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580B1 -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580B1
KR101303580B1 KR1020130067528A KR20130067528A KR101303580B1 KR 101303580 B1 KR101303580 B1 KR 101303580B1 KR 1020130067528 A KR1020130067528 A KR 1020130067528A KR 20130067528 A KR20130067528 A KR 20130067528A KR 101303580 B1 KR101303580 B1 KR 101303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upled
driver
modul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그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그린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그린티
Priority to KR1020130067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가 개시된다. 몸체부와;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전방 카메라와;상기 몸체부에 내장되며, 상기 전방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상기 몸체부에 내장되며,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와;차량의 외부에 결합되며,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와;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습도감지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방 카메라의 줌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BLACK BOX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에 대해서 정확한 영상을 확보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외부에 전달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발전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서 승용차는 대중화되고 그에 따라서 차량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양적으로 폭증하는 차량의 수에 비하여 도로의 확장률은 저조하여 도로가 소화할 수 있는 수준이 한계치에 다다르고 있는 상황이며, 그에 따라 여러 가지 교통문제가 발생되고 미숙하거나 부주의한 운전자에 의하여 교통사고가 다발하고 있다.
교통사고는 통상 당사자간에 합의를 하거나, 신고를 할 경우 경찰당국 및 보험회사의 판단에 따라 상호의 과실정도에 따라서 피해액이 분담되고 있으나, 이때 과실정도의 판단이 모호한 경우가 많고 사실과 터무니없이 다른 금액이 일측에 부과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으며, 사고원인을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보험회사는 가해자 및 피해자의 판단 및 상호 책임도에 따라서 운전자에게 지급되는 보험금에 상당한 차액이 발생되므로 이를 위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청하거나 전문기관의 자문을 얻는 등 인적 및 물적으로 상당히 많은 경비의 지출이 요구되었다.
그렇지만 전문가 및 전문기관의 자문을 구하여 가해자 및 피해자의 판단 및 상호 책임도를 규정하더라도 사고를 당한 피해자가 납득하기 어려운 경우가 유발되었고, 그에 따라서 객관성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한 사고처리의 필요성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더욱이 객관적인 자료가 없이 가해자 및 피해자의 판단 및 상호 책임도를 따지는 상황에서 사고 상황의 임의 조작이 성행되어 선량한 피해자가 발생되는 경우가 적지 않고 그에 따른 소송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교통사고에 수반되는 상황판단을 명확하게 규명할 수 없어서 객관적인 사고 상황에 대한 규정을 내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들어 차량에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를 부착하는 살례가 늘고 있다.
그러나, 날씨가 나쁠때는 차량을 식별할 정도의 화질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아울러, 내부 메모리의 용량의 한계로 포멧을 하면 기존의 데이터가 지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부분 전방 내지 후방의 상황만 주시할 수 있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외부의 날씨 환경에 따라 줌(ZOOM)을 조정하여 외부 차량의 식별력을 높인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파손이 일어난 지점을 메모리하여 추후 해당지역을 운행할 시 이를 경고해주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을 외부서버에 무선통신으로 저장하여 영구보관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부의 날씨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날씨정보에 맞추어 줌을 조정하여 외부 차량의 식별력을 높인 차량용 불랙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이 일어난 방향으로 회전카메라가 회전하여 추후의 상황을 녹화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편의장치(라디오 선국, 향기모듈 제어, 최루가스 제어, 심장마비 감지)를 컨트롤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전방 카메라와;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며, 상기 전방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며,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와;
차량의 외부에 결합되며,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습도감지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방 카메라의 줌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는 회전모듈과;
상기 회전모듈에 결합하는 보조 카메라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GPS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통신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이산화탄소 감지센서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알콜감지센서와;
자동차의 운전석에 결합된 무게감지센서와;
상기 자동차의 운전석의 천정에 결합된 초음파센서와;
상기 자동차의 운전석에 결합된 맥박감지센서와;
상기 자동차의 창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창문구동모듈과;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향기모듈과;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최루가스 구동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창문에 결합된 버그킬러모듈과;
상기 자동차에 결합된 라디오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센서에서 기준값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감지되면 상기 창문구동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창문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콜감지센서로부터 알콜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대리운전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대리기사를 콜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로부터 무게정보를 얻고, 상기 초음파 센서로부터 앉은 키 정보를 얻어, 운전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운전자가 설정해 놓은 주파수로 선국되도록 상기 라디오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운전자가 설정해 놓은 향기가 방향되도록 상기 향기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맥박감지센서에서 갑작스러운 심장마비 정보를 얻을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응급센터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창문구동모듈이 상기 창문을 열리도록 구동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그킬러모듈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카메라에서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감지하면, 상기 최루가스 구동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운전자 방향으로 최루가스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외부의 날씨 환경에 따라 줌(ZOOM)을 조정하여 외부 차량의 식별력을 높인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파손이 일어난 지점을 메모리하여 추후 해당지역을 운행할 시 이를 경고해주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을 외부서버에 무선통신으로 저장하여 영구보관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부의 날씨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날씨정보에 맞추어 줌을 조정하여 외부 차량의 식별력을 높인 차량용 불랙박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이 일어난 방향으로 회전카메라가 회전하여 추후의 상황을 녹화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를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편의장치(라디오 선국, 향기모듈 제어, 최루가스 제어, 심장마비 감지)를 컨트롤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가 설치된 차량의 사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가 설치된 차량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10)은,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에 결합되는 전방 카메라(12)와; 상기 몸체부(11)에 내장되며, 상기 전방 카메라(12)의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3)와; 상기 몸체부(11)에 내장되며,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14)와; 차량(100)의 외부에 결합되며,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15)와; 상기 몸체부(11)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습도감지센서(15)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방 카메라(12)의 줌을 조절하는 제어부(16)를 포함한다.
몸체부(11)는 케이스로서,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10)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한다.
몸체부(11)의 외부에는 전방 카메라(12)가 결합되어 있다. 전방 카메라(12)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전방 상황을 녹화한다. 전방 카메라(12)는 줌(ZOOM) 기능이 있다.
메모리부(13)는 전방 카메라(12)의 영상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3)에는 충격시의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폴더, 평상시의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폴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포멧으로 메모리부(13)의 모든 영상정보를 지울 수 있다.
몸체부(11)의 내부에는 충격감지센서(14)가 내장된다. 충격감지센서(14)는 X,Y,Z의 삼축의 가속을 감지하여,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6)에 전달한다. 제어부(16)는 충격감지센서(14)의 신호를 바탕으로 외부차량과의 충돌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차량(100)의 외부에는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15)가 결합된다. 비가오거나 안개가 심할 경우 외부의 상대습도는 90%이상이다. 습도감지센서(15)가 90%이상의 습도를 감지하면, 외부는 안개나 비로 인하여 사물의 식별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기상환경에서 전방 카메라(12)가 평상시의 줌으로 영상을 촬영할 경우, 차량의 번호를 식별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기상상황에서는 제어부(16)가 전방 카메라(12)의 줌을 당겨, 보다 차량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전방 카메라(12)가 볼 수 있는 시야는 좁아지지만, 정확도는 높아진다.
한편, 날씨정보는 외부의 날씨서버(20)로부터 얻을 수도 있다. 몸체부(11)의 내부에는 GPS(17)와, 날씨서버(2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부(18)가 더 결합될 수 있다. GPS(17)의 위치정보를 날씨서버(20)로 전송하면, 해당 위치의 날씨를 통신부(18)를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날씨정보를 바탕으로 제어부(16)는 전방 카메라(12)의 줌을 조정한다.
또한, 통신부(18)는 메모리부(13)의 영상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외부서버(30)에 저장한다. 메모리부(13)의 경우 비정상적인 데이터의 저장이나 기타 오류로 인하여 더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는, 사고 등으로 인하여 기존의 영상정보가 지워질 수도 있다. 통신부(18)를 통하여 영상정보를 외부서버(30)에 저장함으로써, 영상정보를 영구보존할 수 있다.
몸체부(11)에는 회전모듈(191)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모듈(191)에는 보조 카메라(192)가 결합하여, 360도 회전가능하다. 충격감지센서(14)가 충격방향을 감지하면, 보조 카메라(192)는 충격방향으로 회전하여 비상상태의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전방 카메라(12)가 전방의 영상정보를 상시 촬영하는 반면, 보조 카메라(192)는 충격방향을 360도 회전하면서 촬영한다. 회전모듈(191)은 모터와 기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는 충격감지센서(14)의 정보로 부터, 도로파손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인 속도방지턱은 수직방향의 + 방향의 신호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반면, 도로가 움푹하게 파인 곳은, 약한 - 방향의 신호가 생성된 이후, 급격한 +방향의 신호가 생성된다. 이러한 충격감지센서(14)의 신호로부터 도로파손 위치정보를 제어부(16)는 메모리부(13)에 저장하고, 이후, 차량(100)이 동일한 위치를 이동하면, 도로파손이 있음을 음성으로 외부에 알람한다. 차량 운전자는 도로파손 위치를 피해서 운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10)은,
상기 몸체부(11)에 결합된 이산화탄소 감지센서(102)와;
상기 몸체부(11)에 결합된 알콜감지센서(105)와;
자동차의 운전석에 결합된 무게감지센서(103)와;
상기 자동차의 운전석의 천정에 결합된 초음파센서(104)와;
상기 자동차의 운전석에 결합된 맥박감지센서(101)와;
상기 자동차의 창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창문구동모듈(109)과;
상기 몸체부(11)에 결합된 향기모듈(106)과;
상기 몸체부(11)에 결합된 최루가스 구동모듈(111)과;
상기 자동차의 창문에 결합된 버그킬러모듈(107)과;
상기 자동차에 결합된 라디오모듈(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센서(102)에서 기준값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감지되면 상기 창문구동모듈(109)을 작동시켜, 상기 창문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한다.
차량내에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을 경우, 졸음이 쉽게 온다. 졸음운전은 사망사고로 이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신선한 공기를 차량내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강제적으로 운전석의 창문이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자동차의 창문은 운전자의 의지에 의해서 버튼을 누르고 당김으로써 열고 닫을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 부분을 제어부(16)가 제어하여,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더라도 기준값 이상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감지될 경우, 창문구동모듈(109)를 제어하여 창문을 열고 닫을 수 있다.
여기서 이산화탄소의 농도의 "기준값"은 제조자가 초기에 설정할 수도 있고, 운전자가 다시 셋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알콜감지센서(105)로부터 알콜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18)를 통하여 대리운전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자동차의 위치정보와 운전자의 전화정보를 전송하여, 대리기사를 콜하도록 한다.
술을 마시고 운전대를 잡는 것은 습관이며, 이러한 습관에 의해서 대형사고로 이어진다. 알콜감지센서(105)가 알콜을 감지하면, 일단 제어부(16)는 자동차의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제어부(1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자동차의 시동모듈과 연결되어 있다. 알콜감지센서(105)에서 알콜을 감지할 경우에는 음주운전을 하려는 운전자의 의도가 높다. 따라서, 운전자가 자동차에 시동을 걸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가 차량의 뒷좌석에 앉을 경우에는 알콜감지센서(105)가 기준농도 이하의 알콜농도를 감지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 경우에는 자동차 시동이 걸리도록 제어부(16)가 제어할 수 있다. 알콜감지센서(105)는 음주측정기에 사용되는 센서를 활용할 수도 있다.
차량 소유주가 음주운전을 한 경우, 자동으로 통신부(18)는 외부에 있는 대리운전서버에 자동차의 위치정보와, 차량 소유주의 전화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대리기사를 콜하도록 한다. 이렇게되면, 자동으로 대리기사가 차량으로 오게되고, 대리운전기사는 자택으로 차량 소유주를 모시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1)에는 음성인식모듈(미도시)이 더 결합될 수도 있다. 차량 소유주가 음주운전을 한 경우에는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 이때, 차량 소유주 이외의 사람(예를 들어, 대리기사)가 음성인식모듈에 음성을 인식시키면, 음성인식모듈은 차량 소유주가 아님을 인식하고 차량에 시동이 걸리도록 할 수도 있다.
,
또한,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무게감지센서(103)로부터 무게정보를 얻고, 상기 초음파 센서(104)로부터 앉은 키 정보를 얻어, 운전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운전자가 설정해 놓은 주파수로 선국되도록 상기 라디오모듈(110)을 제어하고, 상기 운전자가 설정해 놓은 향기가 방향되도록 상기 향기모듈(106)을 제어한다.
다양한 가족 구성원이 하나의 차량을 이용할 경우, 매번 자신이 선호하는 라디오 채널을 선택하고 변경하여야 한다. 이는 운전자의 주의를 떨어뜨리기 쉽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를 자동으로 식별하고, 이를 바탕으로 운전자가 선호하는 라디오 채널이 자동으로 선국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게감지센서(103)가 운전석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무게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운전석의 천정에 초음파 센서(104)를 부착하여 운전자의 앉은키 정보를 인식한다. 이를 바탕으로, 운전자를 정확히 식별한다. 예를들어, 몸무게 70킬로, 천정에서 머리상부까지의 거리가 10cm 정도이면, 아버지(김**)로 식별할 수 있다. 운전자가 식별되면, 해당 운전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라디오 주파수로 선국되도록 라디오모듈(110)이 작동한다.
아울러, 몸체부(11)에는 향기모듈(106)이 결합되어 있다. 향기모듈(106)은 강제적으로 향기를 분사할 수 있는 장치로서, 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된 향기모듈에서 쉽게 착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향기모듈(106)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향기가 액상으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다. 운전자마다 선호하는 향기가 있다. 이러한 향기를 운전석에 앉은 즉시 맡게 되면, 보다 상쾌한 기분으로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무게정보와 앉은 키 정보로, 운전자를 식별하면, 해당 운전자가 선택한 향기를 향기모듈(106)이 방향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맥박감지센서(101)에서 갑작스러운 심장마비 정보를 얻을 경우, 상기 통신부(18)를 통하여 상기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응급센터 서버에 전송한다.
맥박감지센서(101)가 운전석에 결합되어 있다. 운전자가 갑작스럽게 심장마비를 일으킬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생명도 위험하다. 자동차가 운행중에 맥박감지센서(101)에서 심장마비 정보를 제어부(16)에 전송할 경우, 제어부(16)는 외부의 응급센터서버(예를 들어, 119나, 병원의 응급실)에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창문구동모듈(109)이 상기 창문을 열리도록 구동하면,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버그킬러모듈(107)에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버그킬러모듈(107)은 자동차의 창문에 설치되며, 금속와이어와 금속 와이어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전류가 흐르는 금속 와이어에 모기나 파리 등이 접촉하면, 스파크를 일으키면서 죽게 된다.
여성 운전자가 운전하는 도중에, 벌레가 운전자석으로 날아들어오면 본능적으로 놀라 핸들을 원치않는 방향으로 조작하게 된다. 이로 인한 사고도 빈번히 발생한다. 따라서, 창문을 열더라도 벌레가 날아들어오지 못하도록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창문구동모듈(109)이 작동하여 창문이 열리면, 제어부(16)는 창문에 결합된 버그킬러모듈(107)을 작동하여 벌레를 제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보조 카메라(192)에서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감지하면, 상기 최루가스 구동모듈(111)을 구동하여 상기 운전자 방향으로 최루가스를 분사한다.
보조 카메라(192)는 평상시에는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한다. 운전자의 얼굴 중, 눈동자를 지속적으로 촬영하고, 눈꺼플이 눈동자를 가리는 시간을 측정한다. 졸음운전을 하지 않을 경우, 눈꺼플은 눈동자를 가린 후, 즉시 원위치가 된다. 그러나, 졸릴 경우에는 깜빡거림의 속도가 늦게 된다. 이러한 눈동자의 깜빡거림의 속도를 보조 카메라(192)가 촬영하고, 이러한 깜빡거림 속도를 바탕으로 제어부(16)가 졸음운전 여부를 판별한다. 졸음운전으로 식별된 경우, 제어부는 최루가스 구동모듈(111)을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최루가스를 분사한다. 최루가스 구동모듈(111)은 위에서 언급한 향기모듈(106)과 유사한 구조일 수 있다. 대신, 최루가스구동모듈(111)에는 향수 대신, 최루가스액이 저장되어 있다. 졸음운전은 대형사로고 이어지는 바, 최악의 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최루가스액을 운전자에게 분사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10) 몸체부(11)
전방 카메라(12) 메모리부(13)
충격감지센서(14) 습도감지센서(15)
제어부(16)

Claims (2)

  1. 삭제
  2.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전방 카메라와;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며, 상기 전방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며,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와;
    차량의 외부에 결합되며,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습도감지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방 카메라의 줌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는 회전모듈과;
    상기 회전모듈에 결합하는 보조 카메라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GPS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통신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이산화탄소 감지센서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알콜감지센서와;
    자동차의 운전석에 결합된 무게감지센서와;
    상기 자동차의 운전석의 천정에 결합된 초음파센서와;
    상기 자동차의 운전석에 결합된 맥박감지센서와;
    상기 자동차의 창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창문구동모듈과;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향기모듈과;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최루가스 구동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창문에 결합된 버그킬러모듈과;
    상기 자동차에 결합된 라디오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센서에서 기준값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감지되면 상기 창문구동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창문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콜감지센서로부터 알콜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대리운전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대리기사를 콜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로부터 무게정보를 얻고, 상기 초음파 센서로부터 앉은 키 정보를 얻어, 운전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운전자가 설정해 놓은 주파수로 선국되도록 상기 라디오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운전자가 설정해 놓은 향기가 방향되도록 상기 향기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맥박감지센서에서 갑작스러운 심장마비 정보를 얻을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응급센터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창문구동모듈이 상기 창문을 열리도록 구동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그킬러모듈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카메라에서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감지하면, 상기 최루가스 구동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운전자 방향으로 최루가스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20130067528A 2013-06-13 2013-06-13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1303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528A KR101303580B1 (ko) 2013-06-13 2013-06-13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528A KR101303580B1 (ko) 2013-06-13 2013-06-13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580B1 true KR101303580B1 (ko) 2013-09-09

Family

ID=4945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528A KR101303580B1 (ko) 2013-06-13 2013-06-13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5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874B1 (ko) * 2019-10-15 2021-0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중 데이터 수집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수집방법
KR102216873B1 (ko) * 2019-10-15 2021-0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중 데이터 수집시스템
KR20210059502A (ko) * 2019-11-15 2021-05-25 박재형 호신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4423A (ja) * 1995-03-17 1996-10-01 Fuji Electric Co Ltd 移動体搭載用距離検出装置
JP2007288444A (ja) 2006-04-14 2007-11-01 Toyota Motor Corp 車載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車載カメラ制御方法。
KR20090023991A (ko) * 2007-09-03 2009-03-06 (주)디코인 회전 카메라를 이용한 화상통신 및 디브이알 기능을 구비한네비게이션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4423A (ja) * 1995-03-17 1996-10-01 Fuji Electric Co Ltd 移動体搭載用距離検出装置
JP2007288444A (ja) 2006-04-14 2007-11-01 Toyota Motor Corp 車載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車載カメラ制御方法。
KR20090023991A (ko) * 2007-09-03 2009-03-06 (주)디코인 회전 카메라를 이용한 화상통신 및 디브이알 기능을 구비한네비게이션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874B1 (ko) * 2019-10-15 2021-0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중 데이터 수집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수집방법
KR102216873B1 (ko) * 2019-10-15 2021-0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중 데이터 수집시스템
KR20210059502A (ko) * 2019-11-15 2021-05-25 박재형 호신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
KR102292384B1 (ko) * 2019-11-15 2021-08-20 박재형 호신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9314B2 (en) Mobile alert and security system
US10081317B2 (en) Safety control system for vehicles based on driver health
US8164463B2 (en) Driver management apparatus and travel management system
US8855621B2 (en) Cellphone controllable car intrusion recording and monitoring reaction system
US9302618B2 (en) Access and egress detection system for assignable locations
US20130009766A1 (en) Access and Egress Detection System for Assignable Location
EP333094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nhanced garage door opener remote control
CN106184016A (zh) 一种智能后视镜系统及其控制方法
CN203651621U (zh) 带疲劳驾驶提醒装置的内后视镜及安装此内后视镜的车辆
US20180111506A1 (en) Vehicle safety system and method
JP2011065561A (ja) 車載用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101303580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US202003771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vehicles
US202300778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rence of intruders
KR101431576B1 (ko) 차량용 스마트 블랙박스 시스템
CN115427268A (zh) 用于检测被锁在车内的乘客的具有人工智能功能的警报
CA31657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functions based on evaluated driving team composition
US10891866B2 (en) Parking assist apparatus
US20210230921A1 (en) Vehicle protection system, vehicle component and method
CN107054144B (zh) 一种电动汽车的控制方法、装置及电动汽车
JP2023182752A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等
KR101466547B1 (ko) 다기능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US202300835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images around vehicle for insurance claim processing
JP5640284B2 (ja) 車載用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54044A (ko) 차량내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를 구비한 avn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