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318B1 - Protector for welding pipe - Google Patents

Protector for welding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318B1
KR101304318B1 KR1020130031399A KR20130031399A KR101304318B1 KR 101304318 B1 KR101304318 B1 KR 101304318B1 KR 1020130031399 A KR1020130031399 A KR 1020130031399A KR 20130031399 A KR20130031399 A KR 20130031399A KR 101304318 B1 KR101304318 B1 KR 101304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elding
insertion hole
protection equipmen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3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주회
Original Assignee
(주)피에이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에이씨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피에이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031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3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3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6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positioning the molten material, e.g. confining it to a desired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Abstract

PURPOSE: A pipe welding protector is provided to improve efficiency in welding and to prevent welding flame from falling downward or from blowing outside. CONSTITUTION: A pipe welding protector including a main body part (10) is used for welding two pipes (20) of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The main body part surrounds the first and the second pipe, and has an inner space as a welding space for the pipes. The main body part includes a first part (110), a second part (120), and a third part (130). The first part fixes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art fixes the second pipe. The rotatable third part is fixed to the first and the second part. The third part has a window member for identifying a welding state and a welding machine insertion hole into which a welding machine is inserted.

Description

배관 용접 보호 장비{PROTECTOR FOR WELDING PIPE}Plumbing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PROTECTOR FOR WELDING PIPE}

본 발명은 배관 용접 보호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배관 용접 시 안전성을 향상하는 배관 용접 보호 장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for improving the safety during pipe welding.

건축 구조물은 기초 공사 후에 아래에서부터 구조물을 쌓으면서 올라가기 때문에 마감 공사도 아래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층부에서 보온재를 마감한 후에 고층부에서 배관 용접 공사를 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Since the building structure is built up from the bottom up after the foundation work, the finishing work is carried out from the bottom up. Accordingly, after finish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n the lower part, it is common to perform the pipe welding work in the high part.

이 경우에 고층부의 배관 용접 공사 시에 용접 불꽃이 아래로 떨어져서 하층부의 보온재를 손상시킬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보온재에 불이 붙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welding spark may fall down at the time of piping welding of a high-rise part, and it may damag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of a lower layer, and in severe cases, a heat may be caught and a fire may arise.

또한, 배관 용접 공사 시에 두 개의 배관의 단부를 서로 맞닿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두 개의 배관을 용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배관의 단부를 서로 맞닿도록 고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용접자 또는 그 보조자가 용접이 끝날 때까지 배관을 잡고 있어야 하므로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the two pipes are welded in a state where the ends of the two pipes are fixed to abut each other during the pipe welding work. As such, the welder or the assistant must hold the pipe until the end of the welding in order to keep the ends of the two pip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reducing work efficiency.

본 발명은 안전성 및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배관 용접 보호 장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that can improve the safety and worka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용접 보호 장비는, 제1 배관과 제2 배관을 용접할 때 사용하는 배관 용접 보호 장비로서,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을 둘러싸면서 용접 공간을 제공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배관을 고정하는 제1 부분; 상기 제2 배관을 고정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를 구성하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용접 상황을 확인하는 윈도우 부재와 용접 기기가 삽입되는 기기 삽입구가 형성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한다. The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used when welding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the inner space surrounding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to provide a welding space It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space. The main body portion, the first portion for fixing the first pipe; A second portion fixing the second pipe; And a third member rotatably fixed to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while forming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nd having a window member for checking a welding state and a device insertion hole into which a welding device is inserted. Include the part.

상기 제1 부분에 상기 제1 배관이 삽입되는 제1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에 상기 제2 배관이 삽입되는 제2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구 내측에, 상기 제1 배관에 밀착되는 제1 밀착 부재와, 상기 제1 밀착 부재와 상기 제1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간격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구 내측에, 상기 제2 배관에 밀착되는 제2 밀착 부재와, 상기 제2 밀착 부재와 상기 제2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간격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irst pipe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portion, and a secon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econd pipe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The first contact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tact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ipe, and a first gap adjusting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the first insert. The second insertion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tact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pipe, and a second gap adjusting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

상기 제3 부분에 인접한 상기 제1 부분의 외면에 제1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부분에 인접한 상기 제2 부분의 외면에 제2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의 내면에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롤러가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rail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adjacent to the third portion, and a second rail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adjacent to the third portion. A first roller moving along the first rail and a second roller moving along the second rail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third portion.

상기 제1 및 제2 레일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레일의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및 제2 롤러가 삽입되어 이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롤러와 상기 제3 부분의 고정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레일의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rails may have an inner space and an opening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are inserted into and moved in the inner sp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ails, and the fix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and the third portion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rails. It may be located through the opening.

상기 기기 삽입구는 상기 윈도우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대칭하여 형성되는 제1 기기 삽입구 및 제2 기기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vice insertion hole may include a first device insertion hole and a second device insertion hole which are formed symmetrically from side to side with respect to the window member.

상기 기기 삽입구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extending outward from the device insertion hole.

상기 커버 부재의 단부에는 탄성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An elastic member may be positioned at an end portion of the cover member.

상기 제1 내지 제3 부분 각각은, 일측이 개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힌지 결합되는 두 개의 부분체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to third portions may be composed of two parts, one side of which is openably coupled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hing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용접 보호 장치는, 제1 배관과 제2 배관을 용접할 때 사용하는 배관 용접 보호 장비로서,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을 둘러싸면서 용접 공간을 제공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에 용접 상황을 확인하는 윈도우 부재와 용접 기기가 삽입되는 기기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면에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에 각기 밀착되어 회전하는 롤러를 구비한다. The pipe welding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pe welding protection device used when welding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and provides a welding space while surrounding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It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The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window member for confirming the welding state and a device inser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welding device,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lle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용접 보호 장치에 따르면, 본체부가 용접할 두 개의 배관을 감싼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므로 용접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용접 불꽃이 하부로 떨어지거나 외부로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 용접 공사 시 용접 불꽃이 아래로 떨어져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ipe welding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weld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wraps two pipes to be weld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welding work and to prevent the welding spark from falling down or flying outside.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ire from falling down when the welding flame falls during the pipe welding work.

그리고 본체부가 두 개의 배관을 가고정한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므로 용접자 또는 그 보조자가 두 개의 배관을 서로 맞닿게 잡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 부분이 회전 가능하므로 배관의 용접부를 연속적으로 용접할 수 있어 용접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에 윈도우 부재를 구비하므로 용접자가 별도로 용접 마스크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성이 우수하면서도 용접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elding is performed while the main body part temporarily fixes the two pipes, the welder or the assistant does not have to hold the two pip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At this time, since at least a part of the main body portion is rotatable, the welded portion of the pipe can be welded continuously, thereby improving welding workability. In addition, since the window member is provided with the main body, the welder does not need to provide a welding mask or the like separately, so that the welder's convenience can be achieved while the safety is excell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용접 보호 장비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관 용접 보호 장비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관 용접 보호 장비에서 제1 레일의 일부와 제1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배관 용접 보호 장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first rail and a first roller in the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the width, and the like are enlarged or reduced in order to clarify the description. The thickness, the width, and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Wherever certain parts of the specification are referred to as "comprising ", the description does not exclude other parts and may include other par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when a portion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portion, i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another portion is located in the middle as well as the other portion. When a portion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on" another portion, it means that no other portion is located in the midd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용접 보호 장비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용접 보호 장비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관 용접 보호 장비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용접 보호 장비(100)는 용접할 두 개의 배관(20)(즉, 제1 배관(20a)과 제2 배관(20b))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본체부(1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용접이 이루어지는 두 개의 배관(20)을 감싼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1 and 2, the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surround two pipes 20 (that is, the first pipe 20a and the second pipe 20b) to be welded. It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0 is formed. The main body 10 allows welding to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wo pipes 20 in which welding is made are wrapped.

본체부(10)는 배관(20)의 평면 면적보다 큰 평면 면적을 가지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부(10)의 양쪽 단부에는 각기 배관(20)이 통과하는 배관 삽입구(112, 122)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배관(20)의 본체부(10) 내부에 원활하게 위치하도록 하면서 배관(20)과 본체부(10) 사이에 용접이 이루어지는 용접 공간을 제공한다. 본체부(10)는 배관(20)을 위치시시면서 용접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배관(20)이 일반적으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므로, 본체부(1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배관(20)의 외부의 용접 공간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용접 균일성을 향상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has an internal space having a planar area larger than the planar area of the pipe 20. An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portion 10, pipe insertion ports 112 and 122 through which the pipes 20 respectively pass are formed. This provides a welding space in which the welding is performed between the pipe 20 and the main body 10 while being smoothly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10 of the pipe 20. Body portion 10 may have a variety of shapes that can provide a welding space while positioning the pipe (20). Since the tubing 20 generally has a circular planar shape, the body portion 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Then, the welding space outside the piping 20 is uniformly formed, and welding uniformity can be improved.

그리고 본체부(10)에는 용접을 위한 용접 기기가 삽입되는 기기 삽입구(134)와 용접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윈도우 부재(132)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본체부(10)의 내부에 제1 배관(20a) 및 제2 배관(20b)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용접 공간 내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본체부(10)에서 기기 삽입구(134)와 윈도우 부재(132)가 위치하는 부분(즉, 제3 부분(130))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1 배관(20a)과 제2 배관(20b)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1 배관(20a)과 제2 배관(20b)이 맞닿은 부분(20b)을 따라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body part 10 is provided with a device insertion hole 134 into which a welding device for welding is inserted and a window member 132 for checking the state of welding. As a result, the welding is performed in the welding space in a state where the first pipe 20a and the second pipe 20b are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10. At this time, a portion (that is, the third portion 130) in which the device insertion hole 134 and the window member 132 are positioned in the main body portion 10 is rotatably formed, so that the first pipe 20a and the second pipe are rotatable. In the state where the 20b is fixed, the welding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while rotating along the portion 20b where the first pipe 20a and the second pipe 20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i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기기 삽입구(134)와 윈도우 부재(132)가 위치하는 부분(즉, 제3 부분(130))의 회전을 위하여 본 실시예의 본체부(10)는 복수 개의 부분(110, 12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본체부(10)가, 본체부(10)의 일측(도면의 상부, 이하 상부라 함)을 구성하는 제1 부분(110)과, 본체부(10)의 타측(도면의 하부, 이하 하부라 함)을 구성하는 제2 부분(120)과, 제1 부분(110)과 제2 부분(120)을 연결하여 중앙 부분을 구성하는 제3 부분(130)을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rotate the part where the device insertion hole 134 and the window member 132 are positioned (that is, the third part 130), the main body part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parts 110, 120, and 130. can do. For example, the main body 10 includes a first portion 110 constitut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upper portion of the fig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upper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lower portion of the figure, The second part 120, which is referred to as a lower part, and the third part 130 that connects the first part 110 and the second part 120 to form a center part.

이때, 제1 부분(110)은 한쪽 측면이 개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부분체(110a, 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개방 가능한 부분에서 두 개의 부분체(110a, 110b)를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부재(110c, 110d)가 위치한다. 두 개의 부분체(110a, 110b)의 다른 측면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part 110 may include two parts 110a and 110b, one side of which is openably coupled. In this case, coupling members 110c and 110d capable of coupling the two parts 110a and 110b to each other are located in the openable part. The other side of the two parts 110a and 110b may be hinged.

도면에서는 일례로, 결합 부재(110c, 110d) 중 하나가 체결 홀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가 체결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결합 부재(110c, 110d)로는 서로 체결되어 두 개의 부분체(110a, 110b)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아래의 제2 및 제3 부분(120, 130)의 결합 부재(120c, 120d)(130c, 130d)에서도 동일하다. In the drawings as an example, one of the coupling members (110c, 110d) is configured as a fastening hole and the other is made of a fastening protrus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various structures may be applied to the coupling members 110c and 110d so as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to fix the two parts 110a and 110b. The same is true for the coupling members 120c and 120d and 130c and 130d of the second and third portions 120 and 130 below.

제1 부분(110)의 상부에는 제1 배관(20a)이 고정되는 제1 배관 삽입구(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배관 삽입구(112)의 내부에는 밀착 부재(114)와 간격 조절 부재(116)가 위치하여 제1 배관(20a)이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pipe insertion hole 112 to which the first pipe 20a is fixed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art 110. The close contact member 114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16 ar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pipe insertion hole 112 so that the first pipe 20a may be in close contact and fixed.

제1 배관 삽입구(112)는 제1 배관(20a)보다 큰 평면 면적을 가질 수 있고, 제1 배관 삽입구(112)의 내면에는 간격 조절 부재(116)의 일부(즉, 돌출부(116b))가 끼워지는 끼움 홈(112a)이 형성된다. The first pipe insertion hole 112 may have a larger planar area than the first pipe 20a, and a portion of the gap adjusting member 116 (that is, the protrusion 116b) may b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pe insertion hole 112. The fitting groove 112a to be fitted is formed.

밀착 부재(114)는 제1 배관(20a)에 밀착되어 제1 배관(20a)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고무 등과 같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면 밀착력을 좀더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불에 타지 않는 불연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ct member 114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ipe 20a so as to firmly fix the first pipe 20a. When the contact member 114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the contact force may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of a non-flammable material that does not burn.

간격 조절 부재(116)는 서로 끼움 결합되는 복수 개의 부분(116a)을 포함하여, 제1 배관 삽입구(112)와 밀착 부재(114)를 연결하면서 이 공간을 채우는 역할을 한다. 간격 조절 부재(116)는 밀착 부재(114)보다 큰 강성을 가지는 재질이면서 불에 타지 않는 불연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간격 조절 부재(116)는 일측에 돌출부(116b)가 형성되고 타측에 오목부(116c)가 형성되는 부분(116a)을 복수 개 구비한다. 복수 개의 부분(116a)은 서로 돌출부(116b)와 오목부(116c)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고, 가장 외측에 위치한 부분(116a)의 돌출부(116b)를 제1 배관 삽입구(112)의 결합 홈(112a)에 끼우는 것에 의하여 제1 배관 삽입구(112)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간격 조절 부재(16)의 가장 내측의 부분(116a)의 오목부(116c)에 밀착 부재(114)의 결합 돌기(114a)를 끼우는 것에 의하여 간격 조절 부재(16)에 밀착 부재(114)를 조절할 수 있다. The space adjusting member 116 includes a plurality of portions 116a fitted to each other, and serves to fill this space while connecting the first pipe insertion hole 112 and the close contact member 114. The gap adjusting member 116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greater rigidity than the contact member 114 and of a nonflammable material that does not burn. That is, the gap adjusting member 11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rtions 116a in which the protrusion 116b is formed at one side and the recess 116c is formed at the other side. The plurality of portions 116a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protrusion 116b and the recess 116c, and the protrusion 116b of the outermost portion 116a joins the first pipe insertion hole 112. It may be fixed to the first pipe insertion hole 112 by fitting in (112a). And the close contact member 114 is attached to the space | interval adjustment member 16 by fitting the engagement protrusion 114a of the close contact member 114 to the recessed part 116c of the innermost part 116a of the space | interval adjustment member 16. I can regulate it.

이에 따라 제1 배관(20a)의 직경에 따라 복수 개의 부분(116a)의 갯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배관 삽입구(112)와 밀착 부재(114)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밀착 부재(114)는 하나의 크기로 제작되어 탄성에 의하여 다양한 크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는 밀착 부재(114)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어 제1 배관(20a)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밀착 부재(114)가 사용될 수도 있다. Accordingly,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portions 116a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pipe 20a,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ipe insertion hole 112 and the contact member 114 can be adjusted. The contact member 114 may be manufactured in one size and applied to various sizes by elasticity, or the contact member 114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n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pipe 20a, 114) may be used.

이와 같이 밀착 부재(114)와 제1 배관 삽입구(112) 사이에 직경 조절 부재(116)가 위치하여 다양한 직경의 제1 배관(12a)을 제1 배관 삽입구(11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As such, the diameter adjusting member 116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ntact member 114 and the first pipe insertion hole 112 to firmly fix the first pipe 12a having various diameters to the first pipe insertion hole 112. .

그리고 제1 부분(110)의 외면에는 제1 레일(118)이 설치된다. 이러한 레일(113)은 제3 부분(130)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addition, a first rail 118 is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110. The rail 113 is for rotatably fixing the third portion 130,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제1 부분(110)과 유사하게, 제2 부분(120)은 한쪽 측면이 개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부분체(120a, 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개방 가능한 부분에서 두 개의 부분체(120a, 120b)를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부재(120c, 120d)가 위치한다. 두 개의 부분체(120a, 120b)의 다른 측면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Similar to the first portion 110, the second portion 120 may include two portions 120a and 120b, one side of which is openly coupled. In this case, coupling members 120c and 120d capable of coupling the two parts 120a and 120b to each other are located in the openable portion. The other side of the two parts 120a and 120b may be hinged.

제2 부분(120)의 하부에는 제2 배관(20b)이 고정되는 제2 배관 삽입구(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배관 삽입구(122)의 내부에는 밀착 부재(124)와 간격 조절 부재(126)가 위치하여 제2 배관(20b)이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배관 삽입구(122) 내부에 위치한 밀착 부재(124) 및 간격 조절 부재(126)는 제1 배관 삽입구(122) 내부에 위치한 밀착 부재(124) 및 간격 조절 부재(126)와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밀착 부재(124)와 제2 배관 삽입구(122) 사이에 직경 조절 부재(126)가 위치하여 다양한 직경의 제2 배관(12b)을 제2 배관 삽입구(12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120 is formed with a second pipe insertion hole 122 to which the second pipe 20b is fixed. In addition, the close contact member 124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26 are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pipe insertion hole 122 so that the second pipe 20b may be in close contact and fixed. The close contact member 124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26 located inside the second pipe insertion hole 122 are the same or very similar to the close contact member 124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26 located inside the first pipe insertion hole 122. Since it has a structu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such, the diameter adjusting member 126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ntact member 124 and the second pipe insertion hole 122 to firmly fix the second pipe 12b having various diameters to the second pipe insertion hole 122. .

그리고 제2 부분(120)의 외면에는 제2 레일(128)이 설치된다. 이러한 레일(128)은 제3 부분(130)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addition, a second rail 128 is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120. The rail 128 is for rotatably fixing the third portion 130,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제3 부분(130)은 한쪽 측면이 개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부분체(130a, 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개방 가능한 부분에서 두 개의 부분체(130a, 130b)를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부재(130c, 130d)가 위치한다. 두 개의 부분체(130a, 130b)의 다른 측면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The third part 130 may include two parts 130a and 130b to which one side is openably coupled. In this case, coupling members 130c and 130d capable of coupling the two parts 130a and 130b with each other in the openable portion are positioned. The other side of the two parts 130a and 130b may be hinged.

이때, 제3 부분(130)은 실질적으로 용접에 관여하는 부분으로서, 제3 부분(130)에는 윈도우 부재(132)와 기기 삽입구(13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부분(130)을 구성하는 두 개의 부분체(130a, 130b) 중에 하나의 부분체(130b)에 윈도우 부재(132)와 기기 삽입구(134)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제3 부분(130)의 안정성 및 강도를 좀더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윈도우 부재(132)와 기기 삽입구(134)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hird portion 130 is a portion that is substantially involved in welding, and the window portion 132 and the device insertion hole 134 are formed in the third portion 1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ndow member 132 and the device insertion hole 134 are formed in one portion 130b of the two portions 130a and 130b constituting the third portion 130. As a result, the stability and strength of the third portion 130 may be further improv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s of the window member 132 and the device insertion hole 134 may be variously modified.

윈도우 부재(132)는 용접부의 용접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면서 용접 시의 높은 온도에서 변형되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용접 시 발생하는 용접 불꽃에 의하여 용접자의 시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window member 132 may be made of a material which is transparent so as to confirm the welding situation of the welded portion and is not deformed at a high temperature during welding. In addition,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lower the vision of the welder by the welding spark generated during welding.

기기 삽입구(134)는 용접 시 필요한 용접 기기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이다. 용접은 두 개의 배관(20)의 접합하고자 하는 부분(20c)에 국부적으로 열을 가해 재료의 일부를 일단 용융 상태로 만들어 서로 섞은 다음 냉각시켜서 굳히는 접합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접합하고자 하는 부분(20c)의 국부적인 가열을 위하여 두 개의 전극을 이용하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기기 삽입구(134)가 윈도우 부재(132)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기기 삽입구(134a, 134b)를 포함한다. The device insertion hole 134 is a hole formed to insert a welding device required for welding. Welding is a joining method in which a part of a material is first melted, mixed with each other, and then cooled by hardening by locally heating a portion 20c of two pipes 20 to be joined. Two electrodes are used for local heating. In consideration of th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vice insertion hole 134 includes first and second device insertion holes 134a and 134b which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window member 132.

기기 삽입구(134)에는 기기 삽입구(134)의 외부로 연장되는 커버 부재(136)가 더 위치하여, 용접 시에 용접 기기 또는 용접자의 팔 등을 감싸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136)의 단부에는 탄성 부재(136a)가 위치하여 용접 기기 또는 용접자의 팔을 조이도록 한다. 그러면, 용접 기기 또는 용접자의 팔 등이 쉽게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용접 시에는 본체부(110) 내부를 실질적으로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용접 불꽃, 유해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여 용접 기기 또는 용접자를 보호할 수 있다. 커버 부재(136)로는 방염 처리된 천 소재, 부직포, 가죽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device insertion hole 134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136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insertion hole 134 to surround the welding device or the arm of the welder during welding. An elastic member 136a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cover member 136 to tighten the arm of the welding device or the welder. Then, while allowing the welding device or the arm of the welder to easily enter the inside, and serves to substantially seal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10 during weld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welding apparatus or the welder by preventing welding sparks and harmful gases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As the cover member 136, a flame retardant cloth material, a nonwoven fabric, leather, or the like can be used.

제3 부분(130)의 내면의 상부에 제1 부분(110)의 제1 레일(118)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롤러(138a)가 위치하고, 내면의 하부에 제2 부분(120)의 제2 레일(128)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롤러(138b)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롤러(138a)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고, 제2 롤러(138b)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3 부분(130)이 매끄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roller 138a moving along the first rail 118 of the first portion 110 is positioned above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portion 130,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120 is disposed below the inner surface. The second roller 138b moving along the rail 128 is loc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first rollers 138a are provid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econd rollers 138b are provid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so that the third part 130 can smoothly rotate.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제1 및 제2 레일(118, 128) 상에서 제1 및 제2 롤러(138a, 138b)가 회전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배관 용접 보호 장비에서 제1 레일(118)의 일부와 제1 롤러(138a)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레일(118)은 제1 롤러(138a)가 이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그리고 제1 레일(118)의 상부에는 제1 레일(1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개구부(118a)가 형성된다. 제1 롤러(138a)의 바퀴 부분(1381)은 제1 레일(118)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회전되고, 제3 부분(130)에 연결된 제1 롤러(138a)의 고정 부분(1382)은 개구부(118a)를 통과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3 부분(130)의 내면에 형성된 제1 롤러(138a)가 제1 부분(110)의 외면에 형성된 제1 레일(118)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2 레일(128) 상에서 제2 롤러(138b)가 이동하는 원리도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With reference to FIG. 3, the principl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38a and 138b rotate on the first and second rails 118 and 128 will be described.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first rail 118 and the first roller 138a in the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of FIG. 1. As shown in FIG. 3, the first rail 118 has an inner space in which the first roller 138a can move. In addition, an opening 118a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ail 118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ail 118. The wheel portion 1381 of the first roller 138a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rail 118 and rotated, and the fixing portion 1382 of the first roller 138a connected to the third portion 130 has an opening portion. It is positioned through 118a. Accordingly, the first roller 138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portion 130 may move along the first rail 118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110. Since the principle of moving the second roller 138b on the second rail 128 is also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구조의 배관 용접 보호 장비(10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내지 제3 부분(110, 120, 130)의 결합 부재(110c, 110d)(120c, 120d)(130c, 130d)를 서로 분리하여 제1 내지 제3 부분(110, 120, 130)의 두 개의 부분체(110a, 110b)의 일측 측면을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 용접을 할 두 개의 배관(20) 중 제1 배관(20a)을 제1 부분(110)의 제1 삽입구(112)에 위치시키고, 제2 배관(20b)을 제2 부분(120)의 제2 삽입구(122)에 위치시킨다. 이때, 밀착 부재(114)와 간격 조절 부재(116)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배관(20a, 20b)를 각각 제1 삽입구(112, 114)에 밀착 고정한다. The operation of the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upling members 110c, 110d, 120c, 120d, 130c, 130d of the first to third parts 110, 120, and 1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two of the first to third parts 110, 120, and 1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ne side of the two parts (110a, 110b) is opened. In this state, the first pipe 20a of the two pipes 20 to be welded is positioned in the first insertion hole 112 of the first part 110, and the second pipe 20b is positioned in the second part 120. In the second insertion hole 122 of the.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pipes 20a and 20b are tightly fixed to the first insertion holes 112 and 114 by using the contact member 114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16.

그리고 제1 내지 제3 부분(110, 120, 130)의 결합 부재(110c, 110d)(120c, 120d)(130c, 130d)를 서로 체결하여 용접을 할 두 개의 배관(20)과 본체부(10)를 고정한다. The two pipes 20 and the main body 10 to be welded by fastening the coupling members 110c, 110d, 120c, 120d, 130c, and 130d of the first to third parts 110, 120, and 130 to each other. ).

그리고 커버 부재(136)의 탄성 부재(136a)를 벌려 용접 기기 또는 이를 들고 있는 용접자의 팔을 기기 삽입구(134)에 삽입한다. 그러면, 탄성 부재(136a)가 용접 기기 또는 용접자의 팔을 조여 본체부(10)의 내부를 실제적으로 밀폐한다. 이 상태에서 용접자가 윈도우 부재(132)로 상황을 확인하면서 용접을 수행한다. 이때, 제1 배관(20a)과 제2 배관(20b)의 용접부를 보면서 제3 부분(130)을 회전하면서 용접을 수행하게 되면 제1 배관(20a)과 제2 배관(20b)의 용접부를 연속적으로 용접할 수 있게 된다. Then, the elastic member 136a of the cover member 136 is opened to insert the welding device or the arm of the welder holding the same into the device insertion hole 134. Then, the elastic member 136a tightens the arm of the welding device or the welder to actually seal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0. In this state, the welder performs welding while checking the situation with the window member 132. At this time, when welding is performed while rotating the third portion 130 while watching the welded portion of the first pipe 20a and the second pipe 20b, the welded portion of the first pipe 20a and the second pipe 20b is continuously connected. It will be possible to wel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0)가 용접할 두 개의 배관(20)을 감싼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므로 용접 작업의 효율성을 용접 불꽃이 하부로 떨어지거나 외부로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 용접 공사 시 용접 불꽃이 아래로 떨어져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weld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 wraps two pipes 20 to be wel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lding work from falling down or flying out of the welding spark efficienc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ire from falling down when the welding flame falls during the pipe welding work.

그리고 본체부(10)가 두 개의 배관(20)을 가고정한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므로 용접자 또는 그 보조자가 두 개의 배관(20)을 서로 맞닿게 잡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의 일부 부분(즉, 제3 부분(130))이 회전 가능하므로 배관(20)의 용접부를 연속적으로 용접할 수 있어 용접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에 윈도우 부재(34)를 구비하므로 용접자가 별도로 용접 마스크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성이 우수하면서도 용접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weld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 temporarily fixes the two pipes 20, the welder or the assistant does not have to hold the two pipes 20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At this time, since a part of the main body 10 (that is, the third part 130) is rotatable, the welded portion of the pipe 20 can be welded continuously, thereby improving the welding workability. In addition, since the window member 34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he welder does not need to separately provide a welding mask.

그리고 제1 부분(110)은 제1 배관(20a)을 고정하고, 제2 부분(120)은 제2 배관(20b)을 고정하고, 용접에 관여하는 제3 부분(130)은 회전 가능하게 위치시켜,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The first part 110 fixes the first pipe 20a, the second part 120 fixes the second pipe 20b, and the third part 130 involved in the welding is rotatably positioned. In this way, the advantageous effect as described above can be realized while simplifying the structure.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와 같은 변형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modification example as shown in FIG. 4 is also possible.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different part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parts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배관 용접 보호 장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서는 본체부(10)가 일측이 개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부분체(10a, 10b)를 구비한다. 이때,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두 개의 부분체를 구비하는 부분을 복수 개로 구비하지 않고, 두 개의 부분체를 구비하는 부분이 단일로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4, in the present modification, the main body 10 includes two parts 10a and 10b to which one side is openably coupled. In this case,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plurality of portions having two portions is provided instead of a plurality of portions having two portions.

그리고 본체부(10)의 내부에 배관(20)(즉, 제1 배관(20a), 제2 배관(20b))에 밀착되는 롤러(138)가 위치한다. 이 롤러(138)에 의하여 본체부(10)가 배관(20)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즉, 본 변형예에 따르면 구조를 최대한 간단하게 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a roller 138 in close contact with the pipe 20 (that is, the first pipe 20a and the second pipe 20b) is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10. This roller 138 allows the body portion 10 to rotate along the pipe 20. That is, according to this modification, the structure can be as simple a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or modified in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100: 배관 용접 보호 장비
10: 본체부
110: 제1 부분
118: 제1 레일
120: 제2 부분
128: 제2 레일
130: 제3 부분
138a, 138b: 롤러
20: 배관
100: plumbing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10:
110: first part
118: first rail
120: second part
128: second rail
130: third part
138a, 138b: roller
20: piping

Claims (9)

제1 배관과 제2 배관을 용접할 때 사용하는 배관 용접 보호 장비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을 둘러싸면서 용접 공간을 제공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배관을 고정하는 제1 부분;
상기 제2 배관을 고정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를 구성하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용접 상황을 확인하는 윈도우 부재와 용접 기기가 삽입되는 기기 삽입구가 형성되는 제3 부분
을 포함하는 배관 용접 보호 장비.
In the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used when welding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Body portion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for providing a welding space surrounding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Lt; / RTI >
Wherein,
A first portion fixing the first pipe;
A second portion for securing the second pipe; And
A third part rotatably fixed to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while forming betwe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nd having a window member for confirming a welding situation and a device insertion hole into which a welding device is inserted;
Plumbing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 상기 제1 배관이 삽입되는 제1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에 상기 제2 배관이 삽입되는 제2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구 내측에, 상기 제1 배관에 밀착되는 제1 밀착 부재와, 상기 제1 밀착 부재와 상기 제1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간격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구 내측에, 상기 제2 배관에 밀착되는 제2 밀착 부재와, 상기 제2 밀착 부재와 상기 제2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간격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관 용접 보호 장비.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irst pipe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irst portion,
A secon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econd pipe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A first close contact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ipe, and a first gap adjusting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lose contact member and the first insert port inside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a second contact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pipe, and a second gap adjusting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inside the second insertion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에 인접한 상기 제1 부분의 외면에 제1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부분에 인접한 상기 제2 부분의 외면에 제2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제3 부분의 내면에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롤러가 형성되는 배관 용접 보호 장비.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rail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adjacent to the third portion,
A second rail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adjacent to the third portion,
And a second roller moving along the first rail and a second roller moving along the second rail on an inner surface of the third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레일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레일의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및 제2 롤러가 삽입되어 이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롤러와 상기 제3 부분의 고정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레일의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위치하는 배관 용접 보호 장비.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and second rail has an inner space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are inserted and mov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and second rails,
And the fixed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and the third portion is positioned through the openings of the first and second ra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삽입구는 상기 윈도우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대칭하여 형성되는 제1 기기 삽입구 및 제2 기기 삽입구를 포함하는 배관 용접 보호 장비.
The method of claim 1,
The device insertion hole is a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comprising a first device insertion port and a second device insertion port formed symmetrically from side to side with respect to the window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삽입구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관 용접 보호 장비.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ver member extending outward from the device insertion open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단부에는 탄성 부재가 위치하는 배관 용접 보호 장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Piping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that the elastic member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cov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부분 각각은, 일측이 개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힌지 결합되는 두 개의 부분체로 구성되는 배관 용접 보호 장비.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first to third portions, the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is composed of two parts that one side is openly coupled and the other side is hinged.
제1 배관과 제2 배관을 용접할 때 사용하는 배관 용접 보호 장비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을 둘러싸면서 용접 공간을 제공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 용접 상황을 확인하는 윈도우 부재와 용접 기기가 삽입되는 기기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면에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에 각기 밀착되어 회전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배관 용접 보호 장비.
In the pipe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used when welding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Body portion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for providing a welding space surrounding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Lt; / RTI >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window member for confirming the welding state and the device inser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welding device,
Piping welding protection equipment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having a roll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respectively.
KR1020130031399A 2013-03-25 2013-03-25 Protector for welding pipe KR1013043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399A KR101304318B1 (en) 2013-03-25 2013-03-25 Protector for welding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399A KR101304318B1 (en) 2013-03-25 2013-03-25 Protector for welding pi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318B1 true KR101304318B1 (en) 2013-09-11

Family

ID=4945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399A KR101304318B1 (en) 2013-03-25 2013-03-25 Protector for welding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318B1 (en)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433B1 (en) * 2015-03-03 2016-06-14 이상면 Pile welding equipment
KR101824923B1 (en) * 2016-01-22 2018-02-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t Up Jig for Nozzle
KR101834295B1 (en) 2016-06-08 2018-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Gas leakage preventing apparatus
KR101964005B1 (en) * 2018-07-27 2019-03-29 최봉열 Arc welder increasing the ease or use
KR101993469B1 (en) * 2018-10-01 2019-06-27 (주)케이씨이앤씨 Welding tool for pipe welding preventing fire-flakes
KR102007343B1 (en) 2019-01-11 2019-10-21 손동일 welding cover for pipe
KR102051076B1 (en) * 2019-03-07 2019-12-02 (주)케이씨이앤씨 Cover apparatus for pipe welding preventing fire-flakes
KR102069028B1 (en) 2019-05-13 2020-01-22 주식회사 금창이엔에스 Welding cover for pipe
KR102096441B1 (en) * 2019-03-28 2020-05-27 주식회사 서정테크놀로지 Welding auxiliary apparatus
KR102124739B1 (en) * 2019-07-30 2020-06-18 김효민 Protection device for welding
KR20200071515A (en) * 2018-12-11 2020-06-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venting an scattering of welding spatter
KR20200114315A (en) * 2019-03-28 2020-10-07 주식회사 서정테크놀로지 Apparatus of fixing pipes for tack welding
CN112222755A (en) * 2020-10-20 2021-01-15 华瑞(江苏)燃机服务有限公司 Repairing process of nozzle of secondary fuel nozzle component of combustion engine
KR102208526B1 (en) * 2020-03-27 2021-01-26 현종석 Jig for welding
WO2021194278A1 (en) * 2020-03-27 2021-09-30 현종석 Welding jig
KR102349537B1 (en) * 2020-08-21 2022-01-11 현종석 Jig for welding
KR200495928Y1 (en) * 2021-04-30 2022-09-22 오영철 Heat interception device for welding air conditioner pip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591B1 (en) * 2011-04-07 2011-06-29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Member for protecting welding fl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591B1 (en) * 2011-04-07 2011-06-29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Member for protecting welding flame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433B1 (en) * 2015-03-03 2016-06-14 이상면 Pile welding equipment
KR101824923B1 (en) * 2016-01-22 2018-02-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t Up Jig for Nozzle
KR101834295B1 (en) 2016-06-08 2018-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Gas leakage preventing apparatus
KR101964005B1 (en) * 2018-07-27 2019-03-29 최봉열 Arc welder increasing the ease or use
KR101993469B1 (en) * 2018-10-01 2019-06-27 (주)케이씨이앤씨 Welding tool for pipe welding preventing fire-flakes
KR20200071515A (en) * 2018-12-11 2020-06-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venting an scattering of welding spatter
KR102357370B1 (en) 2018-12-11 2022-0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venting an scattering of welding spatter
KR102007343B1 (en) 2019-01-11 2019-10-21 손동일 welding cover for pipe
KR102051076B1 (en) * 2019-03-07 2019-12-02 (주)케이씨이앤씨 Cover apparatus for pipe welding preventing fire-flakes
KR102096441B1 (en) * 2019-03-28 2020-05-27 주식회사 서정테크놀로지 Welding auxiliary apparatus
KR20200114315A (en) * 2019-03-28 2020-10-07 주식회사 서정테크놀로지 Apparatus of fixing pipes for tack welding
KR102166866B1 (en) * 2019-03-28 2020-10-16 주식회사 서정테크놀로지 Apparatus of fixing pipes for tack welding
KR102069028B1 (en) 2019-05-13 2020-01-22 주식회사 금창이엔에스 Welding cover for pipe
KR102124739B1 (en) * 2019-07-30 2020-06-18 김효민 Protection device for welding
KR102208526B1 (en) * 2020-03-27 2021-01-26 현종석 Jig for welding
WO2021194278A1 (en) * 2020-03-27 2021-09-30 현종석 Welding jig
KR102349537B1 (en) * 2020-08-21 2022-01-11 현종석 Jig for welding
CN112222755A (en) * 2020-10-20 2021-01-15 华瑞(江苏)燃机服务有限公司 Repairing process of nozzle of secondary fuel nozzle component of combustion engine
KR200495928Y1 (en) * 2021-04-30 2022-09-22 오영철 Heat interception device for welding air conditioner pi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318B1 (en) Protector for welding pipe
US20150083785A1 (en) Purging device for pipe welding
KR101044591B1 (en) Member for protecting welding flame
KR102208526B1 (en) Jig for welding
BRPI0924232B1 (en) A CABLE JUNCTION BOX THAT USES DIFFERENT WAYS TO MAKE THE MAIN CABLE WATERPROOFING AND ITS WATERPROOFING METHOD
KR20120025781A (en) Pipe cover apparatus for heat isolation and acoustic absorption
CN106312257A (en) Keeping device used for welding
US20040016470A1 (en) Duct wrap securing system
KR102166866B1 (en) Apparatus of fixing pipes for tack welding
KR101763208B1 (en) Shielding Gas Guiding Apparatus for Welding
KR102132819B1 (en) Exhausting duct
CN204711379U (en) For the holding device welded
KR101499799B1 (en) Jig for argon gas purge
JPH1111839A (en) Landing door of elevator
CN206894043U (en) A kind of switch cubicle and its protective cover
KR101053413B1 (en) Extension joint shield in furnace
KR102096441B1 (en) Welding auxiliary apparatus
JP2007170774A (en) Combustion device
KR102349537B1 (en) Jig for welding
KR102203576B1 (en) Welding gas collection device for pipe welding
KR101841502B1 (en) Apparatus for heating material
BR102017015983A2 (en) PROCESS TO WELD TWO PREFERRED COMPONENTS OF AN EXHAUST ENGINE EXHAUST GAS SYSTEM BY RESISTANCE WELDING
KR102601113B1 (en) Tube welding apparatus for heat exchanger
JP6427041B2 (en) Narrow groove torch nozzle and welding method
KR20140034511A (en) Scaffold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