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510B1 - 안전 경첩 - Google Patents

안전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510B1
KR101304510B1 KR1020120144693A KR20120144693A KR101304510B1 KR 101304510 B1 KR101304510 B1 KR 101304510B1 KR 1020120144693 A KR1020120144693 A KR 1020120144693A KR 20120144693 A KR20120144693 A KR 20120144693A KR 101304510 B1 KR101304510 B1 KR 101304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ixing
door
safet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옥
Original Assignee
서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옥 filed Critical 서정옥
Priority to KR102012014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510B1/ko
Priority to PCT/KR2013/011281 priority patent/WO20140923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05D7/101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biased by free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05D2007/1027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1Concea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짝에 매립 설치되는 회동플레이트와 문틀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의 힌지결합부가 그 회동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해 발생되는 옷걸림이나, 미관을 좋지않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문짝을 열고 닫을 때 문짝과 문틀 사이로 발생되는 틈이 최소가 되도록 하여 손가락 등이 끼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경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 경첩{SAFETY HINGE}
본 발명은 안전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짝에 매립 설치되는 회동플레이트와 문틀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의 힌지결합부가 그 회동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해 발생되는 옷걸림이나, 미관을 좋지않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문짝을 열고 닫을 때 문짝과 문틀 사이로 발생되는 틈이 최소가 되도록 하여 손가락 등이 끼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문짝을 문틀에 여닫이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경첩은 통상적으로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문짝에 고정되는 회동플레이트 및 고정플레이트와 회동플레이트가 서로 맞물려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결합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경첩은 힌지결합부가 문틀이나 문짝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외부로 노출되면서 미관이 좋지 않은 것은 물론, 옷걸림 등에 의해 옷이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경첩은 문짝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힌지결합부가 문틀이나 문짝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문짝을 열고 닫을 때 문짝과 문틀 사이로 틈새가 크게 형성되면서 손가락이 끼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39528호에 따르면, 문짝과 문틀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여닫이문의 안전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안정장치 또한 경첩을 이루는 힌지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미관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39528호(2004.05.1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짝에 매립 설치되는 회동플레이트와 문틀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의 힌지결합부가 그 회동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해 발생되는 옷걸림이나, 미관을 좋지않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경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짝을 열고 닫을 때 문짝과 문틀 사이로 발생되는 틈이 최소가 되도록 하여 손가락 등이 끼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경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문짝을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경첩으로서, 상기 문짝의 일측 모서리에 전면 및 일측면이 개구되는 형태로 매립되어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는 회동부; 일측은 상기 문틀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회동부를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동부는, 전,후 및 양측단부를 가지는 상,하부플레이트;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면플레이트; 및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의 타측단부를 연결하며,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동부는 전면 및 일측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부는, 상기 문틀에 고정 설치되며,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며, 상기 힌지결합부가 구비되는 고정바;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바를 연결하며, 곡면을 이루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바는 상,하 방향으로 통공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결합부는, 일단부가 상기 중공부의 정 중앙부를 중심으로 그 중공부의 상,하부에 위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중공부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중공부로 인입되는 한 쌍의 힌지축; 및 상기 한 쌍의 힌지축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에는 상기 한 쌍의 힌지축이 인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동부는, 상기 결합공에 구비되는 연결링을 포함하거나, 상기 한 쌍의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바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바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힌지축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편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바에는, 상기 가이드공과 연통되며, 상기 가이드편이 인입되어 잠금되는 잠금공이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후면플레이트와 이격되거나, 상기 후면플레이트와 접하면서 압착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전을 차단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고정바의 후면부에 위치되며, 상기 스토퍼는, 일측이 상기 가이드공 및 상기 잠금공에 끼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동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각도조절편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편은, 상기 측면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측면플레이트로부터 상기 공간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바 또는 상기 연결바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짝에 매립 설치되는 회동플레이트와 문틀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의 힌지결합부가 그 회동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옷걸림이나, 미관을 좋지않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짝을 열고 닫을 때 문짝이 회동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되는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로 발생되는 틈이 최소가 됨으로써 손가락 등이 끼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서 회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회동부가 문짝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서 회동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서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고정부가 문틀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서 힌지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서 회전부에 설치되는 각도조절편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및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서 회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회동부가 문짝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서 회동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문짝을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경첩으로서, 상기 문짝(100)의 일측 모서리에 전면 및 일측면이 개구되는 형태로 매립되어 내측으로 공간부(11)가 형성되는 회동부(10), 일측은 상기 문틀(110)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공간부(11)에 위치되는 고정부(20) 및 상기 회동부(10)를 상기 고정부(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결합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문짝(100)은 사각 형태를 이루며, 상기 문틀(110)은 상기 문짝(100)의 외측에 위치되어 그 문짝(100)의 둘레를 감싸는 일반적인 형태를 이룬다.
상기 문짝(100) 및 상기 문틀(11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상기 회동부(10)는 상기 문짝(100)의 일측면 모서리부에 매립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문짝(100)의 일측면과 대향되는 내측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문짝(100)의 정면과 일측면이 만나는 지점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문짝(100)의 정면은 상기 문짝(100)이 상기 문틀(110)에 닫힌 상태에서 열리는 방향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문짝(100)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측면 모서리에 형성되는 매립홈(101)이 단수 또는 복수 형성되며, 그 매립홈(101)으로 상기 회동부(10)가 매립 설치된다.
상기 매립홈(101)은 상기 문틀(110)과 인접하는 일측면 및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 상,하부면 및 타측면은 닫힌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10)는 상기 매립홈(101)에 매립 설치되므로 인해 상기 매립홈(101)과 동일하게 후면, 상,하부면 및 타측면이 차단되고, 전면과 일측면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상기 공간부(11)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회동부(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플레이트(12,13) 및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2,13)를 연결하는 후면플레이트(14) 및 측면플레이트(15)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2,13)는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며, 전,후단부 및 양측단부를 가지는 동일한 크기의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후면플레이트(14)는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2,13)의 후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15)는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2,13)의 타측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5)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4)와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후면플레이트(14)는 상기 매립홈(101)을 이루는 후면에 위치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15)는 상기 매립홈(101)을 이루는 타측면에 위치된다.
상기 회동부(10)는 금속재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나사 등의 체결구(120)에 의해 상기 문짝(10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측면플레이트(15)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120)가 인입되는 복수의 체결공(1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부(10)는 전면 및 일측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16)은 도 2a, 2b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립홈(101)을 이루는 둘레의 외측에 거치되는 형태를 이루며, 표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장식문양이 형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시트 등의 장식부재(17)가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회동부(10)는 상기 문짝(100)으로부터 노출되는 정도가 최소가 됨으로써 상기 문짝(100)과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은 물론,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단턱(16)의 표면에는 장식문양이 형성되거나, 상기 장식부재(17)가 부착됨으로써 미려함이 부각되는 효과가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서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고정부가 문틀에 고정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고정부(2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틀(110)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21), 상기 공간부(11)에 위치되며 상기 힌지결합부(30)가 구비되는 고정바(22)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21)와 상기 고정바(22)를 연결하는 연결바(2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 형태를 이루며, 상기 연결바(23)는 상기 문짝(100)의 정면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고, 상기 고정바(22)는 원형 기둥 형태를 이룬다.
상기 고정부(2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21), 상기 고정바(22) 및 상기 연결바(23)가 일체로 형성되며,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틀(110)에 나사 등의 체결구(120)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에는 상기 문틀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1)가 인입되는 'ㄴ'자 형태의 안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플레이트(21)에는 상기 체결구(120)가 인입되는 복수의 체결공(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 경첩(1)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10)가 상기 고정부(20)로부터 회동되지 않은 상태, 다시 말하면, 상기 문짝(100)이 상기 문틀(110)에 인입되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단턱(16)이 상기 고정플레이트(21)에 접하거나, 인접한다.
그리고, 상기 문짝(100)이 상기 문틀(110)로부터 개방시, 상기 회동부(1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22)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측면플레이트(15)가 상기 연결바(23)와 접하면서 회전이 정지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 경첩(1)은 상기 연결바(23)가 곡면을 이루므로 인해 평면을 이루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회전 각도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바(23)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1)와 직교 상태로 평면을 이루는 경우, 상기 회동부(10)는 90도 회전 후 상기 연결바(23)가 상기 측면플레이트(15)와 접하면서 회전이 정지되는 반면, 상기 연결바(23)가 곡면을 이루며 상기 고정플레이트(21)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동부(10)가 90도 이상 회전된 후, 상기 연결바(23)가 상기 측면플레이트(15)와 접하면서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안전 경첩(1)은 상기 문짝(100)이 상기 문틀(110)로부터 90도 이상 회전됨으로써 상기 문짝(100) 개방시 사용자에게 안전한 출입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서 힌지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서 회전부에 설치되는 각도조절편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및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힌지결합부(30)는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상,하단부는 각각 상기 고정바(22)의 상,하부로부터 그 고정바(22)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바(22)는 상,하 방향으로 통공되는 중공부(24)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결합부(30)는 상기 중공부(24)에 위치된다. 상기 힌지결합부(30)의 상,하단부는 상기 중공부(24)로 인입되거나, 상기 중공부(24)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어 그 양단부에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2,13)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힌지결합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중공부(24)의 정 중앙부를 중심으로 그 중공부(24)의 상,하부에 위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중공부(24)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중공부(24)로 인입되는 한 쌍의 힌지축(31) 및 상기 중공부(24)에 위치되며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부재(32)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32)는 일반적인 형태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공부(24)를 이루는 내주면은 원형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은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은 상기 탄성부재(32)에 의해 상기 중공부(24)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며,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2)가 수축되면서 상기 중공부(24)로 인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2,13)에는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이 인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18)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8)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링(40)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2,13)와 상기 고정바(22) 사이에 상기 결합공(18)과 연통되는 와셔(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셔(50)는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2,1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해 상기 와셔(50)에는 결합돌기(51)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2,13)에는 상기 결합돌기(51)가 인입되는 결합공(12a,1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40) 또는 상기 와셔(50)는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과의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하고,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부(10)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소음 등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한다.
상기 고정바(22)는 높이가 상기 공간부(11)를 이루는 상,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22)는 상기 회동부(10)와의 결합시,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이 상기 중공부(24)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공간부(11)로 인입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상기 고정바(22)는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이 상기 탄성부재(32)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가압 되므로 인해 상기 중공부(24)로 용이하게 인입된다. 또한, 상기 중공부(24)로 인입된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이 상기 결합공(18)에 위치되면 상기 탄성부재(32)의 이완과 동시에 인출되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결합공(18)으로 인입되어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회동부(10)는 상기 고정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은 상기 중공부(2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바(22)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부(24)와 연통되는 가이드공(2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25)은 상기 고정바(2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공(25)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편(33)이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에는 각각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멍(31a)이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가이드편(33)에는 상기 구멍(31a)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바(22)에는 상기 가이드공(25)과 연통되며, 상기 가이드편(33)이 인입되어 잠금되는 잠금공(26)이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공(26)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고정바(2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26)과 직교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편(33)은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을 중심으로 그 한 쌍의 힌지축(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공(26)으로 인입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은 상기 고정바(22)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편(33)이 상기 잠금공(26)으로 인입되므로 인해 잠금되어 상,하 유동이 차단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가이드편(33)이 상기 잠금공(26)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고정바(22)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탄성부재(32)의 수축, 이완에 따라 자유롭게 상,하 유동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은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중공부(24)로 인입된 뒤,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편(33)이 상기 잠금공(26)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중공부(24)에 인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바(22)는 상기 회동부(10)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부(11)로 인입되거나, 상기 공간부(1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은 상기 고정바(22)가 상기 공간부(11)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편(33)을 조절하면 상기 잠금공(26)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고정바(22)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2,13)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18)으로 인입된다. 이로 인해, 상기 회동부(10)가 상기 고정부(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 경첩(1)은 상기 고정바(22)에 구비되는 스토퍼(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짝(100)이 상기 문틀(110)에 닫힐 때 상기 후면플레이트(14)와 접하면서 압착되어 상기 회동부(10)의 회전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60)는 상기 문짝(100)이 상기 문틀(110)에 닫힐 때 상기 후면플레이트(14)와 접하면서 상기 문짝(100)의 닫히는 속도를 줄여 상기 문짝(100)과의 충돌시에 발생되는 소리를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60)는 상기 회동부(10)가 상기 고정부(20)로부터 회동되지 않은 상태, 다시 말하면, 상기 문짝(100)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후면플레이트(14)와 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60)는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고정부(20)에 부착 설치될 수 있으나, 일측이 상기 가이드공(25)과 상기 잠금공(26)에 끼움 결합되고, 타측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면플레이트(14)와 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때에는, 상기 가이드공(25)은 상기 회동부(10)가 상기 고정부(20)로부터 회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후면플레이트(14)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안전 경첩(1)은 상기 고정부(20)로부터 회전되는 상기 회동부(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각도조절편(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편(70)은 일측이 상기 측면플레이트(15)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회동부(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바(22) 또는 상기 연결바(23)와 접하는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편(70)은 상기 측면플레이트(15)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바(22)의 중앙부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고정바(22)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23)는 곡면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회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측면플레이트(15)의 정 중앙부와 상기 고정바(22)와의 이격거리에는 큰 변화가 없는 반면, 상기 측면플레이트(15)의 전면과 상기 고정부(20)와의 이격거리는 줄거나, 늘어나기 때문이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5)에는 상기 각도조절편(70)의 일측이 인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삽입홈(19)이 형성되며, 그 삽입홈(19)을 이루는 표면에는 복수의 끼움공(15b)이 형성된다. 상기 각도조절편(70)에는 상기 복수의 끼움공(15b)에 결합되는 복수의 끼움돌기(7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각도조절편(70)은 상기 측면플레이트(1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편(70)은 상기 측면플레이트(15)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공(15a)을 차단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 경첩(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플레이트(15)로부터 상기 고정부(20)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각도조절편(70)의 폭(A)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부(20)로부터 회전되는 상기 회동부(10)의 회전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안전 경첩(1)은 상기 각도조절편(70)의 폭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20)로부터 회전되는 상기 회동부(10)와의 접촉이 빨라지면서 회전 각도가 줄어들며, 이와 반대로, 상기 각도조절편(70)의 폭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고정부(20)로부터 회전되는 상기 회동부(10)와의 접촉이 늦어지면서 회전 각도가 커진다.
이로 인해, 상기 안전 경첩(1)은 상기 각도조절편(70)의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고정부(20)로부터 회전되는 상기 회동부(10)의 회전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전 경첩(1)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안전 경첩(1)은 상기 회동부(10)가 상기 문짝(100)의 일측면 모서리에 매립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문짝(100)의 일측면과 대향되는 상기 문틀(110)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20)가 상기 문틀(110)에 고정 설치되면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을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가이드편(33)을 상기 잠금공(26)으로 인입시켜 상기 중공부(24)에 인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이 상기 중공부(24) 내에 인입된 상태로 상기 문틀(110)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이 상기 중공부(24)로 인입된 상태로 잠금되면 상기 고정바(22)가 상기 공간부(11)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바(22)가 상기 공간부(11)에 위치되면 상기 가이드편(33)을 조절하여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이 상기 잠금공(26)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고정바(22)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2,13)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18)으로 인입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안전 경첩(1)은 상기 회동부(10)와 상기 고정부(20)로 분리되어 상기 문짝(100) 및 상기 문틀(110)에 설치된 후, 상기 힌지결합부(30)에 의해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음으로써 시공 및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안전 경첩(1)은 상기 힌지결합부(30)가 상기 문짝(100)에 매립 설치되므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옷걸림이나, 미관을 좋지않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안전 경첩(1)은 상기 문짝(100)을 열고 닫을 때 상기 문짝(100)이 그 문짝(100)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힌지결합부(3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문짝(100)과 상기 문틀(110) 사이로 발생되는 틈이 최소가 됨으로써 손가락 등이 끼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전 경첩 10 : 회동부
11 : 공간부 12 : 상부플레이트
13 : 하부플레이트 14 : 후면플레이트
15 : 측면플레이트 16 : 단턱
17 : 장식부재 18 : 결합공
19 : 삽입홈 20 : 고정부
21 : 고정플레이트 22 : 고정바
23 : 연결바 24 : 중공부
25 : 가이드공 26 : 잠금공
30 : 힌지결합부 31 : 힌지축
32 : 탄성부재 33 : 가이드편
40 : 연결링 50 : 와셔
60 : 스토퍼 70 : 각도조절편
71 : 끼움돌기 100 : 문짝
110 : 문틀 120 : 체결구

Claims (11)

  1. 문짝을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경첩으로서,
    상기 문짝의 일측 모서리에 전면 및 일측면이 개구되는 형태로 매립되어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는 회동부;
    일측은 상기 문틀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는 고정부;
    상기 회동부를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결합부; 및
    상기 회동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각도조절편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는,
    전,후 및 양측단부를 가지는 상,하부플레이트;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면플레이트; 및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의 타측단부를 연결하며,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문틀에 고정 설치되며,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며, 상기 힌지결합부가 구비되는 고정바;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바를 연결하며, 곡면을 이루는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편은,
    상기 측면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측면플레이트로부터 상기 공간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바 또는 상기 연결바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첩.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전면 및 일측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첩.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상,하 방향으로 통공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결합부는,
    일단부가 상기 중공부의 정 중앙부를 중심으로 그 중공부의 상,하부에 위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중공부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중공부로 인입되는 한 쌍의 힌지축; 및
    상기 한 쌍의 힌지축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에는 상기 한 쌍의 힌지축이 인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첩.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결합공에 구비되는 연결링을 포함하거나,
    상기 한 쌍의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바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첩.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힌지축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편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첩.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에는,
    상기 가이드공과 연통되며, 상기 가이드편이 인입되어 잠금되는 잠금공이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첩.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후면플레이트와 이격되거나, 상기 후면플레이트와 접하면서 압착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전을 차단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첩.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고정바의 후면부에 위치되며,
    상기 스토퍼는,
    일측이 상기 가이드공 및 상기 잠금공에 끼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첩.
  11. 삭제
KR1020120144693A 2012-12-12 2012-12-12 안전 경첩 KR101304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693A KR101304510B1 (ko) 2012-12-12 2012-12-12 안전 경첩
PCT/KR2013/011281 WO2014092396A1 (ko) 2012-12-12 2013-12-06 안전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693A KR101304510B1 (ko) 2012-12-12 2012-12-12 안전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510B1 true KR101304510B1 (ko) 2013-09-05

Family

ID=4945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693A KR101304510B1 (ko) 2012-12-12 2012-12-12 안전 경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4510B1 (ko)
WO (1) WO20140923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1674A1 (fr) * 2015-09-29 2017-03-31 Etablissements Montibert Ouvrant a recouvrement avec systemes invisibles d'articulation
KR102182192B1 (ko) * 2020-02-14 2020-11-24 김주성 회전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도어경첩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3346U (ja) * 1982-09-30 1984-04-07 ミノルタ株式会社 裏蓋蝶番装置
JPH0738531U (ja) * 1993-12-27 1995-07-14 高橋金物株式会社 蝶 番
JP2005299253A (ja) 2004-04-13 2005-10-27 Hitoshi Nishitani 隠し丁番
KR20110105941A (ko) * 2010-03-22 2011-09-28 박장호 은폐형 도어 힌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3115A (en) * 1993-03-18 1995-12-05 The Whitaker Corporation Gull wing terminal enclosure
US7210199B2 (en) * 2004-12-21 2007-05-01 Clark Richard T Hinge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3346U (ja) * 1982-09-30 1984-04-07 ミノルタ株式会社 裏蓋蝶番装置
JPH0738531U (ja) * 1993-12-27 1995-07-14 高橋金物株式会社 蝶 番
JP2005299253A (ja) 2004-04-13 2005-10-27 Hitoshi Nishitani 隠し丁番
KR20110105941A (ko) * 2010-03-22 2011-09-28 박장호 은폐형 도어 힌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1674A1 (fr) * 2015-09-29 2017-03-31 Etablissements Montibert Ouvrant a recouvrement avec systemes invisibles d'articulation
KR102182192B1 (ko) * 2020-02-14 2020-11-24 김주성 회전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도어경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2396A1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187B1 (ko) 경첩용 안전커버
RU2396413C2 (ru) Петля для дверей, окон или подоб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KR20180044917A (ko) 여닫이 문용 손가락 보호 장치
KR101304510B1 (ko) 안전 경첩
KR102451572B1 (ko) 손끼임 방지 도어
US20160194909A1 (en) Door stop
KR102092506B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JP5586156B2 (ja) ドアのエッジ装置
KR101392369B1 (ko) 안전도어
KR200438164Y1 (ko) 도어 개폐 유지장치
KR20220021828A (ko) 여닫이문용 손끼임 방지장치
KR102100355B1 (ko)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KR200430458Y1 (ko) 문 보호대 조립체
KR102121209B1 (ko) 여닫이도어의 힌지장치
KR20180093706A (ko) 미관이 수려한 접철식 방충도어의 손끼임 방지 연결구조
KR102085314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문틀의 단턱 모서리 간섭방지 겸용 커버장치
KR20110011174U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도어닫힘 방지장치
US11303058B1 (en) Low profile electrical device cover
KR101152369B1 (ko) 출입문용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043805B1 (ko) 도어용 안전장치
KR101137823B1 (ko) 여닫이문
KR102027221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
KR102630313B1 (ko) 핸드백 360° 회전 잠금 장식구
KR102181664B1 (ko) 잠금 기능이 구비된 경첩
KR20200127471A (ko) 손끼임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