법
KR100889378B1 (ko) * 2009-01-06 2009-03-19 (주)케이이씨건설 식생주머니가 결합된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하천 곡선부호안의 호안블록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926B1 (ko) 벽면 녹화용 식생대
KR101296738B1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수직정원 시스템
JP2004337054A (ja) 壁面緑化ユニット
KR101410236B1 (ko) 벽면녹화시스템
JPWO2009098762A1 (ja) 灌水配管を備えた壁面緑化用ユニット
KR101508736B1 (ko) 식생고정 프레임과 섬유질토양매트를 이용한 식생판 및 이를 이용한 입체녹화 구조물
JP2008113577A (ja) 壁面緑化パネルと、その緑化パネルを用いた壁面の緑化工法
KR20070069244A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KR101304701B1 (ko) 식생주머니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
KR20090016226A (ko) 초박형 옥상녹화 시스템
KR101029317B1 (ko) 옹벽용 식생블록
KR101265802B1 (ko) 식생포트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
TW200939946A (en) Container unit for planting trees and method of planting trees by using the container
JP2004254565A (ja) 垂直面緑化のための緑化装置
US20210015054A1 (en) Planting panel for vertical garden
KR100808251B1 (ko) 벽체 녹화시스템
JP2004254559A (ja) 緑化パネル
KR200402616Y1 (ko) 벽면녹화 시공구조
KR101940697B1 (ko) 벽면 설치형 식물재배장치
KR200248394Y1 (ko) 화분 겸용 방음벽
KR20140040946A (ko) 화분겸용 화분받침대
KR101187407B1 (ko) 벽면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녹화방법
KR101395606B1 (ko)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CN109526458A (zh) 一种兼具倒挂功能的栽植器
KR101124280B1 (ko) 벽면 녹화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