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537B1 - 매체 반송 장치 및 금융기기 - Google Patents

매체 반송 장치 및 금융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537B1
KR101303537B1 KR1020120028649A KR20120028649A KR101303537B1 KR 101303537 B1 KR101303537 B1 KR 101303537B1 KR 1020120028649 A KR1020120028649 A KR 1020120028649A KR 20120028649 A KR20120028649 A KR 20120028649A KR 101303537 B1 KR101303537 B1 KR 101303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torque limiter
load
media
medium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20028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65H5/064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the axes of the roller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3Couplings
    • B65H2403/732Torque limi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 반송 장치 및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 반송 장치는, 매체를 이송하는 매체 이송부; 상기 매체 이송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매체를 파지하는 매체 파지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원; 상기 제1 구동원의 회전력을 상기 매체 이송부 또는 상기 매체 파지부에 전달하는 토크 리미터; 및 상기 토크 리미터에 부하를 가하는 부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 리미터는, 상기 부하부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가 기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매체 파지부에만 회전력을 전달한다.

Description

매체 반송 장치 및 금융기기{A media convey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본 발명은 매체 반송 장치 및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예를 들면, 지폐, 수표, 유가증권, 상품권 등)를 인입 또는 인출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는 일반적으로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 보관함을 포함한다. 이때 매체 보관함은 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 이상 매체가 저장되는 회수부, 매체 출입부를 통해 인입된 매체를 일시적으로 집적하기 위한 일시 집적 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매체는, 롤러와 벨트를 구비하는 형태의 반송 장치를 통해 반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매체 인출만을 수행하는 특정 금융기기 등에서는, 묶음으로 클램핑(clamping) 되어 이송될 수 있다.
즉 상기 금융기기는, 회동 가능한 복수의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에 매체를 위치시키고 플레이트로 매체를 가압하여, 플레이트가 매체를 파지한 상태로 매체의 이송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금융기기는, 소형의 핑거 모터(finger motor)를 사용하여 플레이트를 회동시켜서 매체가 플레이트에 밀착되도록 하고, 매체를 파지한 플레이트 구조를 별도의 DC 모터를 이용하여 반송시킴으로써, 매체가 매체 출입부에 이송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때 사용되는 핑거 모터는, 가격이 비싸고 내구성이 낮으며 동작의 신뢰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고장이 잦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금융기기는, 매체의 파지 및 반송에 각각 모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 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크 리미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동 모터로 매체의 파지와 반송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매체 반송 장치 및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 반송 장치는, 매체를 이송하는 매체 이송부; 상기 매체 이송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매체를 파지하는 매체 파지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원; 상기 제1 구동원의 회전력을 상기 매체 이송부 또는 상기 매체 파지부에 전달하는 토크 리미터; 및 상기 토크 리미터에 부하를 가하는 부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 리미터는, 상기 부하부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가 기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매체 파지부에만 회전력을 전달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기기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매체를 이송하는 매체 반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반송 장치는, 매체를 파지하는 매체 파지부와, 상기 매체 파지부를 이송하는 매체 이송부와, 구동원의 회전력을 상기 매체 파지부 또는 상기 매체 이송부에 전달하되 부하가 기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매체 파지부에만 회전력을 전달하는 토크 리미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원을 이용하여 매체 이송부를 움직이고, 토크 리미터를 이용하여 매체 파지부를 회동시켜 매체의 반송을 수행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송 장치의 평면도.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송 장치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송 장치의 토크 리미터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송 장치의 토크 리미터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례로 지폐,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처리, 지로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처리, 지로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방출기(CD: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ATM :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송 장치 및 금융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사용자가 금융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부(11)와, 수표를 출입금하기 위한 수표 출입부(12)와, 지폐를 출입금하기 위한 지폐 출입부(13)와, 통장을 출입하기 위한 통장 출입부(14)와, 금융처리를 위한 IC 카드(Integrated Circuit Card)를 출입하기 위한 카드 출입부(15)와, 매체 출입부(12, 13)를 통해 입금된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 집적부(16)와,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매체 반송 장치(도 2의 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표 출입부(12), 지폐 출입부(13), 통장 출입부(14), 카드 출입부(15) 중 하나 이상은 생략될 수 있다. 수표 출입부(12) 및 지폐 출입부(13)는, 통칭하여 매체 출입부(12, 13)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집적부(16)는, 사용자가 수납한 매체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집적부(도시하지 않음), 입금되는 매체를 보관하는 리싸이클박스(도시하지 않음: recyclebox), 이상매체가 보관되는 회수부(도시하지 않음), 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도시하지 않음: cassette) 등과 같이 금융기기(1) 내에 구비되고 매체가 유입되어 보관될 수 있는 모든 모듈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상기 매체 반송 장치(도 2의 2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매체를 이송한다. 상기 매체 반송 장치(도 2의 20)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송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때 도 4는 상기 매체 이송부가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매체 이송부에 부하가 가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상기 매체 파지부에만 회전력이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매체 파지부가 매체를 파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상기 매체 파지부가 매체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매체 이송부가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송 장치(20)는, 매체 이송부(21), 매체 파지부(22), 제1 구동원(23), 토크 리미터(24: Torque Limiter), 부하부(25)를 포함한다.
상기 매체 이송부(21)는, 직선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여 매체(2)를 반송한다. 상기 매체 이송부(21)의 일측에는 상기 매체 파지부(22)가 연결되며, 상기 매체 파지부(22)가 매체(2)를 파지할 경우, 상기 매체 이송부(21)가 움직임으로써 상기 매체(2)를 반송시킬 수 있다.
상기 매체 이송부(21)는, 베이스 플레이트(211: Base Plate), 이송축(212), 이송기어(213: Gear), 랙기어(214: Rack Gear), 제1 회전축(215)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는, 직선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는, 상기 제1 구동원(23)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이송기어(213)가 상기 랙기어(214)와 맞물림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이송축(212)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원(23)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이때 상기 이송축(212)에는 토크 리미터(24)가 구비되고, 상기 토크 리미터(24)가 상기 제1 구동원(23)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이송축(212)이 상기 제1 구동원(23)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다만 상기 토크 리미터(24)에 부하가 기설정값 이상으로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 제1 구동원(23)의 회전력이 상기 토크 리미터(24)에 전달되더라도, 상기 회전력은 상기 이송축(212)에 전달되지 않게 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움직임은 정지될 수 있다.
상기 이송기어(213)는, 상기 이송축(212)에 구비된다. 상기 이송기어(213)는 상기 이송축(212)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위해 상기 이송축(212)의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기어(213)는 상기 랙기어(214)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214)는, 상기 이송기어(213)에 맞물린다. 상기 랙기어(214)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가 움직이더라도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이송기어(213)가 상기 이송축(212)의 양단에 각각 구비될 경우 상기 랙기어(214) 또한 상기 이송기어(213)가 설치된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는, 상기 제1 구동원(23)의 회전력이 상기 토크 리미터(24)를 통해 상기 이송축(212)에 전달될 경우, 상기 이송축(212)에 구비된 상기 이송기어(213)가 상기 랙기어(214)와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직선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215)은, 상기 토크 리미터(24)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상기 제1 회전축(215)은, 상기 토크 리미터(24)와 맞물리는 연결기어(216)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회전기어(21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축(215)은, 후술할 상기 매체 파지부(22)의 제2 회전축(221)과 연결되어 상기 매체 파지부(22)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회전축(215)의 제1 회전기어(217)는, 상기 제2 회전축(221)의 제2 회전기어(222)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매체 파지부(22)는, 상기 매체 이송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매체(2)를 파지한다. 상기 매체 파지부(22)는, 회동 플레이트(223: Plate), 클램핑 플레이트(224: Clamping Plate), 제2 회전축(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는, 상기 매체 이송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동원(23)에 의해 회동되어 매체(2)의 일면을 가압한다. 제1 구동원(23)이 회전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회전력은 토크 리미터(24)를 통해 연결기어(216)에 전달되어 제1 회전축(215)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1 회전축(215)에 맞물린 제2 회전축(221)이 회전함으로써, 제2 회전축(221)에 연결된 회동 플레이트(223)가 회동하게 된다.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는, 상기 매체 이송부(21)가 상기 제2 구동원(225)에 의하여 이송될 경우와, 상기 토크 리미터(24)가 상기 매체 파지부(22)에만 회전력을 전달할 경우에 회동된다. 즉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는, 상기 토크 리미터(24)가 상기 이송축(212)에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도, 상기 제1 구동원(23)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매체(2)의 타면을 가압한다.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는 상기 매체 이송부(21) 또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와는 상관없이 별도로 구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매체 파지부(22)는,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제2 구동원(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체 파지부(22)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와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를 이용하여 매체(2)를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는, 안정적으로 복수의 매체(2)를 파지하기 위하여, 측단면이 S자 형태일 수 있다.
이는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가 평면 형태일 경우,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는 상기 매체(2)의 상단만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매체(2)가 상기 매체 파지부(22)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의 회동 중심은,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의 회동과는 무관하게 별도로 제2 구동원(225)에 의하여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의 회동 중심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가 연결된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의 일단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원(23)은,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1 구동원(23)은 DC 구동 모터(231)를 포함하며, 모터축(232)에는 모터기어(233)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기어(233)는, 상기 이송축(212)에 구비된 토크 리미터(24)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토크 리미터(24)는, 상기 제1 구동원(23)의 회전력을 상기 매체 이송부(21) 또는 상기 매체 파지부(22)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토크 리미터(24)는, 후술할 부하부(25)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가 기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매체 파지부(22)에만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토크 리미터(24)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가 상기 부하부(25)에 의해 움직임이 차단되어 상기 부하부(25)를 통해 전달되는 부하가 기설정값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이송축(212)이 헛돌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상기 매체 이송부(21)의 움직임이 차단될 경우에도 상기 매체 파지부(22)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하게 매체(2)의 파지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하나의 구동원과 토크 리미터(24)를 사용하여, 매체 이송부(21)의 직선 움직임과 매체 파지부(22)의 회동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토크 리미터(2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토크 리미터(24)일 수 있으며, 상기 토크 리미터(24)의 구성 및 원리는, 도 11을 참조하여 추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부하부(25)는, 상기 토크 리미터(24)에 부하를 가한다. 상기 부하부(25)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일측 방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움직임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부하부(25)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움직임을 차단할 경우, 부하가 상기 이송기어(213) 및 상기 이송축(212)을 따라 상기 토크 리미터(24)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토크 리미터(24)에 전달되는 부하가 기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토크 리미터(24)는 상기 이송축(212)에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게 되고, 상기 매체 이송부(21)는 상기 부하부(25)에 접촉한 상태로 멈추게 된다.
즉 상기 매체 이송부(21)는 상기 부하부(25)에 맞닿을 때까지 직선 운동하며, 상기 매체 이송부(21)가 상기 부하부(25)에 의해 움직임이 차단되면, 상기 토크 리미터(24)의 작용으로 인해 상기 매체 이송부(21)는 상기 제1 구동원(23)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크 리미터(24)는 상기 매체 파지부(22)에 회전력을 계속 공급할 수 있는 상태이므로, 매체 파지부(22)는 상기 매체 이송부(21)가 상기 부하부(25)에 의해 움직임이 차단되더라도, 회동이 가능하다. 즉 상기 토크 리미터(24)는, 부하가 기설정값 이상이 되더라도 상기 매체 파지부(22)에는 지속적으로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매체 파지부(22)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의 일단에 접촉하여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회동제한 돌기(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다시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에 밀착된 상태, 즉 회동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구동원(23)이 회전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상기 모터기어(233)가 회전하고, 상기 모터기어(233)에 맞물린 토크 리미터(24)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토크 리미터(24)에는 기설정값 이상의 부하가 가해지지 않으므로, 토크 리미터(24)에 연결된 이송축(212) 역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이송축(212)이 회전하면 상기 이송축(212)에 구비된 이송기어(213)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송기어(213)는 랙기어(214)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이송기어(213)의 회전 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가 좌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토크 리미터(24)에는 상기 연결기어(216)가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연결기어(2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축(215)이 회전하고, 상기 제1 회전기어(217)와 상기 제2 회전기어(222)가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회전축(221)이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매체 이송부(21)가 적선 이송될 때 상기 매체 파지부(22)는 회동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매체 이송부(21)가 직선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는 부하부(25)에 의하여 움직임이 차단된다. 이때 매체 파지부(22)의 회동 플레이트(223)는 매체(2)를 파지하기에 적절한 위치까지 회동되기 전 상태에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매체 이송부(21)의 움직임을 부하부(25)가 차단함에 따라 부하가 상기 토크 리미터(24)에 가해지며, 상기 부하가 기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토크 리미터(24)는 상기 이송축(212)을 아이들(idle) 상태로 만들게 된다. 이때 제1 구동원(23)의 회전력은 다시 토크 리미터(24)를 따라 연결기어(216), 제1 회전축(215), 제1 회전기어(217), 제2 회전기어(222), 제2 회전축(221)으로 전달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매체 파지부(22)가 회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매체 파지부(22)가 요구되는 위치로 회동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매체 파지부(22)의 클램핑 플레이트(224)가 상기 제2 구동원(225)에 의하여 회동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 회동 플레이트(223), 클램핑 플레이트(224)는 전체적으로 'ㅋ'자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가 충분히 들어 올려졌을 경우, 매체(2)는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와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에 밀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는 도 7에 도시된 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매체(2)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상기 매체(2)는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와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에 의하여 양면이 가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체(2)와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의 접촉 부분은 면 형태이고, 상기 매체(2)와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의 접촉 부분은 선 형태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파지부(22)가 상기 매체(2)를 파지한 경우, 상기 제1 구동원(23)은 도 3에서 도시된 것과는 반대 방향의 회전력을 모터기어(233)에 전달한다. 이때 회전력은 토크 리미터(24), 이송축(212), 이송기어(213)를 통해 전달되고, 이송기어(213)가 랙기어(214)와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가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회전력은 토크 리미터(24), 연결기어(216), 제1 회전축(215), 제1 회전 기어(217), 제2 회전 기어(222), 제2 회전축(221)을 통해 전달됨에 따라 상기 매체 파지부(22)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때,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매체 이송부(21)가 부하부(25)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매체 파지부(22)가 일정 각도 더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매체 이송부(21)가 도 9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에 의해서 정지 위치까지 직선 이송되는 경우, 상기 매체 파지부(22)는 요구되는 위치까지 회동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상기 매체 이송부(21)가 정지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동원(23)의 회전력이 상기 토크 리미터(24), 연결기어(216), 제1 회전축(215), 제1 회전 기어(217), 제2 회전 기어(222), 제2 회전축(221)을 통해 전달됨에 따라 상기 매체 파지부(22)를 더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매체 파지부(22)가 적절한 위치까지 회동되면,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가 회동하여 매체(2)를 분리시킬 수 있고, 분리된 매체(2)는 매체 출입부(12, 13)에 유입되어 고객에게 전달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상기 매체(2)를 파지하고 있는 상기 매체 파지부(22)를 고객에게 노출시켜서, 고객이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와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에 의해 파지된 매체(2)를 직접 가져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224)와 상기 회동 플레이트(223)의 일단에는 파지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상기 고객이 상기 매체 파지부(22)에 의해 파지된 매체(2)를 손가락 등으로 잡고 상기 매체 파지부(22)로부터 용이하게 꺼내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기어(216) 대신 원웨이 베어링(도시하지 않음:one-way bearing)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1 구동원(23)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를 우측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회전력을 생성할 경우, 상기 회전력이 상기 제1 회전축(215)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매체(2)가 상기 매체 파지부(22)에 의해 파지된 이후, 상기 매체 이송부(21)가 움직일 때에는 상기 매체 파지부(22)가 다시 회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송 장치의 토크 리미터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송 장치의 토크 리미터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송 장치(20)의 토크 리미터(24)에 과부하가 발생하면, 드라이브 볼(241: Drive Ball)이 제 위치에서 탈착되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242: Slide Plate)와 드라이브 플레이트(243: Drive Plate)가 분리되도록 힘을 가함과 동시에, 케이지 플레이트(244: Cage Plate)가 드라이브 플레이트(243)의 정지턱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케이지 플레이트(244)와 스트럿 볼(245: Strut Ball) 및 상기 드라이브 볼(241)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247: Spring)의 압력이 상기 드라이브 볼(241)에서 상기 스트럿 볼(245)로 전달되며, 상기 스트럿 볼(245)은 상기 드라이브 볼(241)이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243)의 홈으로 복귀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어댑터(246)가 자유 회전을 하게 됨에 따라, 어댑터(246)에 연결되어 있던 이송축(212)으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토크 리미터(24)는 부하부(25)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움직임이 차단될 경우, 상기 부하부(25)를 통해 전달되는 부하가 기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이송축(212)으로의 회전력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기어(216)로의 회전력 전달은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제1 구동원(23)과 토크 리미터(24)를 통해 매체(2)의 파지 및 이송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구성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금융기기 10: 본체
20: 매체 반송 장치 21: 매체 이송부
22: 매체 파지부 23: 제1 구동원
24: 토크 리미터 25: 부하부

Claims (11)

  1. 매체를 이송하는 매체 이송부;
    상기 매체 이송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매체를 파지하는 매체 파지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원;
    상기 제1 구동원의 회전력을 상기 매체 이송부 또는 상기 매체 파지부에 전달하는 토크 리미터; 및
    상기 토크 리미터에 부하를 가하는 부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 리미터는, 상기 부하부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가 기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매체 파지부에만 회전력을 전달하는 매체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이송부는,
    상기 매체 파지부를 직선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매체 반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이송부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송축;
    상기 이송축에 구비되는 이송기어; 및
    상기 이송기어에 맞물리는 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 리미터는, 상기 이송축에 구비되는 매체 반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매체 반송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리미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부하부에 의해 움직임이 차단되어 상기 부하부를 통해 전달되는 부하가 기설정값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이송축이 헛돌도록 하는 매체 반송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이송부는, 상기 토크 리미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체 파지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하는 매체 반송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파지부는,
    상기 매체 이송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동원에 의해 회동되어 매체의 일면을 가압하는 회동 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매체의 타면을 가압하는 클램핑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플레이트와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로 매체를 파지하는 매체 반송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회동 중심은,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매체 반송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파지부는,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제2 구동원을 더 포함하는 매체 반송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플레이트는,
    상기 매체 이송부가 상기 제1 구동원에 의하여 이송될 때 회전되고,
    상기 매체 이송부의 이송이 제한될 때, 상기 매체 이송부가 정지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매체 반송 장치.
  11.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매체를 이송하는 매체 반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반송 장치는, 매체를 파지하는 매체 파지부와, 상기 매체 파지부를 이송하는 매체 이송부와, 구동원의 회전력을 상기 매체 파지부 또는 상기 매체 이송부에 전달하되 부하가 기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매체 파지부에만 회전력을 전달하는 토크 리미터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KR1020120028649A 2012-03-21 2012-03-21 매체 반송 장치 및 금융기기 KR101303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649A KR101303537B1 (ko) 2012-03-21 2012-03-21 매체 반송 장치 및 금융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649A KR101303537B1 (ko) 2012-03-21 2012-03-21 매체 반송 장치 및 금융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537B1 true KR101303537B1 (ko) 2013-09-03

Family

ID=4945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649A KR101303537B1 (ko) 2012-03-21 2012-03-21 매체 반송 장치 및 금융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5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69A (ja) * 1993-06-28 1995-01-13 Showa Denko Kk 透明性に優れるポリエチレンキャストフィルムおよびシート
JP2000076536A (ja) * 1998-08-31 2000-03-14 Samii Kk 景品払出装置
KR20070001343A (ko) * 2005-06-29 2007-0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기기의 지폐류 분리 장치
JP2011522338A (ja) * 2008-06-03 2011-07-28 ビョンチョル ムン ベルト型紙幣計数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69A (ja) * 1993-06-28 1995-01-13 Showa Denko Kk 透明性に優れるポリエチレンキャストフィルムおよびシート
JP2000076536A (ja) * 1998-08-31 2000-03-14 Samii Kk 景品払出装置
KR20070001343A (ko) * 2005-06-29 2007-0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기기의 지폐류 분리 장치
JP2011522338A (ja) * 2008-06-03 2011-07-28 ビョンチョル ムン ベルト型紙幣計数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3148B1 (en) Note storage and/or dispensing apparatus
EP2980762B1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circulating cash box mechanism thereof
US20130099439A1 (en) Device for disbursing value notes comprising a stationary support element
US20120261876A1 (en) Device for handling banknotes
US9010747B2 (en) Device for handling value notes, comprising a feed module having movable retaining elements
CN102346942B (zh) 金融设备及媒介处理装置
EP2799376A1 (en) Arced-passage transfer apparatus
TW201822159A (zh) 紙頁處理設備
KR101303537B1 (ko) 매체 반송 장치 및 금융기기
KR101362607B1 (ko) 매체 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 기기
EP2832672A1 (en) Media item transportation
US8919524B2 (en) Object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
WO2011001464A1 (ja) 束搬送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KR101727617B1 (ko) 매체 저장 장치
KR101258345B1 (ko) 매체분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KR100576912B1 (ko) 지폐류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용 플레이트 잠금장치
JP6449972B1 (ja) 紙葉収納部、及び紙葉処理装置
KR10256422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동력전달장치
JP2014182782A (ja) 紙幣収納繰出し機構、及び紙幣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KR20170096529A (ko) 매체 저장 장치
JP2018106244A (ja) 紙幣処理装置
JP6519051B2 (ja) 紙幣収納庫
KR101146380B1 (ko) 매체 임시저장장치
JP2581540B2 (ja) 紙葉類搬送システム
KR20170100853A (ko) 다권종 매체 저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