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511A - Scaffold support - Google Patents

Scaffold sup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511A
KR20140034511A KR1020120100923A KR20120100923A KR20140034511A KR 20140034511 A KR20140034511 A KR 20140034511A KR 1020120100923 A KR1020120100923 A KR 1020120100923A KR 20120100923 A KR20120100923 A KR 20120100923A KR 20140034511 A KR20140034511 A KR 20140034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support frame
sub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16293B1 (en
Inventor
조동필
박용하
김동휘
노지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293B1/en
Publication of KR20140034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5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2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caffold support to support a pipe of a marine platform. The scaffold support may comprise a pair of support frames to be arranged side by side around a pipe; a structure frame which is vertically connected to a space between the pair of support frames and which has a pipe supporter for covering and supporting the pipe; and a plurality of scaffold frames to be vertically connected to a space between the pair of support frames at a space from the structure frame.

Description

족장 지지대{SCAFFOLD SUPPORT}Chieftain Support {SCAFFOLD SUPPORT}

본 발명은 족장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 플랫폼의 작업을 위한 족장을 지지하기 위해 라이저 파이프에 설치되는 족장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hief supporters, and more particularly, to chief supporters installed in riser pipes to support the chieftains for the operation of offshore platforms.

일반적으로 선박을 제조하는 경우, 독립된 선체 블록을 만든 후, 각각의 선체 블록을 일체로 용접하여 완성하게 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ship, after the independent hull block is made, each hull block is integrally welded to complete.

이러한 작업을 실시할 때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지주를 만들고 지주의 상측에 족장을 올려서 비계를 설치하거나, 직사각형의 지지체를 형성한 후 지지체에 지지파이프를 수평되게 결합하여 족장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족장하는 경우, 공간 제약이 없는 곳에서는 사용에 큰 문제가 없다.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orker when performing such a work, the scaffold can be installed by making a strut and raising the chief on the upper side of the strut, or the chief can be installed by horizontally coupling the support pipe to the scaffold after forming a rectangular scaffold. . In this way, there is no big problem in use where there is no space constraint.

그러나, 많은 수의 해양 라이저 파이프가 설치되는 해양 플랫폼 공사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족장을 사용하게 되면, 족장(scaffold)의 설치 위치 및 작업공간이 협소해지고, 사용되는 주변 장치의 배치 공간이 부족하게 될 수 있다.However, in offshore platform construction where a large number of offshore riser pipes are installed, the use of commonly used chiefs leads to a narrow installation position and workspace of scaffolds and a lack of space for peripheral devices used. Can be done.

아울러, 작업자가 발을 딛는 족장의 면적이 좁은 경우, 단위 면적당 받는 힘이 높아지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불안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area of the chief on which the worker stepped is narrow, the force received per unit area is increased, it may be structurally unstable, which may cause injury to the worker.

특허문헌: 국내 특허공개 10-2010-0059047 (2010.06.04. 공개)Patent Literature: Domestic Patent Publication 10-2010-0059047 (2010.06.04.publish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양 플랫폼 공사의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족장 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triarch support that can effectively secure the working space in a narrow space of offshore platform construc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사이에 수직되게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를 감싸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구가 구비된 구조물 프레임; 및 상기 구조물 프레임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사이에 수직되게 연결되는 복수의 족장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a pair of support frames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pipes therebetween; A structure frame having a pipe supporter vertically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frames and surrounding the pipe; And a plurality of chief frames connected vertically between the pair of support frame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tructure frame.

이때, 상기 지지 프레임은 메인 지지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메인 지지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frame is a main support frame; And a sub support frame slidably connected to the main support frame such that the overall length of the support frame is variable.

또한, 상기 메인 지지 프레임은 메인 지지부; 상기 메인 지지부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결되고 선단에 상부 걸림턱이 마련되는 메인 상측 수평부; 및 상기 메인 지지부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결되고 선단에 하부 걸림턱이 마련되는 메인 하측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support frame includes a main support; A main upper horizontal part connected horizontally at an upper end of the main support part and provided with an upper locking step at a front end thereof; And a main lower horizontal part connected horizontally at a lower end of the main support part and provided with a lower locking step at a front end thereof.

또한, 상기 서브 지지 프레임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복수의 서브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지지프레임에는 복수의 족장 프레임이 각각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서브 지지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복수의 족장 프레임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The sub support fram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 support frames that are sliding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sub support frames are respectively mounted with a plurality of chieftain frames, and the plurality of chiefs when sliding the plurality of sub support frame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ames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구조물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제 1 연결프레임;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중에서 다른 하나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제 2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제 1 연결프레임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슬라이딩편과, 제 2 연결프레임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 슬라이딩편이 양측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파이프 지지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frame is fixed to any one of the support frame of the pair of support frame, the first connecting frame is formed with a sliding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connection frame fixed to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and having a sliding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ipe support having a first sliding piec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of the first connecting frame and a second sliding piec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of the second connecting frame, respectively, at both ends. can do.

또한, 상기 파이프 지지구는 고정 지지구; 상기 고정 지지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 지지구; 및 상기 개폐 지지구를 고정 지지구에 고정하여 상기 파이프 지지구를 구속하기 위한 클램핑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pe support is a fixed support; An opening and closing suppo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support; And a clamping mechanism for fixing the opening and closing support to the fixed support to restrain the pipe support.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은 해양 플랫폼에 사용되는 라이저 파이프(riser pipe)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support frames may be disposed with a riser pipe used in the offshore platform.

또한, 상기 서브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메인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서브 지지 프레임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handle for slidingly moving the sub support frame from the main support frame may be provid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ub support frame.

또한, 상기 서브 지지 프레임의 종단면은 하나의 절곡부를 갖는 "ㄴ"형태 또는 두개의 절곡부를 갖는 "ㄷ"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ub support frame may be formed in a "b" shape having one bent portion or a "c" shape having two bent portion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양 플랫폼의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도 족장 지지대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들이 이동하는 이동공간과 공사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nstall the chief supporter even in a narrow working space of the offshore platform,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ecure a working space in which workers move and construction work is ma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라이저 파이프(riser pipe)의 강도를 이용하여 족장지지대를 설치함으로써, 라이저 파이프를 효과적으로 고정하는 동시에, 족장지지대를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by installing the chief support using the strength of the riser pipe (riser pip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ecure the riser pipe, while maintaining the chief support structurally secur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족장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도 1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족장 지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족장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족장 지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족장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ief suppor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line cut away in FIG. 1.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hieftain suppor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ief suppor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hieftain suppor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ief support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제 1 [First 실시예Example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족장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도 1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족장 지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ief suppor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A" line in Figure 1, Figure 2 (b) is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xample,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A" front sec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hief suppor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족장 지지대는, 지지 프레임(100), 구조물 프레임(200) 및 족장 프레임(3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양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라이저 파이프(10)에 지지될 수 있다. 1 to 3, the chieftain suppor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100, a structure frame 200, and a chieftain frame 300. It can be supported on the riser pipe 10 used.

본 실시예에서, 족장 지지대는 해양 플랫폼의 라이저 파이프(10)에 지지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이 족장 지지대는 족장의 설치가 요구되는 건축/토목 등의 공사장, 선박을 제작하는 조선소, 또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리퀴드 돔(Liquid dome)과 같은 시설물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hief supporter is described as being supported by the riser pipe 10 of the offshore platform,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 chief supporter is used for construction, ships, etc.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such as a shipyard to be manufactured or a facility such as a liquid dome of a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지지 프레임(100)은 기 설치된 라이저 파이프(10)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족장 지지대가 기 설치된 경우에는 라이저 파이프(10)가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100 may be configured as a pair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pre-installed riser pipe 10 interposed therebetween, when the chief supporter is pre-installed, the riser pipe 10 is a pair of support frame 100 Can be installed between,

이러한 지지 프레임(100)은 메인 지지 프레임(110)과, 메인 지지 프레임(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지지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을 통해, 지지 프레임(100)의 전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The support frame 100 may include a main support frame 110 and a sub support frame 120 slidably connected to the main support frame 110, and through these configurations, the support frame 100 may be The overall length can be varied.

예컨대, 도 2(a)에서 보듯이, 메인 지지 프레임(110)은 측벽을 구성하는 메인 지지부(110a)와, 천장벽을 구성하는 메인 상측 수평부(110b)로 구성될 수 있고, 해당 종단면이 하나의 절곡부를 갖는 "┏"형태 또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A, the main support frame 110 may include a main support part 110a constituting a side wall and a main upper horizontal part 110b constituting a ceiling wall.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 or "┓" having one bent portion.

이때, 메인 상측 수평부(110b)는 메인 지지부(110a)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상측 수평부(110b)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서브 상측 수평부(120b)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 걸림턱(111)이 마련될 수 있고, 메인 지지부(110a)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서브 지지부(120a)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걸림턱(112)이 마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upper horizontal portion 110b may be horizontally connect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support portion 110a. In addition, an upper locking jaw 111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upper horizontal part 110b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sub upper horizontal part 120b to be described later, and a sub support part (to be described later)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support part 110a. The lower locking step 112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120a.

그리고 서브 지지 프레임(120)은 메인 지지부(110a)의 내측에서 측벽을 구성하는 서브 지지부(120a)와, 메인 상측 수평부(110b)의 하측에서 천장벽을 구성하는 서브 상측 수평부(120b)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ub support frame 120 includes a sub support part 120a constituting the side wall from the inside of the main support part 110a and a sub upper horizontal part 120b constituting the ceiling wall from the lower side of the main upper part 110b. Can be configured.

이와 같이, 메인 지지 프레임(110)은 서브 지지 프레임(120)을 감싸면서 서브 지지 프레임(120)의 슬라이딩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고, 서브 지지 프레임(120)은 메인 지지 프레임(110)의 슬라이딩 이동 경로를 따라 메인 지지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As such, the main support frame 110 may provide a sliding movement path of the sub support frame 120 while surrounding the sub support frame 120, and the sub support frame 120 may slide on the main support frame 110.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support frame 110 along the movement path.

도 2(b)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 메인 지지 프레임(110)은 측벽을 구성하는 메인 지지부(110a)와, 천장벽을 구성하는 메인 상측 수평부(110b)와, 바닥벽을 구성하는 메인 하측 수평부(110c)로 구성될 수 있고, 해당 종단면은 두 개의 절곡부를 갖는 "ㄷ"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b), a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support frame 110 includes a main support part 110a constituting a side wall, a main upper horizontal part 110b constituting a ceiling wall, and a bottom wall. It may be composed of the main lower horizontal portion (110c) constituting, the longitudinal section may be formed in the "c" shape having two bent portions.

이때, 메인 상측 수평부(110b)는 메인 지지부(110a)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결될 수 있고, 해당 선단에 상부 걸림턱(111)이 마련될 수 있다. 메인 하측 수평부(110c)는 메인 지지부(110a)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결되고, 해당 선단에 하부 걸림턱(112)이 마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upper horizontal portion 110b may be horizontally connect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support portion 110a, and the upper locking jaw 111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thereof. The main lower horizontal portion 110c may be horizontally connect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support portion 110a, and a lower locking jaw 112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thereof.

그리고 서브 지지 프레임(120)은 메인 지지부(110a)의 내측에서 측벽을 구성하는 서브 지지부(120a)와, 메인 상측 수평부(110b)의 하측에서 천장벽을 구성하는 서브 상측 수평부(120b)와, 메인 하측 수평부(110c)의 상측에서 바닥벽을 구성하는 메인 하측 수평부(110c)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ub support frame 120 includes a sub support part 120a constituting a side wall from the inside of the main support part 110a, and a sub upper horizontal part 120b constituting a ceiling wall under the main upper part 110b. The main lower horizontal part 110c constituting the bottom wall may be configured as an upper side of the main lower horizontal part 110c.

이 서브 지지 프레임(120)의 내측면에는 손잡이(130)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130)는 서브 지지 프레임(12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경우, 메인 지지 프레임(110)으로부터 지지 프레임(100)을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A handle 130 may be provid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ub support frame 120. When the handle 130 slides the sub support frame 120, the handle 130 may easily slide the support frame 100 from the main support frame 110.

구조물 프레임(200)은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으로, 이들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0)에 수직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라이저 파이프(10)를 감싸 지지할 수 있는 파이프 지지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파이프 지지구(210)의 내경은 라이저 파이프(10)의 외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ructure frame 200 is a connection frame connecting between a pair of support frames 100, and may b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pair of support frames 100, and may be a pipe that may surround and support the riser pipe 10. Support 210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support 210 may be made of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riser pipe (10).

본 실시예의 구조물 프레임(200)에는 해당 길이방향으로 2개의 파이프 지지구(210)가 이격되게 배치되지만, 이 구조물 프레임(200)에는 1개의 파이프 지지구(210) 또는 3개 이상의 파이프 지지구(210)가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structure fram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wo pipe supports 2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the structure frame 200 includes one pipe support 210 or three or more pipe supports ( 210 may be provided.

족장 프레임(300)은 작업자가 딛는 작업용 발판으로, 구조물 프레임(200)의 전방측에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0) 사이에 수직되게 연결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The patriarchal frame 300 may be configured as a plurality of vertically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frames 1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structure frame 200 by the operator's footrest.

이 복수의 족장 프레임(300)은 지지 프레임(100)의 서브 지지 프레임(120)에 고정 설치되므로, 서브 지지 프레임(120)이 지지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구조물 프레임(200)과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Since the plurality of chieftain frame 300 is fixed to the sub support frame 120 of the support frame 100, when the sub support frame 120 is sl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100, the structure frame ( The separation distance with 200 may be adjusted.

본 실시예에 따른 족장 지지대는, 1개가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도 3에서 보듯이, 2개가 연속하여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족장 지지대가 연속하여 배치되는 경우, 도 3에서 보듯이, 각각의 족장 지지대에는 각각 독립적인 족장 프레임(300)이 구비되거나, 이들 복수의 족장 지지대를 공통적으로 연결하는 길다란 족장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The chief supp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e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as shown in FIG. 3, two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chieftain supporters are arranged continuously, as shown in FIG. 3, each chieftain supporter is provided with an independent chieftain frame 300, or a long chieftain fram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hieftain supporters in common. It may be provided.

[제 2 [Second 실시예Example ]]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족장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ief suppor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구조물 프레임(200)에는 해당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파이프 지지구(21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 프레임(20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 예컨대, 지지 프레임(100) 및 족장 프레임(300) 구성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지지 프레임(100) 및 족장 프레임(300) 구성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므로, 이들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ure 4,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frame 200 may be provided with a pipe support 210 that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 the other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structure frame 200, for example, the support frame 100 and the chief frame 300, are similar to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frame 100 and the chief frame 30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프레임(200)은 제 1 연결프레임(220a), 제 2 연결프레임(220b) 및 파이프 지지구(2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ructure fram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frame 220a, a second connection frame 220b and a pipe support 210.

구체적으로, 제 1 연결프레임(220a)은 구조물 프레임(200)은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연결프레임(220a)은 도면의 좌측에 위치한 연결프레임으로 예시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connection frame 220a may have the structure frame 200 fixed to one of the support frames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frame 220a may be illustrated as a connection fram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이 제 1 연결프레임(220a)의 선단부에는 해당 내측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221)에는 후술하는 제 1 슬라이딩편(211a)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A sliding groove 221 extending in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220a. The first sliding piece 211a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221 to be slidably moved.

제 2 연결프레임(220b)은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0)중에서 다른 하나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연결프레임(220b)은 도면의 우측에 위치한 연결프레임으로 예시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frame 220b may be fixed to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ion frame 220b may be illustrated as a connection fram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이 제 2 연결프레임(220b)의 선단부에도 해당 내측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221)에는 후술하는 제 2 슬라이딩편(211b)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A sliding groove 221 extending in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may also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frame 220b. The second sliding piece 211b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221 to be slidably moved.

파이프 지지구(210)는 해당 중앙부에 라이저 파이프(10)가 관통될 수 있고, 해당 양측단부에 제 1 슬라이딩편(211a)과 제 2 슬라이딩편(211b)이 각각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슬라이딩편(211a)은 제 1 연결프레임(220a)의 슬라이딩홈(2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제 2 슬라이딩편(211b)은 제 2 연결프레임(220b)의 슬라이딩홈(22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The pipe support 210 may have the riser pipe 10 penetrated through the center portion thereof, and the first sliding piece 211a and the second sliding piece 211b may protrude from the both end portions thereof. Here, the first sliding piece 211a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221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220a, and the second sliding piece 211b may be the sliding groove of the second connection frame 220b. 221 may be inserted to be slidably movable.

이에 따라, 라이저 파이프(10)를 파이프 지지구(210)에 삽입하기 위해, 파이프 지지구(210)를 지지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파이프 지지구(210)의 제 1 슬라이딩편(211a) 또는 제 2 슬라이딩편(211b)을 제 1 연결프레임(220a) 또는 제 2 연결프레임(220b)의 슬라이딩홈(2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라이저 파이프(10)의 설치 위치에 맞추어 파이프 지지구(210)를 지지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ipe support 210 is to be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100 in order to insert the riser pipe 10 into the pipe support 210, the pipe support 210 may be remove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iser pipe 10 by sliding the 1st sliding piece 211a or the 2nd sliding piece 211b along the sliding groove 221 of the 1st connection frame 220a or the 2nd connection frame 220b. The pipe support 210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100 according to.

[제 3 [Third 실시예Example ]]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족장 지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hieftain suppor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구조물 프레임(200)에는 개폐 가능한 파이프 지지구(21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 프레임(20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 예를 들어, 지지 프레임(100) 및 족장 프레임(300) 구성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지지 프레임(100) 및 족장 프레임(300) 구성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As shown in Figure 5,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frame 200 may be provided with a pipe support 21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Here, the other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structure frame 200, for example, the support frame 100 and the chief frame 300, may be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frame 100 and the chief frame 30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y are generally similar, the following description focuses on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프레임(200)의 파이프 지지구(210)는, 고정 지지구(210a), 개폐 지지구(210b) 및 클램핑 기구(210c)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pe support 210 of the structure frame 2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include a fixing support 210a, an opening and closing support 210b and a clamping mechanism 210c.

여기서, 고정 지지구(210a)는 라이저 파이프(10)의 일측면을 감쌀 수 있는 반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해당 양단부는 연결프레임을 매개로 지지 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지지구(210a)의 일측부에는 개폐 지지구(210b)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fixing support (210a) may be formed in a semi-ring shape that can wrap one side of the riser pipe 10, the both ends may be fixed to the support frame 100 via a connecting fram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upport 210b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ed support (210a).

개폐 지지구(210b)는 라이저 파이프(10)의 타측면을 감쌀 수 있는 반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고정 지지구(210a)와 함께 라이저 파이프(10)의 둘레면을 감쌀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support 210b may be formed in a semi-ring shape to wrap the other side of the riser pipe 10, and may sur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ser pipe 10 together with the fixing support 210a.

이 개폐 지지구(210b)는 통상의 힌지 구성을 통해 고정 지지구(210a)에 연결되므로, 라이저 파이프(10)의 삽입을 위해 파이프 지지구(2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특히, 고정 지지구(210a)에 대한 개폐 지지구(210b)의 닫힘시, 개폐 지지구(210b)를 고정 지지구(210a)에 구속시키기 위해, 개폐 지지구(210b)에는 클램핑 기구(210c)가 마련될 수 있다.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support 210b is connected to the fixed support 210a through a conventional hinge configuration, the opening and closing support 210b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for insertion of the riser pipe 10. In particular, when the opening / closing support 210b to the fixing support 210a is closed, the clamping mechanism 210c is provided in the opening / closing support 210b to constrain the opening and closing support 210b to the fixing support 210a. May be provided.

클램핑 기구(210c)는 개폐 지지구(210b)와 고정 지지구(210a) 사이를 구속하는 록킹수단으로, 통상의 록킹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지지구(210a)에 대한 개폐 지지구(210b)의 닫힘시, 클램핑 기구(210c)을 통해, 라이저 파이프(10)의 구속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 clamping mechanism 210c is a locking means for restraining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support 210b and the fixing support 210a. A conventional locking device may be used. Therefore, upon closing of the opening / closing support 210b with respect to the fixing support 210a, the clamping mechanism 210c can maintain the restraint state of the riser pipe 10 continuously.

[제 4 [Fourth 실시예Example ]]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족장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ief support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 서브 지지 프레임(120')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복수의 서브 지지 프레임(120a'~120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복수의 서브 지지 프레임(120)에는 하나의 족장 프레임(300')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지지 프레임(120') 및 족장 프레임(300')을 제외한 구조물 프레임(200)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물 프레임(20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6,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 support frame 120 ′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 support frames 120 a ′ to 120 c ′ slidingly coupled to each other. One chief frame 300 'may be mounted on the sub support frame 120, respectively. Here, since the structure frame 200 except for the sub support frame 120 'and the chief frame 300'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frame 20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4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서브 지지 프레임(120')은, 메인 지지 프레임(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서브 지지 프레임(120a')과, 제 1 서브 지지 프레임(120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서브 지지 프레임(120b')과, 제 2 서브 지지 프레임(120b')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서브 지지 프레임(120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들 제 1 내지 제 3 서브 지지 프레임(120a'~120c')에는 각각 제 1 내지 제 3 족장 프레임(300a'~300c')이 장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b support frames 120 ′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sub support frame 120 a ′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support frame 110 and a first sub support frame 120 a ′. The second sub support frame 120b 'is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sub support frame 120b', and the third sub support frame 120c 'is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sub support frame 120b'. In this case, the first to third chief frames 300a 'to 300c' may be mounted on the first to third sub support frames 120a 'to 120c', respectively.

그리고 이 제 1 내지 제 3 족장 프레임(300a'~300c')의 두께는 해당 상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서로 상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to third chief frames 300a 'to 300c'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예컨대, 제 3 서브 지지 프레임(120c')에 장착된 제 3 족장 프레임(300c')의 두께는, 제 2 서브 지지 프레임(120b')에 장착된 제 2 족장 프레임(300b')의 두께보다 두껍고, 제 2 서브 지지 프레임(120b')에 장착된 제 2 족장 프레임(300b')의 두께는 제 1 서브 지지 프레임(120a')에 장착된 제 1 족장 프레임(300a')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third chief frame 300c 'mounted on the third sub support frame 120c'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hief frame 300b 'mounted on the second sub support frame 120b'.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hief frame 300b 'mounted on the second sub support frame 120b'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chief frame 300a 'mounted on the first sub support frame 120a'. .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서브 지지 프레임(120a'~120c')이 각각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 이들 제 1 내지 제 3 족장 프레임(300a'~300c')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가 발을 딛는 족장 지지대의 전체 면적을 확대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to third sub support frames 120a 'to 120c' are slid and moved, respectively,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to third chief frames 300a 'to 300c' may be adjust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total area of the chief supporter on which the worker step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양 플랫폼의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도 족장 지지대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들이 이동하는 이동공간과 공사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라이저 파이프의 강도를 이용하여 족장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라이저 파이프를 효과적으로 고정하는 동시에, 족장지지대를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nstall the chief supporter even in a narrow working space of the offshore platform, it is possible to secure a moving space in which workers move and a work space in which construction work takes place, and by using the strength of the riser pipe Since the chief supporter can be installed, the riser pipe can be effectively fixed, and the chief supporter can be structurally and safely maintained.

상기에서 본 발명을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Skilled artisans may implement a pattern of features that are not described in a combinatorial and / or permutational manner with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is is not to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readily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지지 프레임 110 :메인 지지 프레임
110a :메인 지지부 110b :메인 상측 수평부
110c :메인 하측 수평부 111 :상부 걸림턱
112 :하부 걸림턱 120 :서브 지지 프레임
120a :서브 지지부 120b :서브 상측 수평부
120c :서브 하측 수평부 130 :손잡이
200 :구조물 프레임 210 :파이프 지지구
210a :고정 지지구 210b :개폐 지지구
210c :클램핑 기구 211a :제 1 슬라이딩편
211b :제 2 슬라이딩편 220a :제 1 연결프레임
220b :제 2 연결프레임 221 :슬라이딩홈
300 :족장 프레임
100: support frame 110: main support frame
110a: main support portion 110b: main upper horizontal portion
110c: main lower horizontal portion 111: upper locking jaw
112: lower locking jaw 120: sub support frame
120a: Sub support part 120b: Sub upper horizontal part
120c: Sub-lower horizontal portion 130: Handle
200: structure frame 210: pipe support
210a: fixed support 210b: opening and closing support
210c: clamping mechanism 211a: first sliding piece
211b: second sliding piece 220a: first connecting frame
220b: second connection frame 221: sliding groove
300: Chieftain frame

Claims (9)

파이프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사이에 수직되게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를 감싸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구가 구비된 구조물 프레임; 및
상기 구조물 프레임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사이에 수직되게 연결되는 복수의 족장 프레임을 포함하는 족장 지지대.
A pair of support frames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pipes interposed therebetween;
A structure frame having a pipe supporter vertically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frames and surrounding the pipe; And
Chieftain support comprising a plurality of chief frame vertically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frame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tructur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메인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메인 지지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족장 지지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frame
Main support frame; And
And a sub support frame slidably connected to the main support frame such that the overall length of the support frame is variab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지지 프레임은
메인 지지부;
상기 메인 지지부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결되고 선단에 상부 걸림턱이 마련되는 메인 상측 수평부; 및
상기 메인 지지부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결되고 선단에 하부 걸림턱이 마련되는 메인 하측 수평부를 포함하는 족장 지지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support frame
Main support;
A main upper horizontal part connected horizontally at an upper end of the main support part and provided with an upper locking step at a front end thereof; And
A chief supporter comprising a main lower horizontal portion which is horizontally connect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support and the lower locking step is provided at the tip.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지지 프레임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복수의 서브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지지프레임에는 복수의 족장 프레임이 각각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서브 지지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복수의 족장 프레임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는 족장 지지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b support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sub support frame slidingly coupl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chieftain frame is moun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b support frame, when the sliding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sub support frame, the chief supporter for controll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hieftain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제 1 연결프레임;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중에서 다른 하나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제 2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제 1 연결프레임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슬라이딩편과, 제 2 연결프레임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 슬라이딩편이 양측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파이프 지지구를 포함하는 족장 지지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ucture frame
A first connection frame fixed to any one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and having a sliding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connection frame fixed to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and having a sliding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d a pipe support having a first sliding piec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and a second sliding piec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of the second connection fram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Chieftain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지지구는
고정 지지구;
상기 고정 지지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 지지구; 및
상기 개폐 지지구를 고정 지지구에 고정하여 상기 파이프 지지구를 구속하기 위한 클램핑 기구를 포함하는 족장 지지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pipe support is
Fixed support;
An opening and closing suppo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support; And
And a clamping mechanism for sec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support to the fixed support to restrain the pipe suppo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은 해양 플랫폼에 사용되는 라이저 파이프(riser pipe)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족장 지지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air of support frames are arranged between the riser pipe (riser pipe) used in the offshore platfor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메인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서브 지지 프레임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마련되는 족장 지지대.
3. The method of claim 2,
On the inner side of the sub support frame
A chief supporter is provided with a handle for sliding the sub support frame from the main support fra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지지 프레임의 종단면은 하나의 절곡부를 갖는 "ㄴ"형태 또는 두개의 절곡부를 갖는 "ㄷ"형태로 형성되는 족장 지지대
3. The method of claim 2,
Longitudinal support of the sub-support frame is formed in the "b" shape having one bent portion or "C" shape having two bent portions
KR1020120100923A 2012-09-12 2012-09-12 Scaffold support KR1015162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923A KR101516293B1 (en) 2012-09-12 2012-09-12 Scaffold sup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923A KR101516293B1 (en) 2012-09-12 2012-09-12 Scaffold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511A true KR20140034511A (en) 2014-03-20
KR101516293B1 KR101516293B1 (en) 2015-05-04

Family

ID=5064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923A KR101516293B1 (en) 2012-09-12 2012-09-12 Scaffold sup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29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890Y1 (en) 2017-12-12 2019-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fixing scaffold
KR20190001709U (en) 2017-12-27 2019-07-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x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890Y1 (en) 2017-12-12 2019-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fixing scaffold
KR20190001709U (en) 2017-12-27 2019-07-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x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293B1 (en)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MI991900A1 (en) ACCIDENT PREVENTION DEVICE FOR BUILDINGS ESPECIALLY FOR THE ASSEMBLY OF PREFABRICATED CONCRETE OR SIMILAR ITEMS
JPWO2008136118A1 (en) Elevator car handrail device
KR20140034511A (en) Scaffold support
KR101709996B1 (en) Sprinkler Head Protection Device for Fire Fighting
KR101948724B1 (en) Power cable lifting apparatus and distribution line bypass method using that
KR101690922B1 (en) Scaffold fixing apparatus for a vessel
KR20100001582U (en) A marine slide scaffold
KR20160001442U (en) Cable tray
KR101324034B1 (en) Cable tray
KR20210157070A (en) Movable working platform for a ship
KR200449215Y1 (en) Hose for refraction hanger
KR20140001319U (en) Overhead type auto welding device attaching arc blocking panel
KR101646555B1 (en) Safety Ladder for the Outer Wall Working of Building
KR200480875Y1 (en) rope guide apparatus for careful working
KR101859114B1 (en) Method for installing scaffold
KR101574466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the gang form and rail and Gang form apparatus adopting the same
KR200472187Y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utility line
KR20120107354A (en) Angle adjustable stanchion
KR200483649Y1 (en) Supporting device for the extended vertical member
KR20140035110A (en) Manhole having handgrip
JP2014030606A (en) Safety apparatus for ascending/descending
KR101491246B1 (en) Cable rack for bridge
KR101172148B1 (en) Working plate structure for high place work of ship body
KR200486490Y1 (en) protecting device for shear strake of ship
KR20150002689U (en) Hand Rail having foot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