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433B1 - Pile weld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Pile welding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433B1
KR101630433B1 KR1020150029642A KR20150029642A KR101630433B1 KR 101630433 B1 KR101630433 B1 KR 101630433B1 KR 1020150029642 A KR1020150029642 A KR 1020150029642A KR 20150029642 A KR20150029642 A KR 20150029642A KR 101630433 B1 KR101630433 B1 KR 101630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pile
welding
center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6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면
Original Assignee
이상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면 filed Critical 이상면
Priority to KR102015002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4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4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welding apparatus. In the pile welding apparatus to vertically bond a first pile driven into the ground and a second pile vertically touching an upper part of the first pile; the pile wel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a fixing unit combined by being inserted into a circular aperture part formed on a center of an upper board of the body, fixating the second pile by adhering to a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ile; and a welding unit installed in the body, welding a portion where the first pile and the second pile touches each other while rotating around a portion where the first pile and the second pile touches. The fixing unit controls a size of a diameter penetrated by the second pile by accumulatively combining more than one fix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circular aperture part on the upper board of the body. Circular aperture parts of different sizes are formed on a center of the fixing device. The pile wel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configuration and does not need a complex configuration as it is not necessary to move an additional supporting body in a direction of the second pile by operation of a user to support the second pile penetra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As such, durability of the pile welding apparatus is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s of the pile welding apparatus also becomes cheap.

Description

파일 용접장치{PILE WELDING EQUIPMENT}[0001] PILE WELDING EQUIPMENT [0002]

본 발명은 파일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파일(pile)을 용접하여 붙일 수 있는 파일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e weld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e welding apparatus capable of welding two files (piles).

파일(pile)이란 땅속에 관입 지주로 하는 막대 형상의 재료를 말한다. 상반부가 지반 위에 노출된 파일은 여기에 구조물을 연결하게 되는데 보통 교량(橋梁)과 같은 구조물이나 수중에서의 잔교(棧橋)의 교각(橋脚)의 일부로서도 이용된다. 지반 내에 전부가 박히는 기초파일은 기초지반이 약한 경우에 이용되는 일종의 기초공사에 속하며, 파일을 연약한 지반에 박음으로써 기초지반의 강도를 높이고 그 위에 실리는 무거운 하중에 견디게 하려는 것이다. 파일을 재료에 따라 분류하면, 나무 파일, 콘크리트 파일, 철근콘크리트 파일,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파일, 강철 파일 등이 있다.A pile is a rod-shaped material that penetrates into the ground. A file with the upper half exposed on the ground connects the structure to it. It is usually used as a bridge or as part of a bridge bridge in the water. The foundation pile, which is completely covered in the ground, belongs to a type of foundation work used when the foundation foundation is weak. It is intend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foundation foundation by bearing the pile on soft ground and to withstand the heavy load placed thereon. Files classified by material include wood files, concrete files, reinforced concrete files, prestressed concrete files, and steel files.

파일이 지반 내에 깊이 들어가는 경우는 두 개의 파일을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 경우 굴착기 등을 이용하여 천공작업을 한 다음 연결된 두 개의 파일을 삽입하게 된다. If the file goes deep into the ground, it is sometimes used by connecting two files. In this case, a drilling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an excavator or the like, and then two connected files are inserted.

종래에는 두 개의 파일을 연결하기 위해서, 지표면 위에 두 개의 파일을 눕힌 다음 용접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파일의 맞닿은 부분을 용접하였다. 종래의 방법에 의하는 경우, 두 개의 파일을 지표면 위에 눕힌 다음 작업을 해야 하므로 파일의 길이만큼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먼저 한쪽을 용접한 다음 파일을 회전시켜서 용접이 안된 부분을 용접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link two files, two files are laid down on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then the welded parts of the two files are welded using a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two files are laid down on the ground surface and then wor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space occupies a lot of the file length.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requires a long time because one side is welded first and then the file is rotated to weld the non-welded portion.

또한, 종래에도 하나의 파일을 지반에 수직으로 박아 넣고, 다른 파일을 그 위에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두 개 파일의 맞닿은 부분을 용접하는 장치가 있으나, 종래의 Co2 용접장치는 플럭스 코드 와이어를 사용하고, 와이어의 굵기가 최대 1.6파이로 지름이 큰 파일을 용접 시 한번 회전으로 용접이 안되고, 두번 또는 그 이상 회전하면서 용접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there is a device in which one file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another file is vertically erected thereon, and the abutting portions of the two files are welded. However, the conventional Co2 welding apparatus uses a flux cord wire , A wire having a maximum diameter of 1.6 pia and a diameter of a large diameter is welded at a time of welding, and the welding takes a long time since the welding must be performed twice or more while rotating.

본 출원인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파일 용접장치(등록번호 제10-1444603호)에 대해 특허출원 후 2014년 9월 18일에 등록을 받았다. The present applicant was registered on September 18, 2014 after filing a patent application for a file welding apparatus (registration number 10-1444603)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파일 용접장치(제10-1444603호)는 지반에 수직으로 박힌 제1 파일(pile)과 제1 파일의 상부에 수직으로 맞닿은 제2 파일을 접합하는 파일 용접장치에 있어서, 기체; 상기 기체 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파일의 바깥에서 제1 파일의 중심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제1 파일을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 상기 기체 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파일의 바깥에서 제2 파일의 중심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제2 파일을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 및 상기 기체 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파일과 제2 파일이 맞닿은 주위를 회전 이동하며 제1 파일과 2파일의 맞닿은 부분을 용접하는 용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수단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 동시에 제1 파일의 중심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여 제1 파일에 힘을 가하는 제1 가동수단; 상기 제1 가동수단을 가동시키는 제1 운전수단; 및 상기 제1 가동수단 및 제1 운전수단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1 축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지반에 수직으로 박힌 제1 파일과 제1 파일의 상부에 수직으로 맞닿은 제2 파일의 둘레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균일한 속도로 회전 이동하면서 효과적으로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le welding apparatus (No. 10-1444603) is a pile welding apparatus for joining a first pile perpendicular to a ground and a second pile vertically abutting on top of the first pile, comprising: a gas; First supporting mean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in the base and supporting a first file by exerting a force toward the center of the first file outside the first file; Second supporting mean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body and supporting the second file by exerting a force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file outside the second file; And welding mean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in the base body and welding the first and second files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il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irst moving means for advanc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irst file at the same time and applying a force to the first file; First operating means for actuating the first movable means; And a first shaft supporting the first operating means and the first operating means from below, wherein the first file vertically sandwiched by the ground and the second file vertically abut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e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welding is effected while rotating and moving at a uniform speed.

그러나 파일 용접장치(제10-1444603호)에 의하는 경우 기체의 하부에 위치한 제1 파일을 지지하기 위해 제1 파일의 바깥에서 제1 파일의 중심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제1 파일을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과 기체의 상부에 위치한 제2 파일을 지지하기 위해 제2 파일의 바깥에서 제2 파일의 중심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제2 파일을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을 필요로 하며, 제1 지지수단을 작동시켜 제1 파일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회전시켜 지지체가 제1 파일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착하도록 해야 하며, 제2 지지수단을 작동시켜 제2 파일을 지지하기 위해서도 사용자가 또 다른 손잡이를 회전시켜 또 다른 지지체가 제2 파일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착하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파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의 구성이 매우 복잡해져 제조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인력에 의해 지지체가 파일의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을 반복하여 이동할 경우 장치의 내구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file welding apparatus (No. 10-1444603), when a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irst file outside the first file to support the first file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gas, 1 support means and second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second file by exerting a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second file outside the second file to support the second file located above the gas, In order to support the first file by operating the means, the user must rotate the handle so that the suppor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ile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it. In order to support the second file by operating the second supporting means, It is necessary to rotate the handle so that another support body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ile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pile. In such a configuration,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file becomes very complicat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When the support moves forward and backward repeatedly in the direction of the file by the human force,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e durability of the apparatus .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반에 수직으로 박힌 제1 파일은 별도로 지지할 필요가 없고 제1 파일의 상부에 맞닿은 제2 파일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면 되므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first file, which is vertically embedded in a ground, without having to support the second file,

종래 기술과 같이 별도의 지지체를 동작시켜 파일의 방향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이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고정장치를 기체의 상부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에 직경 크기에 따라 차례대로 결합시켜 제2 파일이 관통될 정도의 크기를 형성함으로써 기체의 상부를 관통하는 제2 파일을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지지한 후 제1 파일과 제1 파일의 상부에 수직으로 맞닿은 제2 파일의 둘레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균일한 속도로 회전 이동하면서 효과적으로 용접할 수 있는 파일 용접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It is not necessary to move the support in the direction of the file by operating a separate support as in the prior art, and the plurality of fixing devic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sequentially coupled to the circular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ase according to the diameter, The second file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is simply and effectively supported, and then the first file and the second file which are vertically abut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e are rotated at a uniform spe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e weld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welding while moving.

또한, 서브머지드(submerged) 자동 용접을 이용하여 지름이 2.4파이 또는 3.2파이 이상 되는 와이어를 공급하면서 용접이 가능하므로 파일의 둘레를 한번만 회전하면서도 빠르고 정확한 용접이 가능한 파일 용접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t is desired to provide a file welding apparatus capable of fast and accurate welding while rotating a circumference of a file once, because it can be welded while supplying a wire having a diameter of 2.4 pi or 3.2 pi or more by using submerged automatic welding. There is a purpose of.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일 용접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le welding apparatus is provi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반에 수직으로 박힌 제1 파일(pile)과 제1 파일의 상부에 수직으로 맞닿은 제2 파일을 접합하는 파일 용접장치에 있어서, 기체; 상기 기체의 상판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2 파일의 둘레에 밀착하여 제2 파일을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기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파일과 제2 파일이 맞닿은 주위를 회전 이동하며 제1 파일과 제2 파일의 맞닿은 부분을 용접하는 용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중앙에 서로 다른 크기의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장치를 상기 기체 상판의 원형의 개구부에 크기에 따라 누적 결합시켜 제2 파일이 관통하는 직경의 크기를 조절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ile welding apparatus for joining a first pile perpendicular to a ground and a second pile vertically abutted on top of the first pile, comprising: a base; Fixing means inserted and coupled to a circular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of the base body and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second pile to fix the second pile; And welding means installed in the base and rotating around the abutment of the first file and the second file and welding the abutting portion of the first file and the second file, The at least one holding device having the circular opening is cumulatively coupled to the circular opening of the upper plate to adjust the size of the diameter through which the second file passes.

또한, 상기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장치는 기체의 상판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 둘레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의 내측에서 절곡되어 기체의 상판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fixing device having the circular opening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that is seated around a circular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of the base and a supporting portion that is bent at the inside of the seat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a circular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of the base. .

또한, 상기 기체 내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원형의 가이드부; 및 상기 원형의 가이드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를 구비하고, 제2 기어의 회전 시 용접수단은 파일의 둘레를 회전 이동할 수 있다.Further, a circular guide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center of the gasket; And a second gear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guide portion and rotated by engaging with the first gear, wherein the welding means during rotation of the second gear is capable of rotating around the file .

또한, 상기 기체 내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원형의 가이드부; 및 상기 원형의 가이드부의 둘레를 회전하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 시 회전수단의 하부에 연결된 용접수단이 파일의 둘레를 회전 이동할 수 있다.Further, a circular guide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center of the gasket; And a rotating means for rotating around the circular guide portion, wherein welding mean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means during rotation of the rotating means can rotate around the file.

또한, 상기 회전수단의 하부 프레임에는 원형의 가이드부에서 멀어져 가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용접수단을 복수 개의 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킴으로써 용접수단의 회전 직경을 조절할 수 있다.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frame of the rotating mean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ircular guide portion, and the diameter of the welding means can be adjusted by joining the welding means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les.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하부에 스크류를 구비하고, 스크류를 회전시켜 스크류에 연결된 용접수단의 회전 직경을 조절 후 복수 개의 홀 중 어느 하나의 홀에 용접수단을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means may include a screw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welding means may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les after rotating the screw to adjust the rotational diameter of the welding means connected to the screw.

또한, 일단이 용접수단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타단이 제1 파일 또는 제2파일의 둘레를 감싼 후 용접수단의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용접수단의 하부가 제1 파일과 제2 파일의 맞닿은 부분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용접수단에 구비된 용접토치를 제1 파일과 제2 파일의 맞닿은 부분에 근접시키는 체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welding means is tilted toward the abutting portion of the first file and the second file by being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elding means while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welding means after wrappi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file or the second file And the welding torch provided on the welding means is brought close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file and the second file.

또한, 상기 기체를 구성하는 상판과 하판 각각의 일면은 경첩식으로 연결되고 대향하는 타면은 핀으로 결합되어 핀을 제거시 상판과 하판 각각의 타면은 벌어지게되어 기체가 제1 파일과 제2 파일에서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urface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constituting the base is hingedly connected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opposite surface is coupled by a pin. When the pin is removed, the other surface of each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opened, Lt; / RTI >

또한, 상기 기체를 구성하는 상판과 하판 각각의 일측은 핀으로 결합되며 파일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핀을 제거 후 결합부를 기체에서 제거하면 기체가 제1 파일과 제2 파일에서 분리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side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constituting the base is connected by a pin and has a coupling por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pile. When the coupling is removed from the base after removing the pin, Lt; / RTI >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용접장치에 의하면, 기체의 상부를 관통하는 제2 파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별도의 지지체가 제2 파일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필요가 없어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의 내구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ile wel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for the user to move the separate suppor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file to support the second file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is simple It does not require a complicated configuration,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apparatus is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또한, 지반에 수직으로 박힌 제1 파일과 제1 파일의 상부에 수직으로 맞닿은 제2 파일의 둘레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균일한 속도로 회전 이동하면서 효과적으로 용접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weld the first file embedded vertically to the ground and the second file vertically abut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e at a uniform interval while rotating and moving at a uniform interval.

또한, 서브머지드(submerged) 자동 용접을 이용하여 지름이 2.4파이 또는 3.2파이 이상 되는 와이어를 공급하면서 용접이 가능하므로 파일의 둘레를 한번만 회전하면서도 빠르고 정확한 용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using submerged automatic welding, it is possible to weld while supplying a wire having a diameter of 2.4 pi or 3.2 pi or more,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fast and accurate welding while rota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le only o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용접장치의 단면도.
도 2a는 회전수단의 확대도.
도 2b는 기체 내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원형의 가이드부와 원형의 가이드부 둘레를 회전하는 회전수단의 측면도.
도 2c는 기체 내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원형의 가이드부와 원형의 가이드부 둘레를 회전하는 회전수단의 사시도.
도 3은 제 1파일의 둘레를 체인으로 감싼 후 용접토치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모습의 예시도.
도 4는 제2 파일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사시도.
도 5a는 경첩식으로 구성되는 하판의 사용상태도.
도 5b는 경첩식으로 구성되는 상판의 사용상태도.
도 6a는 결합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판의 사용상태도.
도 6b는 결합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판의 사용상태도.
1 is a sectional view of a file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n enlarged view of the rotating means;
FIG. 2B is a side view of a circular guide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gas and a rotating means rotating around the circular guide. FIG.
FIG. 2C is a perspective view of a circular guide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gas and a rotating means rotating around the circular guide. FIG.
Fig. 3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periphery of a first file is wrapped around a chain and then welded using a welding torch;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securing means for securing a second file;
Fig. 5A is a state of use of the lower plate constituted by hinges. Fig.
Fig. 5B is a state of use of the upper plate constituted by a hinge type.
6A is a state of use of a lower plate configured to separate a coupling portion.
FIG. 6B is a state of use of the top plate configured to separate the engaging portions. FIG.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파일 용접장치(100)는 지반에 수직으로 박힌 제1 파일(1)과 제1 파일(1)의 상부에 수직으로 맞닿은 제2 파일(3)을 접합하는 장치이다. 굴착기(미도시)에 의해 천공된 지반에 제1 파일(1)은 상당 부분이 박혀있고, 상부가 노출되어 있다. 상부가 노출되어 있는 제1 파일(1)의 상단에는 크레인 등에 의해 운반된 제2 파일(3)이 위치한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file welding apparatus 100 is a device for joining a first file 1 perpendicular to a ground and a second file 3 vertically abutting on top of the first file 1 . A large portion of the first pile 1 is embedded in the ground pierced by an excavator (not shown), and the upper portion is exposed. A second pile (3) carried by a crane or the like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pile (1) where the upper part is exposed.

파일 용접장치(100)는 기체(10), 기체(10)의 상판(10b)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2 파일(3)의 둘레에 밀착하여 제2 파일(3)을 고정하는 고정수단(20) 및 기체(10) 내에 설치되고 제1 파일(1)과 제2 파일(3)이 맞닿은 주위를 회전 이동하며 제1 파일(1)과 제2 파일(3)의 맞닿은 부분을 용접하는 용접수단(30)을 포함하되, 고정수단(20)은 중앙에 서로 다른 크기의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장치를 기체 상판(10b)의 원형의 개구부에 크기에 따라 누적 결합시켜 제2 파일(3)이 관통하는 직경의 크기를 조절한다.The file welding apparatus 100 is inserted into a circular opening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10b of the base 10 and is joined to the second file 3 so as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second file 3, The first file 1 and the second file 3 are rotated and moved around the abutment of the first file 1 and the second file 3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file 1 and the second file 3 The fixing means 20 includes at least one fixing device in which circular openings of different sizes are formed at the center, and a welding device 30 for welding the upper and lower fixing devices to the circular opening of the upper plate 10b, To adjust the diameter of the second file (3).

제1 파일(1) 및 제2 파일(3)의 몸체는 콘크리트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제1 파일(1) 및 제2 파일(3)의 양단에는 금속제의 파일캡(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콘크리트 몸체에 박혀 외부로 노출된 철심과 너트를 이용하여 볼트 너트 결합을 함으로써, 제1 파일(1) 및 제2 파일(3)의 양단에는 금속제의 파일캡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파일(1)과 제2 파일(3)이 맞닿은 부분은 금속이므로, 이 부분을 용접하여 두 개의 파일(1, 3)을 붙이는 것이다.The body of the first file 1 and the second file 3 may be made of concrete and a metal file cap (not shown)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file 1 and the second file 3 . A metal pile cap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pile 1 and the second pile 3 by bolt-nut coupling using an iron core and a nut that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Since the portion where the first file 1 and the second file 3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s a metal, this portion is welded and the two files 1 and 3 are attached.

도 5a 내지 6b를 참조하면, 기체(10)의 하판(10a)에는 지면에 박힌 제1 파일(1)이 관통하는 원형 프레임(16)이 형성되고, 상판(10b)에는 제2 파일(3)이 관통하는 원형의 가이드부(12)가 형성된다.5A to 6B, the lower frame 10a of the base 10 is formed with a circular frame 16 through which the first punched file 1 passes and the upper frame 10b is provided with a second pile 3, A circular guide portion 12 is formed.

고정수단(20)은 기체(10)의 상판(10b) 중앙에 형성된 원형 프레임(11)에 의해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에 삽입된다.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수단(20)은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장치로 구성되고, 각 고정장치는 기체(10)의 상판(10b) 중앙에 형성된 원형 프레임(11)의 원형의 개구부 둘레에 안착되는 안착부(21)와 안착부(21)의 내측에서 절곡되어 기체(10)의 상판(10b)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 즉 원형 프레임(11)의 내측에 삽입되는 지지부(22)로 구성된다. 기체(10)의 상판(10b)을 관통하는 제2 파일(3)의 직경이 큰 경우는 하나의 고정장치만 결합될 수 있고, 제2 파일(3)의 직경이 작은 경우는 세 개의 고정장치가 누적 결합될 수도 있다. 각 고정장치는 안착부(21)에 고리(24)가 형성된다. 고리(24)에 로프를 매달아 들어올린 후 기체(10)의 상판(10b) 원형의 개구부에 결합시키거나 원형의 개구부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각 고정장치는 핀(23)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핀(23)을 제거시 두 개로 분리가 가능하다. 두 개로 분리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도 5a ~ 도 6b 설명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서는 세 개의 고정장치가 누적 결합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고정장치를 여러 개 누적 결합시킬수록 중앙에 형성되는 원형의 개구부는 직경이 작아지며 해당 직경에 맞는 제 2파일(3)이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용접시 제2 파일(3)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The fixing means 20 is inserted into a circular opening formed by the circular frame 1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10b of the base 10. 4, each of the fixing devices includes a circular frame 1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10b of the base 10, A circular opening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10b of the base body 10, that is, a circular opening formed in the inside of the circular frame 11, As shown in Fig. Only one fixing device can be coupled when the diameter of the second pile 3 passing through the upper plate 10b of the base 10 is large and when the diameter of the second pile 3 is small, May be cumulatively combined. Each of the fixing devices has a ring 24 formed in the seat portion 21. [ The rope may be hung on the ring 24 and then joined to the circular opening of the upper plate 10b of the base 10 or may be separated from the circular opening. Further, each fixing device is coupled with a pin 23 and can be separated into two when the pin 23 is removed. The reason for separating the two par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6B. FIG. 4 shows that three fixing devices are cumulatively combined. As the plurality of fastening devices are cumulatively combined, the circular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becomes smaller in diameter, and the second pile (3)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is penetrated and coupled so that the second pile (3) do.

파일 용접장치(100)는 기체(10) 내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원형의 가이드부(12) 및 상기 원형의 가이드부(1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 기어(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13)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44)를 구비하고, 제2 기어(44)의 회전 시 용접수단(30)은 제1 파일(1) 및 제2 파일(3)의 둘레를 회전 이동하며 용접한다. 원형의 가이드부(12)는 제2 파일(3)이 관통하는 원형 프레임(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원형 프레임(11)의 바깥쪽에 배치된다.The file welding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 circular guide portion 12 provided at an upper center of the base 10 and a first gear 13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guide portion 12, And the second gear 44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gear 13. The rotation of the second gear 44 causes the welding means 30 to rotate about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and second files 1, So as to rotate. The circular guide portion 12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frame 11 through which the second pile 3 passes and is disposed outside the circular frame 11.

또한, 파일 용접장치(100)는 상기 기체(10) 내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원형의 가이드부(12) 및 상기 원형의 가이드부(12)의 둘레를 회전하는 회전수단(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40)의 회전 시 회전수단(40)의 하부에 연결된 용접수단(30)이 제1 파일(1) 및 제2 파일(3)의 둘레를 회전 이동하며 용접한다.The file welding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 circular guide portion 12 provided at an upper center of the base 10 and a rotating means 40 rotating around the circular guide portion 12 The welding means 30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means 40 dur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ans 40 rotates and welds around the first and second files 1 and 3.

회전수단(4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rotating means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회전수단(40)은 회전프레임(47), 회전프레임(47)의 내측에 설치되는 모터(41), 모터(4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베벨기어(42), 제1 베벨기어(42)와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43), 제2 베벨기어(43)와 축 결합하여 회전하며 상기 원형의 가이드부(1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 기어(13)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44), 제2 기어(44)와 축 결합하며 제2 기어(44)가 제1 기어(13)와 맞물려 회회 할 때 상기 원형의 가이드부(12)의 외주면을 지지하며 회전하는 외부롤러(45), 원형의 가이드부(12)의 내측에 구비되어 원형의 가이드부(12)의 내주면을 지지하며 회전하는 내부롤러(46)로 구성된다. The rotating means 40 includes a rotating frame 47, a motor 41 provided inside the rotating frame 47, a first bevel gear 42 rotated by driving of the motor 41, A second bevel gear 43 engaged with the first bevel gear 42 and a second bevel gear 43 engaged with the second bevel gear 43 and rotatably engaged with the first gear 13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guide portion 12, The second gear 44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44 and engages with the first gear 13 to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guide portion 12, The roller 45 is constituted by an inner roller 46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circular guide portion 12 and rotates to suppor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guide portion 12.

결국, 모터(41)의 구동에 의해 제1 베벨기어(42)와 제2 베벨기어(43)가 회전하고 제2 베벨기어(43)의 회전에 따라 제2 기어(44)가 제1 기어(13)의 둘레를 회전하는 것이며, 회전 시 회전프레임(47)의 상부에 구비된 내부롤러(46)와 외부롤러(45)가 원형의 가이드부(12)를 내, 외측에서 지지하며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bevel gear 42 and the second bevel gear 43 are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41 and the second gear 44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bevel gear 43, The inner roller 46 and the outer roller 45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frame 47 during rotation support the circular guide portion 12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can do.

또한, 회전수단(40)의 하부 프레임에는 원형의 가이드부(12)에서 멀어져 가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홀(48)이 형성되고, 상기 용접수단(30)을 구성하는 프레임(34)을 복수 개의 홀(48) 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킴으로써 용접수단(30)의 회전 직경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회전수단(40)은 하부 중앙에 스크류(50)를 구비하고, 스크류(50)의 양측에는 스크류(50)와 평행하게 가이드봉(51)이 구비된다. 스크류(50)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스크류(5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49)가 구비되며, 용접수단(30)을 구성하는 프레임(34)의 상단은 스크류(50)와 가이드봉(51)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사용자가 손잡이(49)를 회전시키면 스크류(50)가 회전하게 되고 스크류(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크류(50)에 결합된 용접수단(30)의 프레임(34)이 가이드봉(51)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된다. 용접수단(30)이 스크류(50)와 가이드봉(51)을 따라 전진 이동하면 용접수단(30)의 회전 직경이 작아지게 되어 직경이 작은 파일을 용접하는데 편리하며, 용접수단(30)이 후진 이동하면 용접수단(30)의 회전 직경이 커지게 되어 직경이 큰 파일을 용접하는데 편리하다. 용접수단(30)의 회전 직경을 조절 후 복수 개의 홀(48) 중 어느 하나의 홀에 용접수단(30)의 프레임(34)을 볼트 결합시킴으로써 용접수단(30)이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용접수단(30)의 직경을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볼트를 풀고서 손잡이(49)를 사용하여 스크류(50)를 회전시키면 된다.A plurality of holes 48 are formed in the lower frame of the rotating means 4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ircular guide portion 12. The frame 34 constituting the welding means 3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holes (48) to adjust the rotation diameter of the welding means (30). Specifically, the rotating means 40 is provided with a screw 50 at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and guide rods 5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crew 50 in parallel with the screw 50. A handle 49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crew 50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screw 50. The upper end of the frame 34 constituting the welding means 30 is connected to the screw 50 via the guide rod 51 As shown in Fig.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49, the screw 50 is rotated and the frame 34 of the welding means 30, which is coupled to the screw 50 accor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screw 50, So that it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When the welding means 30 moves forward along the screw 50 and the guide rod 51, the turning diameter of the welding means 30 becomes small, which is convenient for welding a small diameter file, The moving diameter of the welding means 30 becomes large, which is convenient for welding a large-diameter file. The welding means 30 can be fixed without being shaken by adjusting the rotation diameter of the welding means 30 and then bolting the frame 34 of the welding means 30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les 48. If the diameter of the welding means 30 needs to be adjusted, the bolt may be loosened and the screw 50 may be rotated using the handle 49.

용접수단(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welding means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용접수단(30)은 상기 회전수단(40)의 스크류(50)를 따라 이동 가능한 프레임(34), 프레임(34)에 설치되어 용접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릴(36), 용접토치(33), 용접토치(33)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32), 용접수단(3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31), 플럭스 가루의 낙하를 방지하는 플럭스 낙하 방지판(35), 플럭스 가루를 회수하는 플럭스 회수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The welding means 30 includes a frame 34 movable along the screw 50 of the rotating means 40, a wire reel 36 mounted on the frame 34 to supply the welding wire, a welding torch 33, A control part 31 for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of the welding means 30, a flux falling prevention plate 35 for preventing the falling of the flux powder, a control part 32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welding torch 33, And a flux recovery device (not shown) for recovering the flux.

서브머지드 자동 용접 방식에 의해 지름 2.4, 3.2, 4파이의 와이어를 공급하면서 용접함으로써, 한번의 회전으로도 두 개 파일(1, 3)의 용접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weld two files (1, 3) with one revolution by welding while supplying 2.4, 3.2 and 4 pi diameter wire by submerged automatic welding method.

또한, 용접수단(30)은 일단이 용접수단(3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타단이 제1 파일(1) 또는 제2파일(3)의 둘레를 감싼 후 용접수단(30)의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용접수단(30)의 하부가 제1 파일(1)과 제2 파일(3)의 맞닿은 부분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용접수단(30)에 구비된 용접토치(33)를 제1 파일(1)과 제2 파일(3)의 맞닿은 부분에 근접시키는 체인(61)을 더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체인(61)의 일단은 용접수단(30)을 구성하는 프레임(34)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62)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1 파일(1)의 둘레를 감싼 후 프레임(34)에 구비된 걸이부(63)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다. 체인(61)으로 용접수단(30)의 하부를 제1 파일(1)에 고정시킴으로써 용접수단(30)의 용접토치(33)를 용접부위에 더 가까이 접근시킬 수 있고, 스프링(62)을 사용하여 텐션(tension)을 제공함으로써 체인(61)이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
The welding means 30 has one e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elding means 30 and the other end wrapping around the first pile 1 or the second pile 3,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welding means 30 is tilted toward the abutting portion of the first pile 1 and the second pile 3 so that the welding torch 33 provided in the welding means 30 is pushed against the first pile 1, Further comprising a chain (61) for approximating the abutting portion of the second file (3). 1 and 3, one end of the chain 61 is connected to a spring 62 provided below the frame 34 constituting the welding means 3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first pile 1 It can be fixed to the hook portion 63 provided on the frame 34 by hanging it. The welding torch 33 of the welding means 30 can be brought closer to the welded portion by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welding means 30 to the first pile 1 with the chain 61 and by using the spring 62 By providing tension, the chain 61 is not easily broken.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기체(10)의 하판(10a)과 상판(10b)의 구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plate 10a and the upper plate 10b of the base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6B. Fig.

도 5a는 기체(10)의 하판(10a)의 구성을 나타낸다. 하판(10a)의 일면은 경첩(14)으로 연결되며 이에 대향하는 타면은 핀(15)으로 결합되어 있다. 핀(15)을 제거시 하판(10a)은 경첩(14)을 축으로 하여 벌어지게 할 수 있다.Fig. 5A shows the structure of the lower plate 10a of the base 10. One surface of the lower plate 10a is connected to the hinge 14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0a is coupled to the pin 15. When the pin 15 is removed, the lower plate 10a can be opened with the hinge 14 as an axis.

도 5b는 기체(10)의 상판(10b)의 구성을 나타낸다. 하판(10a)와 마찬가지로 일면은 경첩(14)으로 연결되며 이에 대향하는 타면은 핀(15)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파일의 용접이 끝난 후 파일 용접장치(100)를 제1 파일(1) 및 제2 파일(3)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Fig. 5B shows the structure of the upper plate 10b of the base 10. Like the lower plate 10a, one surface is connected by a hinge 14 and the other surface is connected by a pin 15. With this configuration, the file welding apparatus 1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file 1 and the second file 3 after the file is welded.

먼저, 도 4에서 살펴본 고정수단(20)을 구성하는 고정장치의 핀(23)을 제거하면 고정장치도 두 개로 분리가 가능하다. 고정장치의 핀(23)을 제거하고, 하판(10a)과 상판(10b)의 핀(15)도 제거하게 되면 고정장치를 그대로 놔둔 상태에서 기체(10)와 고정수단(20)을 두 조각으로 벌릴 수 있고 용접된 제1 파일(1) 및 제2 파일(3)을 제거하지 않고 제1 파일(1) 및 제2 파일(3)로부터 파일 용접장치(100)를 분리할 수 있다.
First, when the pin 23 of the fixing device constituting the fixing means 20 shown in FIG. 4 is removed, the fixing device can also be separated into two. When the pins 23 of the fixing device are removed and the pins 15 of the lower plate 10a and the upper plate 10b are also removed, the base 10 and the fixing means 20 are divided into two pieces The file welding apparatus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file 1 and the second file 3 without removing the first and second files 1 and 2 welded and welded.

도 6a는 기체(10)의 하판(10a)의 구성을 나타낸다. 하판(10a)의 일측은 복수 개의 핀(15)으로 결합되며 파일(1, 3)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 개의 핀(15)을 제거 후 결합부를 기체(10)의 하판(10a)에서 제거할 수 있다.6A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plate 10a of the base 10. One side of the lower plate 10a is coupled with a plurality of pins 15 and has a coupling por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piles 1, The engaging portions can be removed from the lower plate 10a of the base body 10 after the plurality of fins 15 are removed.

도 6b는 기체(10)의 상판(10b)의 구성을 나타낸다. 상판(10b)의 일측은 복수 개의 핀(15)으로 결합되며 파일(1, 3)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 개의 핀(15)을 제거 후 결합부를 기체(10)의 상판(10b)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파일의 용접이 끝난 후 파일 용접장치(100)를 제1 파일(1) 및 제2 파일(3)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는 도 5a 및 도 5b의 경우와는 달리 먼저, 상판(10b) 위에 결합되는 고정수단(20)을 들어올려 제거 후 상판(10b) 및 하판(10a)의 복수 개의 핀(15)을 제거하고 결합부를 분리시킴으로써 파일 용접장치(100)를 제1 파일(1) 및 제2 파일(3)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6B shows the structure of the upper plate 10b of the base 10. One side of the upper plate 10b is coupled with a plurality of pins 15 and has a coupling por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piles 1, The engaging portions can be removed from the upper plate 10b of the base 10 after the plurality of fins 15 are remove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file welding apparatus 1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file 1 and the second file 3 after the file is welded. In this case, unlike the case of FIGS. 5A and 5B, the fixing means 20,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10b, is lifted to remove the plurality of pins 15 of the upper plate 10b and the lower plate 10a, The file welding apparatus 100 can be removed from the first file 1 and the second file 3 by removing the joining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기체의 상부를 관통하는 제2 파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별도의 지지체가 제2 파일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필요가 없어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의 내구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upport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file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in order to support the second file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so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is simple and requires a complicated configuration The durability of the apparatus is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또한, 지반에 수직으로 박힌 제1 파일과 제1 파일의 상부에 수직으로 맞닿은 제2 파일의 둘레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균일한 속도로 회전 이동하면서 효과적으로 용접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weld the first file embedded vertically to the ground and the second file vertically abut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e at a uniform interval while rotating and moving at a uniform interval.

또한, 서브머지드(submerged) 자동 용접을 이용하여 지름이 2.4파이 또는 3.2파이 이상 되는 와이어를 공급하면서 용접이 가능하므로 파일의 둘레를 한번만 회전하면서도 빠르고 정확한 용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using submerged automatic welding, it is possible to weld while supplying a wire having a diameter of 2.4 pi or 3.2 pi or more,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fast and accurate welding while rota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le only once.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되는 것임은 자명하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bviously, such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 제1 파일 3: 제2 파일
10: 기체 10a: 하판
10b: 상판 11, 16: 원형 프레임
12: 원형의 가이드부 13: 제1 기어
14: 경첩 15, 23: 핀
20: 고정수단 21: 안착부
22: 지지부 24: 고리
30: 용접수단 31: 제어부
32: 조절부 33: 용접토치
34: 프레임 35: 플럭스 낙하 방지판
36: 와이어릴 40: 회전수단
41: 모터 42: 제1 베벨기어
43: 제2 베벨기어 44: 제2 기어
45: 외부롤러 46: 내부롤러
47: 회전프레임 48: 홀
49: 손잡이 50: 스크류
51: 가이드봉 61: 체인
62: 스프링 63: 걸이부
100: 파일 용접장치
1: first file 3: second file
10: gas 10a: lower plate
10b: upper plate 11, 16: circular frame
12: circular guide portion 13: first gear
14: Hinges 15, 23: Pin
20: fixing means 21:
22: support 24: ring
30: welding means 31:
32: adjusting part 33: welding torch
34: Frame 35: Flux drop prevention plate
36: wire reel 40: rotating means
41: motor 42: first bevel gear
43: second bevel gear 44: second gear
45: outer roller 46: inner roller
47: rotating frame 48: hole
49: Handle 50: Screw
51: guide rod 61: chain
62: spring 63: hook portion
100: File welding device

Claims (9)

서브머지드(submerged) 자동 용접을 이용하여 지름이 2.4파이 또는 3.2 파이 이상 되는 와이어를 공급하면서 지반에 수직으로 박힌 제1 파일(pile)과 제1 파일의 상부에 수직으로 맞닿은 제2 파일을 접합하는 파일 용접장치로서,
기체;
상기 기체의 상판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2 파일의 둘레에 밀착하여 제2 파일을 고정하는 고정수단;
상기 기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파일과 제2 파일이 맞닿은 주위를 회전 이동하며 제1 파일과 제2 파일의 맞닿은 부분을 용접하는 용접수단; 및
일단이 용접수단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타단이 제1 파일 또는 제2파일의 둘레를 감싼 후 용접수단의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용접수단의 하부가 제1 파일과 제2 파일의 맞닿은 부분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용접수단에 구비된 용접토치를 제1 파일과 제2 파일의 맞닿은 부분에 근접시키는 체인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중앙에 서로 다른 크기의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장치를 상기 기체 상판의 원형의 개구부에 크기에 따라 누적 결합시켜 제2 파일이 관통하는 직경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장치는 기체의 상판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 둘레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의 내측에서 절곡되어 기체의 상판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며, 각 고정장치는 로프를 매달아 들어올린 후 기체의 상판 원형의 개구부에 결합시키거나 원형의 개구부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안착부에 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체인의 일단은 용접수단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1 파일의 둘레를 감싼 후 프레임에 구비된 걸이부에 걸어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용접장치.
A first pil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second pile vertically abutting on the top of the first pile are welded to each other by supplying submerged automatic welding with a wire having a diameter of 2.4 pi or 3.2 pi or more, A file welding apparatus comprising:
gas;
Fixing means inserted and coupled to a circular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of the base body and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second pile to fix the second pile;
Welding means installed in the base and rotating around the abutment of the first file and the second file to weld the abutted portion of the first file and the second file; And
And the lower end of the welding means is inclined toward the abutted portion of the first file and the second file by being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elding means after the other end is wrapped around the first file or the second file And a chain for bringing the welding torch provided in the welding means close to the abutting portion of the first file and the second file,
Wherein the fixing means adjusts the size of the diameter through which the second pile passes by cumulatively coupling at least one fixing device having circular openings of different sizes at the center to the circular opening of the upper plate, The at least one fixing device having the opening portion is composed of a seat portion that is seated around a circular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of the base and a support portion that is bent at the inside of the seat portion and inserted into a circular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of the base, A ring is formed on the seat part so that the rope can be hung up and then coupled to the opening part of the circular shape of the upper plate of the vehicle or separated from the round opening part,
Wherein one end of the chain is connected to a spring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constituting the welding means and the other end is wrapped around the first file and then fixed to the hook portion provided on the fram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내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원형의 가이드부; 및
상기 원형의 가이드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를 구비하고, 제2 기어의 회전 시 용접수단은 파일의 둘레를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용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ircular guide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center of the body; And
And a first gear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guide portion,
And a second gear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gear, and the welding means rotates around the file when the second gear rot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내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원형의 가이드부; 및
상기 원형의 가이드부의 둘레를 회전하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 시 회전수단의 하부에 연결된 용접수단이 파일의 둘레를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용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ircular guide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center of the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means for rotating around the circular guide portion,
And a welding mean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means during rotation of the rotating means rotates around the fi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의 하부 프레임에는 원형의 가이드부에서 멀어져 가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용접수단을 복수 개의 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킴으로써 용접수단의 회전 직경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용접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frame of the rotating mean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ircular guide portion and the rotation diameter of the welding means is adjusted by engaging the welding means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les.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하부에 스크류를 구비하고, 스크류를 회전시켜 스크류에 연결된 용접수단의 회전 직경을 조절 후 복수 개의 홀 중 어느 하나의 홀에 용접수단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용접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tating means comprises a screw at the bottom and the screw is rotated to adjust the rotational diameter of the welding means connected to the screw and to engage the welding means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l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를 구성하는 상판과 하판 각각의 일면은 경첩식으로 연결되고 대향하는 타면은 핀으로 결합되어 핀을 제거시 상판과 하판 각각의 타면은 벌어지게되어 기체가 제1 파일과 제2 파일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용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constituting the base are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ther surface is coupled with a pin. When the pin is removed, Wherein the file welding apparatus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를 구성하는 상판과 하판 각각의 일측은 핀으로 결합되며 파일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핀을 제거 후 결합부를 기체에서 제거하면 기체가 제1 파일과 제2 파일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용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n and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pile. When the pile is removed and the paired portion is removed from the base, Wherein the file welding apparatus comprises:
KR1020150029642A 2015-03-03 2015-03-03 Pile welding equipment KR1016304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642A KR101630433B1 (en) 2015-03-03 2015-03-03 Pile weld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642A KR101630433B1 (en) 2015-03-03 2015-03-03 Pile welding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433B1 true KR101630433B1 (en) 2016-06-14

Family

ID=56192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642A KR101630433B1 (en) 2015-03-03 2015-03-03 Pile welding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43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0876A (en) * 2017-11-14 2018-05-29 中冶天工(天津)装备制造有限公司 A kind of fast automatic bonding machine of pipeline
CN110039230A (en) * 2019-04-30 2019-07-23 江苏楼翔建设有限公司 A kind of welded device of prefabricated pile lift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7398A (en) * 1986-10-13 1988-04-28 Kusakabe Kikai Kk Method and device for circumferential welding of pipe
KR20090021652A (en) * 2007-08-27 2009-03-04 김근식 Device for weldign a circular material
KR101304318B1 (en) * 2013-03-25 2013-09-11 (주)피에이씨 건축사사무소 Protector for welding pipe
KR101444603B1 (en) * 2013-05-24 2014-09-26 주식회사 연합 Pile weld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7398A (en) * 1986-10-13 1988-04-28 Kusakabe Kikai Kk Method and device for circumferential welding of pipe
KR20090021652A (en) * 2007-08-27 2009-03-04 김근식 Device for weldign a circular material
KR101304318B1 (en) * 2013-03-25 2013-09-11 (주)피에이씨 건축사사무소 Protector for welding pipe
KR101444603B1 (en) * 2013-05-24 2014-09-26 주식회사 연합 Pile welding equip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0876A (en) * 2017-11-14 2018-05-29 中冶天工(天津)装备制造有限公司 A kind of fast automatic bonding machine of pipeline
CN110039230A (en) * 2019-04-30 2019-07-23 江苏楼翔建设有限公司 A kind of welded device of prefabricated pile lif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4989U (en) Temporary utility pole installation collection device
JP5520643B2 (en) Boring method and boring apparatus
JP5026936B2 (en) Derrick for steel tower assembly / disassembly and removal method
KR101630433B1 (en) Pile welding equipment
KR101444603B1 (en) Pile welding equipment
US3820424A (en) Pipe cutter
KR101812662B1 (en) Gripper for excavator clamp
CN105040762A (en) Mining shovel with bushings at pin locations
JP4040076B1 (en) Foundation pile welding equipment
CN112160309B (en) Penetration sounding rod lifting device and lifting method thereof
JP2004308249A (en) Pile support device of inclined shaft inclination adjusting device in full revolving all casing machine
JP2016132909A (en) Construction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on-site constructed pile
KR101677541B1 (en) Circumferential welding equipment
JP4739939B2 (en) Telephone pole cutting machine
KR102108032B1 (en) Concrete file top cutting equipment
JPH11210365A (en) Rotary press-in method and device for cylindrical casing for shaft excavation
JP6289911B2 (en) Pile driver
JPH08301573A (en) Hanging accessory for pile
JP2006125032A (en) Pile construction machine
CN221114711U (en) Anchor rope packing auxiliary device
JPH0835226A (en) Steel pipe pile and construction of stel pipe pile wall by use thereof and device
JP6134346B2 (en) Sheet pile co-falling prevention device and sheet pile construction method
JP2019173304A (en) Hillside drilling method
KR101523013B1 (en) Cutting apparatus for foudation ring hole
CN211549742U (en) Anchor deviation correcting device for large-deformation road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